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발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강제 운동시키는 과정에서 3차원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 구성으로 구성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발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kle exerci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nkle exercise device that is capable of three-dimensional movement in a process of forcibly moving an ankle part of a user and has a simple structure, To an ankle training device.
일반적으로 균형은 넘어지지 않고 체중을 지지한 자세에서 움직일 수 있거나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최소의 외적저항에도 주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부동성(steadiness), 지면(floor)에서 체중을 똑같이 분배할 수 있는 대칭성 및 균형의 손실 없이 주어진 자세에서 움직일 수 있는 동적 안정성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균형은 감각, 운동, 중추신경계, 그리고 운동학적인 면에서 협응된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며, 균형 능력의 감소와 비대칭적인 자세가 일상의 동작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In general, balance refers to the ability to move or maintain a weight-bearing posture without falling, the steadiness to maintain a given posture with minimal external resistance, the ability to equally distribute weight at the floor, It contains elements of dynamic stability that can move in a given posture without loss of symmetry and balance. This balance is a complex process caused by coordinated activities in the sense, movement, central nervous system, and kinematics. Reductions in balance and asymmetric posture may limit the daily activities and increase the risk of falls have.
신체적 안정성을 위한 균형 조절에는 엉덩관절(hip joint)과 발목 관절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체 흔들림의 범위가 큰 경우에는 엉덩관절이 작용을 하고, 흔들림이 작은 경우에는 주로 발목 관절이 작용하게 된다.The hip joint and the ankle joint play an important role in balancing the physical stability. When the range of the physical shaking is large, the hip joint acts. When the shake is small, the ankle joint works mainly.
특히, 노인들의 균형조절 능력과 근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며, 균형감각의 소실은 발목 근력의 약화와 관계가 있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동적인 발목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balance control ability and strength of the elderly a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 loss of balance is related to the weakening of ankle strength, and dynamic ankle stability is remarkably decreased with age.
발목 관절은 발에서 오는 움직임과 충격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지만 구조적으로 부상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어, 발가락을 아래로 향했을 때, 역학적으로 족저굴곡(plantar flexion)시에 거골(talus bone)의 뒷부분이 경골(tibia)과 비골(fibula) 사이로 들어가게 되어 뒤쪽이 좁기 때문에 과도한 동작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 생겨 발목 손상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The ankle joint has the ability to control the movement and impact from the foot, but it is structurally susceptible to injury. For example, when the toes are pointed down, the back part of the talus bone enters between the tibia and the fibula at the time of the plantar flexion mechanically and the back is narrowed, causing excessive motion There is a space available and ankle damage often occurs.
그리고, 발목 관절은 인대 손상이 가장 흔하여 발목 관절 관련 전체 손상의 50~70% 이상이 발목인대 손상이며, 대부분이 내번염좌(inversion sprain)가 가장 큰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ankle joint is most commonly injured by ligaments, and more than 50% to 70% of the total injury to the ankle joint is caused by an ankle ligament injury, most of which is caused by an inversion sprain.
거골(talusbone)이 앞쪽으로 아탈구(subluxation) 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는 전거비 인대(anterior talofibular ligament)는 세 개의 바깥쪽 발목 인대 중에 가장 약하여, 내번(inversion), 저측굴곡(plantar flexion), 그리고 내회전(internal rotation) 자세에서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which functions to prevent the subluxation of the talusbone in the anterior direction, is the weakest of the three outer ankle ligaments, and is inversion, plantar flexion, and Damage may occur in the internal rotation posture.
또한, 발목 관절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력과 운동학적인 문제로 기능이 약해져 낙상 등의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하여,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향후 발목 운동 기기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as the aging process progresses, the ankle joints become weaker due to muscle and kinematic problems, resulting in injury such as fall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of ankle athletic equipment will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종래 발목 운동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550897호 "발목 자극운동기구"(등록일자 : 2006.02.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탄성스프링이 전후지지봉의 좌우양단에 용접고정되고,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 각각의 하부와 상기 전후지지봉의 좌우양단 고정부는 상하케이스로 된 양측 스프링 지지케이스내에 내장되며 상기 양측 탄성스프링의 상부 양단부는 원호(圓弧)형 절곡부로 형성된 충격흡수용 완충부와, 상기 충격흡수용 완충부의 상부에 형성된 원호형 절곡부와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치형고무링이 소직경의 양단에 외삽되고 상기 소직경의 양단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본체로 된 원통형 타격봉으로 구성된 것이다.Background Art [0002] Prior art related to an ankle exercise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50897 entitled "an ankle stimulation exercise apparatus" (Registered on Mar. 02, 2006), and a zigzag type elastic spring is welded to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 rods And both the lower portions of the both side elastic springs and the left and right both end fixing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 rods are housed in both side spring support cases formed as upper and lower cases and both upper ends of the both side elastic springs are formed as circular arc- And a toothed rubber ring having an outer diameter coinciding with the arcuate bend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ing cushion portion is extruded at both ends of the small diameter and has a cylindrical outer diameter larger than both ends of the small diameter, .
그런데, 종래의 발목 운동 기기는 2-D(2차원)로 관절가동범위 측면에서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내전(adduction) 및 외전(abduction) 운동만 가능케 하여 발목 관절의 인대 손상이 빈번한 3-D(3차원)에서 일어나는 내번(inversion)과 외번(eversion) 운동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nkle exercising apparatus is capable of flexion, extension, adduction, and abduction in terms of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by 2-D (two-dimensional) The inversion and eversion movements that occur in frequent 3-D (3-D) are an impossible problem.
예를 들어, 종래의 발목 운동 기기는 운동 방향이 앞뒤 혹은 좌우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운동학적 기능개선(근력 및 유연성 증대)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환자에 적합한 회전각도, 저항(반력), 운동방법, 운동량, 운동시간 등을 지정하고 운동결과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conventional ankle exercise devices have difficulty in improving the kinematic function (increase in muscle strength and flexibility) because the exercise direction is only in the front and back or the left and right, and the rotation angle, resistance (reaction force) The exercise amount, the exercise time and the like can be specified, and the exercise result can not be automatically recorded.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목 운동기구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0633호 "발목 운동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발목 운동 장치"(공개일자 : 2014.09.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목의 3차원 운동이 가능한 발목 운동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목 운동 어셈블리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회전운동, 팬 운동, 틸트 운동을 각각 유도하는 운동 유도부; 및 상기 운동 유도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유도부는 상기 회전 운동, 상기 팬 운동, 상기 틸트 운동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3차원 운동을 유도하는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an ankle exercise device for improving thi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10633 entitled " Ankle athletic assembly and ankle exercise device using same ", published on Apr. 17, An ankle motion assembly capable of three-dimensional motion of a user's ankle, the assembly comprising: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entire ankle motion assembly; A motion inducing unit disposed on the base unit for guiding rotational motion, fan motion, and tilt motion of the user's ankle; And a footrest portion disposed on the motion inducing portion and on which the foot of the user is located, wherein the motion inducing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otational motion, a pan motion, and a tilt motion, And to induce movement.
상기한 3차원 운동을 유도하는 운동 유도부의 구성이 복잡하고 이 복잡한 구성은 발목 운동기구를 제조하는 제조비용의 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tion inducing part for inducing the three-dimensional motion is complicated and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i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manufacturing the ankle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양 발목 부위를 강제 운동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단순 구조로 구성되어 발목 운동기구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요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대해 3차원적인 움직임을 부여하여 강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발목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kle lift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forcibly moving both ankle parts of a us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kle work implement improved in structure so that a three-dimensional motion is given to an ankle part of a user as a result of being able to swing and rotate, thereby obtaining a force exercise effe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탑재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구동휠과,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이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휠과 연동 회전되는 제2구동휠과, 상기 제1,2구동휠의 상측에 편심되도록 축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고 요동력 제공수단에 의해 요동 회전되는 제1,2요동판과, 상기 제1,2요동판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좌,우측 발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riving motor mounted on a base and drive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external power, a first driving wheel having a driving gear meshed with a motor shaft of the driving motor, A second driving wheel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gear and engaging with the driven gear and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driving wheel,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foot plate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to support the feet of the user.
상기 요동력 제공수단은 상기 제1,2요동판의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1,2요동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요동축과, 상기 요동축을 경사진 각도로 지지하는 베어링부재가 각각 내장되고 상기 제1,2구동휠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부가 상기 제1,2구동휠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가 베이스상에 고정된 고정블록에 축 지지되는 회전축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2요동판의 단부에 각각 조인트 연결되어 제1,2요동판의 요동 회전을 지지하는 제1,2로드부재를 구비한다.Wherein the torsion force providing means comprises a pivot shaft provid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and respective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and a bear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wing shaft at an inclined angle, A rotation shaft having an upper portion fit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and a lower portion fixed to a fixed block fixed on the base,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rod members are joint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rod members for supporting the swing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상기 제1,2요동판은 하부의 요동축이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swing plates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lower swing axis is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제1,2유동판의 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요동축이 경사진 각도로 피벗 결합되고 지지블록에 대한 무게중심의 상측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2요동판이 제1,2로드부재에 조인트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2구동휠의 구동 회전시 좌,우측 발판이 회전운동력과 좌,우측 이동력 및 파형의 요동 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발목 부위 근육을 자극 및 마사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ivot shaft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lates is pivotally connected at an inclined angle and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pport block, The left and right footrests impart rotational motion and left and right movement forces and swinging motion forces of the waveforms during the driving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wheels so that a three- Thereby stimulating and massaging the user's ankle muscles and stimulating the growth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동력 제공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좌,우측 발판이 평면상에서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목 운동기구가 재활 설비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nkl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2;
 4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torsional force provid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footres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quentially rotated on a plan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nkle exercise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habilitation facility.
본 발명은 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의 재활 훈련 뿐만 아니라, 생활 체육 훈련시설 등의 다양한 기구에도 적용 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발목 부위를 강제로 자극시켜 근육 단련 및 성장 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r the elderly, but also to a variety of apparatuses such as a sports facility for athletic life, as well as to stimulate the user's ankle area to assist in muscle training and growth.
본 발명에 따른 발목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 또는 베이스(110) 상에 마련되고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200)와, 구동모터(200)의 모터축(210) 기어이와 기어 맞물림 결합되도록 외주면 둘레에 구동기어(315)가 형성되는 제1구동휠(310)과, 구동기어(315)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25)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제1구동휠(310)의 회전시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제2구동휠(320)과, 제1,2구동휠(310,320)의 상측에 편심되도록 축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고 요동력 제공수단(600)에 의해 요동 회전되는 제1,2요동판(410,420)과, 상기 제1,2요동판(410,420)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는 좌,우측 발판(520,510)으로 구성된다.1 to 5, the ankle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베이스(110)는 별도의 평판 플레이트 또는 받침대로서, 본 발명의 발목 운동기구가 지면이나 노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경우 생략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베이스(110)가 구비된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Here, the
구동모터(200)는 베이스(110) 상에 마련되고 모터축(210)이 상측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며, 모터축(210)의 단부에 구동기어(315)와 치합되는 기어가 마련되어 있다.The
요동력 제공수단(600)은 제1,2요동판(410,420)의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1,2요동판(410,4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요동축(610)과, 상기 요동축(610)을 경사진 각도로 지지하는 베어링부재(625)가 각각 내장되는 지지블록(620)과, 상부가 제1,2구동휠(310,320)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가 베이스(110) 상에 고정된 고정블록(640)에 축 결합되는 회전축(630)과,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2요동판(410,420)의 단부에 각각 조인트 연결되어 제1,2요동판(410,420)의 요동 회전을 지지하는 제1,2로드부재(710,720)로 구성된다.The torsional
각각의 지지블록(620)은 상부에 제1,2요동판(410,420)의 요동축(610)이 경사진 각도로 끼워지며. 하부에 베이스(110)상에 고정된 고정블록(640)에 회전축(63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Each of the
회전축(630)은 하부가 고정블록(640)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베어링(645)에 축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또한, 제1,2요동판(410,420)은 하부에 형성된 요동축(610)이 지지블록(620)에 내장된 베어링부재(625)에 경사진 각도로 축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블록(620)이 제1,2구동휠(310,320)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각각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and
그리고 제1,2요동판(410,420)은 하부의 요동축(610)이 무게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and
더 상세하게는 각 요동축(610)은 제1,2요동판(410,420)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이에 따라 제1,2요동판(410,420)은 좌,우측 발판(520,510)의 선단과 후단이 하향 경사진 각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대하여 자연스러운 꺾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제1,2로드부재(710,720)는 일단부가 베이스(1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마련된 고정바(110A,110B)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2요동판(410,420)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테두리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and
또한, 제1,2로드부재(710,720)는 일단부와 타단부에 조인트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1,2요동판(410,420)의 요동 운동시 좌,우측 발판(520,510)의 오므림 또는 벌어짐 동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and
더 구체적으로는 제1로드부재(710)는 일단부가 베이스(110) 상의 우측에 수직으로 마련된 고정바(110A)에 조인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요동판(410)의 측면 테두리 부위에 조인트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제2로드부재(720)는 일단부가 베이스(110) 상의 좌측에 수직으로 마련된 고정바(110B)에 조인트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요동판(410)과 서로 접하는 제2요동판(420)의 측면 테두리 부위에 조인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제1,2구동휠(310,320)은 플라이휠 기능 및 구동모터(200)의 회전력을 제1,2요동판(410,42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first an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좌,우측 발판(520,510)에 사용자의 양 발이 안착되도록 한 후에 구동모터(20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모터(200)가 회전 구동되면서 모터축(210)에 마련된 기어가 기어이 맞물림 결합된 구동기어(315)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구동휠(3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어서 제1구동휠(310)의 구동기어(315)와 치합된 종동기어(325) 및 제2구동휠(320)에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1,2구동휠(310,320)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된다.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이때, 제1,2구동휠(310,320)은 각각의 고정블록(640) 상에서 회전축(630)을 매개로 회전되고, 구동기어(315)와 종동기어(325)의 기어이 맞물림 결합에 의해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좌,우측 발판(520,510)을 회전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이로 인해 좌,우측 발판(520,510)은 제1,2구동휠(310,320)의 회전시 제1,2요동판(410,420)의 편심 요동 운동 및 지지블록(620)에 대한 편심된 요동축(610)의 축 지지구조로 인해 요동 회전된다.Accordingly, the left and
즉, 제1,2요동판(410,420)은 하부의 요동축(610)이 경사진 각도로 지지블록(620)에 끼워져 결합되고, 선단과 후단이 무게 중심의 상측에 편심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2구동휠(310,320)의 회전 구동시 좌,우측 발판(520,510)이 요동 회전된다.That 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swinging
또한, 좌,우측 발판(520,510)은 베이스(1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고정바(110A,110B)에 제1,2로드부재(710,720)를 매개로 조인트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발판(520,510)들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left and
본 발명의 제1,2구동휠(310,320)은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좌,우측 발판(520,510)이 하나의 구동모터(200)에 의해 요동 회전되어 부피를 콤팩트화시킬 수 있으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Since the first and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제1,2요동판(410,420)의 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요동축(610)이 경사진 각도로 피벗 결합되고 지지블록(620)에 대한 무게중심의 상측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2요동판(410,420)이 제1,2로드부재(710,720)에 조인트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2구동휠(310,320)의 구동 회전시 좌,우측 발판(520,510)이 회전운동력과 좌,우측 이동력 및 파형의 요동 운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발목 부위에 3차원적인 움직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발목 부위 근육을 자극 및 마사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발목 운동기구가 일 예로 장애인용 재활설비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장애인의 상체를 리프트시키는 재활설비(10)에 장애인의 양 발이 좌,우측 발판(520,510)에 안착된 상태로 재활 운동을 수행하면서 발목 부위의 근육을 긴장 및 수축시켜 발목 부위 근육을 자극시킬 수 있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ankle exerci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a disabled person, in which
10 : 재활설비                            110 : 베이스
200 : 구동모터                           210 : 모터축
310 : 제1구동휠                          315 : 구동기어
320 : 제2구동휠                          325 : 종동기어
410,420 : 제1,2요동판                    520,510 : 좌,우측 발판
600 : 요동력 제공수단                    610 : 요동축
620 : 지지블록                           625 : 베어링부재
630 : 회전축                             640 : 고정블록
645 : 회전베어링                         710,720 : 제1,2로드부재10: Rehabilitation facility 110: Base
 200: drive motor 210: motor shaft
 310: first driving wheel 315: driving gear
 320: second drive wheel 325: driven gear
 410, 420: first and
 600: tractive force providing means 610:
 620: Support block 625: Bearing member
 630: rotating shaft 640: fixed block
 64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8397AKR101619745B1 (en) | 2014-09-25 | 2014-09-25 | Ankle exercise appa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28397AKR101619745B1 (en) | 2014-09-25 | 2014-09-25 | Ankle exercise apparatu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36316A KR20160036316A (en) | 2016-04-04 | 
| KR101619745B1true KR101619745B1 (en) | 2016-05-1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28397AExpired - Fee RelatedKR101619745B1 (en) | 2014-09-25 | 2014-09-25 | Ankle exercise apparatu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1974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5853144B (en)* | 2016-04-08 | 2017-12-19 | 王春宝 | The ankle dorsal flexion plantar flexion device for healing and training of integration trainingt and motion state detection | 
| CN108433912B (en)* | 2018-04-19 | 2023-11-21 |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 Ankle joint rehabilitation system capable of realizing multi-movement mode for sickbed | 
| CN109124987B (en)* | 2018-09-12 | 2020-11-13 | 衢州学院 | A fully automatic ankle full range of activities and weight-bearing rehabilitation device | 
| KR102161662B1 (en)* | 2019-03-28 | 2020-10-06 |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ankle muscle training | 
| CN109820696B (en)* | 2019-04-09 | 2021-04-13 | 合肥工业大学 | Ankle rehabilitation mechanism based on human body correlation drive | 
| KR102220856B1 (en)* | 2019-05-29 | 2021-02-25 |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A active and passiv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apable of multi-directional exercise | 
| KR102478634B1 (en)* | 2020-04-08 | 2022-12-15 | 조순구 | Physical exercise device | 
| CN113786312B (en)* | 2021-08-20 | 2024-06-18 | 北京大学深圳医院 | Total knee replacement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device | 
| CN114028174B (en)* | 2021-12-13 | 2024-01-30 | 杭州电子科技大学 | Ankle rehabilitation massage chair | 
| CN114652570B (en)* | 2022-03-17 | 2024-05-10 | 东莞理工学院 | Flexible rope driven ankle rehabilitation robot | 
| KR102803549B1 (en)* | 2023-01-27 | 2025-05-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Ankle Rotation Masuring Dvice and Rehabilitation Device with biaxial rotation structure | 
| CN118486469B (en)* | 2024-07-16 | 2024-10-15 | 宁波浙鼎教育科技有限公司 | Student health management method based on digital sports evalua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3269Y1 (en) | 2001-10-19 | 2002-04-22 | 조미자 | Waist exercise chair | 
| JP2003190235A (en)* | 2001-12-28 | 2003-07-08 | Shunichi Iijima | Ankle turning health device | 
| JP2004181163A (en) | 2002-11-29 | 2004-07-02 | Kokkou Seiki:Kk | Ankle exercise machi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3269Y1 (en) | 2001-10-19 | 2002-04-22 | 조미자 | Waist exercise chair | 
| JP2003190235A (en)* | 2001-12-28 | 2003-07-08 | Shunichi Iijima | Ankle turning health device | 
| JP2004181163A (en) | 2002-11-29 | 2004-07-02 | Kokkou Seiki:Kk | Ankle exercise machi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36316A (en) | 2016-04-04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19745B1 (en) | Ankle exercise apparatus | |
| US11167163B2 (en) |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 |
| CN101568318B (en) | sports aids | |
| RU2609994C2 (en) | Device for therapy of motion activity | |
| JP2992286B2 (en) | Exercise device and its use | |
| KR101952412B1 (en) |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 |
| EP2226103A1 (en) | Standing-position type passive exercise machine | |
| JP2010506608A (en) | Exercise device 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abductor contraction, variable leg / knee / thigh / torso and spinal cord decompression and method thereof | |
| KR101541356B1 (en) | Exercise equipment for toe blow | |
| US7335172B2 (en) | Balancing and exercising device with vibrator | |
| JPWO2009084574A1 (en) | Passive exercise equipment | |
| JP3420546B2 (en) | Lower limb exercise device | |
| KR101525225B1 (en) | Sporting equipment for lower part and trunk of the body | |
| KR102000626B1 (en) | Exercise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 |
| JP5491706B2 (en)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 JP4802336B2 (en) |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 |
| KR20190043120A (en) |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 |
| KR102104262B1 (en) | Riding 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 |
| KR102243602B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 JP2008237785A5 (en) | ||
| KR101966608B1 (en) |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 |
| JP6612386B2 (en) | Health appliances | |
| KR100850885B1 (en) | Vibrator for exercise equipment | |
| JP2013081490A (en) | Exercise aid | |
| CN112353643B (en) | Ankle joint rehabilitation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327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5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504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05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