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청 환자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보조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호자나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dspeaker supplement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detec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udspeaker loudspeaker which not only assists communication of a hearing loss patient but also automatically detects an emergency situation of a user and promptly informs a protector or a related institu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compensating device having a safety sensing function.
일반적으로 난청 환자의 난청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난청 보완 장치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사용자의 귀에 바로 삽입하여 착용하는 보청기이다.In general, various measures are being provided to supplement the hearing loss of the hearing impaired patients. The most common form of such hearing loss supplement is a hearing aid that is inserted directly into the user's ear.
그러나 보청기는 상시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착용하지 않을 경우 분실의 우려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hearing aids are required to be worn at all times, they are inconvenient to use.
그리고 귀 입구에 일부가 그대로 노출되면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고 타인이 사용자가 난청 환자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으므로 젊은 사람들이 착용을 기피하는 단점이 있다.Also, since some of the mouths of the user's mouth are directly exposed, the appearance of the user is difficult to see, and it is difficult for young people to wear the mobile phone because it is known that the user is a person with hearing loss.
또한, 보청기는 난청을 위한 기능만이 구현되어 난청 환자가 겪을 수 있는 위험상황 등을 대비할 수 없는 기능적 제약도 있다.In addition, hearing aids have functional limitations that can not cope with a dangerous situation that a person with hearing loss can experience.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의 유려가 전혀 없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난청 환자임을 타인이 쉽게 알 수 없으며 난청 환자의 위급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난청 보완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for hearing loss complementary device that can be used easily and has no relief of loss, is visually beautiful, can not easily be recognized by others as a hearing loss patient, and can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of hearing loss patien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의 유려가 전혀 없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난청 환자임을 타인이 쉽게 알 수 없으며 난청 환자의 위급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는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tection function capable of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of a hearing loss patient without being easy to know that the user is easy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는 호형상의 밴드;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상기 밴드의 양단에 연결된 본체; 상기 본체에 각각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에 설치되고 외부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음성을 증폭시키고 잡음을 제거하는 증폭모듈; 상기 이어폰에 설치되고 상기 증폭모듈에서 증폭 및 잡음 제거된 가공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귀 내부로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와 진동량과 함께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음성을 통해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감지하여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안전감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udspeaker supplementing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ing function, A body that is composed of a pair and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nd; Earphon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A microphone installed in the earphone and receiving an external voice; An amplification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mplifying external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removing noise; A speaker installed in the earphone and outputting amplified and noise-removed processed voice from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providing the processed voice to the user's ear; And an external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gether with the inclination and the vibration amount of the main body,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s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And a safety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상기 이어폰의 내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이어폰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ak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earphone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user, and the microphone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earphon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user's ear.
상기 안전감지수단은 사용자의 목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사용자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기울기와 진동량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인지를 감지한 후 제1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1상태감지부; 상기 증폭모듈에서 증폭 및 잡음 제거된 상기 가공음성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고 기저장된 사용자의 비명음성 주파수 영역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의 음성이 사용자의 비명인지를 감지한 후 제2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2상태감지부; 상기 제1상태감지부에서 생성된 제1상태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위급상황이거나 상기 제2상태감지부에서 생성된 제2상태정보에 따라 외부의 음성이 사용자의 비명인 경우 위급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 및 상기 정보생성부에서 상기 위급상황정보가 생성된 경우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전송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sensing means senses the inclination between the neck and the ground of the user and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user, detects whether the user's state is an emergency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d the amount of vibration, and generates first state information. ; Analyzing a frequency region of the processed voice amplified and removed by the amplification module and comparing the frequency region with a screaming voice frequency region of a previously stored user to detect whether the external voice is screamed by the user, 2 sta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st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st state detection unit, the emergency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when the user is in an emergency or the external voice is scream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econd st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cond state detection unit A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registered guardian or the control server of the related organization when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상기 정보전송부는 사용자의 통신기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상기 위급상황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통신기기에서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해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상기 위급상황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transmitter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in a short distance, transmits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emergency information to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remote communication module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of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lated organization.
상기 이어폰은 상기 본체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사용자의 목과 귀 간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권취릴이 설치되며, 상기 권취릴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상기 권취릴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길이조절레버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릴의 회전이 제어되면서 상기 케이블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cable and a winding reel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end of the cable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so that the length of the cab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neck and the ear of the user, A reel is rotated in a direction for winding the cable by a spring and a length adjusting lever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take-up reel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rotation of the take- And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is adjusted.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밴드와 본체 및 이어폰가 넥밴드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을 의식하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band, the main body, and the earphone have a neckband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earphone, and the earphone can be comfortably used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 other person.
그리고 안전감지수단이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호자 혹은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알려 사용자의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By including the safety detection means,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guardian or the related organization can be promptly informed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또한, 이어폰의 외측부에 마이크로폰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이 외부의 음성과 함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폐단을 해소하여 확실한 난청 보완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phone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earphone,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user's voice from being input to the microphone together with the external voice to obtain a reliable hearing aid complementary effect.
도 1 본 발명의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의 안전감지수단을 도시한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hearing loss supplement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afety sensing unit of the hearing loss suppleme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fety sens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난청 환자의 난청을 보완할 수 있도록 외부의 음성을 증폭시켜 제공하는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loss compensat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ensing function for amplifying external sounds so as to supplement hearing loss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의 유려가 전혀 없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고 타인이 사용자가 난청 환자임을 쉽게 알 수 없으며 난청 환자의 위급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Particularly, the hearing-impaired supplementary device equipped with the safety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has no fear of loss, is excellent in appearance, can not easily recognize that the user is a hearing-impaired patient, .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밴드, 밴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본체, 본체에 각각 연결된 이어폰, 이어폰에 설치되고 외부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음성을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이어폰에 설치되고 증폭모듈에서 증폭 및 잡음 제거된 가공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귀 내부로 제공하는 스피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보호자 혹은 유관기관에 알리는 안전감지수단을 포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se features include a band on the neck of a user, a main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nd respectively,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microphone installed in the earphone and inputting an external voice, an external voice A speaker that is installed in the earphone and outputs amplified and noise-canceled processed voice to the inside of the user's ear. 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detects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Ali is achieved by a configuration including safety detection means.
따라서 밴드와 본체 및 이어폰가 넥밴드(nenkband)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감지수단이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호자 혹은 유관기관에 신속하게 알려 사용자의 위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refore, the band, the main body and the earphone have a nenkband shape so that they can be easily worn by the user and can be used without any consciousness by others. By including the safety detection means,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can be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guardian or the related organization can be promptly informed to prompt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감지기능이 구비된 난청 보완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0), 본체(20), 이어폰(30), 마이크로폰(40), 증폭모듈(50), 스피커(60) 및 안전감지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loudspeaker supplementing apparatus having a safety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밴드(10)는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는 것으로 목의 후면에 대응되게 호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밴드(10)의 중간부 외면에는 목에 밀착되어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피부와의 밀착력이 좋은 우레탄 재질의 밀착패드(11)가 둘러 설치된다.First, the
다음으로, 상기 본체(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밴드(1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할 증폭모듈(50)과 안전감지수단(70)이 내부에 설치된다.Next, the
그리고 본체(20)의 내부에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90)와, 사용자의 통신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80)이 내장되고, 본체(20)의 외부에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21)과, 배터리(90)의 잔량과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배터리정보표시부(22)와, 배터리(90)의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23)와, 증폭세기를 조절하는 음량조절버튼(24) 등이 설치된다.A
한편, 본체(20)의 단부에는 소정깊이의 삽입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는데, 삽입홈은 이어폰(30)의 내측부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어폰(3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삽입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end of the
다음으로, 상기 이어폰(30)은 본체(20)에 각각 연결되고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것으로 본체(20)와는 케이블(31)을 통해 연결된다.Next, the
단, 케이블(31)은 사용자의 목과 귀 간의 거리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20)의 내부에는 케이블(31)의 단부가 코일형태로 권취되는 권취릴(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In other words, the take-
이때 권취릴(32)은 회전축에 외삽된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케이블(31)이 외주면에 권취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외부에는 권취릴(32)의 회전을 강제로 중지시키는 길이조절레버(34)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take-
따라서 사용자는 길이조절레버(34)를 누른 상태에서 케이블(31)을 견인하거나 자유롭게 놓아줌으로써 자신의 목과 귀 간의 거리에 맞게 케이블(31)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로폰(40)은 외부의 음성이 입력되는 것으로 이어폰(30)의 외측부에 설치된다.Next, the microphone 40 is installed at the outer side of the
이때 마이크로폰(40)이 이어폰(30)을 귀에 삽입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이어폰(30)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것은 외부의 음성이 입력이 입력될 때 사용자의 음성으로 인해 외부의 음성 입력이 방해되는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즉, 마이크로폰(40)을 사용자의 음성이 발생하는 사용자의 입보다 높은 위치에 그리고 사용자의 입보다 후방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과 외부의 음성이 함께 입력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the
다음으로, 상기 증폭모듈(50)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입력된 외부의 음성을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크기로 증폭시킨다.Next, the
이때 증폭모듈(50)의 증폭세기는 사용자마다 청취 가능한 음성의 크기가 다르므로 본체(20)의 일측에 설치된 음량조절버튼(24)을 통해 자신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amplification intensity of the
한편, 증폭모듈(50)에는 입력된 외부의 음성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제거모듈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증폭된 가공음성의 노이즈도 제거됨에 따라 가공음성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다음으로, 상기 스피커(60)는 이어폰(30)의 내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증폭모듈(50)에서 증폭된 가공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귀 내부로 제공한다.Next, the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폰(30)에 설치된 스피커(60)를 통해 자신이 청취 가능한 볼륨으로 증폭된 가공음성을 외부의 잡음 없이 그대로 청취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to the processed voice amplified to the audible volume through the
마지막으로, 상기 안전감지수단(70)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기울기와 진동량과 함께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음성을 통해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감지하여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무선으로 송신한다.Finally, the safety sensing means 7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safety sensing means 70 senses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voice inputted through the
이때 안전감지수단(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태감지부(71)와 제2상태감지부(72)와 정보생성부(73) 및 정보전송부(74)로 구성될 수 있다.3, the safety detection means 70 may include a first
상기 제1상태감지부(71)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목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사용자의 진동량을 감지하여 기울기와 진동량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인지 혹은 정상황인인지를 감지한 후 위급상황으로 감지된 경우 제1상태정보를 생성한다.The first
상기 제2상태감지부(72)는 증폭모듈(50)에서 증폭 및 잡음 제거된 가공음성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여 기저장된 기준비명의 주파수 영역에 대응될 경우 외부의 음성을 사용자의 비명으로 감지하여 제2상태정보를 생성한다.The second
이때 기저장된 기준비명은 사용자가 사전에 인위적으로 비명을 질러서 마이크로폰(40)을 통해 저장한 것으로서, 외부의 음성을 사용자의 비명과 비교할 때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viously stored reference scream is stored in the
상기 정보생성부(73)는 제1상태감지부(71)에서 생성된 제1상태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위급상황이거나 제2상태감지부(72)에서 생성된 제2상태정보에 따라 외부의 음성이 비명인 경우 위급상황정보를 생성한다.The
단, 제1상태정보가 발생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목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사용자의 진동량이 기설정된 기울기변화값과 진동량변화값에 포함되는 경우에 위급상황정보를 생성한다.However, if the slope of the user's neck and the ground and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user are included in the preset slope change value and the vibration amount chang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rst state information occurs, the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이는 실제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움직임이 급격히 작아짐에 따라 제1상태정보 혹은 제2상태정보가 발생 후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위급상황정보를 생성하여 위급상황과 위급상황이 아닌 상황을 보다 정확도 있게 구분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actual emergency situation occurs, as the user moves rapidly, the first state information or the second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fte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emergency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To distinguish the situation more accurately.
상기 정보전송부(74)는 정보생성부(73)에서 위급상황정보가 생성된 경우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위급상황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알린다.When the emergency information is generated in the
단, 정보전송부(73)는 본체(20)에 내장된 근거리통신모듈(80)을 통해 위급상황정보를 사용자의 통신기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통신기기에서는 내장된 원거리통신모듈을 통해 기등록된 보호자의 통신기기 혹은 유관기관의 관제서버로 위급상황정보가 전송된다.However, the
따라서 사용자가 낙상하거나 타인에 의해 위험상황에 빠진 상태를 신속하게 보호자와 유관기관으로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험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사용자의 신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ptly inform the guardian and the related organiz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hurts o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by another person, so that the user can safely protect the user 's personal situation by quickly responding to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user.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 other modifi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 밴드
11: 밀착패드
20: 본체
21: 전원버튼
22: 배터리정보표시부
23: 충전단자
24: 음량조절버튼
30: 이어폰
31: 케이블
32: 권취릴
33: 스프링
34: 길이조절레버
40: 마이크로폰
50: 증폭모듈
60: 스피커
70: 안전감지수단
71: 제1상태감지부
72: 제2상태감지부
73: 정보생성부
74: 정보전송부
80: 근거리통신모듈
90: 배터리
10: Band
11: Adhesive pad
20:
21: Power button
22: Battery information display
23: Charging terminal
24: Volume control button
30: earphone
31: Cable
32:
33: spring
34: Length control lever
40: microphone
50: Amplification module
60: Speaker
70: Safety detection means
71: a first state sensing unit
72: second state detecting unit
73: Information generating unit
74:
80: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90: Battery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3257AKR101772007B1 (en) | 2017-02-22 | 2017-02-22 | Hearing impairment device with safety sensing func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23257AKR101772007B1 (en) | 2017-02-22 | 2017-02-22 | Hearing impairment device with safety sensing func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72007B1true KR101772007B1 (en) | 2017-08-2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23257AExpired - Fee RelatedKR101772007B1 (en) | 2017-02-22 | 2017-02-22 | Hearing impairment device with safety sensing func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7200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91370Y1 (en)* | 2019-10-05 | 2020-03-27 | 신태승 | Neckband type power supply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89244B1 (en)* | 2013-04-04 | 2013-07-26 | 주식회사 블루콤 |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
| JP2016046576A (en)* | 2014-08-20 | 2016-04-04 |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 Watch system, watch detection device and watch notificat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89244B1 (en)* | 2013-04-04 | 2013-07-26 | 주식회사 블루콤 | Ear set having an automatic winding apparatus |
| JP2016046576A (en)* | 2014-08-20 | 2016-04-04 |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 Watch system, watch detection device and watch notificat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91370Y1 (en)* | 2019-10-05 | 2020-03-27 | 신태승 | Neckband type power supply apparatus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217600B2 (en) | Designer control devices | |
| DK2472907T3 (en) |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arm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 |
| KR101498087B1 (en) | Bluetooth headset | |
| US5343532A (en) | Hearing aid device | |
| KR101135064B1 (en) | Hearing ai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hearing aid system | |
| KR101926429B1 (en) | Headset with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noise canceling function. | |
| JP2025032247A (en) | Active audio equipment using audio recognition | |
| US20090296948A1 (en) | MPD custom ear communication device | |
| KR101553398B1 (en) | Bluetooth headset for helmet | |
| KR101861357B1 (en) |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 |
| KR101772007B1 (en) | Hearing impairment device with safety sensing function | |
| WO2009131518A1 (en) | Ear cup | |
| US10967521B2 (en) | Robot and robot system | |
| CN114697796A (en) |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system | |
| CN114830680B (en) | Hearing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in different hearing situations, controller for such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such device | |
| KR101765718B1 (en) |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 |
| US12028682B2 (en) | Mobile hearing aid having foldable earphone and howling prevention circuit | |
| KR20180136167A (en) | Bone Conduction Speaker Glass | |
| US11336984B2 (en) | Headphone system | |
| JP2021162657A (en) | Glasses | |
| KR101926450B1 (en) | Multifunctional handbags | |
| KR20230172802A (en) | Bone conduction earphones with automatic volume control | |
| KR20030080445A (en) | Hands-free Apparatus for Wireless Terminal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 |
| KR20230172804A (en) | Bone conduction earphone with noise reduction function | |
| KR101441805B1 (en) | Helme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2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2082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