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다기능 전기수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전기수술기몸체 내에 양극전류로 소작하는 기능과, 단극전류로 절개하는 기능과, 가위로 절단하는 기능과, 조직을 잡는 파악(grasper) 기능과, 조직을 박리하는 박리(dissection)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설계된 고품격 고품질의 다기능 전기수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 having a function of cauterizing an anode current in a single electrosurgical instrument body, a function of cutting by a single-pole current, a function of cutting by scissors, High-quality multi-function electrosurgical machine designed to be structur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both a function of dissecting a tissue and a function of dissecting a tissue.
외과(外科) 수술(手術)방법은 크게 질식(膣式, vaginal)수술방법, 복식(腹式, abdominal)수술방법, 복강경식(腹腔鏡式, laparoscopic)수술방법이 있는데 최근에는 최소한의 흉터, 적은 통증과 짧은 입원 일수, 빠른 일상 생활로의 복귀 등의 장점을 가진 복강경(내시경)식 수술방법(이하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 laparoscopy")이라 함)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Surgical procedures are largely vaginal, abdominal, laparoscopic, and laparoscopic. Recently, there have been fewer cases of scarring, Laparoscopic surg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paroscopic surgery", or "laparoscopy"), which has advantages of less pain, shorter hospitalization days, and quick return to daily life, has been greatly increased.
하지만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 laparoscopy) 즉,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은 또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laparoscopic surgery (laparoscopy), ie minimally invasive surgery, also has many drawbacks.
예를 들어 개복(開腹) 수술에 비해 오랜 수술 시간, 고가의 의료 기구를 사용함으로 의료 비용의 증가, 신종 합병증 발생 가능성, 새로운 집중적인 수련의 필요 등이다.For example, compared with laparotomy, it requires longer operation time, higher cost of medical equipment due to use of expensive medical equipment, possibility of new complication, and necessity of new intensive training.
이중 수술 시간의 증가는 작은 투관침(troca)을 통한 빈번한 기구의 교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The increase of the double operation time is mainly due to the frequent replacement of the instrument through the small trocar.
복강경 수술은 전기 수술(電氣 手術, electrosurgery)이라고 칭할 만큼 전기를 이용하여 수술한다.Laparoscopic surgery is done by using electricity, which is called electrosurgery.
전기(電氣)는 양극 전류(兩極 電流, bipolar current)와 단극 전류(單極 電流, monopolar current)가 있으며, 양극 전류는 조직(組織, tissue)을 응고/소작(凝固/燒灼, coagulation/cauterization) 시켜 혈관을 폐쇄(閉鎖)하며, 단극 전류는 절단(切斷) 전류(cutting current)와 응고(凝固) 전류(coagulation current)가 있어 조직(組織, tissue)의 절단(切斷, cutting) 기능과 작은 혈관(血管, vessel)의 응고/소작 기능을 수행한다.Electricity has a bipolar current and a monopolar current. Anodic current causes coagulation / cauterization of tissue, And the unipolar current has a cutting current and a coagulation current so as to cut and cut the tissue, Perform coagulation / cauterization of small vessels (vessels).
절단(cutting) 기능은 다시 절개(切開, incision)와 횡(가로) 절단(橫切斷, transection)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에서 절단(切斷, cutting) 기능중 절개(切開, incision)는 단극 전류 기구(monopolar instrument)를 사용하고, 횡(가로) 절단(橫切斷, transection)은 무전류(無電流)의 가위(scissors)를 주로 사용한다. The cutting function is divided into incision and transection. In general, in laparoscopic surgery, a monopolar instrument is used for incision during incision, and transection is a no-current (no-current ) Scissors are used mainly.
단극 전류로도 조직의 혈관을 응고시킬 수 있으나, 단극 전류를 이용한 혈관의 응고 효과는 직경이 작은 혈관만 가능하다.The unipolar current can coagulate the blood vessels of the tissue, but the coagulation effect of the blood vessel using the unipolar current is only possible for the blood vessels having a small diameter.
외과 수술은 먼저 절단(cutting)하고자 하는 조직을 응고/소작시켜 혈관을 폐쇄하고, 이후 응고/소작된 조직을 절단하며 이런 과정을 수없이 반복한다.Surgery first closes the blood vessels by coagulating / cauterizing the tissue to be cut, then cutting the coagulated / cauterized tissue and repeating this process many times.
그런데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복강경 수술기구는 하나의 기구에 한 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수술기구 중 양극전기수술기를 이용하여 조직을 소작한 후, 단극전기수술기로 소작된 조직을 절단하여야 한다.However, most currently available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have only one function in a single instrument, so it is necessary to cauterize the tissue using a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then cut the cauterized tissue with a single-pole electrosurgical instrument.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은 투관침(troca)을 통한 빈번한 기구의 교체가 필수적이어서 수술 시간의 증가는 당연한 것은 물론,Therefore, as mentioned above, frequent replacement of the instrument through a small trocar is necessary,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operation time,
양극전기수술기로 소작 후 단극전기수술기로 소작된 부위를 절단한 이후에 절단면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단극전기수술기로는 지혈이 불가능하므로 지혈을 하기 위해 다시 양극전기수술기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출혈발생 후 지혈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 출혈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수혈량 또한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If a hemorrhage occurs at the incision after cutting the cauterized area with a unipolar electrosurgical device after cauterization with a bipolar electrosurgical device,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hemostasis with a unipolar electrosurgical device. Therefore, The amount of bleeding increased during the time required, and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lso increased.
전기수술기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9788, 동 10-2010-7005320, 동 10-2011-7003357, 동 10-2013-7027730호에 제시된다.The electrosurgical instrum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07-9788, 10-2010-7005320, 10-2011-7003357, and 10-2013-7027730.
그러나, 이에 제시되는 종래 전기수술기는 대부분 하나의 기구에 한 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s presented here have only one function in one mechanism, and thus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단일 전기수술기몸체 내에 양극전류로 소작하는 기능과, 단극전류로 절개하는 기능과, 가위로 절단하는 기능과, 조직을 잡는 파악(grasper) 기능과, 조직을 박리하는 박리(dissection)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고품격 고품질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를 제공하고 이를 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Monopolar/Bipolar Automatic Converter)와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단극전류나 양극전류 또는 무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The function of cauterizing with a positive current in a single electrosurgical main body, the function of cutting with a single-pole electric current, the function of cutting with scissors, the grasper function of grasping the tissue, and the dissection function of peeling the tissue It provides a high-quality, high-quality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that can be connected to a monopolar / bipolar automatic converter to selectively supply single-pole current, positive current or no-current as needed. That is the purpose.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기본적으로 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Monopolar/Bipolar Automatic Converter)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전기수술기몸체에 후단부가 결합된 채로 전방을 향하여 길게 연결되고, 선단부에는 가위밀착면이 상부에 형성된 상측집게발이 고정설치되며, 외면이 절연외피로 감싸진 원형파이프로 된 메인축과;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nected to a monopolar / bipolar automatic converter, and is connected to a body of the electrosurgical instrument to be used, A main shaft having an upper jig with a scissors-contact surface formed on its upper end fixed to the distal end, the main shaft being a circular pipe whose outer surface is surrounded by an insulating sheath;
상기 메인축 내부로 삽입된 채로 후단부가 전기수술기몸체에 힌지 결합된 레버와 링크바로 링크결합된 집게작동축파지블럭에 결합되어 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계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메인축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과 맞물릴수 있도록 상측집게발에 힌지결합된 하측집게발의 후단과 링크결합되어진 원형파이프로 된 집게작동축과;A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to the main shaft and is coupled to a lever hinge-coupled to the electrosurgical main body and a pivotal operation shaft gripper block linked to the link, the front end being connected to the main shaft front end, A tongue operation shaft having a circular pipe linked with a rear end of a lower claw hinged to an upper claw so as to be engaged with an upper claw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claw;
상기 메인축과 집게작동축 사이에 삽입된 채로 후단부가 전기수술기몸체에 선단이 힌지결합된 가위작동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가위작동축파지블럭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계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메인축의 상부 가위밀착면에 칼날부가 맞물릴수 있도록 상측집게발에 힌지결합된 가위의 후단과 링크결합되어진 원형파이프로 된 가위작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scissors operation gripping block which is operated by a scissors operation button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inserted between the main shaft and the gripping operation shaft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scissors operation shaft formed of a circular pipe linked with the rear end of the scissors hinged to the upper gripper so that the blade can be engaged with the upper scissor contact surface of the main shaft,
상기 집게작동축의 전진시 힌지를 중심으로 상측집게발로 부터 하측집게발이 벌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집게작동축의 후퇴시 하측집게발이 닫히면서 조직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The lower claw is opened from the upper gripper about the hinge at the time of advancing the gripper action shaft, while the lower gripper is closed at the time of retraction of the gripper action shaft so as to grip the tissue,
상기 가위작동축의 전진시 힌지를 중심으로 가위밀착면으로 부터 가위가 벌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가위작동축의 후퇴시 가위가 닫히면서 조직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짐에 그 특징이 있다.The scissors are opened from the scissors-contact surface around the hinge when advancing the scissors operation shaft,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scissors operation shaft is retracted, the scissors are closed to cut the tissue.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Monopolar/Bipolar Automatic Converter)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면,When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nection with a monopolar / bipolar automatic converter,
수술도구의 교체없이 양극전류로 응고/소작하는 기능과, 단극전류로 절개하는 기능과, 가위로 절단하는 기능과, 조직을 잡는 파악(grasper) 기능과, 조직을 박리하는 박리(dissection)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술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It has a function of coagulating / cauterizing with an anode current without replacing a surgical tool, a function of cutting by a unipolar current, a function of cutting with scissors, a grasper function of holding tissue, and a dissection function of peeling tissue The operation tim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소작/절단 후 출혈이 발생하면 그 즉시 바로 지혈이 가능하므로 출혈발생 후 지혈까지의 시간이 아주 짧아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hemorrhage occurs after cauterization / amputation, hemostasis is possible immediately, so the time to hemostasis after bleeding is very short, which can reduce blood loss.
또한, 빈번한 수술도구의 교체가 없으므로 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피로를 감소시켜 준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frequent replacement of the surgical tool, it reduces the fatigue of the medical staff undergoing surgery.
또한, 새로운 병상 증설이 없이도 수술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일일, 일 수술실당 수술환자 숫자가 증가되고, 조기 퇴원이 가능하여 수술실 및 병상 회전률의 크나큰 증가를 가져온다.In addition, without the new hospital enlargement, the number of operation patients per day and day is increased due to shortening of the operation time, and early discharge is possible, which leads to a large increase in the operating room and bedside turnover rate.
또한, 기존의 수술도구는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으나 국산화로 인해 외화를 절약하고 수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isting surgical tools have relied almost entirely on imports, but it is possible to save and export foreign currency due to localiz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전기수술기는 여러가지 잇점이 복합적으로 발휘되는 것이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electro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eakthrough invention that can be very usefully used because it has a variety of advantage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 전기수술기의 구성상태도로서,
도 1은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기수술기몸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단면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다기능 전기수술기의 작동 전 초기 상태도로서,
도 5는 작동 전 전기수술기몸체의 초기 상태도.
도 6은  헤드부분의 작동 전 초기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다기능 전기수술기의 집게발 작동 상태도로서,
도 7은  하측집게발을 벌렸을 때의 전기수술기몸체의 동작 상태도.
도 8은  하측집게발을 벌렸을 때의 헤드부분의 작동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다기능 전기수술기의 가위 작동 상태도로서,
도 9는  가위를 벌렸을 때의 작동 상태도.
도 10은  가위를 오므렸을 때의 작동 상태도.Figs. 1 to 4 are schematic diagrams of a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surgical instrument body;
 4 is a cross-sectional state view.
 FIGS. 5 and 6 are initial states befor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itial state view of the electrosurgical instrument body before operation.
 6 is an initial state view of the head portion before operation;
 Figs. 7 and 8 are diagrams showing a nib operat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body of the electrosurgical instrument when the lower claw is opened.
 8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head portion when the lower claw is opened.
 9 and 10 are diagrams of a scissors operating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ng state when scissors are opened. Fig.
 Fig. 10 is an operating state when the scissors are wedged. Fig.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기본적으로 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Monopolar/Bipolar Automatic Converter)(미도시)를 전기수술기몸체(2)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used by connecting a monopolar / bipolar automatic converter (not shown) to the electrosurgical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전기수술기몸체(2)에 외면이 절연외피(미도시)로 감싸진 원형파이프로 된 메인축(100)의 후단부가 연결설치되어 진 채로 전방을 향하여 길게 연결되어 있는데,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이 메인축(100)의 선단부에는 가위밀착면(111)이 상면에 형성된 상측집게발(110)이 고정설치되어 있다.An
그리고 상기 메인축(100) 내부 중앙에는 원형파이프로 된 집게작동축(200)이 삽입된 채로 후단부가 전기수술기몸체(2)에 힌지 결합된 레버(10)와 링크바(11)로 링크결합된 집게작동축파지블럭(20)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계설치되어 있는데,A
이 집게작동축(200)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축(100)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측집게발(110)에 힌지(101)결합된 하측집게발(210)의 후단과 링크결합되어 있다.The tip of the
그러는 한편, 상기 메인축(100)과 집게작동축(200) 사이에는 가위작동축(300)이 삽입된 채로 후단부가 전기수술기몸체(2)에 선단이 힌지(30a)결합된 가위작동버튼(30)에 의해 작동하는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에 결합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계설치되어 있는데,Meanwhile, a scissors operation button 30 (see FIG. 3) is provided between the
이 가위작동축(300)의 선단부는 상기 메인축(100)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 상면의 가위밀착면(111)에 칼날부(311)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측집게발(110)에 힌지(102)결합된 가위(310)의 후단과 링크결합되어 있다.The tip end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레버(10)를 이용하여 집게작동축(200)을 전진시키면 힌지(101)를 중심으로 상측집게발(110)로 부터 하측집게발(210)이 벌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집게작동축(200)을 후퇴시키면 하측집게발(210)이 닫히면서 조직을 파지할 수 있으며,Therefore, when the
상기 가위작동버튼(30)을 이용하여 가위작동축(300)을 전진시키면 힌지(102)를 중심으로 가위밀착면(111)으로 부터 가위(310)가 벌어지고 이와는 반대로 가위작동축(300)을 후퇴시키면 가위(310)가 닫히면서 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상기 미설명 부호 (350)은, 상기 메인축(100)과 가위작동축(300) 사이에 삽입설치 되어 이들 메인축(100)과 가위작동축(300)은 물론 가위작동축(300) 내부로 삽입설치되는 집게작동축(200) 간에 서로 전기가 도통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절연체이다.The
여기서, 상기 전기수술기몸체(2)에 선단이 힌지(30a)결합된 가위작동버튼(30)은,Here, the
후단을 스프링(41)의 압축탄발력이 부여되도록 전기수술기몸체(2)에 일측단이 힌지(40a)결합된 가위작동편(40) 상단에 링크바(42)로 링크결합 하되,The
상기 가위작동편(40) 상단부를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과 링크바(43)로 링크결합 하여서,Linking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가위작동편(40)이 상승되면 가위작동편(40)이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을 전진시켜 가위작동축(300)이 전진하여 선단에 링크결합된 가위(310)가 벌어지고,When the
가위작동편(40)을 누르면 가위작동편(40)이 스프링(41)을 압축함과 동시에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을 후퇴시켜 가위작동축(300)이 후퇴하여 선단에 링크결합된 가위(310)가 닫히면서 조직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진다.When the
이때, 상기 가위작동버튼(30) 상면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고 고정돌기(31a)가 하측에 구비된 락버튼(31)을 결합설치하여,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가위(3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락버튼(31)을 눌러 가위작동버튼(30)을 하강시킨 후 락버튼(31)을 후퇴시켜 락버튼(31)에 구비된 고정돌기(31a)를 전기수술기몸체(2)에 형성된 걸림홈(2a)에 결합시키면 잠금상태가 되어 가위작동버튼(30)이 승강하지 못하도록 하며,When the
가위(3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락버튼(31)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돌기(31a)를 전기수술기몸체(2)에 형성된 걸림홈(2a)으로 부터 이탈시키면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가위작동버튼(30)이 자동으로 승강하면서 가위(310)가 벌어지고 가위작동버튼(30)을 누르면 가위(310)가 닫히도록 구성한다.When the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메인축(100)의 후단을 전기수술기몸체(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집게작동축(200)의 후단은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가위작동축(300) 후단은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여서,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상기 메인축(100) 외면을 홀딩한 상태로 전기수술기몸체(2)에 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메인축홀더(60)를 이에 결합된 회전노브(61)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When the
상기 메인축(100)의 선단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이 회전하면서 이에 각각 힌지(101)(102)결합된 하측집게발(210)과 가위(31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그 밖에도 본 발명은 상기 메인축(100) 선단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위밀착면(111) 형성시 상기 상측집게발(110)의 상면을 일부 절삭하여 수직으로 가위밀착면(111)을 형성하고 이 가위밀착면(111)에 칼날부가 맞물릴 수 있도록 힌지결합공(112a)이 형성된 칼날파지부(112)에 가위(310)를 힌지(102) 결합하여서, 절삭부분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가위(3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도 가장 큰 특장점은 가위(310)가 칼날파지부(112)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이므로 수술도중 가위(310)에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가위(310)가 휘거나 할 염려가 전혀 없어 절단기능의 수행이 원활하고 가위(310)를 닫으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투관침에 넣거나 빼기가 용이하고 외관 또한 매우 미려하도록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when forming the scissor-contact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수술기몸체(2) 후단 내부에 전원공급용 단자핀(70)을 고정설치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단자핀(70)이 훼손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단자핀(70)에 전원공급잭(71)의 결합력을 높여주어 수술중 단자핀(70)으로 부터 전원공급잭(71)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한편, 미설명부호 (70a)는, 메인축(100)후단에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메인축 선단에 형성된 상측집게발(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클립이다.Meanwhile,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70a is a power supply clip for supplying power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를 사용상태를 설명한다.The use state of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축(100) 선단에 결합된 상측집게발(110)에 하측집게발(210)과 가위(310)가 모두 오므려있는 초기상태 즉, 각각 전기수술기몸체(2) 내에 설치되는 상기 집게작동축(200) 후단이 결합된 집게작동축파지블럭(20)이 후퇴하여 집게작동축(200) 선단에 링크바(201)로 링크결합된 하측집게발(210)이 상측집게발(110)에 오므려있는 상태이고, 상기 가위작동축(300) 후단이 결합된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은 후퇴하여 가위작동축(300) 선단에 링크바(301)로 링크결합된 가위(310)가 상측집게발(110) 상부의 가위밀착면(111)에 오므려 있는 상태에서 투관침(troca)을 통해 수술부위로 투입된다.5 and 6,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itial state in which both the
그런 다음 집게발의 사용시에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수술기몸체(2)와 연결설치한 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Monopolar/Bipolar Automatic Converter)(미도시)를 이용하여 다기능 전기수술기에 구비된 상측집게발(110)과 하측집게발(210)에 양극전류를 공급한 상태에서 레버(10)를 전진시킨다.Then, when the nippers are used, a monopolar / bipolar automatic conver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그러면 레버(10)가 힌지(10a)를 중심으로 전진하면서 링크바(11)로 링크결합된 집게작동축파지블럭(20)이 전진하면서 집게작동축(200)을 전진시킨다.Then, the
그러면 상기 집게작동축(200)의 선단부에는 상측집게발(110)에 힌지(101) 결합된 하측집게발(210)의 후단이 링크바(201)로 링크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101)를 중심으로 하측집게발(210)의 선단이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집게발(110)로부터 벌어진다.The rear end of the
이와 같이 하여 하측집게발(210)이 벌어지면 절단(cutting)하고자 하는 조직에 위치시킨 후 전진시켰던 레버(10)를 잡아당겨 후퇴시킨다.When the
그러면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가 힌지(10a)를 중심으로 후퇴하면서 링크바(11)로 링크결합된 집게작동축파지블럭(20)이 후퇴하면서 집게작동축(200)을 후퇴시킨다.5 and 6, the
그러면 벌어졌던 하측집게발(210)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다시 닫히면서 조직을 파지한다.Then, the
따라서, 상기 레버(10)를 이용하여 집게작동축(200)을 전진과 후퇴를 반복시키면 메인축(100)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측집게발(210)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절단(cutting)하고자 하는 조직을 응고/소작시켜 혈관을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The
그러는 한편, 가위(310)를 사용하여 응고/소작된 조직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가위작동버튼(30)의 움직임을 단속하고 있는 락버튼(31)을 밀어올려 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utting the solidified / culled tissue using the
그러면 락버튼(31)에 구비된 고정돌기(31a)가 전기수술기몸체(2)에 형성된 걸림홈(2a)으로 부터 이탈되면서 고정이 해지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가위작동편(40)의 일측단이 힌지(40a)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가위작동편(40)과 링크바(42)로 링크결합된 가위작동버튼(30)의 후단이 힌지(30a)를 중심으로 밀어 올려져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가위작동편(40)과 링크바(43)로 링크결합된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이 전진하면서 가위작동축(300)을 전진시킨다.The fixing
그러면 상기 가위작동축(300)의 선단부에는 상기 메인축(100)의 상부 가위밀착면(111)에 칼날부(311)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측집게발(110)에 힌지(102)결합된 가위(310)의 후단이 링크바(301)로 링크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102)를 중심으로 가위(310)의 선단이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가위밀착면(111)으로 부터 벌어진다.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이 하여 가위(310)가 상측으로 벌어지면 절단(cutting)하고자 하는 조직에 위치시킨 후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되어있던 가위작동버튼(30)의 후단을 눌러 하강시킨다.When the
그러면 상기 가위작동버튼(30)의 후단에 링크바(42)로 링크결합된 가위작동편(40)의 후단이 힌지(40a)를 중심으로 하강하면서 전진해 있던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이 후퇴하면서 가위작동축(300)을 후퇴시켜준다.The rear end of the
그러면 벌어졌던 가위(310)가 힌지(102)를 중심으로 닫히면서 가위(310)의 칼날부(311)가 상측집게발(1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위밀착면(111)에 겹쳐지면서 조직을 절단한다.(이때, 스프링(41)은 가위작동편(40)에 의해 압축되므로 이후 가위작동편(40)을 눌렀다 놓으면 스프링(41)의 탄발력에 의해 가위작동편(40)이 자동으로 승강 되어짐과 동시에 가위(310)는 다시 벌어진 상태가 된다.)The
따라서, 상기 가위작동버튼(30)의 움직임을 단속하고 있는 락버튼(31)을 밀어올려 고정을 해제하여 가위작동편(40)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하여 준 다음 가위작동편(40)을 반복적으로 눌러주어 가위작동축(300)을 전진과 후퇴를 반복시켜주면 메인축(100)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위밀착면(111)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위(310)가 힌지(102)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절단(cutting)하고자 하는 조직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그런 후 가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위작동편(40)을 눌러주면서 락버튼(31)을 하강(후퇴)시켜주면 락버튼(31)에 구비된 고정돌기(31a)가 다시 전기수술기몸체(2)에 형성된 고정홈(2a)에 걸려 가위작동편(40)은 하강한 상태로 움직임이 단속되어 지므로 상기 가위작동축(300) 후단이 결합된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은 후퇴하여 가위작동축(300) 선단에 링크바(301)로 링크결합된 가위(310)가 상측집게발(110)에 오므려 있는 상태에서 더 이상 벌어지지 못한다.When the scissors are not used,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수술도중 양극전류가 공급되는 상측집게발(110)과 하측집게발(210)을 이용하여 조직을 응고/소작한 후 가위가 장착된 별도의 또 다른 수술도구로 교체할 필요없이 곧바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위(310)를 이용하여 응고/소작된 부위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agulates / cauterizes the tissue using the
상기 절단 후 절단면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이때에도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를 빼내 다른 수술도구로 교체할 필요없이 곧바로 상측집게발(110)과 하측집게발(210)에 양극전류를 공급한 후 지혈을 할 수 있다.If bleeding occurs at the cut surface after the cutting,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mmediately after supplying the positive current to the
이밖에도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상기 집게작동축(200)을 후퇴시켜 상측집게발(110)에 하측집게발(210)을 오므려뜨리고, 상기 가위작동축(300)을 후퇴시켜 이 또한 역시 상측집게발(110)에 가위를 오므려뜨리면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들의 선단면이 뽀족하기 때문에 단극전류를 공급하여 조직을 절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tracts the
또한, 상기 상측집게발(110)과 하측집게발(21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직을 잡는 파악(grasp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직을 박리하는 박리(dissect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asper function of grasping the tissue in a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supplied to the upper and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는 전기수술기헤드부분의 회전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electrosurgical head part.
즉, 전기수술기몸체(2)에 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설치된 메인축홀더(60)를 회전노브(61)를 이용하여 돌려주면 상기 메인축홀더(60)는 메인축(100)을 파지하고 있으므로 메인축(100)이 동시에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축(100)의 선단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에는 하측집게발(210)과 가위(310)가 각각 힌지()()결합 되어있고,That is, when the
이들 하측집게발(210)과 가위(310)의 후단이 각각 링크결합된 집게작동축(200)과 가위작동축(300)의 후단은 각각 집게작동축파지블럭(20)과 가위작동축파지블럭(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술부위에 따라 전기수술기몸체(2) 전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회전노브(61)를 이용하여 전기수술기헤드부분 만을 회전시켜가면서 수술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clamp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축(100) 선단에 고정설치된 상측집게발(110)의 상면을 일부 절삭하여 수직으로 가위밀착면(111)을 형성하고 이 가위밀착면(111)에 칼날부(311)가 맞물릴 수 있도록 힌지결합공(112a)이 형성된 칼날파지부(112)에 가위(310)를 힌지(102)결합 하여 가위(310)가 칼날파지부(112)에 내측으로 견고히 결합된 상태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부분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가위(31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수술도중 가위(310)에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가위(310)가 휘거나 할 염려가 전혀 없어 절단기능의 수행이 원활하고, 가위(310)를 오므리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투관침을 통해 전기수술기 헤드부분을 집어넣거나 빼기가 용이하다.The upper part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수술기몸체(2) 후단 내부에 전원공급용 단자핀(70)을 고정설치하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고 단자핀(70)이 훼손되지 않는 것은 물론 단자핀(70)에 결합된 전원공급잭의 결합력을 높여 주어 수술도중 전원공급잭이 빠질 염려가 전혀 없어 안심하고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전기수술기를 사용하게 되면 수술도구의 교체없이 양극전류로 응고/소작하는 기능과, 단극전류로 절개하는 기능과, 가위로 절단하는 기능과, 조직을 잡는 파악(grasper) 기능과, 조직을 박리하는 박리(dissection)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술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coagulating / cauterizing with a positive current without replacing a surgical tool, a function of cutting with a single-pole current, a function of cutting with scissors, And the dissection function of peeling the tissue can be performed,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operation time.
또한, 소작/절단 후 출혈이 발생하면 그 즉시 바로 지혈이 가능하므로 출혈발생 후 지혈까지의 시간이 아주 짧아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f hemorrhage occurs after cauterization / amputation, hemorrhage is possible immediately, so the time to hemostasis after bleeding is very short, which can reduce blood loss.
또한, 빈번한 수술도구의 교체가 없으므로 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피로를 감소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frequent replacement of the surgical tool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medical staff performing the operation.
또한, 새로운 병상 증설이 없이도 수술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일일, 일 수술실당 수술환자 숫자가 증가되고, 조기 퇴원이 가능하여 수술실 및 병상 회전률의 크나큰 증가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ithout the new hospital enlargement, the number of operation patients per day, day, and day can be increased due to shortening of the operation time, and early discharge is possible, which can lead to a large increase in the operating room and bed turnover rate.
또한, 기존의 수술도구는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으나 국산화로 인해 외화를 절약하고 수출까지도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xisting surgical tools have relied almost entirely on imports, but it is possible to save and export foreign currencies due to localiz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단극/양극 자동전환장치2:전기수술기몸체
2a:걸림홈10:레버
10a, 30a,40a,101,102:힌지 11,42,43,201,301:링크바
20:집게작동축파지블럭30:가위작동버튼
31:락버튼31a:고정돌기
40:가위작동편41:스프링
50:가위작동축파지블럭60:단자핀
61:전원공급잭100:메인축
110:상측집게발111:가위밀착면
112:칼날파지부112a:힌지결합공
200:집게작동축210:하측집게발
300:가위작동축310:가위
311:칼날부1: Single pole / positive pole automatic switching device 2: Reactor body
 2a: latching groove 10: lever
 10a, 30a, 40a, 101, 102: hinges 11, 42, 43, 201, 301:
 20: Tongue operation shaft grip block 30: Scissors operation button
 31:
 40: Scissors operating piece 41: Spring
 50: Scissors operating shaft holding block 60: Terminal pin
 61: Power supply jack 100: Main shaft
 110: upper nippers 111: scissors close face
 112:
 200: tongue operation shaft 210: lower nib
 300: Scissors actuation axis 310: Scissors
 31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48818AKR101535152B1 (en) | 2015-04-07 | 2015-04-07 | Electro-surgical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48818AKR101535152B1 (en) | 2015-04-07 | 2015-04-07 | Electro-surgical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535152B1true KR101535152B1 (en) | 2015-07-0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48818AExpired - Fee RelatedKR101535152B1 (en) | 2015-04-07 | 2015-04-07 | Electro-surgical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53515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612030A (en)* | 2020-11-26 | 2021-04-06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Insulating rod with scales | 
| CN118303953A (en)* | 2024-06-11 | 2024-07-09 | 吉林省金博弘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 Hand-held pistol-shaped multi-angle bendable surgical instru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521304A (en)* | 2000-01-25 | 2003-07-15 | アエスクラップ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 Bipolar gripping device | 
| JP2008119470A (en)* | 2006-11-08 | 2008-05-29 | Covidien Ag |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 
| KR20110015982A (en)* | 2009-08-10 | 2011-02-17 | 주식회사 이턴 | Instruments of surgical instruments | 
| JP2013103129A (en)* | 2011-11-10 | 2013-05-30 | Covidien Lp | Surgical forcep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521304A (en)* | 2000-01-25 | 2003-07-15 | アエスクラップ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 Bipolar gripping device | 
| JP2008119470A (en)* | 2006-11-08 | 2008-05-29 | Covidien Ag |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 
| KR20110015982A (en)* | 2009-08-10 | 2011-02-17 | 주식회사 이턴 | Instruments of surgical instruments | 
| JP2013103129A (en)* | 2011-11-10 | 2013-05-30 | Covidien Lp | Surgical forcep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612030A (en)* | 2020-11-26 | 2021-04-06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Insulating rod with scales | 
| CN118303953A (en)* | 2024-06-11 | 2024-07-09 | 吉林省金博弘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 Hand-held pistol-shaped multi-angle bendable surgical instrumen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993762B2 (en) | Dissection scissors on surgical device | |
| JP3803294B2 (en) | Surgical instrument | |
| US8702749B2 (en) | Lever latch assemblies for vessel sealer and divider | |
| US9498280B2 (en) | Blade lockout mechanism for surgical forceps | |
| US9265571B2 (en) | Surgical forceps | |
| EP2147653B1 (en) | Flexible endoscopic catheter with an end effector for coagulating and transecting tissue | |
| AU2004231188B2 (en) | Bipolar forceps having monopolar extension | |
| US8968305B2 (en) | Surgical forceps with external cutter | |
| US7384421B2 (en) | Slide-activated cutting assembly | |
| US8784418B2 (en) | Endoscopic surgical forceps | |
| US9314295B2 (en) | Dissection scissors on surgical device | |
| EP2040634B1 (en) | Surgical sealing and cutting apparatus | |
| EP2476382A2 (en) | Latch mechanism for surgical instruments | |
| US20130304114A1 (en) | Surgical Forceps Including Blade Safety Mechanism | |
| JPH1024051A (en) | Coagulation forceps with separating function | |
| JPH11169381A (en) | High frequency treating device | |
| KR101535152B1 (en) | Electro-surgical device | |
| JP2001170070A (en) | Medical treatment instrument | |
| KR101535140B1 (en) | The tool combines the structure of the electro-surgical device | |
| EP2085046A1 (en) | Bipolar scissors for adenoid and tonsil removal | |
| CN110882054A (en) | Novel T-shaped scalpel head area smoking measurement function monopole operation ablation electrode | |
| AU2013257528B2 (en) | Bipolar forceps having monopolar extens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703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715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407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407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