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744571B1 - A smart door-lock - Google Patents

A smart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571B1
KR101744571B1KR1020150082818AKR20150082818AKR101744571B1KR 101744571 B1KR101744571 B1KR 101744571B1KR 1020150082818 AKR1020150082818 AKR 1020150082818AKR 20150082818 AKR20150082818 AKR 20150082818AKR 101744571 B1KR101744571 B1KR 10174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oor lock
unit
relay server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6128A (en
Inventor
문덕열
Original Assignee
(주)서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테크filedCritical(주)서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82818ApriorityCriticalpatent/KR101744571B1/en
Publication of KR2016014612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60146128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57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744571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와,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 및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door lock that allows a user to lock or unlock a door lock at a remote location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relay server.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lock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a terminal request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 unit, a door lock unit and a relay server uni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server unit in which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at least one terminal and a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at least one door lock unit are matched and registered, and the relay server unit can communicate with the door lock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스마트 도어록{A smart door-lock}A smart door-lock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which uses a portable terminal and a relay server and which allows a user to lock or unlock a door lock at a remote location.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도어록 장치는 자물쇠와 열쇠를 기본적 구성으로 한다. 종래에는 자물쇠 및 열쇠의 기계적 구동을 통해서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제되는 기계식 도어록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자 신호에 의해 잠기거나 열리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door lock device use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has a basic structure of a lock and a key.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the past, mechanical door lock devices have been used in which doors are locked or unlocked through mechanical operation of locks and keys. Recently, however, digital door lock devices that are locked or opened by electronic signals input by a user are commonly used.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에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록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0056007 discloses a door lock device and a control method using portable wireless terminal specific information.

하지만,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에 개시된 도어록 장치에 따르면, 도어록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근접거리에 있어야 하며, 원거리에서의 도어 잠금 및 해제는 어렵다.
However, according to the door lock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1-0056007, the door lock and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must be close to each other, and it is difficult to lock and unlock the door at a long distance.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600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56007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및 중계 서버를 이용하고,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or lock which uses a portable terminal and a relay server and which allows a user to lock or unlock a door lock at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와,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 및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lock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a terminal request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 unit, a door lock unit and a relay server unit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server unit in which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at least one terminal and a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at least one door lock unit are matched and registered, and the relay server unit can communicate with the door lock unit.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가 중계 서버 유니트를 통해서 통신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nd the door lock uni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 relay server unit,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 unit from a remote place through the terminal.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중계 서버 유니트가 통신 노드가 됨으로써, 한 단말기가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를 제어하거나 복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server unit becomes a communication node, so that one terminal can control a plurality of door lock units or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control one door lock.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중계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원거리에서 도어락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1인이 다세대를 관리하는 경우나 다수가 공공 시설 등을 관리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at a long distance by using the relay communication network. Therefore,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 case where one person manages multiple generations or a case where a majority manages public facilities.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성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door lock unit constituting a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lock unit.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door lock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성하는 단말기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도어록 유니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a door lock unit constituting a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lock unit.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door lock unit;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300),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100), 도어록 유니트(300) 및 단말기(100)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oor lock unit 300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aterminal 100 for request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door lock unit 300, adoor lock unit 300, And may include aserver unit 200.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기(11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소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100)가 될 수 있으며, 제2 단말기(130)는 제1 단말기(11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의 요청이 필요한 사람의 단말기(100)가 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의 승인 권한, 전자키 부여 및 삭제 권한을 가질 수 있다.Theterminal 100 may include afirst terminal 110 and asecond terminal 130. Thefirst terminal 110 may be aterminal 100 used by the owner of thedoor lock unit 300, Thesecond terminal 130 may be aterminal 100 of a person who requests thefirst terminal 110 to lock or unlock thedoor lock unit 300. Thefirst terminal 110 may have an authorization authority, an electronic key assignment and a deletion authorit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door lock unit 300.

도어록 유니트(300)는 도어에 부착되어 도어를 직접적으로 잠금 또는 해제 가능한 기계적 장치일 수 있다.Thedoor lock unit 300 may be a mechanical device attached to the door and capable of directly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도어록 유니트(300)는 직접적으로 문자열 입력 또는 단말기(100)와 접촉인식 입력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310), 신호 처리 및 기계적 제어를 하는 제어부(330), 기계적 구동원인 액츄에이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door lock unit 300 includes aninput panel unit 310 capable of directly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or a contact recognition input to theterminal 100, acontrol unit 330 for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and mechanical control, and anactuator unit 350 for mechanical driving can do.

제어부(330)는 도어의 암호인 전자키를 확인하는 전자키 매칭부(331) 및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Thecontrol unit 330 may include an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for confirming an electronic key which is a password of a door and anactuator control unit 333 for controlling theactuator unit 350.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통신장치로, 스마트폰, 일반 휴대 전화기, 노트북, 테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Theterminal 100 is a communication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may be a smart phone, a general mobile phone, a notebook, a tablet PC, or the like.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통신망의 중심이 되고,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한 기기이다.Therelay server unit 200 is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a device capable of storing and processing data.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도어에 장착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기술이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통신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원거리에서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기치 않은 손님이나, 택배 배달 등으로 원거리에서 현관문의 개방이 필요할 시에 사용자가 집에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깜박하고 집 현관문을 잠그지 않고 외출하였을 시에도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을 사용하면 원거리에서 도어를 잠글 수 있다.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for locking or unlocking thedoor lock unit 300 mounted on the door even by a user at a long distance. Theterminal 100 and thedoor lock unit 3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locking or unlocking of thedoor lock unit 300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terminal 100. [ For example, an unexpected guest or a door-to-door delivery can open the door even if the user is not at hom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way is required from a distance. Another example is that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lock the door at a remote location even when the user blinks and goes out without locking the door.

본 발명에서 단말기(100), 도어록 유니트(300),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서 사용하는 통신은 인터넷 또는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sed in theterminal 100, thedoor lock unit 300, and therelay server unit 200 may include the Internet or a telephone network.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전화망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등록될 경우,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식별 코드는 전화 번호 형식의 코드일 수 있다.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인터넷 망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등록될 경우, 단말기 식별 코드 및 도어록 식별 코드는 IP 주소 또는 임의로 사용자가 지정한 문자열일 수 있다.Therelay server unit 200 can register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terminal 100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door lock unit 300. [ When theterminal 100 and thedoor lock unit 300 are register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in the telephone network,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may be codes in a telephone number format. When theterminal 100 and thedoor lock unit 300 are register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in the Internet network,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may be an IP address or a character string arbitrarily specified by the user.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복수의 단말기(100) 또는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300)가 개별적으로 고유의 식별 코드로 등록됨으로써, 단말기(100) 또는 도어록 유니트(300) 간의 상호 인식 또는 통신연결에 혼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terminals 100 or a plurality ofdoor lock units 300 are individually register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o that mutual recognition 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terminal 100 or thedoor lock unit 300 is interrupted Can be prevented.

중계 서버에는 단말기 식별 코드와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 식별 코드와 도어록 식별 코드를 사전에 매칭시켜 둠으로써, 단말기(100)가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할 시에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 해당 도어록 유니트(300)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may be registered and registered in the relay server. When theterminal 100 transmits a lock or unlock command for the door to therelay server unit 200, the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k or unlock command to thedoor lock unit 300 without inputting any information by match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in advance Command.

예를 들어, 사전 매칭이 없다면 사용자는 도어에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할 때마다 해당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록 식별 코드를 추가로 입력해야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사전 매칭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즉각적으로 사전에 매칭된 도어록 유니트(300)에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no dictionary matching, the user must additionally input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door lock unit 300 installed in the door every time the door is request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However, in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ransmits a door lock / unlock command to therelay server unit 200 through theterminal 100 through the dictionary matching function, therelay server unit 200 immediately pre- Lock command to thedoor lock unit 300. [

하나의 도어록 식별 코드에는 복수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매칭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거나 해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한 세대 가족 구성원은 1인 이상일 수가 있고, 따라서 하나의 도어록 유니트(300)에 복수의 단말기(100)가 매칭될 필요가 있다.A plurality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may be matched to on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ly, a plurality of users can lock or unlock the samedoor lock unit 300. For example, one family member can be one or more family members, and thus a plurality ofterminals 100 need to be matched to onedoor lock unit 300. [

단말기(100)가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할 시,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단말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상기 도어록 유니트(30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lock or unlock command for the door to therelay server unit 200,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the lock or unlock command to thedoor lock unit 300, which match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electronic key as a code.

전자키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되는 문자열로, 도어록 유니트(300)가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하기 위한 최종 승인 암호이다. 구체적으로 전자키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구비된 전자키 매칭부(331)에 입력되고, 전자키 매칭부(331)는 전자키가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권한이 있는 문자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가 권한이 있는 전자키로 판정되면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은 도어록 유니트(300)의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로 전달되고,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는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전자키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로부터 전자키 매칭부(331)로 입력될 수도 있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거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The electronic key is a string input to thedoor lock unit 300, and is a final approval password for thedoor lock unit 300 to perform a lock or release operation. Specifically, the electronic key is input to the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provided in thedoor lock unit 300, and the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can confirm whether the electronic key is a character string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firmation result is an authorized electronic key, the lock or releas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actuator control unit 333 of thedoor lock unit 300. Theactuator control unit 333 controls theactuator unit 350 to lock or unlock the door . The electronic key may be input from therelay server unit 200 to the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or may be input from the terminal 100 via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100)의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할 경우, 단말기(100)는 보안 강화를 위해서 별도의 단말기 암호가 입력된 후에 전자키를 근거리 통신으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00)를 분실할 경우에 단말기(100) 주인이 아닌 제3자가 단말기(100)를 습득하여 도어록 유니트(3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기(100)에 단말기 암호를 입력해야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key of the terminal 100 is input to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he terminal 100 transmits an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short- Lt; / RTI > A third party who is not the owner of the terminal 100 may learn the terminal 100 to operate thedoor lock unit 300 when the terminal 100 is los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erminal 100 needs to input the terminal password to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복수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등록될 수 있다. 복수로 등록된 단말기(100)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하며, 중계 서버 유니트를 통해서 제1 단말기(110)는 제2 단말기(13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키를 보유한 단말기(100)를 제1 단말기(110)라고 하고, 전자키를 보유하지 않은 단말기(100)를 제2 단말기(130)라고 할 때, 제1 단말기(110)의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자키를 제2 단말기(130)에 전달할 수 있다.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of a plurality ofterminals 100 may be register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The plurality of registeredterminals 100 include afirst terminal 110 and asecond terminal 130. Thefirst terminal 110 transmits thedoor lock unit 300 to thesecond terminal 130 through the relay server unit, Lt; RTI ID = 0.0 > electronic key < / RTI > When a terminal 100 having an electronic key is referred to as afirst terminal 110 and a terminal 100 having no electronic key is referred to as asecond terminal 130, a relay server unit of thefirst terminal 110 200 to thesecond terminal 130.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제2 단말기(130)의 사용자와 떨어진 곳에 있을 때, 도어의 오픈 권한이 될 수 있는 전자키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 원거리에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first terminal 110 is located away from the user of thesecond terminal 130, the electronic key that can be the open authority of the door can be transmitted remotely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have.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복수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가 계층화되어 등록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 및 하위 계층의 제2 단말기(130)를 포함하며, 제2 단말기(13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제1 단말기(110)에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상위 계층인 제1 단말기(110)가 하위 계층인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대해서 승인을 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자키를 송신하고, 도어록 유니트(300)는 잠금 또는 해제 작동을 하게 된다.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of the plurality ofterminals 100 can be register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in a layered manner. The terminal 100 includes afirst terminal 110 of an upper layer and asecond terminal 130 of a lower layer and asecond terminal 130 may request a lock or release of a door to therelay server unit 200 And therelay server unit 200 can send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first terminal 110 about the request of thesecond terminal 130.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the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and transmits the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the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A lock or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제1 단말기(11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일부 제2 단말기(130)의 요청 알림 메시지를 차단 등록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가 차단 대상이 되는 제2 단말기(130)의 단말기(100) 식별코드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차단 등록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차단 대상이 되는 제2 단말기(130)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을 제1 단말기(11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Thefirst terminal 110 can block and register the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of thesecond terminal 130 to therelay server unit 200. When thefirst terminal 110 registers the terminal 100 identification code of thesecond terminal 130 to be blocked in therelay server unit 200,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second terminal 130, 130 to thefirst terminal 110. In this case,

제2 단말기(130)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의 수신 요청이 가능하고, 중계 서버 유니트는 전자키 발송의 허용 여부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1 단말기(110)로 발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알림 메시지에 대한 승인 여부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피드백할 수 있고, 피드백 결과에 따라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제2 단말기(130)에 전자키를 발송할 수 있다. 전자키 발송 승인 권한은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만이 가질 수 있다.Thesecond terminal 130 is capable of requesting therelay server unit 200 to receive an electronic key serving as an operation code of thedoor lock unit 300 and the relay server unit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relay server unit 200, To the terminal 110. Thefirst terminal 110 may feed back the approval message to therelay server unit 200 and therelay server unit 200 may send the electronic key to thesecond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feedback result . Only thefirst terminal 110 of the upper layer can have the authority to send the electronic key.

예를 들어, 한 가족 구성원이 휴대 전화를 바꿀 경우에 전자키를 새로운 단말기(100)에 다시 저장할 필요가 있고, 다른 가족 구성원의 휴대 전화에 저장된 전자키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전자키를 전달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도 전자키를 주고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amily member changes a mobile phone, the electronic key needs to be stored again in thenew terminal 100, and the electronic key stored in the mobile phone of another family member is received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 Since the electronic key is transmitted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the electronic key can be exchanged even at a remote location.

복수의 단말기 식별 코드는 계층화되어 도어록 식별 코드와 매칭될 수 있다. 상위 계층의 제1 단말기(110)는 하위 계층의 제2 단말기(130)의 도어록 유니트(300)의 도어 오픈 권한을 부여하거나 해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주가 가사 도우미를 고용하고 도어를 잠금 또는 해지할 수 있게 전자키를 부여했다가 가사 도우미가 바뀌게 되면 이전의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자키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보다 상위 계층의 가구주의 단말기(100)는 가사 도우미의 단말기(100)에 저장된 전자키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 즉, 도어 오픈 권한의 부여는 전자키를 제공하는 것이고, 도어 오픈 권한의 해지는 전자키를 삭제하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rminal identification codes can be layered and matched with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Thefirst terminal 110 of the upper layer can grant or cancel the door open authority of thedoor lock unit 300 of thesecond terminal 130 of the lower layer. For example, when a household owner hires a domestic assistant and gives an electronic key so that the door can be locked or unlocked, if the domestic assistant is changed, the electronic key stored in theterminal 100 of the previous housekeeper needs to be deleted. At this time, theterminal 100 of the householder of a higher hierarchy than the terminal 100 of the housekeeper has authority to delete the electronic key stored in theterminal 100 of the housekeeper. That is, the granting of the door open authority is to provide an electronic key, and the opening of the door open authority may be to delete the electronic key.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도어록 유니트(300)의 작동, 요청, 승인, 명령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했던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전자키를 송수신한 단말기(100)들의 단말기 식별 코드, 잠금 또는 해제를 승인한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 등과 관련된 모든 이벤트와 이벤트 발생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모든 이벤트를 기록함으로써, 도어 내부 공간에서 도난 등의 범죄가 발생할 시 범죄 대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Therelay server unit 200 may record the operation, request, approval, command, and the like of thedoor lock unit 300. Therelay serve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terminal 100 requesting to lock or unlock the door, a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terminals 1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electronic key, All event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event occurrence time can be recorded. By recording all the events, it is easy to trace the crime scene when the crime such as theft occurs in the space inside the door.

도어록 유니트(300)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한 입력 패널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door lock unit 300 may include aninput panel unit 310 capable of requesting a door to be locked or unlocked.

입력 패널부(310)는 직접적으로 문자열 입력 또는 단말기(100)와 접촉인식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Theinput panel unit 310 may be a character string input or a contact recognition input directly to the terminal 1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패널부(310)는 문자열 입력이 가능한 숫자 버튼(313),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또는 접촉 인식을 위한 통신 패널(315), 도어록 유니트(300)의 잠금 및 해제를 요청하는 오픈 콜 버튼(311),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을 확인하는 센서(317)를 포함할 수 있다.6, theinput panel unit 310 includes anumeric button 313 for inputting a character string, acommunication panel 315 for local communication or contact recognition with the terminal 100, a lock of thedoor lock unit 300, Anopen call button 311 for requesting release, and asensor 317 for identifying a person approaching the door.

숫자 버튼(313)은 전자키의 문자열을 사용자가 직접 도어록에 입력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number button 313 may be a button for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character string of the electronic key into the door lock.

통신 패널(315)은 근거리 통신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로 단말기(100)의 전자키를 인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신 패널(315)을 통해서 사용자는 버튼 입력없이 단말기(100)를 도어록 유니트(300)에 접근 또는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자키를 입력할 수 있다.Thecommunication panel 315 may be one for recognizing the electronic key of the terminal 100 by local communication or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e user can input the electronic key to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thecommunication panel 315 by operating the terminal 100 to approach or contact thedoor lock unit 300 without inputting a button.

오픈 콜 버튼(311)은 제3의 사용자가 단말기(100) 없이 도어록 유니트(300)와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도어록 유니트(300)의 소유주의 단말기(100)인 제1 단말기(11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open call button 311 is used to allow the third user to access thefirst terminal 110 which is the terminal 100 of the owner of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thedoor lock unit 300 and therelay server unit 200 without the terminal 100. [ And a button for requesting the do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입력 패널부(310)의 오픈 콜 버튼(311)을 통해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중계 유니트는 제1 단말기(110)에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의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 후 허용에 대한 답을 입력하면, 입력 결과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 다시 도어록 유니트(300)에 전달되고 제어부(330)는 입력 결과에 따라 액츄에이터부(350)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a reques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is input through theopen call button 311 of theinput panel unit 310, the relay unit notifies thefirst terminal 110 of the permission / You can send it. When the user of thefirst terminal 110 inputs the answer to the permission, the input result is transmitted to thedoor lock unit 300 again via therelay server unit 200, and thecontroller 330 controls the actuator Theunit 350 can be operated.

센서(317)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일 수 있다.Thesensor 317 may be a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and an iris recognition module.

입력 패널부(310) 또는 제2 단말기(130)를 통해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입력될 시, 센서(317)는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자를 촬영 또는 스캔할 수 있다. 센서(317)가 촬영 또는 스캔한 데이터는 제1 단말기(110)로 전달되어 제1 단말기(110) 사용자가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sensor 317 can photograph or scan the door lock or unlock requestor when a door lock or unlock request is inputted through theinput panel unit 310 or thesecond terminal 130. [ The data captured or scanned by thesensor 317 is transmitted to thefirst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of thefirst terminal 110 can view the data.

다른 실시예로, 중계 서버 유니트(200) 또는 제1 단말기(110) 또는 제어부(330)에는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는 사전에 센서(317) 또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서 입력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자의 얼굴, 지문, 홍채 등의 영상일 수 있다.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는 센서(317)로 측정된 영상과 일치율을 판별하는 기준일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일치율을 판별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110)는 일치율을 판별하는 장치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 제1 단말기(110), 제어부(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판별 위치로 설정된 모든 장치에서 센서(317)가 촬영 또는 스캔한 영상과 측정값 판별 기준 데이터와 일치율이 일정 값 이상으로 판별될 때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허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measured value discrimination reference data may be input to therelay server unit 200, thefirst terminal 110, or thecontroller 330. The measurement value determination reference data may be images of a face, a fingerprint, an iris, etc. of a requestor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inputted through thesensor 317 or thefirst terminal 110 in advance. The measurement value discrimination reference data may be a criterion for discriminating the coincidence rate with the image measured by thesensor 317. Thefirst terminal 110 can set a position for determining the matching rate. For example, thefirst terminal 110 may set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tching rate to at least one of therelay server unit 200, thefirst terminal 110, and thecontrol unit 330. The door can be locked or unlocked when the coincidence rate between the image taken by thesensor 317 and the measurement value discrimination reference data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all devices set to the discrimination position.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입력 패널부(310)는 보안을 위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버튼(313)을 생략하고 오픈 콜 버튼(311)과 통신 패널(315), 센서(317)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7, theinput panel unit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open call button 311, acommunication panel 315, asensor 317, May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기능 및 작동을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된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의 통신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마트 도어록은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직접 통신할 수도 있지만,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통신 연결된다. 중계 서버 유니트(200)가 통신 노드가 됨으로써, 한 단말기(100)가 복수의 도어록 유니트(300)를 제어하거나 복수의 단말기(100)가 하나의 도어록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중계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원거리 통신이 용이 해진다. 따라서 1인이 다세대를 관리하는 경우나 다수가 공공 시설 등을 관리하는 경우 용이할 수 있다.1 show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of a smart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 terminal 100 and thedoor lock unit 300, bu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Therelay server unit 200 becomes a communication node so that oneterminal 100 can control a plurality ofdoor lock units 300 or a plurality ofterminals 100 can easily perform one door lock control. Further, by using the relay communication network, the distance communication becomes easy. Therefore, it can be easily handled when one person manages multiple generations or when a majority manages public facilities.

도시된 도 2는 근거리 통신 또는 RFID 등으로 단말기(100)와 도어록 유니트(300)가 직접 통신하여 전자키를 입력하는 경우다. 이 경우에 도어록 유니트(300)는 전자키를 사용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한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 코드를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송하여 작동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2 shows a case where the terminal 100 and thedoor lock unit 300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hort-range communication or RFID to input an electronic key. In this case, thedoor lock unit 300 can transmi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terminal 100, which has locked or unlocked the door, to therelay server unit 200 using the electronic key to store the operation record.

도시된 도 3은 입력 패널부(310)의 오픈 콜 버튼(311)을 통해서 도어록 유니트(3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오픈 콜 버튼(311)으로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도어록 유니트(300)에 입력되면, 요청 신호는 중계 서버 유니트(200)에 전달 되고,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요청의 승인에 대한 메시지를 가구주의 단말기(100)인 제1 단말기(110)에 발송한다. 제1 단말기(110)에서 승인이 되면 중계 서버 유니트(200)는 전자키를 도어록 유니트(300)의 전자키 매칭부(331)에 전송한다. 전송된 전자키가 올바르다면 전자키 매칭부(331)는 제어 허용 신호를 액츄에이터 제어부(333)에 전달하고 액츄에이터 제어부(333)는 액츄에이터부(35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한다.3 shows an operation of locking or unlocking thedoor lock unit 300 through theopen call button 311 of theinput panel unit 310. [ When the reques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is inputted to thedoor lock unit 300 by theopen call button 311, th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relay server unit 200, and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a message To thefirst terminal 110 which is the terminal 100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Therelay server unit 200 transmits the electronic key to the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of thedoor lock unit 300. When the electronic key is approved by thefirst terminal 110, If the transmitted electronic key is correct, the electronickey matching unit 331 transmits a control permission signal to theactuator control unit 333, and theactuator control unit 333 controls theactuator unit 350 to lock or unlock the door.

도시된 도 4 내지 5는 전자키의 전달과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110)에서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제2 단말기(130)로 전자키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단말기(130)의 요청에 의해 중계 서버 유니트(200)를 통해서 제1 단말기(110)의 승인 후 전자키를 제2 단말기(13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Figs. 4 to 5 show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 electronic key.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electronic key from thefirst terminal 110 to thesecond terminal 130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electronic key to thesecond terminal 130 after the approval of thefirst terminal 110 through therelay server unit 200 at the request of thesecond terminal 130.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단말기110...제1 단말기
130...제2 단말기200...중계 서버 유니트
300...도어록 유니트310...입력 패널부
311...오픈 콜 버튼313...숫자 버튼
315...통신 패널317...센서
330...제어부331...전자키 매칭부
333...액츄에이터 제어부350...액츄에이터부
100 ... terminal 110 ... first terminal
130 ...second terminal 200 ... relay server unit
300 ...door lock unit 310 ... input panel section
311 ...open call button 313 ... number button
315 ...communication panel 317 ... sensor
330 ...control unit 331 ... electronic key matching unit
333 ...actuator control unit 350 ... actuator unit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도어록 유니트;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단말기; 및
상기 도어록 유니트 및 상기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중계 서버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소유주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사람의 단말기이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상기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 요청이 가능하고,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발송하며,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제2 단말기의 요청이 승인되면, 상기 도어록 유니트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잠금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일부 제2 단말기의 요청 알림 메시지를 차단 등록하며,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차단 등록된 상기 일부 제2 단말기의 도어 잠금 또는 해제 요청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로 미전달하는 스마트 도어록.
A door lock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A terminal for request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lock unit; And
And a relay server unit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door lock unit and the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a terminal used by the owner of the door lock unit,
The second terminal is a terminal of a person requesting the first terminal to lock or unlock the door lock unit,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s capable of requesting the relay server unit to lock or unlock the door,
The relay server unit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of the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The relay server unit may lock the door lock unit or unlock the door lock unit when the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is approved by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blocks the request notification message of some second terminals to the relay server unit,
Wherein the relay server unit forwards the notification message of the door lock or unlock request of the part of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blocked and registered by the first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등록되는 스마트 도어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lay server unit,
Wherein at least on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terminal and at least on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 door lock unit are regist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는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 코드와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도어록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등록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 명령을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에 전송할 시,
상기 중계 서버 유니트는 상기 단말기 식별 코드에 매칭된 상기 도어록 유니트에 상기 도어록 유니트의 작동 코드가 되는 전자키를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of the terminal and the door lock identification code of the door lock unit are registered in the relay server unit,
When the terminal transmits a lock or unlock command for the door to the relay server unit,
Wherein the relay server unit transmits an electronic key serving as an operation code of the door lock unit to the door lock unit matched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
KR1020150082818A2015-06-112015-06-11A smart door-lockActiveKR1017445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82818AKR101744571B1 (en)2015-06-112015-06-11A smart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50082818AKR101744571B1 (en)2015-06-112015-06-11A smart doo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46128A KR20160146128A (en)2016-12-21
KR101744571B1true KR101744571B1 (en)2017-06-09

Family

ID=5773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50082818AActiveKR101744571B1 (en)2015-06-112015-06-11A smart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7445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42281A (en)2018-10-152020-04-23주식회사 빈자리Smart door 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458479B1 (en)*2017-09-282022-10-25삼성전자 주식회사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electronic device
CN113668950B (en)*2021-09-152025-04-25中山市基信锁芯有限公司 A nanny lock capable of switching use states
CN119339468A (en)*2024-12-202025-01-21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Smart door lock and unlock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795587B1 (en)*2006-10-262008-01-21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811245B1 (en)*2006-09-202008-03-07주식회사 아이리스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video transmission
KR100969594B1 (en)*2009-10-292010-07-14(주)라우즈미Door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5007309A (en)*2013-06-242015-01-15美和ロック株式会社Key distribution system and key distribu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318915B1 (en)1999-12-142001-12-29윤종용Door rock apparatus using identity information of portable radio telephon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811245B1 (en)*2006-09-202008-03-07주식회사 아이리스 Digital door lock device with video transmission
KR100795587B1 (en)*2006-10-262008-01-21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0969594B1 (en)*2009-10-292010-07-14(주)라우즈미Door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5007309A (en)*2013-06-242015-01-15美和ロック株式会社Key distribution system and key distribu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42281A (en)2018-10-152020-04-23주식회사 빈자리Smart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60146128A (en)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893850B2 (en)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US7741969B2 (en)Door entry security device with electronic lock
US10529160B2 (en)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KR101595413B1 (en)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structure type approved by hierarchical manager based on ICT convergence technology
US20170263067A1 (en)Smart lock systems and methods
WO2001052561A2 (en)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KR101744571B1 (en)A smart door-lock
US11380153B2 (en)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US20180114384A1 (en)Cloud-based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housing facilities
KR100795587B1 (en) Electronic key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erminal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954449B1 (en)Smart door lock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220327881A1 (en)System for receiving delivery items and method therefor
KR20140117264A (en)Entry management a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digital door lock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017214702A5 (en)
JP2004120257A (en)Lock management system and lock management method
KR101025830B1 (en) Fingerprint Security System
Raju et al.Smart lock controlled using voice call
JP7181710B2 (en) Entry/exit gate control system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KR20160109899A (en)Mobile, doorloc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obile and recording media storing program performing the said method
KR20150114618A (en)The Method to be controlled the Door Camera and Doorlock by SmartPhone with NFC Function Based on M2M in Mobile Network and the Equipment for it
JP4541835B2 (en) Entrance management system
TW201800652A (en)Door access control system with automatic unlocking function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that comprises a door lock controller and an electronic device carried by a user such that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pproaching the door lock controller, the door lock controller, upon identifying the user, automatically unlock the door lock
KR100718196B1 (en) Multilevel Securit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6796804B2 (en)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50611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6082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70220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70518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7060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7060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0511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0531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20531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30531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50512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