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정보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바일기기에 전자 정보 형태로 저장된 티켓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체크인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포함하는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lication for automatically checking in using a ticket stored in the form of electronic information in a mobile device and an automatic check- will be.
티켓을 이용하여 시설에 입장하거나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등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상용화된 체크인 관련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장하는 행위와 별도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체크인을 위한 행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항공사 티켓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전화나 인터넷으로 티켓을 예매하고, 이를 발권한 후, 그와 별도로 웹을 통한 체크인 또는 항공사 직원과의 탑승수속을 통한 체크인 과정을 거쳐 항공기에 탑승하게 된다.In a service system such as entering a facility by using a ticket or boarding a transportation means, a currently commercialized check-in related service system requires an action for check-in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separately from an admission by a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irline ticket system, a user pre-registers a ticket on the telephone or the Internet, issues the ticket, separately checks the ticket on the web, or checks in through boarding procedures with an airline employee .
경기장이나 공연장 등의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티켓을 온라인으로 예매했더라도, 현장에서 실물 티켓으로 발권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발권된 티켓을 가지고 입장할 경우, 입장 관리 시스템 측면에서 보면 해당 유형의 티켓을 가진 임의의 고객이 입장한 것으로 인식될 뿐 입장한 고객이 어떤 고객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따라서 입장한 고객에 대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없다.When using facilities such as a stadium or a performance hall, even if the user pre-purchased the ticket online, the user is issued with a real ticket on the spot. When entering a ticket with a ticketed ticket, it can be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entry management system that an arbitrary customer having a ticket of the type is recognized as an admitted guest, Nor can it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for.
시설 입장 고객에 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5056호의 U-티켓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나, 범용의 모바일기기가 아닌 특정 유형의 단말기가 필요한 점, 무선AP를 이용한 통신을 이용하여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다. 야구장, 축구장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기존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이외에 대규모의 설비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범용의 모바일기기와 기존의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하면서도 특정 시설의 입장고객만을 상대로 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A U-Ticket Service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085056 is disclosed as a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a facility-visiting customer, but a specific type of terminal is required instead of a general-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communication using the wireless AP must be used. When building a system in a large-scale facility such as a baseball field or a soccer field,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scale facility investment must precede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only to customers who are entering a specific facility, while using a general-purpose mobile device and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은, 사용자 측면에서 체크인을 위한 별도의 행위 없이 자신의 모바일기기를 가지고 해당 시설에 입장하는 행위만으로 자동으로 체크인 되어 맞춤형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check-i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nd the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including the check-in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heck in by simply entering the corresponding facility with their mobile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action for check-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ervices.
또한 운영사 측면에서는 대규모의 설비투자 없이 기존의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어떤 고객이 시설에 체크인 되었는지를 인식하고 해당 고객에 대한 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고객이 시설 내에서 행한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취득, 축적 및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On the operator si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gnize which customer is checked in to the facility by using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providing a large-scale facility investment, and to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by utilizing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 An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by acquiring, accumula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about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user.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티켓 정보를 게이트 시스템에 전달하는 티켓 관리 모듈; 모바일 통신망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푸시 정보(Push Notification)를 수신하는 PNS(Push Notification Service) 수신 관리 모듈; 및 상기 PNS 수신 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티켓 정보를 이용한 게이트 통과에 따른 체크인 푸시 정보가 수신되면 체크인 사실을 인식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모드를 장외 모드에서 장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체크인 관리 모듈; 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check-i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icket management module for delivering ticket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medium of a mobile device to a gate system; A Push Notification Service (PNS) reception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application push information (Push Notif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heck-in management module for recognizing the check-in when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according to gate passage using the ticke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PNS reception management module an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ion from the over-the-park mode to the intrasynchronous mode. .
여기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모드 전환은, 게이트 통과에 사용된 상기 티켓 정보를 비활성화하는 기능과,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 이후에 수신되는 장내 사용자 대상의 애플리케이션 푸시 정보에 대한 반응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ion includes a function of deactivating the ticket information used for passage of the gates, and a function of activating a reaction to the application push information for the intestinal user received after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은,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기기;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제공된 티켓 정보를 식별하여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 시스템; 및 상기 게이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티켓 정보가 유효하면 해당 티켓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체크인 푸시 정보를 송신하는 체크인 시스템;을 포함하고,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check-i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 gate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 gate by identifying ticke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a check-in system for transmitting check-in push information to a user's mobile device associated with the ticket information if the ticke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ate system is valid,
상기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상기 티켓 정보를 게이트 시스템에 전달하는 티켓 관리 모듈; 상기 체크인 시스템으로부터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푸시 정보(Push Notification)를 수신하는 PNS(Push Notification Service) 수신 관리 모듈; 및 상기 PNS 수신 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가 수신되면 체크인 사실을 인식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모드를 장외 모드에서 장내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체크인 관리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eck-in application for the mobile device comprises: a ticket management module for delivering the ticke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of the mobile device to the gate system; A Push Notification Service (PNS) reception management module for receiving application push information (Push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check-in system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heck-in management module for recognizing the fact that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PNS reception management module and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ion from the over-the-park mode to the enter-mode. . ≪ / RTI >
상기 체크인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 시스템과 통신하며 상기 티켓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티켓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체크인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체크인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체크인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PNS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heck-in system comprises: an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ng with the gate system, determining validity of the ticket information, providing use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icket information and check-i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PNS server for transmitting check-in push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check-in information.
또한, 상기 체크인 시스템은, 상기 운영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체크인 정보를 받아 상기 PNS 서버에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의 발송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부터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에 대한 수신 확인이 접수되면,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축적된 기존 정보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PNS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 제공하도록 하는, 멤버쉽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ck-in system may request the PNS server to send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check-i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firm receipt of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select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of the user through the PNS server according to the existing information accumulated about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측면에서 체크인을 위한 별도의 행위 없이 자신의 모바일기기를 가지고 해당 시설에 입장하는 행위만으로 자동으로 체크인 되어 맞춤형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service can be provided by automatically checking in only with an operation of entering a corresponding facility with a mobile device without a separate action for check-in on the user side.
또한 운영사 측면에서는 게이트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어떤 고객이 시설에 체크인 되었는지를 인식하고 해당 고객에 대한 사전 정보를 활용하여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고객이 시설 내에서 행한 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취득 및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 the operator si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dentify which customers have been checked in to the facility by linking with the gate system, and to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using advance information about the customers. Information about the ac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usiness and create new demand.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의자동 체크인 시스템은 공연장, 경기장, 쇼핑 센터, 전시관, 주차장, 대중교통 시설 등 다양한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check-in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and the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acilities such as a venue, a stadium, a shopping center, an exhibition hall, a parking lot, and a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모바일기기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운영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외부 시스템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서 구성요소간 정보의 흐름을 보이는 차트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system in the embodiment of FIG.
5 is a chart showing a flow of information between components in 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lear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은,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기기(10)와, 상기 모바일기기(10)로부터 제공된 티켓 정보를 식별하여 게이트를 개폐하는 게이트 시스템(30),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티켓 정보가 유효하면 해당 티켓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 체크인 푸시 정보를 송신하는 체크인 시스템(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includes a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은, 상기 게이트 시스템(30)과 통신하며 상기 티켓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티켓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체크인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 관리 시스템(20),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체크인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 체크인 푸시 정보를 전송하는 PNS(Push Notification Service)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heck-in
한편,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은 상기 운영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체크인 정보를 받아 상기 PNS 서버(50)에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의 발송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부터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에 대한 수신 확인이 접수되면,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축적된 기존 정보에 따라 선택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PNS 서버(5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 제공하도록 하는, 멤버쉽 서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eck-in
상기 멤버쉽 서버(40)는 다수의 사용자, 즉 회원들에 관하여 각각의 회원이 해당 시설의 이용과 관련하여 기존에 행했던 행위들, 예컨대 티켓 예매, 발권, 입장이나, 입장 후에 장내에서 이용한 시설, 구매한 제품, 응모한 이벤트 등에 대한 정보나 이를 분석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유할 수 있고, 체크인한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특화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재 제공할 수 있는 특화된 서비스를 선택하고, 해당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PNS 서버(50)에 발송 요청하여 체크인된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멤버쉽 서버(40)는 외부 시스템(60)과 연계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PNS 서버(50)가 모바일기기(10)에 체크인 푸시 정보를 비롯한 애플리케이션 푸시 정보(이하, '앱 푸시'라 약칭함)를 발송하면, 이를 수신한 해당 모바일기기(10)는 그 수신 결과를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으로 회신한다. 만약 이러한 수신 결과 회신이 없는 경우, 즉 앱 푸시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은 애플사의 APNS, 구글사의 GCM 또는 MS사의 MPNS와 같은 대체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술한 체크인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모바일기기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도면은 전술한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모바일기기(10)에 관한 것으로, 장치 구성이 아닌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기능적 구성을 보인다. 상기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인증을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록/인증 모듈(111)과, 체크인 여부 및 그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모드 전환을 관리하는 체크인 관리 모듈(112), 그리고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으로부터, 좀 더 구체적으로는 PNS 서버로부터 전송된 앱 푸시의 수신 및 그에 대한 확인을 담당하는 PNS 수신 관리 모듈(1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체크인 시스템(100) 이외의 외부 시스템(114)과의 정보 통신을 위한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114)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전자 정보 형태의 티켓, 이른바 스마트 티켓을 별도의 티켓 예매 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신하여 그 티켓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 또는 전송할 수 있는 티켓 관리 모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This figure relates to the
상기 체크인 관리 모듈(112)은 상기 PNS 수신 관리 모듈(113)을 통해 체크인 푸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모드를 장외 모드로부터 장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동 모드 전환에는 게이트 통과에 사용된 상기 티켓 정보를 비활성화하는 기능과,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 이후에 수신되는 장내 사용자 대상의 애플리케이션 푸시 정보에 대한 반응을 활성화하는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check-in push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PNS
한편, 상기 티켓 관리 모듈(115)은 티켓 예매 시스템을 통한 예매가 완료된 후, 티켓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티켓의 발권 정보, 예컨대 숫자 또는 숫자와 문자로 코드화된 발권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티켓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우선 예매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다시 상기 티켓 예매 시스템에 스마트 티켓의 발권을 요청할 수도 있다. 티켓 예매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티켓의 발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티켓 관리 모듈(115)은 모바일기기의 연산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티켓 발권 정보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형식의 제 1 티켓 정보와, 상기 제 1 티켓 정보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 형식의 제 2 티켓 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기기(10)의 저장부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발권된 티켓의 관리를 위해 미리 설정된 텍스트 데이터 형식에 따른 것일 수 있는데, 좀 더 바람직하게는 티켓 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원 프로토콜에 따른 텍스트 데이터 형식을 충족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카드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기능의 프로토콜(ISO 14443규약)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티켓 정보는 모바일기기의 저장부(13) 중 임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The first ticket information may be in accordance with a preset text data format for management of the issued ticket. More preferably, the first ticket information may include a text according to a protocol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or example, a protocol conforming to the card emulation function (ISO 14443 protocol). The first ticke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n arbitrary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13 of the mobile device.
현재까지의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전술한 카드에뮬레이션 기능의 프로토콜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에서만 지원되어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계(OS) 4.4버전(일명 키켓이라 불림)부터는 호스트카드에뮬레이션(HCE, Host Card Emulation)이라 하여, NFC를 지원하는 카드에뮬레이션 기능을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수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임의의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제 1 티켓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In the mobile devices up to now, the protocol of the card emulation func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supported only in the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since the recently released version 4.4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referred to as a "keycard"), host card emulation (HCE) is called host card emulation and the card emulation function supporting NFC , It is possible to store the first ticket information by utilizing any storage space allocated to the application.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운영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보이는 블록도이다. 운영 관리 시스템(20)은 전술한 체크인 시스템(100)의 구성 중 하나로서,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에 탑재된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인증하는 애플리케이션 등록/인증 모듈(211)과, 게이트 시스템 인터페이스(213),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시스템 인터페이스(213)를 통해 전송 받은 티켓 정보의 유효성을 체크하여 해당 사용자의 입장 여부를 관리하는 입장 관리 모듈(212)을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more detail in the embodiment of FIG. The
NFC 지원 프로토콜에 따라 저장된 티켓 정보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tagging)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게이트 시스템(30)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게이트 시스템(30)은 NFC 동글(dong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은 NFC 동글을 통해 식별된 티켓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술한 운영 관리 시스템(20)에 송신하고, 상기 운영 관리 시스템(20)의 티켓 유효성 체크 결과에 따른 입장 허가 또는 입장 불허 신호를 다시 수신하여, 그에 따라 게이트 작동부를 구동하여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Ticket information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NFC supported protocol can be identified by the
도 4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외부 시스템의 예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외부 시스템(60)은 전술한 멤버쉽 시스템(40)과 연계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특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해당 사용자에 특화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시스템(61), 해당 사용자 모바일기기(10)의 위치 및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시스템(62), 그리고, 해당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 장내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쇼핑 시스템(63) 등이 전술한 외부 시스템(60)에 포함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system in the embodiment of FIG. The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의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서 구성요소간 정보의 흐름을 보이는 차트이다.5 is a chart showing a flow of information between components in a mobile-based automatic check-i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전적인 절차로서 모바일기기용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및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등록 및 인증이 필요한 경우는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 정보를 포함하여 운영 관리 시스템(20)으로 전송하고,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모바일기기(10)의 운영체계에 따라 안드로이드의 경우 등록 아이디(Registration ID)를, 아이오에스(iOS)의 경우 디바이스토큰(Device Token) 정보를, 그리고 모바일기기의 고유한 아이디인 디바이스 아이디(Device ID)를 상기 운영 관리 시스템(20)으로 전송(a12)하여 기본적인 등록 절차를 진행한다. 이를 받은 운영 관리 시스템(20)은 멤버쉽 서버(40)에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 아이디(Device ID)를 조회(a24)하고, 조회 결과에 따른 유효 정보(a42)를 수신한 후, 다시 모바일기기(10)에 애플리케이션 등록 승인 결과를 전송(a21)한다. 상기 등록 아이디 또는 디바이스토큰은 PNS에 의한 앱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방식을 사용하지 못할 경우 운영체계 공급자가 제공하는 알림 방식의 사용을 위한 추가적 등록으로서의 의미가 있다.As a preliminary procedure, we first register and authenticate the check-in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When the use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f the application for the service is required, the application transmits the ID and the password (PW) information to the
다음으로 사전적인 절차의 하나인 PNS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등록 및 인증은 모바일기기의 고유 아이디인 디바이스 아이디를 기반으로 하는데, 모바일기기(10)에서 PNS 서버(50)로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디바이스 아이디를 전송(b15)하면 상기 PNS 서버(50)가 멤버쉽 서버(40)에 사용자 정보 및 디바이스 아이디를 조회(b54)하고, 조회 결과에 따른 유효 정보(b45)를 수신한 후, 다시 모바일기기(10)에 등록 승인 결과를 전송(b51)한다. Next, perform the PNS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procedure, which is one of the proactive procedures. The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are based on the device ID which is the unique ID of the mobile device. When the
사용자가 모바일기기(10)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의 티켓 정보를 NFC 태깅이나 바코드 스캐닝 등의 방식으로 게이트 시스템(30)에 전달(c13)하면, 상기 게이트 시스템(30)은 운영 관리 시스템(20)에 식별된 티켓 정보의 유효성을 조회(c32)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른 유효 정보(c23)를 수신한 후, 게이트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 운영 관리 시스템(20)은 상기 유효한 티켓 정보와 연계된 사용자가 입장(체크인)한 사실을 상기 멤버쉽 서버(40)에 통보(c24)하고, 상기 멤버쉽 서버(40)는 PNS 서버(50)에 명령을 전달(c45)하여, 앱 푸시 방식으로 체크인 푸시 정보를(c51)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에 전송(c51)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transmits (c13) the ticket information of the smart ticket stored in the
모바일기기(10)는 전술한 PNS 수신 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체크인 푸시 정보(c51)를 수신하고, 이를 체크인 관리 모듈로 전달하여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모드를 게이트 통과 전의 상태인 장외 모드에서 게이트 통과 후, 즉 체크인 후의 상태인 장내 모드로 전환한다. 장내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사용된 티켓은 비활성화 되고, 이후 수신되는 장내 사용자 대상의 앱 푸시 정보에 대해 반응하는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The
장내 모드에서의 동작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멤버쉽 서버(40)가 체크인한 사용자의 성향에 관하여 미리 수집되고 분석된 정보를 외부 시스템(60)(예컨대 이벤트 시스템)에 전달(d46)하면, 상기 이벤트 시스템은 당일 진행되는 이벤트 중 수신된 정보에 부합하는 이벤트에 관한 특화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멤버쉽 서버(40)에 제공(d64)하고, 상기 멤버쉽 서버(40)는 다시 PNS 서버(50)에 전달(d45)하여 앱 푸시 방식으로 특화된 서비스 푸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로 전송(d51)한다. 사용자의 모바일기기(10)는 PNS 수신 관리 모듈을 통해 상기 특화된 서비스 푸시 정보를 수신하고, 활성화된 반응 기능을 통해 그에 대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60)과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으며(d16) 예컨대 특화된 이벤트에 대한 응모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Let's look at the operation in enter mode. For example, if the
한편, 상기 외부 시스템(60)이 위치기반서비스(LBS) 시스템인 경우 멤버쉽 서버(40)가 수집 및 분석한 정보를 바탕으로 특화된 위치정보 또는 경로정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체크인 정보를 활용하여 모바일기기 측면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작동 모드를 전환하고, 체크인 시스템 측면에서는 체크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하고 기존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개인별 특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if the
10: 모바일기기
20: 운영 관리 시스템30: 게이트 시스템
40: 멤버쉽 서버50: PNS 서버
60: 외부 시스템100: 체크인 시스템10: Mobile devices
20: Operation management system 30: Gate system
40: Membership server 50: PNS server
60: External system 100: Check-in system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40046625 | 2014-04-18 | ||
| KR1020140046625 | 2014-04-18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2033A KR20150122033A (en) | 2015-10-30 |
| KR101609833B1true KR101609833B1 (en) | 2016-04-1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82670AActiveKR101609833B1 (en) | 2014-04-18 | 2014-07-02 | Mobile Check-in Application And Auto Check-in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cation Compris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0983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67153A (en) | 2020-11-17 | 2022-05-24 |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heck-i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87398A (en) | 2001-09-07 | 2003-03-20 | Sharp Corp | Gate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gate system |
| JP2005209011A (en)* | 2004-01-23 | 2005-08-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87398A (en) | 2001-09-07 | 2003-03-20 | Sharp Corp | Gate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gate system |
| JP2005209011A (en)* | 2004-01-23 | 2005-08-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nformation terminal devic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67153A (en) | 2020-11-17 | 2022-05-24 |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heck-i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2033A (en) | 2015-10-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70992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 |
| KR101652505B1 (en) | System for managing rooms of accommodations | |
| US981824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ermitting remote check-in and coordinating access control | |
| CA2849975C (en) |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laces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101507594B1 (en) | Security entrance system using Identification mea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CN106097504A (en) | The implementation method that a kind of hotel moves in voluntarily | |
| US9922473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utomated authentication | |
| CN103235923A (en) |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authentication identities | |
| CN104200410A (en)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hotel room card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 |
| KR101609833B1 (en) | Mobile Check-in Application And Auto Check-in System Based On Mobile Communcation Comprising The Same | |
| KR102205671B1 (en) |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golf service | |
| KR101151298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redit settlement using a wirelss access point | |
| KR20170123964A (en) | Entrance managing system for seminar | |
| KR20150051257A (en) | System for processing coupon using mobile device | |
| KR20140068329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using financial application | |
| KR101746369B1 (en) | Method for Notifying Location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 |
| KR101740998B1 (en) | System for supporting messenger service for sustainable one-time service requesting and processing | |
| KR20150000442A (en) | Security entrance system using Identification mea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190128762A (en) | Notification system through medium recognition | |
| KR20170029857A (en) |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 KR20160041120A (en) | Method for Approving based on Bluetooth by using Webpage | |
| KR20080086949A (en) | Insurance Insurance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 |
| KR20030067286A (en) | A Electronic Lotto service method and equipment by RF- Card & Mobile Message | |
| KR20130082189A (en) | Real time location of vehicle inform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phone | |
| KR20130130219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g based ser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07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507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16012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50720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6012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51020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60304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160219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6012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151020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6033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6040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1226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1226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131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115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1221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123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115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