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640097B1 - 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097B1
KR101640097B1KR1020090072070AKR20090072070AKR101640097B1KR 101640097 B1KR101640097 B1KR 101640097B1KR 1020090072070 AKR1020090072070 AKR 1020090072070AKR 20090072070 AKR20090072070 AKR 20090072070AKR 101640097 B1KR101640097 B1KR 101640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device controller
selection uni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0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4721A (en
Inventor
곽중영
방익종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filedCritical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070ApriorityCriticalpatent/KR101640097B1/en
Publication of KR2011001472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1001472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097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640097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캔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에 별도의 식별자를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각각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상대 단자가 고정되고, 서로 결합하여 상기 단자와 상기 상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6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캔 인터페이스부(63)와;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70)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에서 수신한 캔 메세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67)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40) 또는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7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ID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선택된 ID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로 제공하는 ID 선택부(43 또는 6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캔 통신 디바이스에 모두 장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조립 작업자의 업무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assigning an identifier to each device constituting a CAN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onnector (40) and a second connector (60) each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mating terminals fixed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s and the mating terminal A connector assembly (60),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60) is provided with a can interface (6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n messages; A device controller 67 for controlling a device 70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50 according to data contained in a can message received by the can interface unit 63; Or the ID of the device 70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50 is inputted to the second connector 60 from the user and the selected I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evice controller 67 A portion 43 or 64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nector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assembly worker by providing the connector assembly which can be mounted in all of the can communication device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CAN(Controller Area Network), 커넥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nnector, ECU (Electronic Control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캔 통신 디바이스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

본 발명은 캔 통신 디바이스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디바이스에 별도의 식별자를 부여해줄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for a CAN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for providing a separate identifier to each device constituting a CAN communication network.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은 차량 내의 통신 버스(Bus) 표준 방식으로서, 컨트롤러들과 디바이스들이 호스트 컴퓨터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고안된 통신 방식이다.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bus standard system in a vehicle, and is a communication system designed so that controllers and device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a host computer.

최근에는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제어 유닛(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전자 제어 유닛 간의 정보 공유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늘어나는 센서들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여러 전자 제어 유닛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노이즈가 많은 차량 환경에서도 에러가 적은 안정적인 통신이 요구되는 등 캔 통신을 활용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캔 버스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수 또한 증가하였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provided in automobiles has increased, necessity of sharing information among electronic control units has increased, and it is necessary to jointly use data sens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sensors in various electronic control units A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can communication such as a stable communication requiring less error even in a noisy vehicle environment.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CAN bus also increased.

이에 따라 다수의 디바이스를 캔 버스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캔 통신을 지원하는 캔 인터페이스(CAN Interface)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가 함께 구성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소위 스마트 커넥터(Smart Connector)는 차량의 다양한 전자 유닛 각각에 연결되어 통신을 중계하고 차량을 제어한다.As a result, a CAN interface that supports can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evice have been combined with the connector assembly used to connect a plurality of devices to the CAN bus. The so-called Smart Connector is connected to each of various electronic units of the vehicle to relay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the vehicle.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커넥터들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커넥터 내의 디바이스 컨트롤러들이 스마트 커넥터가 연결되는 디바이스가 무엇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좌측 사이드 미러와 우측 사이드 미러에 연결되는 스마트 커넥터들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야만 하였다.However, such smart connectors must perform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mounting positions. To do so, the device controllers in the smart connector must be able to recognize the device to which the smart connector is connected. Therefore, devices that perform almost the same function, for example, smart connectors connected to the left side mirror and the right side mirror, ha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또한 이와 같이 기능적으로 다르게 제작된 스마트 커넥터들은 차량 장착시에도 작업자에게 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외형적으로도 다르게 제작되어야 했다. 따라서 기존에는 거의 동일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 커넥터들도 그 장착 위치에 따라 색상, 소재, 크기, 형상 등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작업자 역시 이와 같이 다른 형상의 커넥터를 각각 해당 위치에 맞게 장착하여야 했다.In addition, the smart connectors, which were manufactured differently in this manner, had to be manufactured differently in order to avoid confusion to the operator even when the vehicle was mounted. Accordingly, in the past, smart connectors that perform almost the same control functions were manufactured in different colors, materials, sizes, shap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mounting positions, and the operator had to mount the connectors of different shapes .

이와 같이 기존의 스마트 커넥터들은 장착 위치를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위치 및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세분화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isting smart connectors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in order to allow the control application to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 position and the device type in advance by setting the mounting position in the controller, the manufacturing process must be segmented, There were disadvantages.

또한 기존의 스마트 커넥터들은 그 외형 또한 달리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 작업이 복잡하고, 차량 장착시에도 작업자는 디바이스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커넥터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번거로우며, 작업자에게 고도의 주의를 요한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smart connectors must be manufactured differently, the prod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operator has to connect different kinds of connectors according to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device even when the vehicle is mounted, so that the work process is troublesome, There was a disadvantage of requiring a high degree of att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캔 통신 디바이스에 모두 장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be mounted on a can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a similar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하게 제조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type and position of a device on which a connector assembly is mounted in a connector assembly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각각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상대 단자가 고정되고, 서로 결합하여 상기 단자와 상기 상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는, 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캔 메세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디바이스에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입력받아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ID 선택부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ttain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mating terminals,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c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n message; And a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data contained in a can message received by the can interface unit, wherein: the first connector or 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unique identifier An ID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n ID for identifying the device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ID to the device controller.

이때 상기 ID 선택부는, 상기 제1커넥터에 구비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ID 선택부에 입력된 ID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ID 수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D selecto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n ID receiving unit for sensing ID information input to the ID selec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to the device controller.

또한 상기 ID 선택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구비되고; 상기 ID 선택부에 입력된 ID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달될 수도 있다.The ID selecto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The ID information input to the ID selecting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ID 선택부는, 2 이상의 전기적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The ID selection unit may include a switch selectively connected to two or more electrical contacts.

여기서 상기 ID 선택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2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ID 수신부는, 상기 돌기의 돌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rein the ID selection unit includes two or more protrusions that selectivel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The ID receiving unit may be formed as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rotrusion protrudes.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ID 선택부를 통해 입력된 ID 정보에 따라 다른 제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한다.The device controller performs another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D selection uni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캔 통신 디바이스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connector assembly for a ca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즉,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캔 통신 디바이스에 모두 장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조립 작업자의 업무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by providing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be mounted to all of the can communication device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nector can be simplified and the work efficiency of the assembly work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캔 통신 디바이스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동일하게 제조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디바이스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가능함으로써, 범용으로 사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for a can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type and a position of a device mounted with a connector assembly in a connector assembly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thereby providing a universal connector assembly.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캔 통신 디바이스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for a ca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캔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nd a can network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한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네트워크는 엔진, 자동변속기, ABS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고 한다)(10)와, 상기 ECU(10)와 각 디바이스들이 서로 캔 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통로가 되는 캔 버스(30)와, 자동차 내부에서 서로 통신하여 차량의 구동 및 상태를 조절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70: 70a 내지 7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network us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control device (electronic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tates of an engine, an automatic transmission, ACAN bus 30 serving as a connection passage for allowing theECU 10 and each of the devi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devices 70 (70a to 70d) for adjusting the state.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들(70)은 각각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의해 상기 캔 버스(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ECU(10)와 상기 디바이스들(70)은 서로 신호를 송수신한다.And the devices 70 are connected to thecan bus 30 by aconnector assembly 50, respectively. With this structure, theECU 10 and the devices 70 transmit / receive signals to /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캔 버스(30)를 통해 통신하는 복수의 디바이스(70)들은 예를 들어, 거울 조정장치, 비 탐지, 썬루프, 기상 관리 등과 같은 편의 기능 또는 고급 기능에 관련된 전장품들이나, 파워 윈도우, 좌석 조절장치, 계기 정보의 전송을 담당하는 전장품들, 파워 트레인, 안정성 제어, 엔진 관리, 변속과 같은 실시간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담당하는 전장품들이 포함된다.A plurality of devices 70 communicating through thecan bus 30 may be used for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onvenience functions or advanced functions such as, for example, a mirror control device, a non-detection device, a sunroof, Control devices, electric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transmission of meter information, and electric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real-time control applications such as powertrain, stability control, engine management, and shifting.

그리고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들은 상기 디바이스(70)들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역할 뿐 아니라, 각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소위, 스마트 커넥터(Smart Connector)로 구비된다.Theconnector assemblies 50 are provided as a so-called smart connector includ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as well as connecting the devices 70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하에서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50)의 구성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connector assembly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FIG.

한편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2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50)는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동 가능하게 하며, 또한 통신 연결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교환 및 명령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2A, theconnector assembly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first connector 40 and asecond connector 60. Theconnector assembly 50 electrically connects and drives a device connected to theconnector assembly 50 and enables communication and data exchange with other devices and command transmission, As shown in FIG.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의 상기 제1커넥터(40) 및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각각 단자연결부(41, 61)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연결부(41, 61)는 상기 캔 버스(30)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와 상기 디바이스(70)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단자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커넥터(40)와 상기 제2커넥터(60)가 물리적으로 결합하면, 상기 단자연결부(41, 61)에 고정된 각각의 단자들이 서로 연결된다.To this end, thefirst connector 40 and thesecond connector 60 of theconnector assembly 50 are provided withterminal connection portions 41 and 61, respectively. Theterminal connection portions 41 and 61 are formed by fixing a terminal provided at an end of a wire connected to thecan bus 30 and a terminal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a wire connected to the device 70, And thesecond connector 60 are physically coupled, the respective terminals fixed to theterminal connection portions 41 and 6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40)에는 ID 선택부(43)가 구비된다. 상기 ID 선택부(43)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가 연결되는 디바이스(70)에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측 도어와 보조석측 도어에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 운전자측에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보조석측에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서로 다른 ID를 부여하여 각각의 도어를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an ID selector (43). TheID selecting unit 43 is an input unit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device 70 to which theconnector assembly 50 is connected. For example, theID selecting unit 43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type When the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different IDs are assigned to connector assemblies installed on the driver's side and connector assemblies provided on the assistant seats so that each door can be recognized and controlled.

여기서 상기 ID는 캔 메세지 내에 포함되는 중재 ID(Arbitration ID)와는 다른 개념으로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의미한다. 즉 상기 ID는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좌측 방향등 인지, 우측 방향등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다.Here, the ID is a concept different from an arbitration ID included in a can message, and is an identifier indicating a type of a device connected to theconnector assembly 50. That is, the ID is an identifier indicating whether the device connected to theconnector assembly 50 is the left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or the like, for example.

상기 ID 선택부(43)는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와 같은 단순한 구성에 의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후 설명하는 ID 수신부(65)로 선택된 ID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에 의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TheID selecting unit 43 may have a simple configuration such as a toggle switch. However, theID selecting unit 43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by a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selected by theID receiving unit 65 Anything can be.

한편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자연결부(61)와 함께 상기 단자연결부(61)에서 연결된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로부터 수신되는 캔 메세지(CAN Message), 즉 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성되어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해석하는 캔 인터페이스부(63)가 구비된다.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는 캔 메세지를 수신하면, 이를 캔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해석하여 추후 설명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67)로 전달한다. 또한 디바이스 컨트롤러(67)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캔 메세지를 생성하는 역할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second connector 60 is provided with aterminal connection part 61 as described above and a can message (CAN message) received from a part of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theterminal connection part 61, And acan interface unit 63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signal. Upon receiving the can message, thecan interface unit 63 interprets the can message according to the c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fers it to thedevice controller 67 to be described later. It also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by thedevice controller 67 according to the can communication protocol to generate a can message.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60)에는 ID 수신부(65)가 함께 구비되는데, 상기 ID 수신부(65)는 상기 제1커넥터(40)와 상기 제2커넥터(60)가 서로 결합하면, 상기 제1커넥터(40)의 상기 ID 선택부(43)에서 선택된 ID 정보를 감지하여 디바이스 컨트롤러(67)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가 해당 디바이스에 할당된 ID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first connector 40 and thesecond connector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first connector 40 and thesecond connecto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ID receiving unit 65. [ Detects the I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ID selecting unit (43) of the controller (40), and transmits the ID information to the device controller (67). So that thedevice controller 67 can recognize the ID assigned to the device.

또한 상기 제2커넥터(67)에는 상기 디바이스(70)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67)가 구비되는데,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캔 버스(30)로부터 상기 단자연결부(41, 61)을 통해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로 전달된 캔 메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캔 메세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7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70)로부터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타 디바이스로의 명령이 발생하면 이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는 해당 데이터나 명령을 다시 캔 메세지로 작성하여 상기 캔 버스(30)로 송신한다.Thedevice controller 67 controls the device 70 in thesecond connector 67. Thedevice controller 67 controls theterminal connectors 41 and 61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device 70 according to the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can message. When data is generated from the device 70 or an instruction to another device is generate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can interface unit 63. Accordingly, thecan interface unit 63 rewrites the corresponding data or command into a ca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can bus 30.

이때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상기 ID 수신부(65)로부터 수신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70)에 부여된 ID를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상기 ID 선택부(43)에 입력된 ID 정보가 어떤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것인지 인식 가능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예를 들어 상기 ID 선택부(43)가 토글 스위치 형식으로 구비되고, 스위치 On 위치는 좌측 방향등을 나타내고 스위치 Off 위치는 우측 방향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다.At this time, thedevice controller 67 recognizes the ID assigned to the device 70 using the I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ID receiver 65. Here, thedevice controller 67 is pre-programmed so as to be able to recognize which device the ID information input to theID selecting unit 43 is to identify. For example, theID selection unit 4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ggle switch, and the switch On position is preliminarily programmed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s indicating the left direction or the like, and the switch-off position indicating the right direction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ID 정보에 의해 인식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Thedevice controller 67 performs a control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That is, thedevice controller 67 is programmed in advance so as to be able to control a plurality of devices,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recognized by the ID information.

나아가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상기 ID 정보에 따라, 수신되는 캔 메세지 중 어떤 메세지를 해당 디바이스(70)에서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캔 메세지를 처리한다.Further, thedevice controller 67 determines whether a message of the received can message is to be used by the device 70 according to the ID information, and processes the can message.

따라서 차량 조립시 작업자는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여러 디바이스에 장착하면서 상기 ID 선택부(43)만 간단하게 조작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제조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운전자측 도어와 보조석측 도어 모두에 대해 구분없이 사용하면서 상기 ID 선택부(43)를 통해 장착 위치를 표시하면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simply operate theID selecting unit 43 while mounting the same type of connector assembly to various devices. For example, a connector assembly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may be used for both the driver's side door and the assistant's side door, and the mounting posi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ID selection unit 43.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5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미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Theconnector assembly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B. Th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50)도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60)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ID 선택부(64)가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40)에 구비된 반면에,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60)에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2커넥터(60) 내의 ID 수신부의 구성이 불필요하다.Theconnector assembly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first connector 40 and asecond connector 60. However, theID selecting unit 64 is provided in thefirst connector 40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s formed in thesecond connector 60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ID receiving unit in thesecond connector 60 is unnecessary.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50)의 동작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우선 캔 버스(30)에서 캔 메세지가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연결부(41)에 연결된 와 이어를 통해 전달되면 상기 제1커넥터의 단자연결부(41)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2커넥터의 단자연결부(61)로 전달되고, 이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가 수신한다. 캔 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는 이를 해석하여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로 전송하고,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상기 ID 선택부(43 또는 64)에서 선택된 ID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캔 메세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수신된 캔 메세지가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에 연결된 디바이스(70)에서 처리해야할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명령이 수행되도록 디바이스(70)를 동작시킨다.When the can message in thecan bus 30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r connected to theterminal connection part 41 of the first connector, the operation of theconnector assembly 50 according to the above- To theterminal connection portion 61 of the second connector physically connected to theterminal connection portion 41 of thecan interface unit 63, and the can interfaceunit 63 receives the connection. The can interfaceunit 63 having received the can message interprets the can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device controller 67. Thedevice controller 67 receives the can message using the ID information selected by theID selecting unit 43 or 64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ata included in the canned message. When the received can message includes a command to be processed by the device 70 connected to thedevice controller 67, the device 70 operates the command so that the command is executed.

한편,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연결된 디바이스(70)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로 전달하여 해당 명령이나 데이터가 포함된 캔 메세지를 작성하도록 한다. 작성된 캔 메세지는 다시 상기 단자연결부(41, 61)를 통해 캔 버스(30)로 전송되고, 이는 다시 타 디바이스들로 전달된다.When thedevice controller 67 receives a command or data from the connected device 70, thedevice controller 67 transmits the command or data to thecan interface unit 63 to create a can message including the command or data. The created can message is again transmitted to thecan bus 30 through theterminal connection portions 41 and 61, and then transmitted to other devices.

여기서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63)와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can interfaceunit 63 and thedevice controller 67 may be constituted by one integrated circuit.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50)의 일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One embodiment of such aconnector assembly 5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50)는 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connector assembly 50 includes afirst connector 40 and asecond connector 6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제1커넥터(40)에는 상기 제1커넥터(4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커 넥터하우징(42)이 구비된다.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42)에는 상기 제2커넥터(60)와 마주보는 면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단자연결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연결부(4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 수용실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자 수용실에는 전기 와이어에 단부를 형성하는 금속 단자가 각각 수용된다.At this time, thefirst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afirst connector housing 42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first connector 40. Thefirst connector housing 42 is formed with aterminal connection portion 41 as described above on a surface facing thesecond connector 60.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s are formed in theterminal connecting portion 41, and each of the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s receives a metal terminal forming an end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한편 상기 제2커넥터(60)의 제2커넥터하우징(62) 내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40)와 마주보는 면이 개구된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 내부에는 다수의 단자가 고정되며, 상기 제1커넥터(40)가 상기 결합공간 내부로 결합되면, 다수의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실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40)의 단자 수용실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Meanwhile, asecond connector housing 62 of thesecond connector 60 is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having a surface facing thefirst connector 40,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fixed within the coupling space. When thefirst connector 40 is coupled into the engagement space,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terminals fixed 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of thefirst connector 40 .

상기 제1커넥터(40)와 상기 제2커넥터(60)의 결합력을 높이고,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40)의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레버(46)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64)의 상면에는 걸이공(64)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first connector 40 and thesecond connector 60 and maintain the engaged state, afastening lever 4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first connector 40, A hookinghole 6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econd connector 64.

또한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42)의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ID 선택부(43)가 형성된다. 하나의 예로 상기 ID 선택부(43)는 복수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42)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ID 선택부(43)에 포함되는 돌기들은 각각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42)의 외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될 수 있다.AnID selection unit 4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first connector housing 42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ID selecting unit 4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first connector housing 42. The protrusions included in theID selection portion 43 are inserted into thefirst connector housing 42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2)의 상기 제1커넥터(40)를 마주보는 외면에는, 상기 ID 선택부(43)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ID 선택부(43)의 각각의 돌기들의 돌출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ID 수신부(65)가 구비되며, 상기 ID 수신부(65)에서는 돌출된 돌기의 수 및 위치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ID를 검출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second connector housing 62 facing thefirst connector 40, a protrusion of each of the protrusions of theID selecting portion 43 is provid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ID selecting portion 43 TheID receiving unit 65 detects the number of protruded protrusions and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s and detects the ID selected by the user.

상기 ID 선택부(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돌기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ID의 수는 28개, 즉 256개가 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256개의 디바이스를 동일한 종류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를 구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When eight ID protrusions are provided as shown in theID selection unit 43, the number of IDs that can be represented using the ID IDs is 28, that is, 256 IDs. Thus, theoretically, 256 devic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same type of connector assembly.

즉, 사용자는 상기 ID 선택부(43)의 돌기들을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원하는 ID가 선택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상단의 세 개의 돌기만 돌출된 상태를 디바이스 컨트롤러(67)가 광도 센서의 ID를 선택한 것으로 인식한다면, 해당 커넥터 어셈블리(50)의 디바이스 컨트롤러(67)는 광도 센서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user selectively manipulates the protrusions of theID selecting unit 43 to select a desired ID. For example, if thedevice controller 67 recognizes that the upper three protrusions are protruded as shown in the figure, thedevice controller 67 of theconnector assembly 50 determines that the light sensor The application will run.

그러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ID 선택부(43)는 실시예에 따라 제2커넥터(60)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ID selecting unit 4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second connector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r may be form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캔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n network using the same.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FIG. 2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FIG. 2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ECU30: 캔 버스10: ECU 30: CAN bus

50: 커넥터 어셈블리70: 캔 통신 디바이스50: connector assembly 70: can communication device

40: 제1커넥터 41: 단자연결부40: first connector 41: terminal connection part

43, 64: ID 선택부60: 제2커넥터43, 64: ID selection unit 60: second connector

61: 단자연결부63: 캔 인터페이스부61: terminal connection part 63: can interface part

65: ID 수신부67: 디바이스 컨트롤러65ID receiver 67 Device controller

Claims (6)

Translated fromKorean
내부에 각각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상대 단자가 고정되고, 서로 결합하여 상기 단자와 상기 상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And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each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mating terminals fixed therein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and the mating terminal,상기 제2커넥터에는,In the second connector,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캔 인터페이스부와;A c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n messages;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를 상기 캔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캔 메세지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가 구비되고:And a device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data contained in a can message received by the can interface unit,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에는,In the first connector or the second connector,상기 디바이스에 각각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입력받아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ID 선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an ID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n ID for identifying the device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the ID to the device controller as input means for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of the devices.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ID 선택부는,Wherein the ID selection unit상기 제1커넥터에 구비되고;A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상기 제2커넥터에는,In the second connector,상기 ID 선택부에 입력된 ID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 달하는 ID 수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Further comprising an ID receiver for sensing ID information input to the ID selector and transmitting the ID information to the device controller.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ID 선택부는,Wherein the ID selection unit상기 제2커넥터에 구비되고;A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상기 ID 선택부에 입력된 ID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the ID information input to the ID sel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controller.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ID 선택부는,Wherein the ID selection unit2 이상의 전기적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a switch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at least two electrical contacts.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상기 ID 선택부는,Wherein the ID selection unit상기 제1커넥터의 외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2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two or more projections selectively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상기 ID 수신부는,Wherein the ID receiver comprises:상기 돌기의 돌출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Wherein the protrusion is formed as a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trusion is protruding or not.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상기 디바이스 컨트롤러는,Wherein the device controller comprises:상기 ID 선택부를 통해 입력된 ID 정보에 따라 다른 제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nd performs another contro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I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D selection unit.
KR1020090072070A2009-08-052009-08-05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Expired - Fee RelatedKR101640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72070AKR101640097B1 (en)2009-08-052009-08-05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072070AKR101640097B1 (en)2009-08-052009-08-05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014721A KR20110014721A (en)2011-02-14
KR101640097B1true KR101640097B1 (en)2016-07-18

Family

ID=4377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90072070AExpired - Fee RelatedKR101640097B1 (en)2009-08-052009-08-05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6400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134595A (en)*2004-11-022006-05-25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device with control function
JP2008284943A (en)2007-05-162008-11-27Yazaki Corp Relay connector unit and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system
JP2008293747A (en)2007-05-232008-12-04Yazaki Corp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relay connector un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4956561A (en)*1988-12-271990-09-11Caterpillar Inc.Smart power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134595A (en)*2004-11-022006-05-25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device with control function
JP2008284943A (en)2007-05-162008-11-27Yazaki Corp Relay connector unit and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system
JP2008293747A (en)2007-05-232008-12-04Yazaki Corp Communication relay device and relay connect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014721A (en)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5022740B2 (en) Relay connector unit, wire harnes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N102596647B (en) Wiring Harnesses and Electronics Control Systems
US7328086B2 (en)Robotic tool coupler rapid-connect bus
US20060088044A1 (en)Node for a bus network, a bus network and a method for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EP3258652B1 (en)Local interconnect network bus architecture
EP2440994B1 (en)Vehicle communications interfa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0965074B2 (en)OBD adapter
EP3862230B1 (en)Communication system and vicarious inputting and outputting unit
JP2003162303A (en)Method and device for programming unit to be controlled
WO2017064280A1 (en)Automatic setting of identifiers for a plurality of identical electronic components in an array
US20090136293A1 (en)Two wire signal over power work tool coupling and identification
CN114039993B (en)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data connection between a main unit and at least one device unit
KR101640097B1 (en)Connector Assembly for CAN Communication Devices
US11209785B2 (en)Front adapter for connecting to a control device and automation system
US20180237102A1 (en)Adapter device for connecting a vehicle control unit to a vehicle component
EP3057836B1 (en)Vehilce communications network with self-identifying switch system for vehicle control
JP5177893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EP3041012A1 (en)Self-identifying control switch
JP3517969B2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JP2010208357A (en)O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er in o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US20070115136A1 (en)Contac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KR100389970B1 (en)An installation for k-line multy communication in car
CN221162595U (en) Vehicle base, vehicle base assembly and vehicle
CN219431638U (en)Vehicle door control equipment and vehicle
CN218670593U (en)Gear shifting control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0625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107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10712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