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with steam.
종래 커피 추출 장치는 증기로 물을 밀어올려 커피 가루에 통과시켜 커피를 추출하고 있다. 물로 커피를 추출하므로 커피를 일정한 농도를 추출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증기를 커피 가루에 통과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증기를 이용한 커피 추출 장치는 그 장치의 복잡도가 크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extracts coffee by pushing the water by steam and passing it through the coffee powder. It is difficult to extract a certain concentration of coffee by extracting coffee with water. Accordingly, a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by passing steam through coffee powder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using steam has a high complexity and is not easy to manufac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를 커피 가루에 통과시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by passing steam through coffee pow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며 배출구를 개폐하는 증기 마개와, 증기 마개가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증기 마개를 이동시키는 개폐부와, 배출구와 연결되며 커피를 담을 수 있는 브라켓 및 하우징과 연결되며 브라켓을 수용하며, 외부와 연결되는 개구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am generator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outlet; a steam stopper provided in the hous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moving the steam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steam outlet;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 bracket capable of containing coffee, and a li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ccommodating the bracket and having an opening connected to the outside.
여기에서, 증기 마개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 판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개 판과 결합하는 마개 바 및 마개 판이 배출구를 막도록 상기 마개 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우징과 마개 바 사이에 구비되는 마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Here, the steam stopper includes a stopp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 stopper bar mov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engaging with the stopper plate, and a stopper plate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plate to close the stopper, And a stopper elastic member provided thereon.
이때, 마개 판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상판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고, 마개 바의 하단은 마개 판과 결합되고, 마개 바의 상단은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넓게 퍼지며, 마개 탄성부재는 마개 바의 상단과 하우징의 상판 사이에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closure plat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opens and closes the outlet formed on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The lower end of the closure bar is engaged with the closure plate. The upper end of the closure bar is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and spreads outwardly.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bar and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이때, 개폐부는 하우징 또는 덮개의 외부에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개폐 버튼, 개폐 버튼과 증기 마개 사이에 구비되며, 개폐 버튼과 결합되고 증기 마개와 접촉할 수 있으며, 개폐 버튼과 함께 이동 가능한 개폐 바 및 개폐 버튼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개폐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개폐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or the cover, and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opening / closing button, the opening / closing button and the steam stopper. The opening / closing part can be in contact with the steam stopper, And an opening / closing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ning / closing button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button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이때, 개폐 버튼은 덮개의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개폐 바는 덮개을 관통하며, 개폐 탄성부재는 개폐 버튼과 덮개 사이에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button i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the opening / closing bar passes through the lid, and the opening / closing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opening / closing button and the li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증기로 커피를 추출하므로 일정 농도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커피 맛을 살릴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coffee is extracted by steam, coffee can be extracted at a certain concentration, and coffee taste can be save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to 4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to 4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10), 하우징(10)에 구비되며,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증기 마개(12), 증기 마개(12)가 배출구(11)를 개폐하도록 증기 마개(12)를 이동시키는 개폐부, 배출구(11)와 연결되며, 커피를 담을 수 있는 브라켓(20) 및 하우징(10)과 연결되며, 브라켓(20)을 수용하며, 외부와 연결되는 개구를 갖는 덮개(30)를 포함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a
증기 마개(12)는 배출구(11)를 개폐하는 마개 판(16),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개 판(16)과 결합하는 마개 바(15) 및 마개 판(16)이 배출구(11)를 막도록 마개 판(16)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우징(10)과 마개 바(15) 사이에 구비되는 마개 탄성부재(13)를 포함한다.The
마개 판(16)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0)의 상판에 형성된 배출구(11)를 개폐하고, 마개 바(15)의 하단은 마개 판(16)과 결합되고, 마개 바(15)의 상단은 하우징(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넓게 퍼지며, 마개 탄성부재(13)는 마개 바(15)의 상단과 하우징(10)의 상판 사이에 구비된다.The
개폐부는 하우징(10) 또는 덮개(30)의 외부에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개폐 버튼(31), 개폐 버튼(31)과 증기 마개(12) 사이에 구비되며, 개폐 버튼(31)과 결합되고 증기 마개(12)와 접촉할 수 있으며, 개폐 버튼(31)과 함께 이동 가능한 개폐 바(33) 및 개폐 버튼(31)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개폐 버튼(3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개폐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개폐 버튼(31)은 덮개(30)의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고, 개폐 바(33)는 덮개(30)를 관통하며 개폐 탄성부재(32)는 개폐 버튼(31)과 덮개(30) 사이에 구비된다.The opening and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10)과 배출구(11)를 개폐하여 하우징(10)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개폐 버튼(31)을 포함한다. 커피 추출 장치는 개폐 버튼(31)이 눌리면 하우징(10) 내의 증기를 배출구(11)를 통해 브라켓(20)으로 전달한다. 증기는 브라켓(20)을 통과하고 커피가 추출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10), 하우징(10)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증기 마개(12), 증기 마개(12)가 배출구(11)를 개폐하도록 증기 마개(12)를 움직이는 개폐 버튼(31), 배출구(11)와 연결되며 배출구(11)에서 배출된 증기가 통과되는 브라켓(20)을 포함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a
하우징(10)은 다수의 배출구(11)를 가지고 다수의 배출구(11)를 통해 브라켓(20)으로 증기를 전달한다. 다수의 배출구(11)는 브라켓(20)으로 증기를 분산 전달하는 출구이다.The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를 갖는 하우징(10), 배출구(11)에 연결되어 하우징(10)에 결합된 브라켓(20), 브라켓(20)을 덮는 덮개(30), 덮개(30)에 배치된 개폐 탄성부재(32)에 의해 지지되는 개폐 버튼(31), 개폐 버튼(31)의 눌림으로 이동하는 바(33) 및 마개 탄성부재(13) 반발로 배출구(11)를 막고 바(33)의 이동으로 배출구(11)를 개방하는 증기 마개(12)를 포함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es a
하우징(10)은 물을 담고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한다. 하우징(10)은 밀폐 용기로 발생된 증기를 가둔다. 하우징(10)은 물을 담는 용기로 원형 또는 사각 바닥을 갖고 평면 벽면에 윗면에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를 갖는다. 하우징(10) 옆면에는 안전밸브(14)를 갖는다. 하우징(10)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증기 마개(12)가 있다.The
증기 마개(12)는 배출구(11)를 개폐하는 동작을 한다. 증기 마개(12)는 스프링(13)으로 지지되어 배출구(11)를 막고 증기 마개(12)가 아래로 이동하면 배출구(11)가 열린다. 증기 마개(12)는 평면 구조를 가지며 배출구(11)를 수평으로 개폐한다. 증기 마개(12)는 배출구(11) 아래에 위치한다. 증기 마개(12)는 아래위로 움직이면서 수직으로 뚫린 배출구(11)를 개폐한다. 배출구(11)로 연결된 하우징(10) 위에는 브라켓(20)이 놓인다.The steam stopper (12) operate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 The
브라켓(20)은 커피 가루(21)를 담고 있으며 배출구(11)를 통해 전달되는 증기가 커피 가루(21)로 스며들도록 한다. 브라켓(20)은 커피 가루(21)를 담는 용기로 원형 또는 사각 바닥에 수직 벽면을 가진다. 브라켓(20)을 담는 용기(22)가 하우징(10) 위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0) 중앙에는 바(33)가 위치한다. 바(33)는 증기 마개(12)를 아래위로 이동시켜 증기 마개(12)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바(33)의 말단에는 개폐 버튼(31)이 결합된다.The
개폐 버튼(31)은 증기 마개(12)를 개폐하는 동작을 한다. 개폐 버튼(31)은 스프링(32)에 지지되어 평상시에 펼쳐진 상태로 놓인다. 힘이 가해지면 개폐 버튼(31)의 개폐 탄성부재(32)는 압착되어 눌리게 된다. 개폐 버튼(31)은 납작한 두께를 가지는 버튼 구조를 갖는다. 개폐 버튼(31)이 눌려 돌려지면 걸쇠에 걸린다. 개폐 버튼(31)의 개폐 탄성부재(32)는 덮개(30)에 지지된다. 개폐 버튼(31)이 눌리면 바(33)가 이동하고 바(33)의 이동이 증기 마개(12)를 개방한다.The opening /
덮개(30)는 커피를 개구로 안내한다. 커피가 개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The
하우징(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가 있고,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증기 마개(12)가 위치한다. 배출구(11)와 연결되어 덮개(30)에 결합된 브라켓(20)이 위치한다. 브라켓(20) 중앙에는 증기 마개(12)를 이동시키는 바(33)가 위치한다. 바(33)의 말단에 개폐 버튼(31)이 결합되어 개폐 버튼(31)의 누름은 바(33)를 이동시키고 바(33)의 이동이 증기 마개(12)를 개폐한다. 브라켓(20)을 덮는 덮개(30)가 위치하여 커피를 개구로 안내한다.The
물을 담은 하우징(10)은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하고 증기가 하우징(10) 내에 가득해지면서 증기 압력이 상승한다. 하우징(10)은 가열로 발생된 증기를 모은다. 증기 마개(12)는 하우징(10)의 상단에 장착된다. 증기 마개(12)에 결합된 패킹은 평상시 배출구(11)를 막아 증기가 브라켓(20)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개폐 버튼(31)은 증기 마개(12)를 아래로 눌러 하우징(10)의 증기를 증기 마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브라켓(20)은 증기 마개(12)를 통과한 증기를 커피 가루로 지나게 하여 커피가 추출된다. 하우징(10)의 증기는 개폐 버튼(31)의 눌림에 의해 증기 마개(12)가 열려 브라켓(20)으로 전달된다. 증기는 브라켓(20)에 담긴 커피 가루(21)로 스며들어 커피가 추출된다.The
커피 추출 장치는 하우징(10)의 증기 압력이 위험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안전밸브(14)를 더 포함한다. 안전밸브(14)는 하우징(10)의 증기 압력이 위험 압력을 초과할 때 개폐구를 열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한다. 증기 압력이 높아져 하우징(10)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안전밸브(14)는 위험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증기 압력을 낮춘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afety valve (14) for discharging the steam out of the housing (10) when the steam pressure exceeds a dangerous pressure. The
커피 추출 장치는 브라켓(20)을 덮는 덮개(30), 덮개(30)에 맺힌 커피를 모으는 경사로(34) 및 경사로(34)를 따라 모인 커피를 밖으로 배출하는 개구를 더 포함한다. 덮개(30)는 브라켓(20)을 감싸 덮는다. 경사로(34)는 덮개(30)에 맺힌 커피를 모으고 개구는 경사로(34)를 따라 모아진 커피를 밖으로 배출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커피 추출 장치는 증기 마개(12)를 통과한 증기를 브라켓(20)으로 분산 제공하는 분산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 통로는 증기 마개를 통과한 증기를 브라켓(20)으로 분산 제공하여 커피 가루(21)에 증기가 골고루 분산 배분되도록 한다.The coffee extrac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ersion passage for distributing the vapor passing through the
안전밸브(14)는 하우징(10)의 증기 압력에 반발하고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수축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열리는 마개를 포함한다. 안전밸브(14)는 일정 압력에 의해 수축하는 스프링에 의해 마개를 열어 하우징(10)의 증기를 밖으로 배출한다. 안전밸브(14)는 하우징(10)의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마개를 열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한다.The
다른 실시예로,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통과시키는 증기 마개를 포함한다. 물이 담긴 하우징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고 하우징에 증기가 가득하여 증기 압력이 높아진다.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 마개는 증기를 통과시킨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outlet and a steam stopper for allowing steam to pass if the steam pressure of the housing exceeds a certain pressure. The housing containing the water is heated to generate steam, and the steam is filled in the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steam pressure. If the steam pressure exceeds a certain pressure, the steam plug passes the steam.
커피 추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통과시키는 증기 마개 및 증기 마개를 통과한 증기를 커피 가루로 지나게 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증기를 모은다. 증기 마개는 하우징의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개폐구를 열어 증기를 통과시킨다. 브라켓은 증기 마개를 통과한 증기를 커피 가루로 지나게 하여 커피가 추출된다. 일정 압력을 초과하는 증기는 증기 마개를 통과하여 브라켓으로 전달된다. 증기는 브라켓에 담긴 커피 가루로 스며들어 커피가 추출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outlet, a steam stopper coupled to the housing for passing the steam when the steam pressure of the housing exceeds a certain pressure, and a bracket for passing the steam through the steam stopper to the coffee grounds. The housing is heated to generate steam and collect the generated steam. The steam plug opens the door to allow steam to pass if the steam pressure of the housing exceeds a certain pressure. The brackets pass the steam through the steam plug to the coffee grounds and the coffee is extracted. Steam exceeding a certain pressure is passed through the steam stopper to the bracket. The steam seeps into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bracket and the coffee is extracted.
커피 추출 장치는 하우징의 증기 압력이 위험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안전밸브를 더 포함한다. 안전밸브는 하우징의 증기 압력이 위험 압력에 도달하면 증기를 밖으로 배출한다. 증기 압력이 높아지면 하우징을 파손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밸브는 위험 압력을 초과한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증기 압력을 낮춘다.The coffee extrac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afety valve for discharging the steam out of the housing if the steam pressure exceeds the dangerous pressure. The safety valve drains the steam out of the housing when the steam pressure reaches the dangerous pressure. As the steam pressure increases, the housing may be damaged, so the safety valve lowers the steam pressure by discharging the steam that exceeds the dangerous pressure.
커피 추출 장치는 브라켓을 덮는 덮개 및 덮개에 장착되고 눌림에 의해 증기 마개를 열어 증기를 통과시키는 개폐 버튼을 더 포함한다. 덮개는 브라켓을 감싸 덮는다. 덮개는 브라켓에 담긴 커피 가루를 보호한다. 개폐 버튼은 눌림에 의해 증기 마개를 열어 증기를 통과시킨다. 개폐 버튼의 눌림은 증기 마개를 열어 증기를 브라켓으로 전달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button which is mounted on the cover and the cover for covering the bracket and opens the steam stopper by pressing to allow steam to pass therethrough. The cover covers the bracket. The cover protects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bracket. The opening / closing button opens the steam stopper by pressing to pass the steam. The pressing of the opening / closing button opens the steam stopper and transfers the steam to the bracket.
커피 추출 장치는 증기 마개를 통과한 증기를 브라켓으로 분산 제공하는 분산 통로를 더 포함한다. 분산 통로는 증기 마개를 통과한 증기를 브라켓으로 골고루 분산 제공한다. 분산 통로는 증기가 브라켓으로 분산되어 커피 가루에 증기가 골고루 스며들도록 한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persion passage for distributing the vapor passing through the steam stopper to the bracket. The distribution passage distributes the steam passing through the steam stopper evenly to the bracket. The distribution channel distributes the steam to the bracket, allowing the steam to evenly penetrate the coffee grounds.
증기 마개 또는 안전밸브는 하우징의 증기 압력에 반발하고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수축하는 스프링 및 스프링의 수축에 의해 열리는 마개를 포함한다. 증기 마개 또는 안전밸브는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하는 스프링에 의해 마개를 열어 하우징의 증기 압력을 낮춘다.The steam stop or safety valve includes a spring that resists the steam pressure of the housing and contracts when the steam pressure exceeds a certain pressure and a stopper which is opened by the contraction of the spring. The steam stopper or safety valve opens the stopper by a spring that contracts when the steam pressure reaches a certain pressure, thereby lowering the steam pressure of the housing.
덮개는 덮개에 맺힌 커피를 모으는 경사로 및 경사로를 따라 모인 커피를 밖으로 배출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경사로는 덮개에 맺힌 커피를 모으고 개구는 경사로를 따라 모아진 커피를 밖으로 배출한다.The lid includes a ramp for collecting the coffee ground on the lid and an opening for draining the coffee collected along the ramp. The ramp collects the coffee on the cover and the opening drains the coffee collected along the ramp.
다른 실시예로, 커피 추출 장치는 개폐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고 커피 추출량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계산된 커피 추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includes a control for sensing the depression of the open / close button and calculating a coffee brewing amount, and a display for indicating the calculated coffee brewing amount.
사용자가 개폐 버튼을 누른다. 제어부는 개폐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고 타이머를 동작시켜 시간을 계산하고 증기 발생량 대비 커피 추출량을 계산한다. 제어부는 시간에 따른 커피 추출량을 누적하여 최종 커피 추출량을 계산한다. 표시부는 계산된 커피 추출량을 눈금으로 표시한다. 표시부는 커피 추출량에 따라 눈금을 증가시켜 표시한다. 사용자는 눈금을 보고 커피량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눈금 양으로 커피량을 가늠하고 커피 추출을 중단할지를 결정한다.The user presses the open / close butt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depression of the opening / closing button, operates the timer to calculate the time, and calculates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based on the steam generation amount. The control unit accumulates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over time to calculate the final coffee extraction amount.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calculated coffee extract amount on a scale. The display is displayed by increasing the sca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ffee extracted. The user can see the amount of coffee by viewing the scale. The user determines the amount of coffee in the amount of the scales and decides whether to stop the coffee extraction.
사용자가 개폐 버튼의 눌림을 해제하면 제어부는 커피량을 초기화하고 표시부는 커피량 표시를 중단한다. 다시 사용자가 개폐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타이머를 동작시켜 커피 추출량을 계산하고 표시부는 커피 추출량에 따라 눈금을 증가시켜 표시한다.When the user releases pressing the opening / closing button, the control unit initializes the amount of coffee, and the display unit stops displaying the amount of coffee.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ning / closing button aga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timer to calculate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increase amount according to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다른 실시예로, 커피 추출 장치는 증기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커피 추출량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계산된 커피 추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team pressure,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when the steam pressure exceeds a certain pressur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lculated coffee extraction amount.
물을 담은 하우징이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증기가 하우징 내에 가득하면 증기 압력이 상승하고 일정 압력을 초과하게 된다. 제어부는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면 커피 추출량을 계산한다. 증기 압력이 일정 압력보다 낮아지면 제어부는 커피 추출량 계산을 중지한다. 표시부는 계산된 커피 추출량을 표시한다.When the water containing housing is heated, steam is generated and when the generated steam is filled in the housing, the steam pressure rises and exceeds a certain pressur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coffee extract amount when the steam pressure exceeds a certain pressure. When the steam pressure becomes lower than a certain pressure, the control unit stops calculating the coffee extract amount. The display shows the calculated coffee extract.
다른 실시예로, 커피 추출 장치는 개폐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고 커피 추출량을 계산할 때 압력 센서로 증기 압력을 측정하여 증기 발생량 대비 커피 추출량을 보정할 수 있다. 증기 압력은 가열 정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커피 추출 장치는 증기 압력을 측정하여 증기 발생량을 추정하고 변화하는 증기 압력에 따른 커피 추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ffee extracting device can correct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to the steam generation amount by measuring the steam pressure with the pressure sensor when sensing the depression of the opening / closing button and calculating the coffee extraction amount. Since the steam pressure varies with the degree of heating, the coffee extractor can estimate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measuring the steam pressure and calculate the coffee extract according to the changing steam pressu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하우징                      11: 배출구
12: 증기 마개                   13: 스프링
14: 안전밸브                    20: 브라켓
21: 커피 가루                   30: 덮개
31: 개폐 버튼                   32: 스프링
33: 바10: housing 11: outlet
 12: steam stopper 13: spring
 14: Safety valve 20: Bracket
 21: coffee powder 30: cover
 31: opening / closing button 32: spring
 33: Ba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5087AKR101721927B1 (en) | 2015-07-24 | 2015-07-24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5087AKR101721927B1 (en) | 2015-07-24 | 2015-07-24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1799A KR20170011799A (en) | 2017-02-02 | 
| KR101721927B1true KR101721927B1 (en) | 2017-04-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5087AExpired - Fee RelatedKR101721927B1 (en) | 2015-07-24 | 2015-07-24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2192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20922A1 (en) | 2001-02-01 | 2004-02-05 | Alves Helio Vieira | Microwave multiboil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coffee or similar drinks using microwave multiboiling appliances | 
| US20100077928A1 (en) | 2004-01-14 | 2010-04-01 | Cafitta System SpA | Cartridge Containing One Serving of Coffee Powder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28775A (en)* | 2010-09-15 | 2012-03-23 | 이상훈 | Using the principles mokapoteu capsule coffee-maker | 
| KR20140059530A (en) | 2012-11-08 | 2014-05-16 | 최준식 | Device and method of brewing coffee | 
| KR101497242B1 (en) | 2013-11-14 | 2015-02-27 | 김영찬 |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concentrate by high speed filteration of cold water-coffee mix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40020922A1 (en) | 2001-02-01 | 2004-02-05 | Alves Helio Vieira | Microwave multiboil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coffee or similar drinks using microwave multiboiling appliances | 
| US20100077928A1 (en) | 2004-01-14 | 2010-04-01 | Cafitta System SpA | Cartridge Containing One Serving of Coffee Powder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1799A (en) | 2017-02-0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DK3166451T3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rewed beverage | |
| DK3051986T3 (en) | brew Module | |
| US9198536B2 (en) | Drip tray for beverages dispenser | |
| DK2904951T3 (en) | System for preparing a brewing product | |
| DK1295553T3 (en) | System for transferring individual coffee packages from a container to the brewing chamber of an express coffee maker machine | |
| AU2006225869A1 (en) | Apparatus for brewing unintended or premature release of liquid in a beverage brew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 |
| KR101939511B1 (en) | Mating structure of liquid extraction piece and test tube assembly | |
| CA2266065A1 (en) | Brewing appliance having a tower with a water reservoir and brewing basket and an adjacently positioned pitcher receptacle | |
| KR101721927B1 (en) | Coffee extracting apparatus | |
| RU2012119477A (en) | COFFEE BREWER | |
| EP3841937A1 (en) | Coffee machine and valve arrangement suitable for use in a coffee machine | |
| TWI403437B (en) | ||
| NL8100472A (en) | DONATION. | |
| EP2988053A1 (en) | Condensate drain for use in a compressed air system | |
| US11684202B2 (en) | Collection tray for discharged liquid/steam of a coffee machine that incorporates said collection tray | |
| JP5533356B2 (en) | Beverage extraction dripper and beverage automatic extractor using the same | |
| US2711727A (en) | Water heating apparatus | |
| KR101499424B1 (en) | The infusing tea maker of Watertight unit | |
| JP2518016Y2 (en) | Coffee extractor for microwave oven | |
| EP3027089B1 (en) |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 US10130214B2 (en) | Thermos flask | |
| WO2019076721A1 (en) | A coffee machine with an improved filling system for the water reservoir | |
| CN208695020U (en) | A kind of protective net for constant temperature humidity chamber | |
| KR20120124210A (en) | Extraction apparatus of beverage | |
| KR100944017B1 (en) | Thermo Cup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003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