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529112B1 - 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12B1
KR101529112B1KR1020140021856AKR20140021856AKR101529112B1KR 101529112 B1KR101529112 B1KR 101529112B1KR 1020140021856 AKR1020140021856 AKR 1020140021856AKR 20140021856 AKR20140021856 AKR 20140021856AKR 101529112 B1KR101529112 B1KR 10152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vehicle
main body
sensor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춘희
Original Assignee
이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희filedCritical이춘희
Priority to KR1020140021856ApriorityCriticalpatent/KR101529112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12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529112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 간편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반주에 맞춰 타악기 연주 및 노래방 기능의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졸음운전 등의 예방을 통한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조작 버튼 및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차량 스피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음원의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차량의 핸들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 및 사용자의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 감지 센서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 또는 타격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can easily enjoy music while driving and can provide a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karaok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To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that can induce safe driving.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memory unit storing operation buttons and sound sources,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s through interlocking with a vehicle speaker; And a controller detachably mountable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 button for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and a hit sensor for detecting a hit of the user, wherein the hit sensor comprises a hit sound sensor or a hit pressure sensor And a detection senso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0001] 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 간편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반주에 맞춰 타악기 연주 및 노래방 기능의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졸음운전 등의 예방을 통한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which can easily enjoy music while driving and can provide a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karaok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To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that can induce safe driving.

본 출원인의 또 다른 특허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07139호(발명의 명칭: 핸들 커버)에는, 운전자의 타격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졸음 방지 관련 정보의 출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졸음 운전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핸들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7139 (title of the invention: handle cover), which is another patent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drowsiness driving to be performed more easily by detecting the impact of the driver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drowsiness prevention in response thereto A handle cover for preventing an occurrence of a malfunction is provided.

상기 공개특허는 핸들 커버를 이용하여 운전자인 사용자의 타격 동작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음악의 제공이나 졸음 운전 경고 신호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중에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졸음 운전 예방용 음악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above-described patent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drowsiness of a user who is a driver by using a handle cover and providing music or warning signals of drowsiness by using the handle cover. Thus, Providing system.

하지만 상기 특허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통상 가죽 재질 등으로 구현되는 핸들 커버 내에 다양한 전자기기 등의 부품을 탑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잦은 고장 발생 등의 위험이 있고, 아울러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 등의 데이터에 대한 교체나 업데이트 등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it is not easy to mount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the like in the handle cover, which is usually implemented as a leather material, and there is a risk of frequent occurrence of trouble,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or update the data.

따라서 운전자인 사용자가 졸음 운전 예방 등을 위해 운전중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불편 사항 등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refore, a new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s and the like while allowing the user who is the driver to be used conveniently during driving to prevent sleepy driving is prop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07139호(발명의 명칭: 핸들 커버)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7139 (title of the invention: handle cov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중 간편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반주에 맞춰 타악기 연주 및 노래방 기능의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졸음운전 등의 예방을 통한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which can easily enjoy music during driving and provides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and karaok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And to provide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capable of inducing driv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조작 버튼 및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차량 스피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음원의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차량의 핸들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 및 사용자의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 감지 센서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 또는 타격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memory unit storing operation buttons and sound sources,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sound sources through interlocking with a vehicle speaker; And a controller detachably mountable to the handl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cluding a control button for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and a hit sensor for detecting a hit of the user, wherein the hit sensor comprises a hit sound sensor or a hit pressure sensor And a sensing sensor.

상기 본체부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유선 또는 무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부; 다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 음원이 저장되며 착탈 가능한 메모리부; 현재 재생중인 음원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충전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되, 인터넷 접속을 통한 음원 검색 및 검색된 음원의 재생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main body un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wired or wirelessly rechargeable battery; An ope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 memory unit in which a sound source is stored and detachab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one generator information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And a terminal unit having a charging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nd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and playing or downloading a searched sound source.

이때, 상기 본체부는 FM 주파수, 블루투스 또는 AUX 연결을 통해 차량용 스피커와 연동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컨트롤러와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a vehicle speaker through an FM frequency, a Bluetooth or an AUX connection,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supporting an interlocking function with the controller.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타격 동작에 대응되는 타격음이 상기 차량 스피커를 통해 송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sound corresponding to a hitting operation of the user detected through the hitting sensor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speaker.

이 경우 상기 타격음은,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을 통해 설정된 악기음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it sound is expressed by the instrument sound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ler.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제 1 몸체부;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의 타측에 각각 대응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開閉) 가능한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핸들 두께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included in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unit includ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A second body including the hitting sensor;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being pivoted about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controller, with which the coupling part is fastened, And a cylindrical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andle.

여기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차량용 핸들의 내주면 일부를 서라운딩하고,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차량용 핸들의 외주면 일부를 서라운딩하되, 상기 제 2 몸체부의 외부면상에는 사용자의 손목 거치가 가능한 곡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first body portion surrounds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handle, and the second body portion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for the vehic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preferably formed.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타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부가 졸음 운전 경보, 알파파(α-wave) 음악 또는 기 설정된 볼륨의 음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s hitting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rough the hitting sensor, the body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owsy operation alarm, an alpha-wave music, An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music of the set volume.

또한, 상기 본체부는 노래방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평가 점수 정보를 제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unit may include a karaoke function. In this case, the main body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of a user's song transmitted through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여기서, 상기 제 2 몸체부의 외부면 상에는 각기 다른 악기의 연주음과 대응되는 2 이상의 연주용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He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two or more pla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play sounds of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may b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연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laying mean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운전자인 사용자가 운전중 간편한 조작을 통해 희망하는 다양한 음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is a driver can provide various music desir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during driving.

이에 따라, 장거리 운전 등의 상황에서 지루함으로 인한 졸음 운전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rowsiness due to boredom in a long-distance driving situation or the like.

또한, 타악기 연주 기능 및 노래방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통해 제공 가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function and a karaoke function, as well as to enable various functions to be provided through interlocking with a smartphone, thereby enabling a system to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price There is also an additional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so.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컨트롤러와 차량 핸들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본체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본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3의 컨트롤러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6 및 도 7의 본체부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다양한 예시도이다.
1 to 3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provided in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vehicle handle of Figs. 1 to 3.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of Figs. 1 to 3. Fig.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main body included in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unit included in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FIGS. 6 and 7.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to 13 are various exemplary views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s. 1 to 3. Fig.
Figs. 14 to 17 are various illustrations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body portion of Figs. 6 and 7. Fi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purposes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mode of disclosure,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로써, 도 1에는 컨트롤러의 분해사시도, 도 2에는 컨트롤러 제 1 몸체부의 단면도, 도 3에는 컨트롤러의 조립완성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ntroller first body por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roller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음원 등이 저장되는 본체부(200) 및 차량의 핸들과 결합되며 본체부에 대한 리모콘 기능 등을 갖는 컨트롤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 내지 도 3은 이 가운데 컨트롤러(100)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main body 200 storing a sound source and the like, and acontroller 100 coupled to a handle of the vehicle and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the main body,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controller 100 among the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00)는, 제 1 몸체부(110), 제 2 몸체부(120), 연결부(130) 및 체결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1 to 3, acontroller 100 included in a music provi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first body 110, asecond body 120, aconnection 130, And a fasteningpart 140, as shown in FIG.

제 1 몸체부(110)와 제 2 몸체부(120)는 서로 대응되는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1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서로 대응되는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140)의 체결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중공부(150)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Thefirst body part 110 and thesecond body par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connection part 130 formed at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first body part 110 and thesecond body part 120. Thefirst body part 110 and thesecond body par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coupling part 140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ahollow portion 150 is formed.

이때, 제 1 몸체부(110) 및 제 2 몸체부(120)는 연결부(1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동을 통해 체결부(140)의 개폐(開閉)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체결부(140)의 체결을 통해 형성된 중공부(150)는 차량 핸들의 두께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차량 핸들과 컨트롤러(100) 사이에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first body part 110 and thesecond body part 120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connection part 130, so that thecoupling part 140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rotation, Thehollow portion 150 formed through thefastening portion 140 is configur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vehicle handle. In this way,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handle and thecontroller 100 can be achieved.

도 4에 컨트롤러(100)와 차량 핸들(H) 사이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들(H)과 컨트롤러(10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a), 결합을 위해 제 1 몸체부(110) 및 제 2 몸체부(120)가 회동을 통해 개방된 상태(b), 체결부(140)의 체결을 통해 핸들(H)과 컨트롤러(1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c)를 확인할 수 있다.Fig. 4 show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controller 100 and the vehicle handle H. Fig. 4, a state (a) in which the handle H and thecontroller 1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state in which the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second body portion 120 are opened through rotation b), the state (c)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andle H and thecontroller 100 is complete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astening of thefastening part 140.

여기서 연결부(130)는 힌지 구조 또는 도면과 같은 스프링 구조 등 통상의 어떠한 구성이 채용되더라도 무방하며, 체결부(140) 역시 통상의 어떠한 대응 결합 방식이 적용되어도 좋다.Here, the connectingportion 130 may have any conventional structure such as a hinge structure or a spring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ny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may be applied to thecoupling portion 140 as well.

제 1 몸체부(110)에는 본체부(200)에 대한 원격 제어의 수행을 위한 조작버튼(112),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LED 램프(114), 본체부(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16) 및 배터리(118) 등의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몸체부(120)에는 타격 감지 센서(122)가 구비될 수 있음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first body 110 includes anoperation button 112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of themain body 200, anLED lamp 114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Acommunication unit 116 and abattery 118 may be provided in thesecond body part 120 and ahitting sensor 122 may be provided in thesecond body part 120. [

즉, 제 1 몸체부(110)에는 조작 버튼(112a, 112b) 및 이의 커버(111a, 111b), 컨트롤러(100)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는 LED 램프(114), 조작 버튼(112a, 112b) 및 LED 램프(114)의 지지대(115), 통신부(116) 및 배터리(118) 등이 구비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 2 몸체부(120)에는 중심부와 인접하도록 타격 감지 센서(122)가 구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컨트롤러(100)의 구체적 구성이 반드시 이와 동일하도록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That is, thefirst body portion 110 includesoperation buttons 112a and 112b and theircovers 111a and 111b, anLED lamp 114 indicating operation states of thecontroller 100,operation buttons 112a and 112b, It can be confirmed that thesupport portion 115 of theLED lamp 114, thecommunication portion 116 and thebattery 118 are provided and that thesecond body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theimpact detection sensor 122 adjacent to the center portion . However, it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con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the same.

이때, 제 2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타격 감지 센서(122)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나 타격 압력 감지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타격 감지 센서(122)가 차량의 핸들과 결합되는 컨트롤러(100)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인 운전자가 운전중 음악의 박자에 맞춰 가볍게 핸들을 두드리는 것만으로 타악기 연주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운전의 지루함이나 무료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In this case, the hittingsensor 122 provided in thesecond body part 120 may be constituted by a hitting sound sensor or a hitting pressure sensor. When the hittingsensor 122 is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controller 100 can provide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a percussion instrument simply by knocking the handle lightly in accordance with the beat of the music being played by the user who is driving by the user so that the boredom or the frustration of driving can be solved do.

다시 말해, 타격 감지 센서(122)를 통해 입감된 운전자의 핸들 타격 동작이나 소리는 통상의 전자적인 필터링 과정 및 증폭 과정 등을 통해 차량 내부 스피커로 송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변조 등을 통해 드럼이나 북, 봉고 등의 다양한 타악기 소리로 표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악기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 가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설정 및 변경이 본체부(200)나 컨트롤러(100)의 조작 버튼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other words, the steering wheel striking operation or sound of the driver sensed through the hittingsensor 122 can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in the vehicle through an ordinary electronic filtering process and amplification process. In this process, It can also be expressed by a variety of percussion sounds such as Inaba, Bongo and so on.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musical instrument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uch setting and change can be made through the operation buttons of themain body 200 or thecontroller 100, for example.

이와 같은 컨트롤러(100)를 구성하는 제 1 몸체부(110) 및 제 2 몸체부(120)는 각각 차량 핸들의 내주면과 외주면 일부를 서라운딩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즉, 운전자의 타격 동작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타격 감지 센서(122)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부(120)는 핸들의 외주면 일부를 서라운딩 하도록 위치되며, 조작 버튼 등이 구비되는 제 1 몸체부(110)는 운전자의 타격 등에 의한 오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핸들의 내주면 일부를 서라운딩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first body part 110 and thesecond body part 120 constituting thecontroller 100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vehicle handle, respectively. That is, Thesecond body part 120 having theimpact detection sensor 122 is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andl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transmitted well, and thefirst body part 110, It may be preferable to be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so as to prevent a malfunction caused by a blow of the handle.

또한, 이 경우, 핸들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제 2 몸체부(120)는 외부면이 사람의 손 또는 손목 모양과 대응되는 굴곡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손목 거치대로써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참고 도면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second body portion 120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 wrist rest of the driver naturally by being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human hand or a wrist. A related reference drawing is shown in Fig.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of Figs. 1 to 3.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00)의 제 2 몸체부(120)에는 다수개의 연주용 조작버튼(ㄱ, ㄴ, ㄷ, ㄹ, ㅁ)이 구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5, asecond body 120 of thecontroller 100 of th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usical operation buttons (a, b, c, d) Can be provided.

이와 같은 연주용 조작버튼(ㄱ, ㄴ, ㄷ, ㄹ, ㅁ)은 각기 다른 악기의 소리, 가령 큰북, 중간북, 작은북, 드럼, 심벌즈 등과 같은 다양한 소리와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다채로운 연주가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musical instrument operation buttons a, b, c, d, and k are formed to correspond to various sounds such as a drum, a middle drum, a drum, a cymbal, It can function to enable various performances.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FIG. 6 and FIG. 7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provided in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본체부(200)는,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전원부(230), 조작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6 and 7, amain body 200 provided in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ntrol unit 210, amemory unit 220, apower source unit 230, anoperation unit 240 And adisplay unit 250 and the like.

제어부(210)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통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control unit 210 controls each component and can be configured by a conventional processor.

메모리부(220)는 음원의 저장이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메모리 장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본체부(200)의 사이즈 등을 고려할 때 SD카드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memory unit 220 may be any type of memory device capable of storing a sound source.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memory unit 2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SD card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main body 200 and the like.

전원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 가능한 어떠한 형태의 전원부를 구비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Thepower supply unit 230 may be composed of a wired or wirelessly rechargeable batte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any type of power supply unit applicable to a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may be provided.

그밖에 본체부(200)는 외부면에 다수의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부(240) 및 여러가지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5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면부나 상하부 등에 SD카드 등의 메모리의 삽입을 위한 슬롯이나 USB 포트, 마이크 및 이어폰 등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단자부(S)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피커 등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main body 200 may include anoperation unit 240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on its outer surface, adisplay unit 250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terminal portion S including a slot for inserting a memory such as an SD card or a connection portion such as a USB port, a microphone, and an earphon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portion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t is possible.

여기서 본체부(200)는 FM 주파수, 블루투스 또는 AUX 연결 등을 통해 차량용 스피커와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별다른 불편없이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다양한 음원들에 의한 음악이나, 컨트롤부(100)의 타격 감지 센서(122)를 통해 입감되는 운전자의 타격음 등을 차량용 스피커를 통해 송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생생한 음악 감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main body 200 is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a vehicle speaker through FM frequency, Bluetooth or AUX connection, so that the user can enjoy music without any inconvenience without a separate speaker. That is, the music by various sound sources stored in thememory unit 220 and the driver's hitting sound sensed by the hittingsensor 122 of thecontrol unit 10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speaker, Lt; / RTI >

이때, 본체부(200)는 인터넷 접속을 통한 음원 검색 및 검색된 음원의 재생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음악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main body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and playing or downloading a searched sound source. Through this function, even if not stored in thememory unit 220, It is possible to freely listen to music at any time.

이 경우, 본체부(200)는 무선 방식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통신 수단 및 브라우저 등을 구비함으로써 자유롭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나, 음원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 등을 통한 음악의 재생을 위한 별도의 서비스를 통해 일부 한정된 사이트와의 접속만 허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main body 20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the Internet freely by having a communication means and a browser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via a wireless system, but it is also possible to reproduce music through a downloading or streaming method of a sound source But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permits only limited access to some limited sites through a separate service for.

도 8에는 본체부(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50)의 일 예시도를 나타내었다.8 shows an example of adisplay unit 250 provided in the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LCD나 OLED 등으로 구현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0)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 여부(a), 블루투스 연결 여부(b), 마이크 연결 여부(c), 음악 재생 방식(d), FM 연결 설정 주파수(e), 배터리 상태(f), 전체 음원 수 및 현재 곡 번호 정보(g), 음악 제목(h), 음악 진행 상황 정보(i) 등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8, thedisplay unit 250,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n LCD or an OLED, displays whether a memory card is inserted (a), whether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b), whether a microphone is connected (c)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FM connection setting frequency (e), the battery status (f), the total number of sound sources and the current song number information (g), the music title (h) Can be confi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갖는 본체부(200)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는, 컨트롤러(100)와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App) 등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의 키패드를 조작 버튼으로 이용하고 기타 구성요소들을 제어부(210), 메모리부(220), 전원부(230), 디스플레이부(250) 등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단말기(본체부) 구입 비용의 절감을 통한 전체 시스템 구성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main body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unctions is equipp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App) for supporting the interlocking function with thecontroller 100 Can be used. In other words, by using the keypad of the smartphone as an operation button and setting other components to be available to thecontrol unit 210, thememory unit 220, thepower supply unit 230, thedisplay unit 250, Body par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total system configuration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purchase cost.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체부(200)와 통신 가능한 건반 등의 연주 수단(300)이 추가로 구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a playing means 300 such as a keyboar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main body 200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이와 같은 연주 수단(300)은 블루투스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어떠한 악기로도 구성 가능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노트북 컴퓨터나 태블릿 PC 등을 통해 구현 가능한 전자 악기일 수 있다.The playing means 300 may be any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the like, preferably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notebook computer or a tablet PC.

이러한 연주 수단(300)의 구비를 통해, 차량을 통한 가족 여행 등의 경우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차량에 탑승한 경우, 보다 다채로운 놀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With the provision of the playing means 300,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advantages such as a variety of play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ride on a vehicle, such as a family trip through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00)는, 타격 감지 센서(122)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타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본체부(200)가 졸음 운전 경보, 알파파(α-wave) 음악 또는 기 설정된 높은 볼륨의 음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controller 100 included in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s hitting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rough the hittingsensor 122, An alarm, an alpha-wave music, or a preset high-volume music.

즉,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송출되는 음악의 박자에 맞춰진 핸들 부위의 타격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졸음 운전 등의 징후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키거나 또는 졸음 퇴치에 효과적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trike of the handle portion adapted to the beat of the music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or the lik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can be recognized as a symptom of drowsiness operation or the like, Various programs that can be effective in combating can be executed automatically.

아울러, 본체부(200)에 내장된 마이크 기능 또는 본체부(200)와 연결된 외부 마이크 등을 이용해 본 발명의 음악 제공 시스템을 노래방 기기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200)에 탑재된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노래 점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 등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usic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karaoke machine by using a microphone function incorporated in themain body 200 or an external microphone connected to themain body 200. In this case, themain body 200 For example, a program mounted on thedisplay unit 250 or the like.

또한, 운전자 이외의 사용자가 추가로 존재하는 경우를 위해 본체부(200) 역시 별도의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사용자 역시 본체부(200) 단말기를 이용해 타악기 연주를 즐기거나 또는 노래방 기능 이용시 흥을 돋우기 위한 수단 등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등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body unit 2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hitting sensor for the case where there are additional users other than the driver, the additional user can enjoy the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terminal unit 200, It may be possible to use such a means for promoting excitement or the like.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0 내지 도 13에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컨트롤러(100)의 외부 구성에 대한 다양한 예시도를 도시하였다.FIGS. 10 to 13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controller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0의 예시도의 경우,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의 외부면이 운전자의 손목 거치대로써 기능할 수 있도록 제 2 몸체부(120)의 외면을 곡면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 내지 도 13은 각각 다양한 형상의 손목시계나 팔찌 등과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 컨트롤러(1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10, the outer surface of thesecond body part 120 is curv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controller 100 can function as a wrist rest of the driv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11 to 13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controller 100 configured to have a shape similar to a wristwatch, a bracelet, or the like of various shapes, respectively.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예시도에 있어 연결부(130) 및 체결부(140)의 구성을 상세하게 표시하지 않았으나, 제 1 몸체부(110) 및 제 2 몸체부(120)가 일측에 연결부(130), 타측에 체결부(140)를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됨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connection part 130 and thefastening part 140 are not shown in detail in the illustrations shown in FIGS. 10 to 13. However, the first and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one side, (130), and the other side is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part (140).

한편, 도 14 내지 도 17에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된 본체부(200)의 외부 구성에 대한 다양한 예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4 내지 도 17은 각각 중공형, 원반형, 리모콘형 및 손잡이형 등의 다양한 컨셉으로 설계된 본체부(2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도시된 각각의 예시 형태에 적합하도록 본체부(200)의 전면(前面)에 조작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14 to 17 show various examples of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main body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14 to 17 show amain body 200 designed with various concepts such as a hollow type, a disk type, a remote control type, and a pull type. Referring to FIGS. 14 to 1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operation unit 240 and thedisplay unit 25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main body 200 to suit each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s.

여기서, 앞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체부(200)가 전용 단말기 및 스마트폰 겸용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와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ere, although not described above, since themain body 200, which is applied to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dedicated terminal and a smart phone,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그리고 이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의해 각각 구성되는 본체부(200)를 위한 시스템의 설정 변경 등이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n this case, it will be obvious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the setting of the system for themain body 200, which is constituted by the dedicated terminal or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e person.

100: 컨트롤러110: 제 1 몸체부
112: 조작 버튼114: LED
116: 통신부118: 배터리
120: 제 2 몸체부122: 타격 감지 센서
130: 연결부132: 스프링
140: 체결부150: 중공부
200: 본체부210: 제어부
220: 메모리부230: 전원부
240: 조작부250: 디스플레이부
100: controller 110: first body part
112: Operation button 114: LED
116: communication unit 118: battery
120: second body part 122: hitting sensor
130: connection part 132: spring
140: fastening part 150: hollow part
200: main body 210:
220: Memory part 230: Power part
240: Operation part 250:

Claims (12)

Translated fromKorean
조작 버튼 및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차량 스피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음원의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차량의 핸들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 및 사용자의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 감지 센서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 또는 타격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타격 동작에 대응되는 타격음이 상기 차량 스피커를 통해 송출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는 노래방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평가 점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A main body unit having a memory unit storing operation buttons and sound sources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s through interlocking with a vehicle speaker; And
And a controller detachably attachable to a handl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clud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for the main body and a hitting sensor for detecting a hitting of the user,
Wherein the hitting sensor comprises a hitting sound sensor or a hitting pressure sensor,
And a hi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itting operation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hitting sens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speaker,
Wherein the main body unit has a karaoke function and provides evaluation score information about a user's song transmitted through a microphone connected to the main body unit.
조작 버튼 및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차량 스피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음원의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차량의 핸들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 및 사용자의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 감지 센서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 또는 타격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타격 동작에 대응되는 타격음이 상기 차량 스피커를 통해 송출 가능하고,
제 2 몸체부의 외부면 상에는 각기 다른 악기의 연주음과 대응되는 2 이상의 연주용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A main body unit having a memory unit storing operation buttons and sound sources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s through interlocking with a vehicle speaker; And
And a controller detachably attachable to a handl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clud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for the main body and a hitting sensor for detecting a hitting of the user,
Wherein the hitting sensor comprises a hitting sound sensor or a hitting pressure sensor,
And a hi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itting operation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hitting sens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speaker,
And two or more play butt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the pla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play sounds of the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조작 버튼 및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차량 스피커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음원의 송출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 및
차량의 핸들과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한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 및 사용자의 타격을 감지하기 위한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 감지 센서는 타격 소리 감지 센서 또는 타격 압력 감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타격 동작에 대응되는 타격음이 상기 차량 스피커를 통해 송출 가능하고,
상기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연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A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main body unit having a memory unit storing operation buttons and sound sources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s through interlocking with a vehicle speaker; And
And a controller detachably attachable to a handl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including a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for the main body and a hitting sensor for detecting a hitting of the user,
Wherein the hitting sensor comprises a hitting sound sensor or a hitting pressure sensor,
And a hi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itting operation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hitting sens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speaker,
The vehicle music providing system includes:
And a playing mean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유선 또는 무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원부;
다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
음원이 저장되며 착탈 가능한 메모리부;
현재 재생중인 음원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충전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되,
인터넷 접속을 통한 음원 검색 및 검색된 음원의 재생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in body un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wired or wirelessly rechargeable battery;
An ope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A memory unit in which a sound source is stored and detachab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one generator information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And a terminal portion having a charging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nd a function of searching for a sound source through an Internet connection and playing or downloading the searched sound sour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FM 주파수, 블루투스 또는 AUX 연결을 통해 차량용 스피커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unit is interlocked with a vehicle speaker through an FM frequency, Bluetooth, or AUX conn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컨트롤러와의 연동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unit is a smart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supporting an interlocking function with the controller.
삭제delete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음은,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컨트롤러의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을 통해 설정된 악기음으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it sound is expressed as an instrument sound set through the operation unit or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원격 제어용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제 1 몸체부;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제 2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의 타측에 각각 대응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개폐(開閉) 가능한 체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체결부가 체결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의 핸들 두께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hav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button;
A second body including the hitting sensor;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being pivoted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controller to which the fastening portion is fastened has a cylindrical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a handle thickness of the vehic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는 상기 차량용 핸들의 내주면 일부를 서라운딩하고,
상기 제 2 몸체부는 상기 차량용 핸들의 외주면 일부를 서라운딩하되,
상기 제 2 몸체부의 외부면상에는 사용자의 손목 거치가 가능한 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body portion surrounds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handle,
The second body portion surrounds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hicle handle,
And a curved surface capable of mounting the wrist of the us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감지 센서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의 타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본체부는 졸음 운전 경보, 알파파(α-wave) 음악 또는 기 설정된 볼륨의 음악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음악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unit transmits at least one of drowsiness alert, alpha-wave music, or music of a predetermined volume when the user's hit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rough the hit detection sensor Automotive music delivery system.
삭제delete
KR1020140021856A2014-02-252014-02-25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Expired - Fee RelatedKR101529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21856AKR101529112B1 (en)2014-02-252014-02-25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21856AKR101529112B1 (en)2014-02-252014-02-25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529112B1true KR101529112B1 (en)2015-06-19

Family

ID=5351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021856AExpired - Fee RelatedKR101529112B1 (en)2014-02-252014-02-25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5291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79867A (en)2017-12-282019-07-08쌍용자동차 주식회사Audio device using detachable bluetooth spe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88717B1 (en)*2021-01-222022-04-20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Bluetooth microphone with speech to text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8502522A (en)*2004-06-182008-01-31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rtable information media device using an automotive audio system
KR20140007139A (en)*2012-07-092014-01-17이춘희A handle c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8502522A (en)*2004-06-182008-01-31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rtable information media device using an automotive audio system
KR20140007139A (en)*2012-07-092014-01-17이춘희A handle cov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79867A (en)2017-12-282019-07-08쌍용자동차 주식회사Audio device using detachable bluetooth spe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88717B1 (en)*2021-01-222022-04-20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Bluetooth microphone with speech to text function
WO2022158626A1 (en)*2021-01-222022-07-28주식회사 금영엔터테인먼트Bluetooth microphone supporting st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7888578B2 (en)Electronic musical score display device
CN101417178B (en)Operation tool, operation input evaluation method, storage medium, and game device
US20220218943A1 (en)Systems and methods of reducing stress with music
KR101529112B1 (en)System for supplying music using vehicle
US20170025106A1 (en)Wrist band piano
CN205881432U (en)Multi -functional guitar with timing function
CN217186904U (en)Supplementary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4591945U (en)Multifunctional electronic entertainment equipment
KR101380159B1 (en)instrument playing system
US10310805B2 (en)Synchronized sound effects for sexual activity
WO2009096762A3 (en)Easy guitar
KR200381819Y1 (en)A digital alarm clock in pillow
JP7683475B2 (en) Musical tone control device and music tone control program
KR200454174Y1 (en) Jump rope with music playback
US12420176B2 (en)Systems and methods for a microphone input device and microphone accessibility features
US20130207790A1 (en)Finger beamz
US20140100683A1 (en)Multimedia mp3/mp4 pace responsive sensored footwear
CN220474133U (en)Monitor and control circuit for hand correction
CN219936668U (en)Pedal drum-beating device
CN202837846U (en)Novel alarm clock
CN217139191U (en)Toy capable of beating piano
CN113132862B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entertainment device
JP3152424U (en) Remote control device
KR200364968Y1 (en)A wrist watch of vibration
KR100687693B1 (en) Mobile terminal with dual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90F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618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06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061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