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799875B1 - Pos terminal - Google Patents

Po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75B1
KR101799875B1KR1020160010768AKR20160010768AKR101799875B1KR 101799875 B1KR101799875 B1KR 101799875B1KR 1020160010768 AKR1020160010768 AKR 1020160010768AKR 20160010768 AKR20160010768 AKR 20160010768AKR 101799875 B1KR101799875 B1KR 10179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ain body
mode
pos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0201A (en
Inventor
임병학
Original Assignee
임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학filedCritical임병학
Priority to KR1020160010768ApriorityCriticalpatent/KR101799875B1/en
Publication of KR2017009020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7009020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75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799875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POS단말기는 제1 표시장치, 제2 표시장치, 및 본체를 포함한다. 상게 제1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한다.The POS terminal includes a first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and a main body. The first display device is coupled with the main body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easi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e main body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POS단말기{POS TERMINAL}POS POS terminal {POS TERMINAL}

본 발명은 POS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POS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 terminal that can be used in different directions.

일반적으로 POS(Point of sales)단말기는, 카페, 고속도로 휴게소, 슈퍼마켓, 편의점 등의 소매점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그 기록들을 입력하여 재고관리, 납품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기이다.In general, a point of sale (POS) terminal is a device that sells products at a retail store such as a cafe, a highway rest area, a supermarket, or a convenience store, and inputs the records to check inventory management and delivery quantity.

이러한, POS단말기는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 직접 제공함으로써, 컴퓨터의 데이터수집이 가능하다.The PO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ost computer and directly provides data to the host computer, thereby enabling data collection of the computer.

최근에 각광받는 POS단말기는 연산 처리 장치, 그래픽 카드, 메인보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본체, 사용자에게 처리 내용을 제공하는 사용자용 모니터, 결재하는 고객에게 결재 내용 또는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는 고객용 모니터, 및 고객이 제시하는 신용카드를 읽는 신용카드 리더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판매자용 모니터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도록 진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통상 신용카드 리더기는 점원용 모니터 일 측에 고정 부착되도록 설치된다.Recently, a point-of-sale (POS) terminal that receives a lot of attention is a main body including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a graphic card, a main board, and a memory, a monitor for a user providing processing contents to a user, And a credit card reader for reading the credit card presented by the customer. In addition, the monitor for the merchant is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method, and has been evolved to be more convenient to use. In general, a credit card reader is fixedly mounted on one side of a monitor for a clerk.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는 POS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device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which can be used in different dire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제1 표시장치, 제2 표시장치, 및 본체를 포함한다. 상게 제1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한다.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and a main body. The first display device is coupled with the main body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easi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e main body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은 터치감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touch sensing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는 제1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S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는 제2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ard reader capable of calculating an amount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POS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rd reader capable of calculating an amount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상기 본체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가 결합될 때,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and wh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are coupled, Can be provided.

상기 제2 표시장치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장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a built-in battery, and the built-in battery can be charg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제2 표시장치와 상기 본체가 탈착된 상태인 탈착 모드 및 상기 제2 표시장치와 상기 본체가 부착된 상태인 부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achment mod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main body are detached, and an attachment mod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main body are attac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탈착 모드 및 상기 부착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에 동일성이 인정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부착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에 독립적인 별개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so that separate information independen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displayed in the attaching mod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부착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에 동일성이 인정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탈착 모드에서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에 독립적인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so that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displayed 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can be controlled so that independen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the detachable mode.

상기 본체는 제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 모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spectively,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며 종속적으로 구동하는 종속적 구동모드 및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며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독립적 구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모드 및 상기 부착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발생할 때,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종속적 구동모드 또는 상기 독립적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display substantially the same information and are driven in a dependent manner, And may include independent drive modes that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and operate independently. A screen for selecting either the dependent driving mode or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mode switching betwee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occur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종속적으로 구동되는 종속적 구동모드 및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독립적 구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모드 및 상기 부착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발생할 때, 상기 종속적 구동모드 및 상기 독립적 구동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endent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re dependently driven and an independent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re independently driven . ≪ / RTI > When a mode change occurs betwee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a mode change between the dependent drive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e mode may occur automat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에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스탠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스탠딩 부재를 통해 지지면(supporting surface)에 세워질 수 있다.In 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anding member,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be erected on a supporting surface through the stand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그래픽 카드, 및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본체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a graphic card, and a main board, a first display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displa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And a second display device that is easi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사용자들이 POS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 따라 POS단말기의 모드를 다양하게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use POS terminal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various modes of POS terminals can be switched according to us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OS단말기의 표시장치들 중 어느하나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display devices of the POS terminal can be separated and used as need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POS단말기를 일 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 부품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제2 표시장치가 탈/부착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제1 무선통신부와 제2 표시장치의 제2 무선통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제1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제2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본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제2 표시장치의 뒷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 표시장치와 본체 간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POS단말기의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제2 표시장치와 본체 간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POS단말기의 모드가 수동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표시장치 또는 제2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구동모드 선택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시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 terminal shown in FIG. 1A.
1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body shown in FIG.
2A illustrates the second display device of the POS terminal being detached /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main body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secon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llustrates a first display device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llustrates a second display device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llustrates a body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a second display device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of automatically changing the mode of the POS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attached / detach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main body.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in which the mode of the POS terminal is manually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detached / attached to / from the main body.
7A and 7B show a drive mode selection mess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or the second display device.
8, 9, and 10 illustrate application examples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12A, and 12B illustrate a fixing member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POS단말기(10)를 일 측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도 1에 도시된 본체(300)의 내부 부품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shows a shape of thePOS terminal 10 shown in FIG. 1A viewed from one side. 1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body 300 shown in FIG.

POS단말기(10)는 제1 표시장치(100), 제2 표시장치(200), 본체(300), 제1 카드 리더기(410), 및 제2 카드 리더기(420)를 포함한다.ThePOS terminal 10 includes afirst display device 100, asecond display device 200, amain body 300, afirst card reader 410, and asecond card reader 420.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 각각은 표시패널,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및 외부 커버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은 액정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Each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 gate driving circuit, a data driving circuit, and an outer cover. For example,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be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plasma display device.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 각각은 외부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 패널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은 터치 감지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Each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panel capable of sensing an external touch.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sense the touch inpu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sensing panel.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은 본체(300)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표시장치들(100, 200)과 본체(300)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해서 유선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통신은, 예를들어, 케이블 또는 USB포트 등을 이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무선통신은, 예를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IMT-2000 표준에 따른 디지털 휴대전화 방식일 수 있다.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transmit / 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 from themain body 300.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thedisplay devices 100 and 200 and themain body 300 to transmit / receive electrical signals. The wired communication may be a method using, for example, a cable or a USB por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luetooth, Wi-Fi, or a digital cellular telephone scheme according to the IMT-2000 standard.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 본체(30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들어,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가 표시하는 정보는 상품의 금액, 결제수단, 또는 수요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제공한 금액 등일 수 있다.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be an amount of a commodity, a payment means, or an amount provided by a consumer to purchase a commodity.

본체(300)는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로부터 본체(300)쪽으로 제공되는 신호는 터치 감지 패널에 의해 감지되는 것으로, 예를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재수단 등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Themain body 300 may perform necessary calculations based on signals provided from thefirst display device 100 or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 The signal provided from thefirst display device 100 or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o themain body 300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panel and corresponds to a product selected by the user or a payment means selected by the user Lt; / RTI >

본체(300)는 연산 처리 장치(1000), 그래픽 카드(2000), 메모리(3000), 및 메인보드(4000)를 포함할 수 있다.Themain body 300 may include anarithmetic processing unit 1000, agraphics card 2000, amemory 3000, and amain board 4000.

연산 처리 장치(1000, 또는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일을 담당하며, 제어장치, 연산장치, 및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장치들과는 시스템 버스로 연결된다. 제어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고, 해석된 명령의 의미에 따라 연산장치,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에게 동작을 지시한다. 연산장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 연산만이 아니라 AND, OR, NOT, XOR와 같은 논리 연산을 하는 장치로 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 연산을 수행한다.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명령어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된 결과를 저장하는 공간이다.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1000 (o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responsible for executing program instruction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a computing unit, and a register. It is connected to other devices by a system bus. The control device interprets the program instructions and instructs the operation device, main memory device, input / output device, etc.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interpreted instruction. The arithmetic unit performs not only arithmetic operations of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but also logical operations such as AND, OR, NOT, and XOR, and perform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control apparatus. A register is a space in which instructions or data read from main memory are stored or the result of operation is stored.

그래픽 카드(2000)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장치들(100, 200)에 제공한다.Thegraphics card 2000 generates a video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display devices 100 and 200.

그래픽 카드(2000)는 비디오칩, 비디오 메모리, DAC, 바이오스(BIOS)를 포함한다. 비디오칩은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메모리는 이미지를 생성하며, 비디오 메모리 양이 많을수록 모니터의 해상도가 높아진다. DAC(Digital 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바이오스에는 비디오 어댑터의 정보와 기본적인 입출력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루틴(routine)이 저장되어 있다.Thegraphics card 2000 includes a video chip, a video memory, a DAC, and a BIOS (BIOS). The video chip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Video memory creates an image, and the more video memory, the higher the resolution of the monitor. A digital analog converter (DAC) is a device that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The BIOS stores program routine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video adapter and basic input and output.

메모리(30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한다. RAM은 기록,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억장치이고, ROM은 판독 전용의 기억 장치이다. 보조기억장치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일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에는 POS단말기(10)를 이용하여 판매하려는 상품들의 목록, 가격, 또는 잔여수량 등이 저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memory 3000 include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n auxiliary memory. The RAM i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recording and reading, and the ROM is a storage device for reading only.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may be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A list of goods to be sold using thePOS terminal 10, a price, or a remaining quantity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메인보드(4000)는 POS단말기(10)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POS단말기(10)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고, POS단말기(10)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메인보드(4000)에 상기 기술한 연산 처리 장치(1000), 그래픽 카드(2000), 및 메모리(30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Themain board 4000 sets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POS terminal 10 and maintains the information so that thePOS terminal 10 can be stably driven and the data input / output exchange of all the devices of thePOS terminal 10 can be performed smoothly It is the part that gives. The above-describedoperation processing apparatus 1000, thegraphic card 2000, and thememory 3000 may be coupled to themain board 4000.

카드 리더기들(410, 420) 각각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를 판독하여 상품의 금액을 결재하기 위한 단말기이다. 또한, 카드 리더기들(410, 420) 각각은 신용카드 정보외에 포인트 적립을 위한 포인트 카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Each of thecard readers 410 and 420 is a terminal for reading the credit card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aying the amount of the product. In addition, each of thecard readers 410 and 420 may read the point card information for point accumulation in addition to the credit card information.

카드 리더기들(410, 420)은 각각 표시장치들(100, 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드 리더기(410)는 제1 표시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카드 리더기(420)는 제2 표시장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제1 카드 리더기(410) 및 제2 카드 리더기(420)의 배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리더기들(410, 420)은 표시장치들(100, 200)과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card readers 410 and 4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display devices 100 and 200, respectively. Thefirst card reader 4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card reader 4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However, the position of thefirst card reader 410 and thesecond card reader 4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card readers 410 and 420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display devices 100, 200, respectively.

제1 카드 리더기(410)는 제1 표시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제2 카드 리더기(420)는 제2 표시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Thefirst card reader 410 can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first display device 100. [ Thesecond card reader 420 can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

도 2a는 POS단말기(10)의 제2 표시장치(200)가 탈/부착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 표시장치(200)는 본체(300)와 용이하게 탈/부착 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300)의 제1 무선통신부(WL1)와 제2 표시장치(200)의 제2 무선통신부(WL2)를 도시한 블럭도이다.2A shows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of thePOS terminal 10 being detached / attache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easily attached / detached to / from themain body 300. 2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1 of themain body 300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2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표시장치(200)는 입력단자(210)를 포함하고, 본체(300)는 출력단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310)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들의 결합에 의해 본체(300)와 제2 표시장치(200)는 서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ninput terminal 210 and themain body 300 may include anoutput terminal 310. Theinput terminal 210 and theoutput terminal 31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main body 3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transmit / 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 from each other.

제2 표시장치(200)는 내장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내장 배터리는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구동될 수 있도록 파워를 제공한다. 입력단자(210)와 출력단자(310)가 결합되어 있는 동안, 제2 표시장치(200)의 내장 배터리는 본체(300)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 때, 본체(300)는 외부의 전기 콘센트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n internal battery (not shown). The built-in battery provides power so tha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driven even if it is detached from themain body 300. While theinput terminal 210 and theoutput terminal 3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uilt-in battery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charg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main body 300. At this time, themain body 30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electrical outlet.

예를들어, 본체(300)의 출력단자(310)는 micro USB 5핀의 숫단자이고, 제2 표시장치(200)의 입력단자(210)는 micro USB 5핀의 암단자 일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출력단자(310)와 입력단자(210)는 각각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단자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output terminal 310 of themain body 300 may be a male terminal of amicro USB 5 pin, and theinput terminal 210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be a female terminal of amicro USB 5 p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output terminal 310 and theinput terminal 210 may be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ting electric power, respectively.

도 2b를 참조하면, 본체(300)는 제1 무선통신부(WL1)를 포함하고, 제2 표시장치(200)는 제2 무선통신부(W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제1 무선통신부(WL1)와 제2 무선통신부(WL2)를 통해 본체(300)와 제2 표시장치(200)는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무선통신부(WL1)와 제2 무선통신부(WL2)가 정보를 송/수신 하는 방법은, 예를들어, 블루투스, 블루투스, 와이파이, 또는 IMT-2000 표준에 따른 디지털 휴대전화 방식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main body 300 may includ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1, and thesecond display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2. Whe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detached from themain body 300, themain body 3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part WL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part WL2, / Receive. The method by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1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L2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can be, for example, Bluetooth, Bluetooth, WiFi, or a digital cellular phone method according to the IMT-2000 standard.

도 1a,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POS단말기(10)는 본체(300)와 제2 표시장치(200)가 부착되어 있는 모드(이하, 부착 모드)와 본체(300)와 제2 표시장치(200)가 탈착되어 있는 모드(이하, 탈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POS terminal 10 has a mode in which themain body 3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are attach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ttaching mode), themain body 300 and themain body 300, as shown in FIGS. 1A, 1B, And a mode in which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detach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tachment mode).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의 제1 표시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의 제2 표시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의 본체(300)를 도시한 것이다.FIG. 3A shows afirst display device 100 of a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llustrates asecond display device 200 of the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llustrates abody 300 of a PO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표시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1 정보화면(DT1)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표시장치(200)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2 정보화면(DT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보화면(DT1) 및 제2 정보화면(DT2)은 각각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 단가, 수량, 또는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람이 사용하는 결재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Thefirst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DT1 to the user.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provide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DT2 to another user.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DT1 an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DT2 provi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roduct sold at a store, a unit price, a quantity, or a settlement means used by a person who purchases a commodity.

제1 정보화면(DT1) 및 제2 정보화면(DT2) 서로 종속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정보화면(DT1) 및 제2 정보화면(DT2)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자들에게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information screen DT1 an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DT2 can be subordinate to each other to provide substantially the same information to the user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DT1 an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DT2 may provide different information to use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본체(300)는 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지지부(321)와 받침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1)는 제2 표시장치(200)의 뒷면와 접촉하여 제2 표시장치(200)가 넘어지지 않게 한다. 받침부(322)는 제2 표시장치(200)의 아랫쪽면과 접촉하여 제2 표시장치(200)가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321)와 받침부(322)의 조합에 의해 제2 표시장치(200)는 본체(300)에 고정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00)는 제2 표시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0)는 제2 표시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고정부재를 가질 수 있다.Themain body 300 may include a fixingmember 320. The fixingmember 320 may include asupport portion 321 and a receivingportion 322. [ Thesupport portion 321 contacts the back surface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o preven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from falling down. The receivingportion 322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o preven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from slipping.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fixed to themain body 300 by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ingportion 321 and the receivingportion 32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main body 3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member for fixing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n addition, themain body 300 may have a fixing member of another shape for fixing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의 제2 표시장치(200)의 뒷면을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rear view of asecond display device 200 of the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표시장치(200)는 스탠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장치(200)는 스탠딩 부재(220)을 통해 지지면(SS)에 세워질 수 있다.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standingmember 220.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erected on the support surface SS via the standingmember 220. [

스탠딩 부재(220)는 제2 표시장치(200)의 백 커버로부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스탠딩 부재(220)는 제2 표시장치(200)의 백 커버 쪽으로 접힐 수 있다. 반면,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로부터 펼쳐지는 경우, 스탠딩 부재(220)는 제2 표시장치(200)의 백 커버로부터 펼쳐져서, 제2 표시장치(200)가 단독적으로 지지면(SS)에 세워질 수 있다. 단, 스탠딩 부재(220)의 형상은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표시장치(200)를 지지면(SS)에 세울 수 있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tandingmember 220 can be folded or unfolded from the back cover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 Whe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coupled to themain body 300, the standingmember 220 can be folded toward the back cover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On the other hand, whe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unfolded from themain body 300, the standingmember 220 is unfolded from the back cover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supported alone May be erected on the surface SS. However, the shape of the standingmember 220 is not limited anymore, and may have another shape that can moun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on the supporting surface S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표시장치(200)는 스탠딩 부재(2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표시장치(200)는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면(SS)에 세워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not include the standingmember 220. In this case,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be erected on the supporting surface SS by a separate supporting member.

도 5는 제2 표시장치(200)와 본체(300) 간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POS단말기(10)의 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제2 표시장치(200)와 본체(300)간의 탈/부착 여부에 따라 POS단말기(10)의 모드가 수동으로 변경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구동모드 선택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in which the mode of thePOS terminal 10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detached / attached to themain body 300. 6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 in which the mode of thePOS terminal 10 is manually chang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detached / attached to themain body 300. [ Figs. 7A and 7B show a drive mode selection message displayed on thefirst display device 100 or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Fig.

POS단말기(10)의 구동모드는 종속적 구동모드와 독립적 구동모드를 포함한다. 종속적 구동모드에서, 제1 표시장치(100)와 제2 표시장치(200)를 하나의 시스템처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표시한다.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제1 표시장치(100)와 제2 표시장치(200)는 각각 별개의 시스템처럼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는 부착 모드에서는 종속적 구동모드로 작동하고, 탈착 모드에서는 독립적 구동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The driving mode of thePOS terminal 10 includes a dependent driving mode and an independent driving mode. In the subordinate drive mode,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display substantially the same information as one system. In the independent drive mode,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as different systems, respectively. The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the dependent driving mode in the attachment mode and in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in the detachment mode.

도 2a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지 단계(S110)에서 제2 표시장치(200)와 본체(300)가 서로 탈착 또는 부착 될 때, POS단말기(10)의 본체(3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는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을 감지한다.2A and FIG. 5, whe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and themain body 300 are detached or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sensing step S110, themain body 300 of thePOS terminal 10, Thecontroller 200 senses the mode change betwee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탈/부착 판단 단계(S120)에서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변환이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POS단말기(10)는 자신의 구동모드를 변경(S130)한다. 탈/부착 판단 단계(S120)에서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변환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POS단말기(10)는 자신의 기존 구동모드를 유지(S140)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0 that the mode conversion betwee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attached mode has been performed, thePOS terminal 10 changes its driving mode (S1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0 that the mode conversion betwee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attached mode has not been performed, thePOS terminal 10 maintains its existing driving mode (S140).

도 2a 및 도 6을 참조하면, 감지 단계(S210)에서 제2 표시장치(200)와 본체(300)가 서로 탈착 또는 부착 될 때, POS단말기(10)의 본체(3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는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을 감지한다.2A and FIG. 6, when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and themain body 300 are detached or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sensing step S210, themain body 300 of thePOS terminal 10, Thecontroller 200 senses the mode change betwee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탈/부착 판단 단계(S220)에서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변환이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POS단말기(10)는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모드 선택화면을 실행(S230)한다. 탈/부착 판단 단계(S220)에서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 변환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POS단말기(10)는 자신의 기존 구동모드를 유지(S260)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mode conversion betwee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attaching mode has been performed, thePOS terminal 10 displays the image on at least on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he drive mode selection screen is executed (S23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mode conversion betwee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attached mode has not been performed, thePOS terminal 10 maintains its existing driving mode (S260).

구동모드 선택단계(S240)에서,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동모드 선택 메시지들(MS1, MS2)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서 구동모드를 전환하거나 기존의 구동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In at least on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he drive mode selection messages MS1 and MS2 as shown in FIGS. 7A and 7B are displayed in the drive mode selection step S240 And the user can switch the drive mode or maintain the existing drive mode through this.

구동모드 선택단계(S240)에서 사용자가 구동모드 전환을 선택하는 경우, POS단말기(10)는 자신의 기존 구동모드를 변경(S250)한다. 구동모드 선택단계(S240)에서 사용자가 구동모드 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POS단말기(10)는 자신의 기존 구동모드를 유지(S260)한다.In the drive mode selection step S240, when the user selects the drive mode change, thePOS terminal 10 changes its existing drive mode (S250). If the user does not switch the drive mode in the drive mode selection step S240, thePOS terminal 10 maintains its existing drive mode (S260).

도 7a를 참조하면, 제1 구동모드 선택 메시지(MS1)는 부착 모드에서 탈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메시지이다.Referring to FIG. 7A, the first drive mode selection message MS1 is a messag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when the mode is changed from the attachment mode to the detachment mode .

도 7b를 참조하면 제2 구동모드 선택 메시지(MS2)는 탈착 모드에서 부착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제1 표시장치(100) 또는 제2 표시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메시지이다.Referring to FIG. 7B, the second drive mode selection message MS2 is a messag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when the mode is changed from the detachment mode to the attachment mode.

단, POS단말기(10)의 구동모드 변경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POS단말기(10)의 설정모드를 통해, 탈착 모드와 부착 모드 간의 모드전환에 관계없이, 구동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hanging the driving mode of thePOS terminal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mode can be changed regardless of the mode switching betwee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attached mode through the setting mode of thePOS terminal 10. [

도 8, 도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OS단말기(10)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8, 9, and 10 illustrate examples of use of thePOS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POS단말기(10)가 부착 모드 및 종속적 구동모드에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부착 모드 및 종속적 구동모드의 경우, 제1 표시장치(100)는 종업원(CSH)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제2 표시장치(200)는 손님들(CT1, CT2)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종업원(CSH)는 손님들(CT1, CT2)의 주문을 받아 제1 표시장치(100)를 통해 해당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손님들(CT1, CT2)은 제2 표시장치(200)를 통해 자신들이 주문한 상품들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POS terminal 10 is used 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dependent driving mode. 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subordinate drive mode, thefirst display device 10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employee CSH,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provide information to the customers CT1 and CT2. At this time, the employee CSH can receive the order of the customers CT1 and CT2 and input the contents through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 customers CT1 and CT2 can receive the contents through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You can verify that the products they ordered are entered correctly.

도 9는 POS단말기(10)기 부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부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제1 표시장치(100) 및 제2 표시장치(200)는 각각 손님들(CT1, CT2, CT3, CT4)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손님들(CT1, CT2, CT3, CT4)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POS terminal 10 is used 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provide information to the guests CT1, CT2, CT3 and CT4 respectively and the guests CT1, CT2, CT3 and CT4 provide information 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e mode, Can be detected.

예를들어, 제1 손님(CT1)과 제2 손님(CT2)은 제2 표시장치(200)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자신이 주문한 상품들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손님(CT1)과 제2 손님(CT2)은 제2 카드 리더기(420)를 통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및 포인트 적립 카드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guest CT1 and the second guest CT2 can select a desired commodity through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and confirm whether the commodities ordered by the user are correctly inputted. The first guest CT1 and the second guest CT2 can perform point accumulation using a credit card or a check card and a point accumulation card through thesecond card reader 420. [

제3 손님(CT3)과 제4 손님(CT4)은 제1 표시장치(100)를 통해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자신이 주문한 상품들이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3 손님(CT3)과 제4 손님(CT4)은 제1 카드 리더기(410)를 통해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및 포인트 적립 카드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 guest CT3 and the fourth guest CT4 can select a desired commodity through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confirm whether the commodities ordered by the user are correctly inputted. The third guest CT3 and the fourth guest CT4 can perform point accumulation using a credit card or a check card and a point accumulation card through thefirst card reader 410. [

부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는 계산을 도와주는 별도의 종업원이 없더라도, 손님들(CT1, CT2, CT3, CT4)들이 스스로 상품 주문 및 결제를 할 수 있으므로, 주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업주 입장에서는 종업원 고용에 필요한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attachment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e mode, the customers (CT1, CT2, CT3, CT4) can order goods and pay for themselves even though there is no separate employee to assist in the calculation. Also, from the viewpoint of employ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ersonnel expenses required for hiring employees.

도 10은 POS단말기(10)기 탈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탈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제2 표시장치(200)는 제1 표시장치(100) 및 본체(300)로부터 이격되어 사용될 수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POS terminal 10 is used i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I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used apart from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main body 300.

탈착 모드 및 독립적 구동모드에서, 제2 표시장치(200)는 사업장의 구조 및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가 가능하므로, POS단말기(10)를 탄력적으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손님들이 POS단말기(10)를 사용하는 방법 및 효과는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In the detachable mode and the independent driving mode,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fre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convenience of the business, so that thePOS terminal 10 can be flexibly applied and used. In addition, the method and effect of using thePOS terminal 10 by the customer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도 11,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300)의 고정부재(320-1, 320-2)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의 편의상 POS단말기(10)의 제1 표시장치(100) 및 본체(300) 중 일부는 도시하지 않았다.11, 12A, and 12B illustrate fixing members 320-1 and 320-2 of themain bod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12A, and 12B, some of thefirst display device 100 and themain body 300 of thePOS terminal 10 are not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재(320-1)는 제2 표시장치(200)의 윗면과 아랫면을 지지하여,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320-1)은 제3 방향(DR3)으로 길이가 조절되며, 이와 같은 길이 조절을 통해 제2 표시장치(200)가 고정부재(320-1)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11, the fixing member 320-1 supports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an be attached to themain body 300. As shown in FIG. The length of the fixing member 320-1 is adjust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and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320-1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20-2)는 제2 표시장치(200)의 윗면, 아랫면, 및 측면 에워싸도록 지지하여, 제2 표시장치(200)가 본체(300)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a와 같이 고정부재(320-2)를 조절하여 제2 표시장치(200)를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그 후, 도 12b와 같이 고정부재(320-2)를 조절하여 제2 표시장치(200)가 고정부재(320-2)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12A and 12B, the fixing member 320-2 supports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so tha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r the like. As shown in FIG. 12A, the fixing member 320-2 is adjusted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to moun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thereon. Thereafter, as shown in FIG. 12B, the fixing member 320-2 may be adjusted so that thesecond display device 200 is firm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320-2.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POS단말기100: 제1 표시장치
200: 제2 표시장치300: 본체
410, 420: 카드 리더기
10: POS terminal 100: First display device
200: second display device 300:
410, 420: Card reader

Claims (15)

Translated fromKorean
제1 표시장치, 제2 표시장치, 및 본체를 포함하는 POS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와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응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표시장치와 상기 제2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지지면(supporting surface)에 세울 때 이용되며 상기 제2 표시장치의 백 커버로부터 접히고 펼쳐질 수 있는 스탠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와 상기 본체가 탈착된 상태인 탈착 모드 및 상기 제2 표시장치와 상기 본체가 부착된 상태인 부착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며 종속적으로 구동하는 종속적 구동모드 및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가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며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독립적 구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 모드 및 상기 부착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이 발생할 때,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종속적 구동모드 또는 상기 독립적 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는 POS단말기.
A POS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device, a second display device, and a main body,
Wherein the first display devic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easily coupled with the main body so as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controls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display device comprises a standing member which is used when standing on a supporting surface and can be folded and unfolded from the back cover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 detachment mod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main body are detached, and an attachment mod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he main body are attached,
Wherein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display substantially the same information and are driven in a dependent manner,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and are independently driven Drive mode,
When a mode switching between the detachment mode and the attachment mode occur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displays a screen capable of selecting either the dependent drive mode or the independent drive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장치 및 상기 제2 표시장치 각각은 터치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POS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a touch sensing pane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는 제1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POS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rst card reader capable of calculating an amount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provided by said first display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을 계산할 수 있는 제2 카드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POS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econd card reader capable of calculating an amount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입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가 결합될 때, 상기 본체는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POS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ncludes an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body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are coupled.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장치는 내장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장 배터리가 충전되는 POS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s a built-in battery,
And the built-in battery is charged by coupling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제2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 모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통신부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POS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the removable mode,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160010768A2016-01-282016-01-28Pos terminalExpired - Fee RelatedKR101799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10768AKR101799875B1 (en)2016-01-282016-01-28Po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60010768AKR101799875B1 (en)2016-01-282016-01-28Po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70090201A KR20170090201A (en)2017-08-07
KR101799875B1true KR101799875B1 (en)2017-11-22

Family

ID=5965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60010768AExpired - Fee RelatedKR101799875B1 (en)2016-01-282016-01-28Po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7998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4202814A1 (en)2021-12-212023-06-28Hee Young Park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KR20230107462A (en)2022-01-072023-07-17박희영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KR20240161046A (en)2022-01-072024-11-12박희영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704355B2 (en)2014-10-292017-07-11Clover Network, Inc.Secure point of sale terminal and associated methods
JP7145380B2 (en)2018-03-192022-10-03日本電気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657505B2 (en)2018-07-262020-05-19Clover Network, Inc.Dual mode payment and display system
US11232440B2 (en)2019-10-292022-01-25Clover Network, LlcDual device point of sale system using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07834Y1 (en)*2005-11-022006-02-03밸크리텍주식회사 POS terminal
JP2014041559A (en)*2012-08-232014-03-06Teraoka Seiko Co LtdPost register
KR200477766Y1 (en)2014-01-162015-07-22하나시스 주식회사Pos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07834Y1 (en)*2005-11-022006-02-03밸크리텍주식회사 POS terminal
JP2014041559A (en)*2012-08-232014-03-06Teraoka Seiko Co LtdPost register
KR200477766Y1 (en)2014-01-162015-07-22하나시스 주식회사Pos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4202814A1 (en)2021-12-212023-06-28Hee Young Park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KR20230107462A (en)2022-01-072023-07-17박희영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KR20240161046A (en)2022-01-072024-11-12박희영Card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application lin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70090201A (en)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799875B1 (en)Pos terminal
US9881292B2 (en)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barcode scanner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or stand alone mobile tablet device
EP2645343B1 (en)POS terminal and POS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10339515B1 (en)Shopping cart with integrated scale and point of sale device
JP4789650B2 (e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electronic shelf label
US20190228374A1 (en)Mobile Tablet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Having A Mobile POS An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pplication For Pos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In-store Inventory Management For Retail Establishment
JP75131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273770B2 (en) Product registration apparatus and accounting system provided with the product registration apparatus
CN106570692A (en)Self-service intelligent shopping system and method
JP7630030B2 (en) Programs and mobile devices
US8393538B2 (en)Self checkout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756203B1 (en)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5386530B2 (en) Order station and order receiving device
JP6369006B2 (en) Product registration system, accounting system, weighing device
US20180137491A1 (en)Host devices with e-paper displays
JP2009053742A (en)Electronic shelf label,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and electronic shelf label display program
JP6264835B2 (en) Weighing device and weighing system
JP2008203944A (en)Electronic tag system
US20210027267A1 (en)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7319522A (en)Electronic shelf label and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KR20170106118A (en)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self checkout monitoring
JP6445950B2 (en) Product sales system, ordering method and ordering program
JP5427906B2 (en) Electronics
JP6517119B2 (en) Product sales system and product sales method
JP2019032907A (en) Product sales system, ordering method and orde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AMNDAmendment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AMNDAmendment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X0901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P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X701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P16-X000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Q16-X000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6-nap-X000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R15-X000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5-oth-X000

P16-X000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Q16-X000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6-nap-X000

R16-X000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6-oth-X000

G170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20200716

Republication note text: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101799875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20171122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21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21116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