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커버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단말기를 보호하는 커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device for protecting a terminal such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현대의 휴대형 전자기기 중 대다수는 전면에 터치식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충격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휴대형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커버)가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가속화됨에 따라 휴대형 전자기기 커버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NPD Group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 중 3/4는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Many moder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e a touch-sensitive display panel on the fron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cover)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impac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becoming more popular, the number of users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vers is increasing rapidly. According to the NPD Group survey, three-quarters of smartphone users are using protection cases .
기존의 휴대형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는 단순히 전자기기의 충격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보호 케이스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개폐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가방과 같은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다른 한 손으로 보호 케이스를 열고 닫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는 푸쉬 메시지나 전화 수신시 이를 진동이나 소리로 알리게 되므로, 도서관과 같이 조용한 공간에서는 사용자가 메시지나 전화 수신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cases merely function to prevent impact of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is manually opened and closed by a user, when the user holds a bag or the like with one hand, it is in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protective case with the other h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not able to recognize the fact of receiving a message or a telephone in a quiet space such as a library because the user is notified of a push message or a telephone call by vibration or sound.
본 발명은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커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ver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notifying a user of occurrence of an event by automatically opening a cover covering a display portion of the terminal when an event such as a push message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는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덮개를 열어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terminal and a cover for covering a display portion of the terminal; And a driving unit for opening the cover by open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event when a predetermined event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상기 구동부는,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덮개를 열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덮개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커버부 및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덮개를 구동하는 자기력을 형성하는 전자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riving unit comprises: a lid driving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for opening the lid according to the event when the event occurs; And an electromagnet modul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over unit and the terminal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for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lid drive control unit and driving the lid.
상기 전자석 모듈은, 상기 덮개의 말단 측에 구비되고,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로부터 제1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1 전자석; 및 단말기에 구비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로부터 제2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2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제1 전자석 및 상기 제2 전자석 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전기신호 및 상기 제2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electromagnet module includes a first electromagnet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lid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receiving a first electrical signal from the lid drive control unit when the event occurs; And a second electromagnet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receiving a second electric signal from the lid drive control unit when the event is generated, wherein the lid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d drive control unit to switch between the first electromagnet and the second electromagnet,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may be generated to generate a repulsive force.
상기 제2 전자석은 디스플레이부의 주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magnet may be provid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display unit.
상기 커버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고, 단말기에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로부터 제3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는 제3 전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상기 제1 전자석 및 상기 제3 전자석 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3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cov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lectromagnet provided in the cover unit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by receiving a third electric signal from the lid drive control unit when the event is generated, 1 < / RTI > electromagnet and the third electromagnet.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해 상기 덮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방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driving means for slidingl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벤트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개방 영역이 변화되도록 상기 덮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lid to change the open area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event.
상기 구동부는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이벤트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cov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 area o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ev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이벤트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사용자의 모션(motion) 정보, 위치 설정 정보 및 시간 설정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sh message,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ime setting information.
상기 구동부는 단말기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 상기 이벤트에 따른 덮개 개방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disable the cover ope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vent when the terminal moves to the set position.
상기 구동부는 단말기에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방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도록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provided in the cover unit to receive an electric signal for opening the cover according to an event sensed by the terminal.
상기 커버 디바이스는 단말기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밝기 정보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이벤트에 따른 덮개의 개방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The cov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of the terminal, and the driving unit may deactivate the cover open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vent when the brightnes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image sensor un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
상기 커버 디바이스는 단말기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패턴을 기록하는 로그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기록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패턴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따른 덮개의 개방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The cov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g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may be adjusted when the cov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recorded usage pattern of the user .
상기 커버 디바이스는 상기 커버부의 색상에 대해 보색을 갖도록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색상이 자동 보정될 수 있다.The cover device may automatically correct the col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have a complementary color to the color of the cover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기 위한 덮개와, 상기 덮개를 단말기에 부착하기 위한 전자석들을 구비한 커버부; 및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말기로부터 척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전자석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덮개를 구동하는 덮개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a display portion of a terminal; a cover portion having electromagnets for attaching the cover to the terminal; And a cover drive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electromagnets so that the repulsive force is applied from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event when the preset event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로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덮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river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상기 이벤트에 따라 커버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의 덮개를 열어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알림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vent notification method including a step of opening a cover of a cover part covering a display part of a terminal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art of a cover part according to the event,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vent such as a push message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the cover covering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is automatically opened to effectively inform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Unless stated, the effec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에 단말기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덮개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에 수용되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덮개 구동 제어부에서 이벤트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8은 덮개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덮개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3은 커버 디바이스의 커버부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커버 디바이스의 커버부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도록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accommodated in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constituting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ing a display portion of the terminal.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accommodated in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n event in a cover drive control unit of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ver covers the display portion of the terminal, FIG. 9 is a cross-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device shown i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device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portion of a cover device is separated from a terminal, FIG. 14 is a cross-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of FIG.
Figs. 15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ver device shown in Figs. 13 to 14. Fig.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lthough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the generic art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 general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any as possible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configurations in the figures may be shown somewhat exaggerated or reduc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과 같은 용어는 어떠한 구성을 다른 구성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whether or not explicitly described or implied by the accompanying claims.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should be understood to be used to distinguish certain configurations from other configurations.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for example, software, FPGA or ASIC, a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However, "to"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term '~' include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attributes, procedure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plurality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커버부의 덮개를 자동으로 열어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는 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푸쉬 메시지, 사용자 모션, 위치 혹은 시간 설정 정보 등)가 단말기에 발생시, 덮개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며, 사용자가 커버부의 덮개를 수동적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그리고 진동(vibration)이나 소리경고(sound alert), 혹은 LED 발광에 의하지 않더라도, 덮개의 움직임에 의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이 개방되는 동작을 통해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다.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including a cover covering a display portion of the terminal; And a driving unit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cover of the cover unit according to a preset event to open the display unit. The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opens the cover of the terminal when the set event (e.g., push message, user motion, location or time setting information, etc.) occurs in the terminal, The occurrence of an event can be prevented by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by the movement of the cover even if the cover of the cover portion is not manually operated and the vibration, sound alert, And can effectively inform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100)에 단말기(10)가 수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덮개(112)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은 상태로 단말기(10)를 보호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는 커버부(110) 및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단말기(1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방지하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단말기(10)는 평면디스플레이, 곡면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커버부(110)는 예시적으로, 탄성 복원성을 갖는 연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단말기(10)의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하는 LCD 광이 일부 투사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커버부(110)는 단말기(10)가 수용되는 수용부(111); 및 연결부(112a)를 통해 수용부(111)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수용부(111)에 수용된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는 덮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수용부(111)는 단말기(10)에 대응하는 면적과 높이를 갖는 수용홈(111a)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수용부(111)의 측면이나 바닥면, 혹은 덮개(112)에는 수용부(111) 내에 단말기(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단말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케이블을 단말기(10)에 구비된 충전단자에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충전케이블 연결용 구멍(1111),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이어폰 연결용 구멍(1112), 단말기(10)의 음향 세기를 조절하는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음향 조절용 구멍(1113), 단말기(10)의 이미지 센서부(13)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영상 획득용 구멍(11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c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terminal 1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덮개(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은 상태로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 전면 패널을 보호하며,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의도되지 않은 터치 입력 등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한다. 덮개(112)는 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메시지, 전화 수신 등을 알리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특정 모션을 취하는 경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단말기(10)에 발생시 자동으로 구동되어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하게 된다.The
구동부(120)는 단말기(10)에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에 따라 커버부(110)의 덮개(112)를 자동으로 열어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한다. 이벤트는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사용자의 모션(motion) 정보뿐 아니라, 위치 설정 정보, 혹은 시간 설정 정보 등의 다른 이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가 설정된 특정 위치로 이동하거나, 설정된 특정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덮개(112)는 설정된 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driving
또한, 구동부(120)는 단말기(10)에 이메일과 같은 이벤트 수신시, 이메일의 중요도에 따라 덮개(112)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발신자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여 보낸 이메일을 수신한 경우, 이메일에 응답하여 덮개(112)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하고, 중요도가 높지 않은 이메일을 수신한 경우, 이메일 수신에 불구하고 덮개(112)를 구동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다른 예로, 덮개(112)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부(110)의 이어폰 연결용 구멍(1112)을 통해 이어폰이 단말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되는 이벤트 발생시,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덮개(112)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부(110)의 충전케이블 연결용 구멍(1111)을 통해 충전 케이블이 단말기(10)의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이벤트 발생시,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홈 화면이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when an event occurs in which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earphone connection hole 1112 of the
또 다른 실시 예로, 하드웨어 버튼 입력 시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덮개(1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전원 버튼을 누르면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누르면 덮개(112)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사용자는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벤트의 유형을 단말기(10)를 통해 설정, 변경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커버부(110) 또는 단말기(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부(110) 또는 단말기(10)에서 외부의 NFC 태그와 접촉하는 이벤트 발생시, 덮개(112)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단말기(10)의 화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NFC 태그 접촉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GUI가 즉시 표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일 실시 예로, 구동부(120)는 전자석 모듈(121,122), 덮개 구동 제어부(도 4의 도면부호 123), 및 커넥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 모듈(121,122)은 커버부(110) 및 단말기(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 전자석 모듈(121,122)은 커버부(110) 및 단말기(10) 각각에 구비되어 있으나, 전자석 모듈(121,122)은 커버부(110)에만 구비되거나, 단말기(10)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단말기(10)에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신호에 따라 덮개(1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예를 들어, 전류 혹은 전압 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석 모듈(121,122)로 공급한다. 커넥터(124)는 단말기(10)에 의해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덮개(112)를 개방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단말기(10)의 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아 덮개(112)에 구비된 전자석 모듈(121)로 전달하도록, 커버부(110)의 수용부(111)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d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 커넥터(124)는 단말기(10)가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단말기(10)의 커넥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수용부(111)의 바닥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단말기(10)의 커넥터와 커버부(110)의 커넥터(124)는 별도의 신호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커넥터(124)는 커버부(11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1 to 3, the connector 124 is disposed at the bottom surface position of the receiving
전자석 모듈(121,122)은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덮개 구동 제어부(123)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커넥터(124)를 통해 제공받는다. 전자석 모듈(121,122)은 전기신호가 흐르는 코일(coil)로 이루어져, 앙페르 법칙(Ampere's law)에 의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기신호(예를 들어, 전류)에 비례하는 자기장을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자석 모듈(121,122) 간에 자기력(척력)이 발생하여 덮개(112)가 열리게 되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가 개방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에 수용되는 단말기(1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 이미지 센서부(13), 모션 인식부(14), 위치 인식부(15), 통신인터페이스부(16), 메모리(17), 제어부(18) 및 덮개 구동 제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rminal 10 accommodated in a
디스플레이부(11)는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푸쉬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1)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평면디스플레이, 햅틱디스플레이, 투명디스플레이, 커브드디스플레이, 플렉시블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예시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Th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사용자가 덮개(112)의 자동 개방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시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것을 선택하거나,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이벤트의 유형(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 메시지, SNS, 전화, 사용자 모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덮개(112)의 개방 패턴(예를 들어, 덮개의 개방 횟수, 속도, 반복 횟수, 반복 주기, 개방 형태 등)을 선택하는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는 터치 입력이나 버튼 입력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이미지 센서부(13)는 단말기(1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3)는 조도센서,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13)에 의해 촬영된 주변 영상 정보는 덮개(112)의 개방 동작의 반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단말기(10)가 가방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The
모션인식부(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gyro sensor)와 같이 사용자의 모션(motion)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모션을 취할 때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구동부(120)는 모션인식부(14)에 의해 인식된 모션과, 설정된 모션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되는 경우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The
위치인식부(15)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과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설정한 경우, 구동부(120)는 위치인식부(15)에 의해 인식된 위치와, 설정된 위치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되는 경우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The
통신인터페이스부(16)는 커버 디바이스(100)와 커넥터(124)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16)는 유/무선 통신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16)가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공되는 경우, 커버 디바이스(100)에 커넥터(124)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The
메모리(17)는 단말기(10)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8)는 단말기(10)에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덮개(112)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18)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단말기(10)에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신호에 따라 덮개(1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석 모듈(121,122)로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으나,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커버부(110) 내에 구비되거나, 커버부(110) 및 단말기(10) 내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lid
예를 들어,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커버부(110) 내에 구비되어 단말기(10)로부터 이벤트 신호를 전달받고, 이벤트 신호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석 모듈(121,12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 측의 전자석 모듈(122)은 커버부(110)에 구비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거나, 혹은 단말기(10)에도 덮개 구동 제어부(123)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lid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석 모듈(121,122)은 제1 전자석(121) 및 제2 전자석(122)을 포함한다. 제1 전자석(121)은 덮개(112)의 말단 측에 구비되고,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제1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제1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제2 전자석(122)은 단말기(10)의 측면 영역에 구비되고,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제2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제2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1 to 3, the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전자석(122)은 단말기(10)의 상면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1)의 주변에 형성된 베젤(bezel) 영역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제1 전자석(121) 및 제2 전자석(122) 간에 척력(repulsive force)이 발생하도록 제1 전기신호 및 제2 전기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에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는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구동부(120)(전자석 모듈)로 전기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커버 디바이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2)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은 상태로 단말기(10)를 보호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만약, 단말기(10)에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구동부(120)(전자석 모듈)로 전기신호가 전달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디바이스(100)의 덮개(112)가 구동되어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하게 된다. 즉, 제1 전자석(121)과 제2 전자석(122)은 덮개 구동 제어부(123)에 의해 형성된 제1 및 제2 전기신호에 따라 반대되는 방향의 자기모멘트를 갖도록, 다시 말해 덮개(112)와 단말기(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끼리 같은 자극을 갖도록 자화되고, 제1 전자석(121)과 제2 전자석(122) 간에 척력이 형성되어 덮개(112)의 중력과 자기력이 평형이 되는 위치까지 덮개(112)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If an event occurs in the terminal 10, an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li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덮개 구동 제어부(123)에서 단말기(10)의 이벤트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제1 전자석(121)으로 공급되는 제1 전기신호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제2 전자석(122)으로 공급되는 제2 전기신호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6 is a graph exemplarily showing electric signals generated in response to an event signal of the terminal 10 in the cover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과 같은 푸쉬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제1 시점(T1)에 발생하면,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제1 전자석(121)으로 제1 전기신호(I1)를 공급하고, 제2 전자석(122)으로 제2 전기신호(I2)를 제2 시점(T2)까지 서서히 증가시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덮개(112)가 순간적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112)를 부드럽게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 화면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4 to 6, when a push message reception event such as an e-mail or a text message is generated at the first time point T1, the lid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전자석 모듈(121,122)로 공급되는 전기신호의 세기(I1,I2)를 조절함으로써, 덮개(112)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예를 들어,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전기신호(I1,I2)의 세기를 조절하여 덮개(112)의 개방 각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덮개(112)의 개방 각도로부터 이벤트의 유형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전기신호(I1,I2)의 세기를 변화시켜 덮개(112)를 설정된 주기로 수회 반복하여 개폐할 수도 있다.The li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전자석(122)은 단말기(10)가 아닌 커버부(110)의 수용부(1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수용부(111)의 말단 측에 제1 전자석(121)과 대향하도록 제2 전자석(122)을 구비하여,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제1 전자석(121)에 척력을 가하도록 제2 전자석(122)에 전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덮개(112)를 개방할 수도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전자석(121) 또는 제2 전자석(122)은 영구 자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만약, 덮개(112)에 제1 전자석(121) 대신 영구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단말기(10) 혹은 수용부(111)에 구비된 제2 전자석(122)에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조절하여 덮개(112)의 영구 자석에 척력을 가함으로써 덮개(112)를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만약, 덮개(112)에 전자석 대신 영구 자석이 구비되고, 단말기(10)에만 전자석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커버부(110)에 커넥터(124)를 구비하지 않고도, 단말기(10)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덮개(112)를 개방할 수 있다. 단말기(10) 혹은 수용부(111)에 제2 전자석(122) 대신 영구 자석이 구비되고, 덮개(112)에만 제1 전자석(121)이 구비된 경우에는 제1 전자석(121)에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조절하여 덮개(112)를 개방할 수 있다.If the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8은 커버 디바이스(100)의 덮개(112)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커버 디바이스(100)의 덮개(112)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8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워치(smart-watch) 단말기로 제공된다. 도 8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에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착용한 손목을 설정된 패턴대로 흔드는 등의 이벤트 발생시, 전자석 모듈(121,122)에 전기신호가 공급되어 자기장이 형성되고, 제1 전자석(121)과 제2 전자석(122) 간의 척력에 의하여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s 8 to 9, the terminal 10 is provided as a smart-watch terminal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8 to 9, when an event such as a push message is received in the terminal 10 or a wrist is waved by the us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electric signals are applied t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100)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부(120)는 전자석 모듈 대신 커버 디바이스(100)의 수용부(111)에 대해 덮개(11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방하는 구동수단(125)을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 덮개(112)는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구동수단(125)은 수용부(111)의 측면에서 덮개(112)와 기어 결합되거나, 덮개(112)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재와 구동축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발생한 전기신호에 따라 구동수단(125)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덮개(112)는 수용부(11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홈(111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11)를 개방하게 된다.The driving means 125 may be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connected with the
구동부(120)는 이벤트의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의 개방 영역이 변화되도록 덮개(1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 상에서 이벤트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덮개(1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2)가 제1 푸쉬 메시지를 나타내는 표시 영역만을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제1 푸쉬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부(11)를 보호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1 푸쉬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로 제2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2)는 제1 푸쉬 메시지는 물론 제2 푸쉬 메시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1)의 표시 영역을 추가적으로 개방하도록 더욱 구동될 수 있다.The driving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디바이스(100)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13은 커버 디바이스(100)의 커버부(110)가 단말기(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커버 디바이스(100)의 커버부(110)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도록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13 to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부(110)는 단말기(1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기 위한 덮개(112)와 덮개(112)를 단말기(10)에 부착하기 위한 다수의 제1 전자석(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112)는 접힐 수 있도록 다단 연결된 복수의 부분덮개(1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13 to 14, the
다수의 제1 전자석(121)은 인접한 부분덮개(1121) 간의 접히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덮개 구동 제어부(도 4의 도면부호 123)는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에 따라 단말기(10)에 구비된 제2 전자석(122)으로부터 척력이 가해지도록 다수의 제1 전자석(121)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덮개(12)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가 개방된다.A plurality of
도 13 내지 도 14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석 모듈(121,122)에 의해 덮개(112)를 단말기(1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단말기(10)와 덮개(112)가 커넥터(도시생략)로 연결되는 초기 동작시,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덮개(112)에 구비된 제1 전자석(121)와 단말기(10)에 구비된 제2 전자석(122) 간에 자기력(인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를 덮도록 단말기(10) 상에 덮개(112)가 부착된다. 사용자가 단말기(10)와 덮개(112)의 커넥터 간의 연결을 차단하면, 덮개 구동 제어부(123)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차단되어 제1 전자석(121)과 제2 전자석(122) 간의 인력이 사라지고, 덮개(112)를 단말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3 to 14, the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커버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단말기(10)에 첫번째 푸쉬 메시지가 수신될 때의 커버 디바이스(100)의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기(10)에 첫번째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덮개(112)의 끝부분에 구비된 부분덮개(1121a)의 말단에 배치된 제1 전자석(121a)과, 단말기(10)의 끝부분에 배치된 제2 전자석(122a)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1 전자석(121a)과 제2 전자석(122a)에 전기신호가 가해지고,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메시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의 표시 영역 측에 구비된 끝단의 부분덮개(1121a)의 일단이 위로 들어 올려진다. 덮개(112)가 열리면,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이 켜지고, 어플리케이션의 알림(notification)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메일이 수신되면, 도착한 메일에 대한 정보와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될 수 있다.Figs. 15 to 1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도 16 및 도 17은 단말기(10)에 두번째의 푸쉬 메시지가 수신될 때의 커버 디바이스(100)의 구동 상태를 보여준다. 첫번째 푸쉬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두번째의 푸쉬 메시지가 수신되면, 덮개(112)의 첫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a)와 두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b) 사이에 배치된 제1 전자석(121b)과 단말기(10)의 끝부분에 배치된 제2 전자석(122a) 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1 전자석(121b)과 제2 전자석(122a)에 전기신호가 가해지고,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푸쉬 메시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의 표시 영역 측에 구비된 두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b)의 일단이 위로 들어 올려진다.16 and 17 show the driving state of the
덮개(112)의 세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c)와 네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d) 사이에 배치된 전자석(121d)(제3 전자석으로 동작)은 덮개 구동 제어부(도 4의 도면부호 123)에 의해 첫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a)의 말단에 배치된 제1 전자석(121a)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전기신호가 가해지고,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a)의 말단이 세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c)와 네번째 단의 부분덮개(1121d) 사이의 전자석(121d)에 부착된다.An
기존에는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 수신과 같은 이벤트 발생시 진동을 발생하거나, 독특한 소리를 내거나, LED 발광을 행하는 등의 알림 기능이 구현되었으나, 도서관이나 강의실과 같은 장소에서는 진동이나 소리에 의한 알림 방식이 적절하지 않으며, LED 발광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인간은 물체의 움직임에 대해 시각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덮개(112)의 개방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10)에 이벤트 발생시 사용자가 커버부에 손대지 않고도 덮개(112)가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특히 사용자가 한 손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notification function such as a vibration, an unusual sound, or an LED emission has been implemented in an event such as a push message reception in a terminal, but in a place such as a library or a lecture room, In the case of the LED light emission method, the user sometimes fails to notic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Since the human being is sensitive to the motion of the object visually sensitive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ffectiv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roug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구동부(120)는 설정된 위치 혹은 장소에서 단말기(10)에 발생한 이벤트에 따른 덮개 개방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기본설정 혹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위치(예를 들어, 공공 장소)에서는 단말기(10)에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커버 디바이스(100)의 덮개(112)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다른 예로,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기본설정 혹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공간에서 덮개(112)가 단말기(10)의 이벤트에 따라 열리는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를 휴대한 사용자가 직장 내 사무실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으로 덮개(112) 열림 모드로 전환되어, 중요한 푸쉬 메시지가 도착했을 때, 단말기(10)는 알림 소리(Ringtone, Alert)나 진동(Vibrate on Ring)을 최소화하고, 닫혀있는 덮개(112)를 물리적으로 펼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id
구동부(120)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덮개(112)가 자동으로 열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20)는 매일 오전 9시마다 덮개(112)가 특정 형태로 열리도록 할 수 있으며, 단말기(10)는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설정하였거나 주로 사용하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driving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패턴을 기록하는 로그 기록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로그 기록부에 의해 기록된 사용자의 단말기(10) 사용 패턴에 따라, 단말기(10)에 발생한 이벤트에 따른 덮개(112)의 개방시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 9시에 덮개(112)가 열리고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하였으나, 통계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제 사용이 시작되는 시간이 오전 10시일 경우, 덮개(112)가 최초 개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밝기를 최저 수준으로 설정하여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log recording unit (not shown) for recording the terminal usage pattern of the user.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구동부(120)는 이미지 센서부(13)에 의해 측정된 단말기(10) 주변의 밝기 정보에 따라 단말기(10)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덮개(112)의 개방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의 조도 센서, 전후면 카메라 등에서 밝기값이 모두 특정 수준 이하로 감지될 경우, 구동부(120)는 단말기(10)가 가방 안이나 주머니 등 사용자가 알림 사항을 확인할 수 없는 공간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덮개(112)의 개방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부(120)는 레이저 센서와 같은 근접 센서에 의하여 단말기(10)가 가방이나 주머니 안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단말기(10)에 알림이 도착했을 때 덮개(112)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driving
덮개(112)의 의도되지 않은 개방은 불필요한 디스플레이부(11) 화면 입력이나 배터리 소모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덮개(112)의 알림을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도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10)의 이벤트에 따라 덮개(112)가 개방되었을 때 단말기(10)는 일정 시간 동안 전면 카메라의 얼굴 인식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Unintentional opening of the
예를 들어, 3차례 이상 덮개 개방 기능을 통한 알림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단말기(10)에 대한 입력이 전혀 없을 경우, 얼굴 인식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는 경우, 덮개(112)의 개방에 의한 알림을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며, 설정에 따라 덮개(112) 개방 기능을 실행한다. 만약,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덮개(112) 개방에 의한 반복 알림을 중지하거나, 덮개(112) 개방을 통한 알림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no input to the user's
단말기(10)는 덮개(112)에 의해 노출된 개방 영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1)의 화면 표시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전체 디스플레이부(11)의 면적 중 덮개(112)에 의해 가려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화면 표시 영역에 알림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노출된 화면 표시 영역의 면적, 크기에 맞게 사용자 환경 요소의 크기와 배치, 비율 등을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10 can control the screen display area of the
투명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단말기(10)는 커버부(110)의 색상을 카메라 촬영, 조도 센서 등을 통해 인식한 후, 커버부(110)의 색상에 대해 보색을 갖도록 각 GUI의 색상 등 디스플레이부(11)의 표시 정보를 자동 보정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신규 알림 정보가 발생했을 때, GUI 요소를 디스플레이부(11) 화면에 표시하고, GUI 버튼이 배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을 돌출시키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10 using the transparent display recognizes the color of the
만약, 단말기(10)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을 시도하여 실패할 경우,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디스플레이부(11)를 닫도록 덮개(112)를 구동하여 단말기(10)의 사용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덮개 구동 제어부(123)는 사용자가 덮개(112)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덮개(112)에 구비된 제1 전자석(121)과 단말기(10)에 구비된 제2 전자석(122) 간에 강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전자석(121,122)에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If the user fails to input the password for the use of the terminal 10 and fails, the cov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알림 방법은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어 시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형태의 저장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event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can be creat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volatile memory such as SRAM (Static RAM), DRAM (Dynamic RAM), SDRAM (Synchronous DRAM),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Non-volatile memory such as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flash memory device, Phase-change RAM (PRAM), Magnetic RAM (MRAM), Resistive RAM (RRAM), Ferroelectric RAM But are not limited to, optical storage media such as CD ROMs, DVDs, and the like.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iterary description of the claims, To the invention of the invention.
10: 단말기
11: 디스플레이부
100: 커버 디바이스
110: 커버부
111: 수용부
112: 덮개
120: 구동부
121,122: 전자석
123: 덮개 구동 제어부
124: 커넥터
125: 구동수단10: Terminal
11:
100: Cover device
110:
111:
112: cover
120:
121, 122: electromagnet
123: lid drive control section
124: Connector
125: driving mean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1972AKR101597336B1 (en) | 2014-11-04 | 2014-11-04 | Cover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51972AKR101597336B1 (en) | 2014-11-04 | 2014-11-04 | Cover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97336B1true KR101597336B1 (en) | 2016-02-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51972AExpired - Fee RelatedKR101597336B1 (en) | 2014-11-04 | 2014-11-04 | Cover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9733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8066840A1 (en)* | 2016-10-07 | 2018-04-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se device |
| CN113593973A (en)* | 2020-04-30 | 2021-11-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Switch mechanism, char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 mechanism |
| CN116193551A (en)* | 2023-04-24 | 2023-05-30 |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 Low-power-consumption intelligent electronic control device |
| KR102738362B1 (en)* | 2023-12-26 | 2024-12-06 | (주)우일코퍼레이션 | Display Panel Test Device and Method thereof |
| KR102819899B1 (en)* | 2023-12-07 | 2025-06-13 | 윤세원 | A smartphone case that protects the user by effectively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smart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23394A (en)* | 2004-06-25 | 2005-12-29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mproved alram funtion and method for alram control thereof |
| KR100845221B1 (en)* | 2007-03-08 | 2008-07-0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LCD Screen Protector |
| KR20140103525A (en)* | 2013-02-18 | 2014-08-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123394A (en)* | 2004-06-25 | 2005-12-29 | 주식회사 팬택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improved alram funtion and method for alram control thereof |
| KR100845221B1 (en)* | 2007-03-08 | 2008-07-0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LCD Screen Protector |
| KR20140103525A (en)* | 2013-02-18 | 2014-08-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8066840A1 (en)* | 2016-10-07 | 2018-04-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se device |
| CN113593973A (en)* | 2020-04-30 | 2021-11-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Switch mechanism, char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 mechanism |
| CN116193551A (en)* | 2023-04-24 | 2023-05-30 |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 Low-power-consumption intelligent electronic control device |
| KR102819899B1 (en)* | 2023-12-07 | 2025-06-13 | 윤세원 | A smartphone case that protects the user by effectively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smartphone |
| KR102738362B1 (en)* | 2023-12-26 | 2024-12-06 | (주)우일코퍼레이션 | Display Panel Test Device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97336B1 (en) | Cover device | |
| WO2012121187A1 (en) | Mobil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alarm control method | |
| US20140141838A1 (en) | Mobile device case with interchangeable display | |
| KR20150124710A (en) | Mobile terminal case and mobile terminal | |
| US20120302294A1 (en) | Illuminated cell phone case | |
| KR2013008161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 |
| KR20170076435A (en) | Accessory apparatus of portable apparatus | |
| KR20110050243A (en) | Handheld terminal | |
| US20160119463A1 (en) | Wristbands, methods for controlling a wristband, and computer readable media | |
| KR20150081394A (en) | Mobile terminal | |
| EP2716022A1 (en) | Illuminated cell phone case | |
| KR20160036231A (en) | Mobile terminal | |
| CN118413586A (en) | Hand-hel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1557354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mode thereof | |
| US20190109935A1 (en) | Mobi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device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KR101560389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 |
| US9223427B2 (en)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keylock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 |
| TW201405540A (en) | Display device | |
| KR101823091B1 (en) | Case device for mobile device and informaion display system using case of mobile device | |
| JP5529482B2 (en) | Non-contact charging device, terminal device thereof, and program | |
| JP5926418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 CN112513801A (en) | Display method, rela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11418197A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CN107148604A (en) | Electronic installation and feedback offer method | |
| KR10168816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2-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618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00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0021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