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문제 유형별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제유형을 기반으로 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배포한 후 QR코드가 인쇄된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공부할 경우에도 답안을 바로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틀린 문제에 대한 문제해설이나 보충강의를 바로 들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를 통한 학습이력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lem-specific le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blem-based learn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nd distributes a textbook based on a problem type, and then links the offline textbook printed with the QR code to an online datab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offline learning system capable of promptly reviewing problems, commenting on wrong problems or listening to supplementary lectures, and continuously managing learning histories through offline textbooks.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정분야의 정보 확보 및 그 전송기술은 무선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그 성장이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으며, 전송용량에 있어서도 메가(MEGA)급의 데이터에서 기가(GIGA)급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provid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fields via a long distanc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a plurality of subscribers through at least one host server in real time. The securing of information in this specific field and its transmission technology is rapidly growing through the wireless and wired Internet networks and the transmission capacity is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mega level data to the GIGA level to be.
최근에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학습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각종 학원이나 교육센터 등이 온라인 학습 강좌를 개설하여 오프라인 교육과 함께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motivate new learning motivation for students, various institutes and educational centers have opened online learning courses to provide offline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services. Especially, as the spread of smart phon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becomes common, interest in online learning that can be learned anytime and anywhere is rapidly increasing.
이와 같은 온라인 학습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2012-0107215호는 학습자의 학습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학습자의 학습내용에 따라 수학문제에 대한 풀이를 가이드하며, 학습자의 학습 이력에 따라 학습 환경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수학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학교육 서비스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공개특허의 수학교육시스템은 학습자의 학습환경에 따른 문제를 학습자에게 표시하며,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문제에 대한 풀이를 안내하는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기와 접속되며, 학습자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문제를 설정된 파일구조에 따라 부호화하여 시맨틱(semantic) 정보 및 메타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학습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하며, 학습자의 학습 이력에 따라 대응하는 문제를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수학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로 구성된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on-line learning,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107215 confirm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in real time, guides the solving of the mathemat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confirmed learner, And provides mathematical learning services adaptively to the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ereby providing a customized mathematical education service optimized for individual users. To this end, the mathematical education system of the open patent displays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learner to the learner, confirm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er about the problem in real time, and informs the learner terminal about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learner ' , A learner terminal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learner terminal encodes a problem to be provided to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a set file structure, stores the learner's terminal together with semantic information and meta data, manages the learning history of the learner,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roblem to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education servi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수학 학습 시스템은 e-러닝 기반의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문제풀이 가이드를 제공하나 학습자가 어느 문제유형이 취약한지 분석하기 어렵고, 다양한 학습방식의 교제를 제공하지 못하여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nline mathematical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vides an e-learning-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and provides a guide to problem solving, but it is difficult to analyze which type of problem is weak for a lear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becomes poor.
특히, 종래에는 온라인 교재로 학습할 경우에는 바로 평가가 이루어져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 문제해설이나 보충강의를 바로 들을 수 있으나 오프라인 교재로 학습할 경우에는 정답을 보고 학생이 채점해야 하므로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한 학생의 학습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틀린 문제에 대한 문제해설이나 보충강의를 바로 이용하지 못하고 따로 학습해야 하므로 학습효율이 떨어지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ast, when learning by online teaching materials, the evaluation is made and the learning history can be managed.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hear the commentary or supplementary lectures immediately. However, when learning with offline teaching material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student using the offline textbook is not properly managed and the learning efficiency is low and inconvenient because the student must learn the problem description or the supplementary lecture about the wrong problem immediately.
(특허문헌 1) KR10-1192684 B1
(Patent Document 1) KR10-119268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고 문제유형을 기반으로 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배포한 후 QR코드가 인쇄된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공부할 경우에도 답안을 바로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틀린 문제에 대한 문제해설이나 보충강의를 바로 들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를 통한 학습이력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lem database by classifying problems by type, automatically generate and distribute textbooks based on problem types, When offline textbooks are connected to online databases, students can immediately evaluate their answers and see the results. Also, they can listen to problem descriptions and supplementary lectures on the wrong questions, Off-line interworking learning system.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학습할 문제들을 과정이나 난이도, 내용, 문제형식에 따라 다수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고, 교사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제들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교재를 생성해주고 학습자의 답안을 평가하면서 학습자의 이해정도를 문제유형별로 분석하여 학습이력을 관리해주는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과정을 생성하고 학습자들을 관리하는 교사가 사용하는 교사 단말기와, 상기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에 등록하여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생 단말기와, 학습자가 휴대할 수 있고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에 접속되어 오프라인 교재의 답안을 입력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는,
다수의 문제들이 유형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정보와 학습이력이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교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해당 문제유형의 문제들을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 학습자 맞춤형 문제를 출제해주는 자동 문제출제부;
교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출제된 문제들을 교재 형식으로 생성해주는 자동 교재생성부;
교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 교재를 사용할 학습자들의 QR 코드북을 생성해주는 QR코드북 생성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QR코드가 입력되면 QR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제공하는 QR코드 연동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의 정오를 판단하는 정오판단부;
문제유형별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판단해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 후, 사용자가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색상이나 도안으로 구분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문제유형별로 평가해주는 유형분석부;
각 학습자별로 문제유형별 학습이력을 관리해주는 학습이력 관리부; 및
상기 자동 교재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교재를 인쇄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발행해주는 교재발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오프라인 교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카메라모듈과,
스캔된 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QR코드 디코더와,
답안을 입력받기 위한 답안 입력창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와,
답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QR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 서버로 QR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QR 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답안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평가결과가 수신되면 평가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오프라인 교재와 학습 서버를 연결하여 오프라인 교재의 학습시에도 유형분석을 통해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은 상기 자동 교재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교재를 인쇄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발행해주는 교재발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problems to be learn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process, difficulty level, content, and problem type, stores them in a database, Based learning server for extracting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textbook and analyzing a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a problem type and evaluating an answer of the learner; A student terminal used by learner who performs online learning by registering with the question type-based learning server, and a student terminal which can be carried by the learner, Connected to the problem type-based learning server, In the off-line on-peristaltic learning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for inputting the inside,
 The problem type based learning server comprises:
 A problem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problems are classified and stored by type;
 A subscriber database storing user information and learning history;
 An automatic problem solving unit for bringing problems of the problem type from the problem database according to a teacher setting inputted through the teacher interface to issue a learner customized problem;
 An automatic teaching materi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written questions in the form of a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teacher setting inputted through the teacher interface;
 A QR codebook generator for generating QR codebooks of learners to use the textbooks generated according to teacher settings inputted through a teacher interface;
 A QR code interworking unit for providing an answ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when the QR code is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noon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no answer of the inputted answer when the answer is input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type analyzer for dividing the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ype of problem into a plurality of levels, visually indicating the learner's level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oblem;
 A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learning history for each question type for each learner; And
 And a textbook issuing unit for printing out a textbook created by the automatic textbook creator and issuing the textbook as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The terminal compris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with a serv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 camera module for scanning a QR code printed or attached to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A QR code decoder for decoding the scanned QR cod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answer input window for inputting an answer,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nswer,
 A memory for storing data,
 When the QR code is input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the QR code is transmitted to the learning server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upon receiving the answ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from the learning server, the QR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answer is inputted, the inputted answ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and when the answer is inputted, the answer is transmitted to the learning server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When the evaluation result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he evaluation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control unit
 The offline learning materials are connected with the learning server and the learning history can be managed through the type analysis during the learning of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The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extbook issuing unit for printing the textbook created by the automatic textbook creating unit and issuing the textbook as an offline textbook.
상기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오프라인 교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카메라모듈과, 스캔된 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QR코드 디코더와, 답안을 입력받기 위한 답안 입력창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와, 답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QR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 서버로 QR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QR 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입력부를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 후 답안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학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평가결과가 수신되면 평가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The terminal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amera module for scanning a QR code printed or attached to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a QR code decoder for decoding the scanned QR code, A memory for storing data;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QR code to the learning server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when the QR code is input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Upon receipt of the answ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from the learning server, the answer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 answer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inputted answ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result to the learning server. When the evaluation result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On the displ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단말기는 앱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이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오프라인 교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상기 학습 서버는 앱에 의해 학습자를 식별하고, QR코드에 의해 학습할 단원을 식별하여 해당 답안 입력창을 제공하고, 답안 입력창을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평가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학습하는 경우에도 문제유형별로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mart terminal scans the QR code of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the learning server identifies the learner by the application, identifies the unit to be learned by the QR code, And if the answer is input through the answer input window, the learning history can be managed by the problem type even when the offline learning material is evaluated and evaluated.
또한 상기 단말기는 앱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이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앱을 구동하면, 상기 학습 서버는 앱에 의해 학습자와 학습자가 학습할 오프라인 교재를 식별하여 해당 교재의 답안 입력창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항목을 제공하며,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답안 입력창을 제공하고, 답안 입력창을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평가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학습하는 경우에도 문제유형별로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is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When the smart terminal operates an app, the learning server identifies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to be learned by a learner and a learner by an application and selects an answer input window If a menu item is selected, the answer input window is provided. If an answer is inputted through the answer input window, the learning history can be manag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even when the offline text is evaluated and evalu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른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문제 유형별로 자신의 이해도의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약한 유형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풀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유형에 대해서도 학습 상태에 따라 이해도에 대한 상태를 달리 표시하여 사용자가 추가 학습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user to recognize the state of his or her comprehension degree by the problem type step by step, thereby to provide another problem repeatedly to the weak type, The user can sufficiently understand the problem and display the state of th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te even for the type sufficiently understood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additional learning so that the user can learn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공부할 경우에도 답안을 바로 평가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틀린 문제에 대한 문제해설이나 보충강의를 바로 들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를 통한 학습이력도 별도의 데이터 입력없이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ffline textbooks are connected to a database on-line, it is possible to directly evaluate the answers and to check the results even when the offline textbooks are studied, and can listen to problem descriptions or supplementary lectures on the wrong problems, The learning history can be continuously managed without inputting additional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의 전체 기능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전용 단말기의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의 전체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QR 코드북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오프라인 학습 교재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답안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형분석 이력 화면의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앱과  QR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교재 학습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교재를 학습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verall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roblem type based learning server shown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dedicated terminal shown in FIG. 1,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procedure of a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example of a QR codebook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n offline learning materi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inputting an answer using a dedicated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type analysis histor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learning procedure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terminal and a QR c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learn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터블 전용 단말기의 구성 블럭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roblem type based learning server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problem type based learning server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에 따른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할 문제들을 과정이나 난이도, 내용, 문제형식 등에 따라 다수의 문제유형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고 교사가 요청하는 교재를 자동으로 생성해주고 학생의 답안을 평가하면서 학생의 이해정도를 문제유형별로 분석하여 학습이력을 관리해주는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100)와, 통신망(102)을 통해 학습 서버 (100)에 접속하여 과정(반)을 생성하고 학생들을 관리하는 교사가 사용하는 교사 단말기(200)와, 학습 서버(10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학생 단말기(300)와, 학생이 휴대할 수 있고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학습 서버(100)에 접속되어 오프라인 교재의 답안을 입력하기 위한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the problems to be learned into a plurality of problem types according to the process, difficulty level, contents, problem type, etc. and stores them in a database. A problem type based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망(102)은 교사 단말기(200)나 학생 단말기(300) 및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와 학습 서버(100)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단말기의 통신방식에 따라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이동통신망, WiFi,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1, the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데이터 베이스(110)와,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120), 문제 데이터베이스(110)를 관리하기 위한 문제 DB 매니져(116),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120)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DB 매니져(126), 문제유형 분류부(130), 교사 인터페이스(I/F; 141), 자동 문제출제부(142), 자동 교재생성부(143), QR코드북 생성부(144), 교재발행부(145), 학생인터페이스(I/F; 151), QR코드 연동부(152), 정오판단부(153), 오답이유판단부(154), 오답노트생성부(155), 유형분석부(156), 학습이력 관리부(157)로 구성된다.2, the problem type-based
도 2를 참조하면, 문제 데이터 베이스(110)는 다수의 문제들이 유형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문제 저장부(112)와, 문제와 관련된 해설이나 동영상 강의 등이 저장되어 있는 문제 해설 저장부(114)로 구성되고,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120)는 학생의 학습이력이 저장되어 있는 학습이력 저장부(122)와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12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문제유형 분류부(13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시나 새로운 문제가 입력되면 과정이나 난이도, 내용, 문제형식 등에 따라 문제 유형별로 분류하여 문제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예컨대, 본 발명을 수학 학습에 적용할 경우에 초등, 중등, 고등학교의 모든 학년별 수학문제들을 모두 수집하여 학년, 과정 등으로 구분한 후 각 과정마다 문제유형을 분류하여 각 문제에 분류기호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The problem
자동 문제출제부(142)는 교사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해당 문제유형의 문제들을 문제 데이터베이스(110)에서 가져와 학생 맞춤형 문제를 출제해준다.The automatic
자동 교재생성부(143)는 교사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출제된 문제들을 다운로드 가능한 PDF 파일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교재 형식으로 생성해준다.The automatic teaching
QR코드북 생성부(144)는 교사 인터페이스(141)를 통해 입력된 교사의 설정에 따라 생성된 교재를 사용할 학생들의 QR 코드북을 생성해준다. 즉, 오프라인 교재로 학습할 경우에도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상에서 학생의 학습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오프라인 교재의 답안을 입력한 학생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교재의 학습단위에 맞춰 각 학생마다 QR코드를 생성하여 오프라인 교재에 사용할 전체 코드들을 코드북으로 생성해 준다.The
교재발행부(145)는 자동 교재생성부(143)에 의해 생성된 교재를 인쇄하여 오프라인 교재로 발행해준다.The
QR코드 연동부(15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QR코드가 입력되면 QR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제공하고, 정오판단부(15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의 정오를 판단한다.When the QR code is input through the
오답이유판단부(154)는 오답이유를 판단해주고, 오답노트생성부(155)는 오답노트를 생성해준다.The incorrect answer
유형분석부(156)는 학생의 과제 학습에 대한 이해정도를 문제유형별로 평가한 후 이해정도를 색상이나 도형 등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여 학습자가 문제유형별로 자신의 이해수준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제유형별로 이해수준은 다음 표 1과 같이 7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The
상기 표1을 참조하면, 해당 문제유형에 대한 이해정도를 1단계에서 7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1단계는 사용자가 한 번도 접한 적이 없는 경우이고, 2단계는 자료부족으로 사용자가 해당 유형에 대하여 어떠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는 단계이다.Referring to Table 1,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type is classified into 1 to 7 levels. For example, the first stage is a case where the user has never touched at all, and the second stage is a stage where the user can not judge what kind of understanding the user has due to lack of data.
3단계와 4단계는 부정단계로서,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이다. 세부적으로 3단계는 정답률이 1/3 미만으로 일 예로 해골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고, 4단계는 정답률이 1/2 미만인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5단계는 혼합단계로서, 일 예로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사용자가 맞고 틀리고를 반복하여 보완이 팔요한 수준이다.
6단계와 7단계는 긍정단계로서, 사용자가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해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이다. 세부적으로 정답률이 1/2 이상이면 6단계, 정답률이 2/3 이상이면 7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6단계는 일 예로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7단계는 별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학습이력 관리부(157)는 주간단위로 각 학생의 문제유형별 학습이력을 관리해주어 학습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현재의 이해도를 기준으로 예상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7) manages the learning history of each student by the problem type on a weekly basis so that the change of the learning can be grasped at a glance, and the expected scor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degre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교사 단말기(200)나 학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져가 탑재된 데스크탑 PC, 노트북 혹은 웹 사이트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이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는 오프 라인 교재로 학습할 경우에 답안을 입력하여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도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2)을 통해 학습 서버(100)와 접속하기 위한 서버 통신부(410)와, 오프라인 교재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QR 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QR코드  스캔부(442)와, 스캔된 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QR코드 디코더(444)와, 답안을 입력받기 위한 답안 입력창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454)와, 답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52)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30)와, QR코드가 입력되면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학습 서버(100)로 QR 코드를 전송하고, 학습 서버(100)로부터 QR 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454)에 표시함과 아울러 입력부(452)를 통해 답안이 입력되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430)에 임시 저장한 후 답안 입력이 완료되면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학습 서버(100)로 전송하고,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평가결과가 수신되면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454)에 표시하는 제어부(420)로 구성된다.The portable
도 3을 참조하면,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는 집이나 학교, 도서관 등에서  오프라인 교재로 공부할 경우에 가지고 다니기 쉽도록 휴대형으로 되어 있으며, 오프라인 교재를 온라인상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전용 단말기(400)는 테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이 언제 어디서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학습 서버(100)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또한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는 문제풀이나 동영상 강의를 실행하여 틀린 문제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바로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QR 코드 스캔부(442)는 카메라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부(452)와 디스플레이(454)는 터치스크린(450)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QR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문제유형 기반 학습 시스템의 전체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QR 코드북의 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오프라인 학습 교재의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답안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형분석 이력 화면의 예이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entire operation procedure of a problem type-based learn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a QR codebook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100)는 학생들이 학습할 문제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으며, 교사나 학생이 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교사나 학생들의 정보를 등록하여 학생이나 교사를 관리한다(S101~S104).Referring to FIG. 4, the problem type-based
교사가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하면 교사에게는 교사모드에서 교사 인터페이스(141)를 제공하고, 교사는 과정(반)을 생성한 후 자동 문제출제부(142)를 통해 학생들에게 제공할 문제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자동 교재생성부(143)를 통해 생성된 문제들을 자동으로 교재로 생성한다(S105~S107). 생성된 교재는 바람직하게는 다운로드 가능한 PDF형식이며, 학생들에게 교재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하다.When the teacher accesses through the terminal 200, the teacher is provided with the teacher interface 141 in the teacher mode, and the teacher generates a process (half), and automatically issues a question to be provided to the students through the automatic
교재를 생성한 후 교재를 학습할 학생들 각자에 맞는 QR 코드북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한다(S108). 도 5를 참조하면, QR 코드북에는 오프라인 교재의 각 패이지에 부착될 QR코드들이 인쇄되어 있으며, 각 QR코드에는 학생과 학습할 진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있다After creating the textbook, a QR codebook suitable for each student to learn the textbook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5 (S108). 5, QR codes to be attached to each page of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s are printed in the QR codebook, and each QR code is given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progress with the student
교재발행부(145)에서 PDF 교재와 QR 코드북을 인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교재를 제본한 후 각 학생들에게 오프라인 교재와 해당 학생의 QR 코드북을 배송한다(S109). QR 코드북은 파일형태로 해당 학생에게 전송하여 해당 학생이 프린터로 직접 인쇄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교재에는 문제번호에 색상으로 문제의 중요도가 표시되어 있고, 문제번호 옆에 난이도와 문제유형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The
학생은 오프라인 교재와 QR 코드북을 준비한 후 오프라인 교재의 각 페이지마다 대응하는 QR 코드를 부착한다(S110).After preparing the offline textbook and the QR codebook, the student attaches a corresponding QR code to each page of the offline textbook (S110).
이후 학생은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하여 학습시에 공부할 페이지의 QR코드를 포터블 전용 단말기(400)로 스캔하고, 스캔된 QR코드는 전용 단말기(400)에서 디코딩된 후 서버 통신부(410)를 통해 학습 서버(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로 전달되고, 학습 서버(100)는 QR코드 연동부(152)에서 QR 코드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제공한다(S111~S113). 만일 오프라인 교재에 문제해설이나 동영상 강의를 위한 QR 코드가 인쇄된 경우에 해당 QR 코드를 스캔하면 학습 서버(100)는 해당 문제에 대한 해설이나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n, the student scans the QR code of the page to be studied at the time of learning with the portable
전용 단말기(400)는 서버로부터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답안 입력창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하고, 학생이 오프라인 교재의 문제를 풀면서 답안을 입력하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430)에 일시 저장한다(S114,S115).When receiving the answer input window from the server, the
답안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전용 단말기(400)는 입력된 답안을 학습 서버(100)로 전송하고, 학습 서버(100)는 답안을 평가하여 해당 학생의 학습이력에 저장함과 아울러 평가결과를 전용 단말기(400)로 전송한다(S116~S119).When the answer input is completed, the
학습 이력 관리단계(S119)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단위로 각 학생의 문제유형별 학습이력을 관리해주어 학습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현재의 이해도를 기준으로 예상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In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step S119, as shown in FIG. 8, the learning history of each student is manag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 at weekly intervals, so that the change of the learning can be grasped at a glance, and the expected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level It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용 단말기(400)에서 평가를 확인한 후 틀린 문제에 대한 오답노트를 원하거나 문제해설을 요청하면 학습 서버(100)는 오답노트나 틀린이유, 문제해설이나 동영상 등 보충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교재의 문제에는 중요도나 난이도 문제유형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를 보고 전용 단말기를 통해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동일한 유형의 문제를 반복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QR코드 전송이 가능한 전용 단말기와 오프라인 교재 및 오프라인 교재에 부착된 QR 코드를 통해 오프라인 상의 교재를 온라인상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다양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별도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고서도 오프라인 교재로 학습한 이력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a textbook in offline with a database on-line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 QR code and a QR code attached to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and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to enable various learning, It is also possible to conveniently manage the history learned with offline teaching materials.
이상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용 단말기를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용 단말기 대신에 범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앱(App)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 dedicated terminal is used as an example. However, instead of the dedicated terminal, an app may be installed in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widely used for general purpose.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앱과 QR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교재 학습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learning procedure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terminal and a QR c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에는 오프라인 교재를 온라인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앱이 탑재되어 있고, 오프라인 교재에는 해당 교재의 단원을 나타내는 QR코드가 인쇄되어 있다(S201).Referring to FIG. 9, an application for connect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to an online problem database is mounted on a smart terminal, and a QR code indicating a unit of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 is printed o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S201).
스마트 단말기의 앱을 구동시키면 자동으로 학습 서버(100)에 접속돠어 로그인할 수 있게 하고, 학습 서버(100)는 로그인한 학생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학습할 학생에 대해 식별하게 된다(S202).Whe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is activated, the learning
스마트 단말기로 오프라인 교재에 인쇄된 QR코드를 스캔하면, QR코드 데이터가 학습 서버(100)로 전송되고, 학습 서버(100)는 이에 따라 해당 과정의 문제 입력에 적합한 답안 입력창을 제공한다(S203,S204).When the QR code printed o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is scanned by the smart terminal, the QR code data is transmitted to the
스마트 단말기는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답안 입력창을 표시하고, 학생이 오프라인 교재의 문제를 풀면서 답안을 입력하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다(S205).Upon receiving the answer input window, the smart terminal displays the answer input window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student inputs the answer while solving the problem of the offline textbook, the smart terminal temporarily stores the answer inputted through the input window in the memory (S205).
답안 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답안을 학습 서버(100)로 전송하고, 학습 서버(100)는 답안을 평가하여 해당 학생의 학습이력에 저장함과 아울러 평가결과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한다(S206~S209).When the answer input is completed, the smart terminal transmits the inputted answer to the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에서 평가를 확인한 후 틀린 문제에 대한 오답노트를 원하거나 문제해설을 요청하면, 학습 서버(100)는 오답노트나 틀린이유, 문제해설이나 동영상 등 보충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오프라인 교재의 문제에는 중요도나 난이도 문제유형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정보를 보고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문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동일한 유형의 문제를 반복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After checking the evaluation on the smart terminal and requesting a wrong answer to the wrong question or requesting a commentary, the learn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QR코드 전송이 가능한 앱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와 오프라인 교재에 인쇄된 QR 코드를 통해 오프라인 상의 교재를 온라인상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다양한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fline learning materials can be connected to a database on-line through a QR code printed on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and a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 QR code.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교재를 학습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learn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에는 오프라인 교재를 온라인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앱이 탑재되어 있다(S301).Referring to FIG. 10, an application for connecting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to an online problem database is installed in the smart terminal (S301).
앱을 구동시켜 학습 서버(100)에 로그인하면 학습 서버(100)는 해당 학생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학습할 학생에 대해 식별하고 있고, 해당 학생이 현재 공부하고 있는 오프라인 교재에 대응하는 답안 입력창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S302~S304). 이때, 학습서버는 로그인한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검색하여 오프라인 교재의 이전 학습이력이 있으면, 다음 페이지의 문제풀이를 위한 답안 입력창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o log into the learning
스마트 단말기로 메뉴항목에서 공부할 진도를 선택하면, 학습 서버(100)는 이에 따라 해당 단원의 문제 입력에 적합한 답안 입력창을 제공한다(S305,S306).When the smart terminal selects the progress level to be studied in the menu item, the learning
답안 입력창을 수신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답안 입력창을 표시하고, 학생이 오프라인 교재의 문제를 풀면서 답안을 입력하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답안을 메모리에 일시 저장한다(S307).Upon receipt of the answer input window, the smart terminal displays the answer input window through the display, and when the student answers the question of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and inputs the answer, the answer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S307).
답안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스마트 단말기는 입력된 답안을 학습 서버(100)로 전송하고, 학습 서버(100)는 답안을 평가하여 해당 학생의 학습이력에 저장함과 아울러 평가결과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한다(S308~S311).When the answer input is completed, the smart terminal transmits the inputted answer to the
스마트 단말기에서 평가를 확인한 후, 틀린 문제에 대한 오답노트를 원하거나 문제해설을 요청하면 학습 서버는 오답노트나 틀린이유, 문제해설이나 동영상 등 보충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After confirming the evaluation on the smart terminal, if you want a wrong answer to a wrong problem or request a commentary, the learning server can provide supplementary materials such as an incorrect answer note, wrong reason, commentary or vide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앱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QR코드가 없는 오프라인 교재를 학습할 경우에도 별도의 데이터 입력없이 해당 학생의 학습 이력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without the QR code is learned using the smart terminal equipped with the app, the learning history of the student can be conveniently managed without inputting any additional data.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문제유형 기반 학습 서버200: 교사 단말기
300: 학생 단말기400: 포터블 전용 단말기
110: 문제 DB120: 가입자 DB
130: 문제유형 분류부141: 교사 인터페이스
142: 자동 문제 출제부143: 자동 교재생성부
144: QR 코드북 생성부145: 교재 발행부
151: 사용자 인터페이스152: QR코드 연동부
153: 정오 판단부154: 오답이유판단부
155: 오답노트생성부156: 유형분석부
157: 학습이력관리부100: problem type based learning server 200: teacher terminal
 300: Student terminal 400: Portable terminal
 110: Problem DB 120: Subscriber DB
 130: Problem type classification section 141: Teacher interface
 142: automatic trouble shooting unit 143: automatic teaching material generating unit
 144: QR codebook generator 145:
 151: User interface 152: QR code interlocking part
 153: Noon judgment unit 154: Error answer reason judgment unit
 155: wrong answer note generation unit 156: type analysis unit
 157: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epartmen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3168AKR101576727B1 (en) | 2014-02-27 | 2014-02-27 | Education system based on type of question using qr code and app | 
| CN201510087858.0ACN104882038B (en) | 2014-02-27 | 2015-02-25 | Use Quick Response Code (QR) and the on-line off-line interconnection learning system of applica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23168AKR101576727B1 (en) | 2014-02-27 | 2014-02-27 | Education system based on type of question using qr code and app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01632A KR20150101632A (en) | 2015-09-04 | 
| KR101576727B1true KR101576727B1 (en) | 2015-12-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23168AExpired - Fee RelatedKR101576727B1 (en) | 2014-02-27 | 2014-02-27 | Education system based on type of question using qr code and app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76727B1 (en) | 
| CN (1) | CN104882038B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853437A (en)* | 2019-11-27 | 2020-02-28 | 墨子(深圳)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 Intelligent device based on operation tutoring and correct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02860B1 (en)* | 2015-11-13 | 2017-02-06 | 메가넥스트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Sharing Result Platform | 
| CN107819810A (en)* | 2016-09-14 | 2018-03-20 | 北京新唐思创教育科技有限公司 | adaptive planning system | 
| KR101934481B1 (en)* | 2017-07-12 | 2019-01-02 | 차길영 | Offline and online interlinking learning service system | 
| CN109523850A (en)* | 2019-01-04 | 2019-03-26 | 北京盒子鱼教育科技有限公司 | Exercise volume, remote teaching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exercise volume | 
| CN111340660B (en)* | 2019-07-01 | 2023-09-01 | 黑龙江省华熵助晟网络科技有限公司 | Online learning auxiliary system and method | 
| CN113223352B (en)* | 2021-05-08 | 2022-11-29 | 北京电子科技职业学院 | A modular task-based learning system | 
| KR102589443B1 (en)* | 2023-08-21 | 2023-10-16 | 주식회사 비전트리 | Online Mock Test Method | 
| KR102685218B1 (en)* | 2023-10-10 | 2024-07-17 | 주식회사 매쓰홀릭 | Method for analyzing result of math learning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29860B1 (en)* | 2011-10-20 | 2013-02-05 | 주식회사 매쓰홀릭 |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e-learn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20079918A (en)* | 2011-01-06 | 2012-07-16 | (주)비상교과서 | Learning service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 
| KR20120090484A (en)* | 2011-02-08 | 2012-08-17 | 주민정 | Method for online study by select question | 
| CN202615644U (en)* | 2012-03-26 | 2012-12-19 | 屠琳 | Learning system provided with a subject selecting device | 
| CN202584156U (en)* | 2012-05-17 | 2012-12-05 | 北京市农林科学院 | Distance education code scanning device | 
| CN103489017A (en)* | 2013-09-23 | 2014-01-01 | 深圳市海云天科技股份有限公司 | Electronic examination paper hand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wo-dimension codes | 
| CN103489018B (en)* | 2013-09-26 | 2017-02-08 | 李卫东 | Two-dimension code intelligent fil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file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29860B1 (en)* | 2011-10-20 | 2013-02-05 | 주식회사 매쓰홀릭 |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e-learn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853437A (en)* | 2019-11-27 | 2020-02-28 | 墨子(深圳)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 Intelligent device based on operation tutoring and correct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01632A (en) | 2015-09-04 | 
| CN104882038B (en) | 2018-01-09 | 
| CN104882038A (en) | 2015-09-0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76727B1 (en) | Education system based on type of question using qr code and app | |
| KR102013955B1 (en) | Smart education system for software expert practical affairs education and estimation and method thereof | |
| US20140227675A1 (en) | Knowledge evaluation system | |
| US20120164619A1 (en) |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 US20100178645A1 (en) | Participant response system with question authoring/editing facility | |
| JP5505985B2 (en) | Learning system, learning method, learning server, and learning server program | |
| US2005027710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 |
| US10056002B2 (en) | Technologies for students evaluating teachers | |
| CN105185170A (en) | Mobile intelligent teaching system implemented by means of distributed display terminals | |
| KR20190012939A (en) | Personalized STEM lerning service system based on AI and method thereof | |
| CN102959602A (en) | Equation-based assessment grading method and participant response system employing same | |
| CN112596731A (en) | Programming teaching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intelligent education | |
| US20150339937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with test booklets and electronic devices | |
| KR20130104007A (en) | Web,application for studentwatchsystem linked by institutemanagement system, studying management method through scheduleadministration | |
| KR20150089425A (en) | Mathematics learning system for self leading using internet network | |
| CN102081865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monitoring using mobile devices | |
| KR100797225B1 (en) | e―Class management system and grading method | |
| KR101380692B1 (en) | Apparatus for on-line study and method for the same | |
| KR20220039861A (en) |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and educ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disabled and its method | |
| KR20140122415A (en) | Method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KR20140056854A (en) | System for providing problem solution video using qr cord | |
| CN105205763A (en) |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w media modes | |
| KR20090002136A (en) | Customized real-time evaluation and learning system and method | |
| CN114937281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KR20130046465A (en) |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by stages in digital textbook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7-rex-PX0601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3-3-V10-V11-apl-PJ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17 Effective date:20151029 | |
| PJ1301 | Trial decision | St.27 status event code: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20151029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14 0023168 Appeal request date:20150517 Appellate body name: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2015101002710 |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3-E10-E12-rex-PS0901 |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S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1010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1205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