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 장치를 통해 일체화시켜 조립 및 해체 시 소요되던 시간과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는 바둑판처럼 연결된 복수개의 슬래브 폼과 상기 슬래브 폼의 하부에 마련되어 슬래브 폼을 지지하는 미들빔(멍에재)과, 상기 미들빔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을 지지하는 기둥(동바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a molding apparatus for forming a slab includes a plurality of slab foams connected like a checkerboard, a middle beam (yoke member) provided under the slab foam to support the slab foam, and a middle beam And a supporting column (bottom side).
그리고 상호 인접한 상기 슬래브 폼 간은 볼트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밀착 구성된다.The slab foam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rough a normal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이러한 종래 구조의 슬래브 거푸집 장치는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미들빔을 올려놓고, 상기 미들빔과 미들빔 사이에는 복수의 슬래브 폼을 안치시킨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되면 상기 슬래브 폼, 미들빔 그리고 기둥을 제거하도록 한다.In the conventional slab formwork apparatus, a middle beam is placed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a plurality of slab foams are placed between the middle beam and the middle beam, and then concrete is laid. When the laid concrete is cured, Remove the foam, middle beam and column.
이처럼 종래 슬래브 거푸집 장치의 경우 그 구조는 간단하지만 바둑판 식으로 배열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량의 슬래브 폼과, 슬래브 폼마다 각각 미들빔 및 기둥이 연결되어야하므로 인해 조립 과정은 물론 해체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기둥이 조밀하게 배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시공면의 하부 공간은 협소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slab formers have a simple structure but are arranged in a tiled pattern. Therefore, since a large amount of slab foam and a middle beam and a column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to each slab foam,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he pillar must be arranged densely as well as the required space, and thus the lower space of the construction surface must be narrowed.
특히 각각의 슬래브 폼의 상단면은 그 높이를 서로 일치시켜야 슬래브 시공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둥의 높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높이를 일치하여도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슬래브 폼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어 시공면이 불규칙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Particularly, since the upp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slab foams have to be matched in height to each other, the slab installation surface is flat, so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adjust the height of each column. Even when the height of the slab foam is matched, There is a fear that the stepped surface may become irregular.
또한 슬래브 거푸집 장치의 해체 시에는 기둥 및 미들빔을 제거한 후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슬래브 폼을 일시에 바닥에 떨어뜨리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해체 과정에서 현장 내 큰 소음을 발생시켜 공사 현장 내는 물론 공사 현장 주변에도 피해를 주는 등 빈번하게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t the time of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a plurality of slab form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column and the middle beam are removed, are temporarily dropped on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aints are frequently raised, such as damaging the worksit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sit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을 구성하는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 장치를 통해 일체화시켜 조립 및 해체 시 소요되던 시간과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workpiece by integrating a work, a yok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using the same.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시공 대상 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호리빔(Hory Beam); 상기 호리빔의 상부에 안치되는 하나 이상의 판부재; 상기 호리빔의 배치 방향을 따라 지지플레이트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각관; 상기 각관의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평행하게 연결되어 각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하는 직립형 서포트; 및 상기 판부재 및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able for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bar and a support plate having bent parts bent downwardly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A plurality of Hory Beams disposed along; At least one plate member positioned on top of the hori- ze beam; A pair of angled tube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ori- b beam; At least two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tubes to support the tubes from the ground; And a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late member and the support plate to the upright support.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직립형 서포트는, 상부에 상기 각관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헤드부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길이조절 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upright support may include a head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wer end of each tube on its upper portion,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may be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직립형 서포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형 서포트 간을 연결 및 고정하는 보강 트러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may further comprise a reinforcing truss membe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upright support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right support.
하나의 예로써, 상기 보강 트러스 부재 중 상기 호리빔의 지지바와 평행하게 설치된 보강 트러스 부재와 상기 호리빔의 하부를 연결하는 보조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for connecting a reinforcing truss member provided in parallel to the support bar of the hori- ze beam,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ri- ze beam.
하나의 예로써, 상기 호리빔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결합된 트러스 부재 및 상기 지지바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장시키도록 하는 간격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hori-beam may further include a truss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a gap adjusting means for extending the support plate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하나의 예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안치 공간을 상기 판부재와 공유하면서 상기 판부재의 끝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 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ide plate member arranged to extend outward in parallel from an end of the plate member while sharing an inner space of the support plate with the plate member.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이드 판부재의 배치 방향을 따라 그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각재;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 1각재를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first plate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ide plate member; And a side support connected to the upright support and supporting the first web material.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이드 서포트는, 상부에 상기 제 1각재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를 향하도록 예각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직립형 서포트 간을 연결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ide support may include a head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lower end of the first sheet material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frame having an acute angle to face the upright support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fixtur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upright support.
하나의 예로써, 상기 판부재는, 투광성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RP)으로 구성되는 콘 판넬(con-panel)일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plate member may be a con-panel made of translucent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한편,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은, 보와 보 사이에 형성되는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상술한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직립형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공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직립형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슬래브 시공면으로부터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the above-mentioned table formwork apparatus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side-by-side in the slab installation target area formed between the beams and beams;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right support to adjust the level; Placing reinforcing bars in an upper space formed by the table formers and casting concrete; And after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right support to peel off the table form apparatus from the slab installation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동바리, 멍에재, 장선재 등이 일 장치를 통해 일체화시켜 조립 및 해체 시 소요되던 시간을 획기적으로 저감시켜 그에 따른 공기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 for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assembly and disassembly by integrating the work, the yoke, and the joist materials constituting the formwork through one device, And a reduction in labor costs
또한 별도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테이블 거푸집 장치의 이동과 높이 조절만으로 시공 준비를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잡자재의 최소화로 인해 현장 내 설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고공작업 및 낙하 위험성을 최소화, 안전한 작업으로 인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and the preparation of the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by merely adjusting the movement and height of the table formwork device, the installation noise can be minimized due to the minimization of the materials, Thereby securing safety due to safe operation.
또한 종래 바둑판 식 거푸집 폼 구조와 대비하여 넓은 동바리 간격을 제공하면서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면 하부에 대하여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하부 동바리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층고 변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 can be stably supported while providing a wide clearance gap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ile formwork structure, the work space can be secured wide against the lower part of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with the lower ti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flexible response to change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리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가 보 시공 대상 영역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테이블 거푸집 장치 간 이격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가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 부가되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w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ble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bl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rea to be applied.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acing between the table formers;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lab installation target area.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dded in Fig. 7;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slab using the table form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리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w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tabl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가 보 시공 대상 영역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table formwork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rea to be applied.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을 지지 및 분산하기 위한 복수의 호리빔(Hory Beam)(100)과, 상기 호리빔(100)의 상부에 안치되는 하나 이상의 판부재(200)와 상기 판부재(200)의 일측과 타측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각관(300)와 상기 각관(3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직립형 서포트(400) 및 상기 판부재(200)와 각관(300)를 상기 직립형 서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able form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상기 호리빔(100)은 상부에 안치되는 판부재(200)와 더불어 보 또는 슬래브 시공 시 부가되는 철근과 콘크리트에 대한 하중을 지지 및 분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써 상기 호리빔(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0) 및 상기 지지바(110)의 양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
여기서 상기 지지바(110)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구조물로 그 하부에 트러스(truss) 부재(13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유닛으로 제작됨으로써 시공 대상 영역의 설계 너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는 상기 판부재(200)가 안치될 수 있는 안치 공간을 제공하며, 그 끝단부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1)가 구성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체결부재(500)의 체결볼트(5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122)이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호리빔(100)은 보 시공 영역 또는 슬래브 시공 영역 등을 포함하여 시공 대상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The hori-
또한, 상기 호리빔(100)은 상기 지지바(110)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를 연장시키도록 하는 간격조절 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간격조절 수단(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10)에 연결되는 제 1부재(1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제 2부재(142)가 상호 슬라이딩되어 좌, 우로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부재(141)와 제 2부재(14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상기 호리빔(100)은 상기 간격조절 수단(140)을 포함함으로써 시공면의 너비에 대응하는 너비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하중의 고른 분산을 도모할 수 있어 거푸집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상기 판부재(200)는 상기 복수의 호리빔(100)이 나란히 배치됨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지지면 즉 연속되는 지지바(110)와 지지플레이트(120)의 안치 공간에 안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인 시공면을 형성하며, 시공면의 이음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일 유닛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상기 판부재(200)는 투광성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RP)으로 구성되는 콘 판넬(con-panel)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거푸집에 이용되는 불투명의 목재 판재 등은 상부의 채광 공간을 밀폐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거푸집을 시공한 후에는 하부의 작업 공간이 어두워 조명 시설을 이용하여 채광을 대신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판부재(200)를 투광성의 콘 판넬로 구성함으로써 하부가 밝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생산선 향상과 공사 현장의 안전 관리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opaque wood plate used in the mold seals the lighting space in the upper part, the work space of the lower part is usually dark after the form is installed, Is made of a translucent cone panel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maintained in a bright state, which can advantageously improve the production line and safety management on the construction site.
뿐만 아니라 콘 판넬의 경우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내수성, 가공성, 내구성, 강도, 복원력이 좋고 변형성이 적음은 물론, 전용 횟수의 증가로 결과적으로는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e panel is lightweight, easy to handle, and has additional advantages such as water resistance, workability, durability, strength, restoring power, less deformability,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lusive use, resulting in cost savings .
한편 상기 각관(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호리빔(100)의 배치 방향을 따라 호리빔(100)의 일측 및 타측에 평행하게 배치 및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0)의 절곡부(121)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공간에 나란히 배치되어 호리빔(100)과 판부재(200)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호리빔(100)으로부터 분산되어 전달되는 하중을 이하에서 설명하는 직립형 서포트(400)로 전달하도록 한다.Each of the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는 상기 각관(300)의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평행하게 연결되어 각관(3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각관(300)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는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게 함으로써 하중이 어느 하나의 직립형 서포트(400)로 집중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least two or more of the
그리고 상기 직립형 서포트는(4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각관(30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411)이 구비된 헤드부(410)가 구성되어 각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는 길이조절 수단(420)이 구성되어 층고 변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 수단(420)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판부재(200), 지지플레이트(120)의 통공(122)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의 헤드부(410)를 관통하는 체결볼트(510)와 상기 헤드부(410)의 하부에서 상기 체결볼트(51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520)를 포함하여 상기 판부재(200) 및 호리빔(100)이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에 연결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구성들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하중을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는 호리빔(100)을 상부구조물로 구성하고, 상기 호리빔(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각관(300)와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직립형 서포트(400)를 하부 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조밀하게 설치되었던 동바리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동바리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뿐만 아니라, 일 장치를 통해 각 구성들이 일체화된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조립 및 해체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 그에 따른 공기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거푸집을 형성함에 있어 잡자재의 최소화로 인해 현장 내 설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integrated through the work device,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ime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air space and reducing labor costs, and minimizing the size of the workpiece This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installation noises in the fiel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도 1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립형 서포트(400) 간을 연결 및 고정하는 보강 트러스 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직립형 서포트(400)에 가해지는 하중 내지 휨 모멘트를 분산하는 등 직립형 서포트(400)에 대한 보강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table form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truss member (not shown)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upright supports 40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또한 본 실시 예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보에 대한 거푸집 시공 시 중앙 부위에 대한 지지를 보강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트러스 부재(600) 중 상기 호리빔(100)의 지지바(11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강 트러스 부재(600)와 상기 호리빔(100)의 하부를 연결하는 보조 서포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he table form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hori-
도 6은 테이블 거푸집 장치 간 이격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가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 부가되는 고정브라켓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lab installation target area,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to be added in Fig. 7 Front view.
한편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시공 대상 영역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 간에 이격 부분(A)이 발생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시공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보 시공 영역과의 경계 부분(B)이 발생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of the
이러한 이격 부분(A) 또는 경계 부분(B)은 테이블 거푸집 장치(10)의 내부 지지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상술한 이격 부분(A) 또는 경계 부분(B)에 대하여 지지 영역이 외부로 확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당 부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The spacing portion A or the boundary portion B is a portion deviating from the internal support region of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의 안치 공간을 상기 판부재(200)와 공유하면서 상기 판부재(200)의 끝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드 판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7, the table form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hare an inner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에 부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의 배치 방향을 따라 그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각재(900) 및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와 연결되며 상기 제 1각재(900)를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트(1000)를 포함할 수 있다.A
여기서, 상기 사이드 서포트(10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제 1각재(90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01)이 구비된 헤드부(1100)와, 상기 헤드부(1100)의 하부에서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를 향하도록 예각을 갖는 프레임(1110) 및 상기 프레임(1110)의 하부와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 간을 연결하는 고정구(1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7, the
또한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와 제 1각재(900)는 목재로 구성되어 못 등을 통해 사이드 판부재(800)가 상기 제 1각재(9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뿐만 아니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격 부분(A) 또는 경계 부분(B)에 배치되는 사이드 판부재(800)의 길이가 상당할 경우 상기 사이드 서포트(1000)와 함께 추가적인 지지 및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ength of the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더하여 사이드 판부재(800)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 및 고정 수단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판부재(200)로부터 연장되는 사이드 판부재(800)의 전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사이드 판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지지 및 고정 수단으로서 제 2각재(1200)과 고정브라켓(1300)를 제시하고 있다.8 shows an additional support and securing means for the
상기 제 2각재(1200)는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사이드 판부재(800)의 전단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300)는 'L'자 형상으로 상기 제 2각재(1200)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제 2각재(1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xing
일 예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300)은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이드 판부재(800)가 위치하는 방향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보강 플랜지(1400)가 연결됨으로써 고정브라켓(1300)의 휨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제 2각재(1200)에 대한 수직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8, the fixing
이때 상기 제 2각재(1200) 역시 목재로 구성되어 못 등을 통해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가 상기 제 2각재(120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상기 판부재(200)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사이드 판부재(800)와 상기 사이드 판부재(800)의 하중을 지지를 위한 사이드 서포트(1000) 내지 고정브라켓(1300) 등을 더 구성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이격 부분(A)이나 경계 부분(B) 등이 발생하는 경우 즉 테이블 거푸집 장치(10)의 지지 영역이 외부로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적용됨에 있어 그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able formwor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able form apparatu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9 will be described.
먼저,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는 대차 장비 또는 리프팅 장비를 이용하여 보와 보 사이에 형성되는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First, the
이후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를 상기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Then, step S100 of arranging at least one of the
그리고 각각의 직립형 서포트(400)의 길이조절수단(420)을 이용하여 시공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200)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시공면의 수평을 조정하게 된다.Then,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urface is adjusted us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420 of each upright support 400 (S200), thereby finally adjusting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surface.
시공면의 수평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공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After the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installation surface is completed, a step S300 of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upper space formed by the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직립형 서포트(400)의 길이조절수단(420)을 이용하여 테이블 거푸집 장치(10)의 높이를 낮게 조절함으로써 슬래브 시공면으로부터 테이블 거푸집 장치(10)를 박리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curing process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he height of the
이와 같은 과정은 하나의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대한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차순위의 슬래브 시공 대상 영역에 대한 시공 방법 역시 상기 테이블 거푸집 장치를 해당 시공 대상 영역으로 이동 한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cess describes a process for one slab installation target area,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lab installation target area of the next order can also be performed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fter moving the table molding device to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target area hav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테이블 거푸집 장치
100 : 호리빔 200 : 판부재
300 : 각관 400 : 직립형 서포트
500 : 체결부재 600 : 보강 트러스 부재
700 : 보조 서포트 800 : 사이드 판부재
900 : 제 1각재 1000 : 사이드 서포트
1200 : 제 2각재 1300 : 고정브라켓
1400 : 플랜지10: Table formwork
100: Horibe beam 200: Plate member
300: Each pipe 400: Upright support
500: fastening member 600: reinforcing truss member
700: auxiliary support 800: side plate member
900: First sheet material 1000: Side support
1200: Second plate material 1300: Fixing bracket
1400: Flang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39467AKR101702957B1 (en) | 2016-03-31 | 2016-03-31 | Tabl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us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39467AKR101702957B1 (en) | 2016-03-31 | 2016-03-31 | Tabl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02957B1true KR101702957B1 (en) | 2017-02-2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39467AActiveKR101702957B1 (en) | 2016-03-31 | 2016-03-31 | Tabl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us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0295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30218A (en)* | 2021-07-05 | 2021-10-22 | 李新华 | Floor slab framework, floor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20003755A (en)* | 2020-07-02 | 2022-01-11 |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 Support integrated waffle form system for waffl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CN118933403A (en)* | 2024-07-29 | 2024-11-12 |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 A truss-type disc buckle crossbar assembly and use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76018B1 (en)* | 1996-07-11 | 1999-04-01 | 공용조 | Slab formwork support device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formwork using same |
| KR100788742B1 (en)* | 2007-03-15 | 2008-01-02 | (주) 콘스텍 |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to finish narrow space |
| KR101042382B1 (en) | 2008-01-28 | 2011-06-17 | 삼목정공주식회사 | Slab foam device |
| KR101322839B1 (en)* | 2012-03-08 | 2013-10-29 |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am provided in system support |
| KR101388823B1 (en)* | 2012-07-12 | 2014-04-23 |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 Form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76018B1 (en)* | 1996-07-11 | 1999-04-01 | 공용조 | Slab formwork support device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formwork using same |
| KR100788742B1 (en)* | 2007-03-15 | 2008-01-02 | (주) 콘스텍 |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to finish narrow space |
| KR101042382B1 (en) | 2008-01-28 | 2011-06-17 | 삼목정공주식회사 | Slab foam device |
| KR101322839B1 (en)* | 2012-03-08 | 2013-10-29 |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 Structure for supporting a beam provided in system support |
| KR101388823B1 (en)* | 2012-07-12 | 2014-04-23 |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 Form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03755A (en)* | 2020-07-02 | 2022-01-11 | 주식회사 반석구조엔지니어링 | Support integrated waffle form system for waffl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2427444B1 (en)* | 2020-07-02 | 2022-08-01 | 주식회사 비에스티엔지니어링 | Support integrated waffle form system for waffl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CN113530218A (en)* | 2021-07-05 | 2021-10-22 | 李新华 | Floor slab framework, floor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18933403A (en)* | 2024-07-29 | 2024-11-12 |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 A truss-type disc buckle crossbar assembly and use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43636B1 (en) |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using form-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 KR102143637B1 (en) | Large concrete mold for crossbeam and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rossbeam and slab using this same | |
| CN102472050B (en) | Sheet formwork system | |
| JP2019526004A (en) | Precast concrete formwork, floor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101941942B1 (en) | Integrated form structure for constructing cantilever slab and protective wall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702957B1 (en) | Table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using the same | |
| KR20190008054A (en) | An assembly type supporting beam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 JP6557497B2 (en) | Method for producing precast concrete member | |
| KR101889644B1 (en) | Framework for beam bottom | |
| KR101451877B1 (en) | Execution structure for concrete slab | |
| JP6860167B2 (en) | How to build Box Culvert and Box Culvert | |
| KR101546827B1 (en) |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658954B1 (en) | Light weight lattice shape-retaining double bottom structure of the floor | |
| KR100891347B1 (en)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
| KR101950568B1 (en) | slab mold system | |
| KR20170022733A (en) | Struct connect unit | |
| JP2018178693A (en) | Cross-shaped device for raising the steel bar and indicating the level of floor slab thickness or wall thickness | |
| KR101215384B1 (en) | Flying table form | |
| KR101947431B1 (en) | Slab panel system | |
| KR102255700B1 (en) | Truss footboard table apparatus | |
| KR101413725B1 (en) | Supporting apparatus fo girder pannel | |
| KR100599059B1 (en) | Slab formwork installation device for building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 KR100736380B1 (en) | Truss formwork | |
| KR100402030B1 (en) | Concrete form for src slim floor | |
| KR100655505B1 (en) | Assembly structure of prefabricated formwork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603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60401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60331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60704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609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60704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609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60713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20161128 Comment text: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PN23011R01D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70125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161014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60929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160713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7013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7020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12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724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125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110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