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525397B1 -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397B1
KR101525397B1KR1020140027894AKR20140027894AKR101525397B1KR 101525397 B1KR101525397 B1KR 101525397B1KR 1020140027894 AKR1020140027894 AKR 1020140027894AKR 20140027894 AKR20140027894 AKR 20140027894AKR 101525397 B1KR101525397 B1KR 10152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implant
abutment
adjusting
sto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오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주)filedCritical오스템임플란트(주)
Priority to KR1020140027894ApriorityCriticalpatent/KR101525397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397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525397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환자의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도구가 개시된다.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는, 상기 지대주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상기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와; 상기 굽힘부재로부터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굽힘부재는 상기 지대주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하여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는 멈춤부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n angle adjusting tool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 dental implant used to recover a lost tooth of a patient.
The angl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ental implant having the concav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s provided with a bend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force to the abutment, A member; A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bending member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 The bend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abutment is inserted,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top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환자의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dental implant used for restoring a lost tooth of a patient.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즉, 보철물)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Implant refers to a replacement that restores the lost human tissue. In the dentist, a fixture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natural root to replace the root (root) of the lost tooth, (I. E., Prosthesis) to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ooth.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류의 결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가 있는데, 종래의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 시스템(임플란트 조립체)은, 픽스츄어, 지대주(Abutment) 및 인공치아 등으로 구성된다.Such dental implant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bonding the artificial teeth and the root teeth. Among them, there are screw type implants using the screw coupling force. The conventional screw type implant system (implant assembly) is composed of a fixture, an abutment and an artificial tooth.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되어 전체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 골조직과의 융합을 위해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 등으로 제조된다. 지대주는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공치아는 인상채득, 작업모형 제작, 납형제작, 매몰 및 소환 공정 등의 공정을 통해 치아의 형태로 제작된다.The fixture is immersed in the alveolar bone and serves to fix the entire implant system, and is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fusion with the human bone tissue. The abutment is attached to the fixture and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artificial tooth. Artificial teeth are made in the form of teeth through processes such as impression making, work modeling, lead-making, burial and summoning.

픽스츄어와 지대주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The fixture and abutment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as separate parts and then joined together.

도 1에는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임플란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츄어(1)와, 이 픽스츄어(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구조물로서의 지대주(5)와, 이 지대주(5)에 고정되는 보철물, 즉 인공치아(도시생략)를 포함한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monolithic implant in which a fixture and an abutment are integrally formed. 1 includes a fixture 1 immersed in an alveolar bone, anabutment 5 as an upper structu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1, A fixed prosthesis, that is, an artificial tooth (not shown).

그런데,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임플란트는, 식립 방향이 잘못되거나, 식립 방향과 인공치아의 방향이 다를 경우, 지대주의 방향을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식립된 임플란트를 제거한 후 다시 식립하거나 지대주를 삭제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integral implant having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piece formed integrally can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butment whe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is wrong or the direction of the implant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rtificial tooth.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erform troublesome operations to remove the abutment.

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45638 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2-0045638

최근, 임플란트의 식립 후에도 필요시 임플란트의 각도, 즉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일체형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Recently, a monolithic implant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reces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s formed so that the angle of the implant,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can be adjusted after implantation of the implant, if necessary.

그런데, 픽스츄어가 골 내에 식립된 상태에서 지대주에 힘을 가하여 오목부를 구부림으로써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때, 시술자가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하여 오목부가 파절되거나 시술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대주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angle of the implant is adjusted by applying the force to the abutment while applying the force to the abutment in the state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n the bone,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apply the unnecessary force to break the concave or to accurately position the abutment .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때, 임플란트의 외부표면과 맞닿아 필요 이상으로 임플란트의 오목부가 지나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implant having a guide member for abutting against an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to prevent excessively bending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more than necessary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a force. In order to provide an angle adjustment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상기 지대주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상기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와; 상기 굽힘부재로부터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굽힘부재는 상기 지대주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하여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concav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A bending member for applying a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A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bending member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Wherein the bend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abutment is inserted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top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b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Is provided.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대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지대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may have an insertion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butment,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abutment can be inserted.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삽입부의 말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멈춤부는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거나, 단면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topper may have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or a 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굽힘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이때, 상기 삽입부의 외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 말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have a tapered shape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oward the distal end over at least a portion thereof.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굽힘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멈춤부가 연장하기 시작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ortion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fitted and engaged and the stop portion starts to extend.

상기 끼움부의 내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 상기 멈춤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may have a tapered shape with an inside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stop portion over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또한, 상기 굽힘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지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recess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comprising: a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a practitioner;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ba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butment of the implant can be inserted; An inser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A guide member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fit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Wherein the angle of the dental implant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angle of the dental im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지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멈춤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recess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comprising: a handle capable of being held by a practitioner;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ba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butment of the implant can be inserted; A stop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b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dental implant can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때, 임플란트의 외부표면과 맞닿아 필요 이상으로 임플란트의 오목부가 지나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implant having a guide member for preventing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from excessively bending due to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a force. An angle adjustment tool is provided.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에 의하면, 픽스츄어가 골 내에 식립된 상태에서 지대주에 힘을 가하여 오목부를 구부릴 때, 시술자가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하여 오목부가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시술자가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지대주를 향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xture is placed in the bone and the concave portion is bent by applying a force to the abutment, the operator can prevent the concave portion from being broken by applying more than necessary force .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accurately direct the abutment to the desired ang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를 사용하여 일체형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의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n integr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integral implant using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on of an angle adjusting tool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le adjusting tool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le adjusting tool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ngle adjusting tool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임플란트의 식립 후에도 필요시 임플란트의 각도, 즉 픽스츄어(11)와 지대주(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13)를 형성한 일체형 임플란트(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The angular adjustment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fixture 11 and theabutment 12, when necessary, even after the implant is implanted,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The implan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integral implant 10 having therecess 13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3)를 갖는 일체형 임플란트의 상부, 즉 지대주(12)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20)와, 이 굽힘부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 조절시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의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30)를 포함한다.1 to 6,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ortion of the monolithic implant having theconcave portion 13, that is, theabutment 12, Abending member 20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a force while being coupled to thebending member 20 and abending member 2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bending member 20 and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gral- And aguide member 30 for stopping further angle adjustment.

굽힘부재(20)는,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자루부(21)와,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지대주(12)가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포함한다. 삽입부(22)의 내부에는,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지대주(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지대주(12)의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23)이 형성된다.Thebending member 20 includes acylindrical bag portion 21 to be held by the operator and aninsertion portion 22 into which theabutment 12 of theintegral implant 10 is inserted. Aninsertion hole 23 is formed in theinsertion portion 22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abutment 12 of theintegral implant 10 and to insert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abutment 12 therein.

삽입구멍(23)에 지대주(12)가 완전히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시술자가 힘을 줄 수 있을 만큼 지대주(12)의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삽입구멍(23)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즉 삽입구멍(23)의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It is not necessary that theabutment 1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insertion hole 23 and it is sufficient that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abutment 12 can be inserte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apply force. As shown in Figs. 4 to 6, theinsertion hole 23 has a tapered shape with its inner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distal end, that is, toward the entrance of theinsertion hole 23. [

또한, 삽입부(22)의 외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 말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그에 따라 삽입부(22)의 내부표면과 외부표면 사이의 두께는 말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아진다.The outside of theinsertion portion 22 has a tapered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becoming smaller toward the distal en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insert 22 become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distal end.

안내부재(30)는, 굽힘부재(20)의 삽입부(22)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34)와, 이 끼움부(34)로부터 연장하는 멈춤부(35)를 포함한다.Theguide member 30 includes afitting portion 34 to which theinsertion portion 22 of thebending member 20 is fitted and fitted and a stoppingportion 35 extending from thefitting portion 34.

끼움부(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을 갖는 굽힘부재(20)의 삽입부(2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끼움부(34)의 내주면은 삽입부(22)에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Thefitting portion 34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insertion portion 22 of thebending member 20 having a tapered shap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fitting portion 34 has a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insertion portion 22.

멈춤부(35)는 끼움부(34)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연장하며,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다. 시술자가 힘을 가해 일체형 임플란트(10)의 각도를 조절할 때, 즉 일체형 임플란트의 오목부(13)를 구부릴 때, 픽스츄어(11)와 지대주(12) 사이의 각도가 사전에 정해진 각도에 도달하면 멈춤부(35)의 말단부분이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 오목부(13)가 구부러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Thestopper portion 35 extends from thefitting portion 34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fixture 11 and theabutment 12 reaches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ractitioner applies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integral implant 10, that is, when theconcave portion 13 of the integral implant is ben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stopper 35 abut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integral implant 10 so that therecess 13 can no longer be bent.

이때, 멈춤부(35)의 말단부분이 맞닿는 일체형 임플란트(10)의 부분, 즉 픽스츄어(11)에 있어서 오목부(13)에 인접한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외부표면이 매끄럽거나 평평한 맞닿음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맞닿음부(14)가 복수의 평평한 표면을 가져, 마치 너트나 볼트 머리의 형상을 가지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맞닿음부(14)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At this time, no thread is formed in the portion of theintegral implant 10 wher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stopper 35 abuts, that is, the portion of thefixture 11 adjacent to theconcave portion 13, and the outer surface is smooth or flat Thecontact portion 14 may be formed. Although the illustration shows theabutment portion 14 as having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and having the shape of a nut or bolt head,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abutment portion 14 may not be formed separately.

멈춤부(35)의 길이가 달라지면 오목부(13)가 구부러지는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멈춤부(35)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면 멈춤부(35)의 말단부분이 맞닿음부(14)에 닿을 때까지 오목부(13)가 상대적으로 많이 구부러져야 하므로 지대주(12)의 중심축선은 픽스츄어의 중심축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각도를 갖는다. 역으로, 멈춤부(35)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면 멈춤부(35)의 말단부분이 맞닿음부(14)에 닿을 때까지 오목부(13)가 상대적으로 적게 구부러져야 하므로 지대주(12)의 중심축선은 픽스츄어의 중심축선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사전에 멈춤부(35)의 길이가 상이한 여러 개의 안내부재(30)를 제작하여 준비해 두고, 필요시 적절한 길이의 안내부재(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오목부(13)가 구부러지는 정도를 조절하여도 좋다.When the length of thestopper 35 is changed, the degree of bending of therecessed portion 13 can be changed.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stopper portion 35 is relatively short, theconcave portion 13 must be bent relatively much befor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stopper portion 35 touches theabutting portion 14, The axis has a relatively large angle relative to the center axis of the fixture. Conversely, if the length of thestopper 35 is relatively long, theconcave portion 13 must be bent relatively less until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stopper portion 35 comes into contact with theabutment portion 14, The central axis has a relatively small angle relative to the center axis of the fixture. Therefore,several guide members 30 having different lengths ofstopper portions 35 are prepared and prepared, and if necessar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recess portion 13 by selectively using theguide member 30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May be adjusted.

또, 도면에는 굽힘부재(20)의 삽입부(22)와 안내부재(30)의 끼움부(34) 사이에 아무런 결합수단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냅식 결합 방식이나 나사식 체결 방식을 활용하여 우발적인 이탈을 방지하여도 좋다. 나사식 체결 방식을 활용하여, 삽입부(22)의 외주에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끼움부(34)의 내주에 암나사부를 형성할 경우, 안내부재(30)의 끼움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멈춤부(35)의 길이가 상이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re is no coupling means between theinsertion portion 22 of the bendingmember 20 and thefitting portion 34 of theguide member 30, it is possible to utilize a snap coupling method or a screw coupling method So as to prevent accidental departure. When a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insertion portion 22 and a fe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insertion portion 34 by using a screw type fastening method,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stopper 35 may be obtained.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를 사용하여 시술을 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FIG. 6 shows a procedure of performing an operation using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우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굽힘부재(20)와 안내부재(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굽힘부재(20)의 삽입부(22) 내에 형성된 삽입구멍(23)에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지대주(12)를 삽입한다.6 (a), the practitioner inserts theinsertion hole 23 formed in theinsertion portion 22 of the bendingmember 20 in a state where the bendingmember 20 and theguide member 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abutment 12 of theintegral implant 10 is inserted.

계속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굽힘부재(20)에 힘을 가하여 안내부재(30)의 멈춤부(35)가 일체형 임플란트(10)의 맞닿음부(14)에 닿을 때까지 오목부(13)를 구부린다. 이때 픽스츄어(11)는 골(B) 내에 식립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시술자는 지대주(12)에만 힘을 가하여 오목부(13)를 구부릴 수 있다.6 (b), the practitioner applies a force to the bendingmember 20 so that thestopper 35 of theguide member 30 contacts theabutment portion 14 of the integral-type implant 10 Theconcave portion 13 is bent until reaching. At this time, since thefixture 11 is fixed in the bone B, the practitioner can bend theconcave portion 13 by exerting a force only on theabutment 12.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지대주(12)로부터 각도 조절도구를 분리시킨다.As shown in Fig. 6 (c), when the angle adjustment of the implant is completed, the angle adjusting tool is detached from theabutment 1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때,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임플란트의 외부표면과 맞닿아 필요 이상으로 임플란트의 오목부가 지나치게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임플란트의 오목부가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임플란트의 각도를 시술자가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actitioner applies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buts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so that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is excessively b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cave portion of the implant from being broken.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implant can be precisely adjusted to the angle desired by the operator.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대주(12)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20)와, 이 굽힘부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 조절시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의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40)를 포함한다.FIG. 7 shows a dental implant angle adjusting too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a force to the implant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abutment 12, And a guide member (40) detachably coupled to the bending member (20) and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integral implant (10) at the time of angle adjustment to stop further angle adjustment.

또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안내부재(40)는, 굽힘부재(20)의 삽입부(22)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44)와, 이 끼움부(44)로부터 연장하는 멈춤부(45)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Also in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guide member 40 also includes thefitting portion 44 to which theinsertion portion 22 of the bendingmember 20 is fitted and engaged, (45), as in the first embodiment.

다만, 안내부재(40)의 멈춤부(45)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단면이 완전한 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에 따라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안내부재(40)는 외부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다.However, thestop portion 45 of theguide member 40 is made to have an arc shape in sectio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ile in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nd surface is made to have a perfect circular shap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int. Accordingly, theguide member 4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in its outer shape.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안내부재(30)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대주(12)에 각도 조절도구를 끼우기 전에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안내부재(30)의 멈춤부(35)가 구부러지는 쪽으로 위치하도록 방향을 맞춰 주어야 한다. 하지만,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은 원통형의 안내부재(40)를 사용할 경우, 지대주(12)에 각도 조절도구를 끼우기 전에 구부릴 방향을 미리 감안할 필요가 없이, 아무 방향으로나 힘을 가할 수 있어 편리하다.When theguide member 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before the angle adjusting tool is inserted into theabutment 12, and thestopper 35 of theguide member 30 It should be oriented so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bent sid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cylindrical guide member 40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bending direction before putting the angle adjusting tool into theabutment 12, It is convenient.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멈춤부(45)의 형상 이외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stopper 45.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대주(12)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50)와, 이 굽힘부재(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도 조절시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의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60)를 포함한다.8 shows a dental implant angle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ular adjustment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angular adjustment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ending member And aguide member 60 detachably coupled to the bendingmember 50 and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integral implant 10 at the time of angle adjustment to stop further angle adjustment.

다만, 굽힘부재와 안내부재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굽힘부재(50)와 안내부재(60)가 일체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각도 조절기구에서는, 굽힘부재(50)와 안내부재(6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However,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separately formed and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endingmember 50 and theguide member 60 are integrally formed do. Therefore, in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of the second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between the bendingmember 50 and theguide member 60 is not required.

제2 실시예에 따른 굽힘부재(50)는, 시술자가 파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자루부(21)와,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지대주(12)가 삽입되는 삽입부(52)를 포함한다. 삽입부(52)의 내부에는,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지대주(1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지대주(12)의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53)이 형성된다.The bendingmember 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cylindrical bag portion 21 to be held by a practitioner and aninsertion portion 52 into which theabutment 12 of theintegral implant 10 is inserted. Aninsertion hole 53 is formed in theinsertion portion 52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abutment 12 of theintegral implant 10 and to insert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abutment 12 therein.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삽입구멍(53)에 지대주(12)가 완전히 삽입될 필요는 없으며, 시술자가 힘을 줄 수 있을 만큼 지대주(12)의 상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삽입구멍(5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즉 삽입구멍(53)의 입구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It is not necessary that theabutment 1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insertion hole 53 and it is sufficient tha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abutment 12 can be inserted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apply for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As shown in Fig. 8, theinsertion hole 53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that is, toward the entrance of theinsertion hole 53. As shown in Fig.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60)는, 굽힘부재(50)의 삽입부(52)로부터 연장하는 멈춤부(65)를 포함한다.Theguide member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stop portion 65 extending from theinsertion portion 52 of the bendingmember 50. [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멈춤부(65)는 삽입부(52)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연장하며,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다. 시술자가 힘을 가해 일체형 임플란트(10)의 각도를 조절할 때, 즉 일체형 임플란트의 오목부(13)를 구부릴 때, 픽스츄어(11)와 지대주(12) 사이의 각도가 사전에 정해진 각도에 도달하면 멈춤부(52)의 말단부분이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 오목부(13)가 구부러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stop portion 65 extends from theinsertion portion 5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in cross sec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fixture 11 and theabutment 12 reaches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ractitioner applies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integral implant 10, that is, when theconcave portion 13 of the integral implant is ben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stopper 52 abut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integral implant 10 so that therecess 13 can no longer be bent.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굽힘부재(20)와 안내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시술 도중에 우발적으로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일체형 각도 조절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어 시술이 편리해 질 수 있다.
When the bendingmember 20 and theguide member 30 are detachably coupl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re must be taken to prevent the engagement state from being accidentally released during the procedur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integral-type angle-adjusting tool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no fear that the engagement state is releas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대주(12)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50)와, 이 굽힘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며 각도 조절시 일체형 임플란트(10)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더 이상의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70)를 포함한다.Fig. 9 shows a dental implant angle adjustment too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angle adjusting means of the dental implant is bent And a guide member 70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ndingmember 50 and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integral implant 10 at the time of angle adjustment to stop further angle adjustment.

또한,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안내부재(70)는, 삽입부(52)로부터 연장하는 멈춤부(75)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Also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guide member 70 is the same as that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it includes a stopper portion 75 extending from theinsertion portion 52.

다만, 안내부재(70)의 멈춤부(75)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단면이 완전한 원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안내부재(70)는 외부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다.However, the stop portion 75 of the guide member 70 is made to have an arc shape in cross section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where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is made to have a complete circular shap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int. Accordingly, the guide member 70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안내부재(60)를 갖는 각도조절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대주(12)에 각도 조절도구를 끼우기 전에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할 것인지를 생각하고, 안내부재(60)의 멈춤부(65)가 구부러지는 쪽으로 위치하도록 방향을 맞춰 주어야 한다. 하지만,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와 같은 원통형의 안내부재(70)를 사용할 경우, 지대주(12)에 각도 조절도구를 끼우기 전에 구부릴 방향을 미리 감안할 필요가 없이, 아무 방향으로나 힘을 가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angle adjusting mechanism having theguide member 6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 which direction the force is applied before the angle adjusting tool is inserted into theabutment 12, Theportion 65 should be oriented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bent side.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ylindrical guide member 70 as in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pply force in any direction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bending direction before putting the angle adjusting tool into theabutment 12 It is convenient.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는, 멈춤부(75)의 형상 이외에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ngle adjusting tool of the dental implant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topper 75.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일체형) 임플란트
11: 픽스츄어
12: 지대주
13: 오목부
14: 맞닿음부
20: 굽힘부재
21: 자루부
22: 삽입부
23: 삽입구멍
30, 40: 안내부재
34, 44: 끼움부
35, 45: 멈춤부
10: (one piece) Implant
11: Fixture
12: abutment
13:
14:
20:
21:
22:
23: Insertion hole
30, 40: guide member
34, 44:
35, 45:

Claims (12)

Translated fromKorean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상기 지대주에 결합시킨 상태로 시술자가 힘을 가해 상기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굽힘부재와;
상기 굽힘부재로부터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굽힘부재는 상기 지대주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장하여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concav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A bending member for allowing an operator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plant by applying force to the abutment;
A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bending member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 RTI >
Wherein the bend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abutment is inserted and the guide member includes a stop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는 상기 지대주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지대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이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butme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abutment can be inser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삽입부의 말단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sertion hole has a tapered shape whos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 has an arcuate cross-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단면이 원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 has a circular cross-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 말단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ut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has a tapered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oward the distal end over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굽힘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멈춤부가 연장하기 시작하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guide member further comprises a fit portion in which the bending member is fitted and engaged and the stop portion begins to exten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내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 걸쳐서 상기 멈춤부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side of the fitting portion has a tapered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toward the stop portion over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d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지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concav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A bag portion which the operator can grasp;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ba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butment of the implant can be inserted;
An inser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A guide member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fitting portion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Wherein the dental implant has an angular orientation.
픽스츄어와 지대주 사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도구로서,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상기 임플란트의 지대주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을 갖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며 각도 조절시 상기 임플란트의 외부표면에 맞닿아 각도 조절을 중지시키는 멈춤부; 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An angle adjusting 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having a concave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between a fixture and an abutment,
A bag portion which the operator can grasp;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bag portion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abutment of the implant can be inserted;
A stop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ab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when the angle is adjusted to stop the angle adjustment; Wherein the dental implant has an angular orientation.
KR1020140027894A2014-03-102014-03-10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ActiveKR101525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27894AKR101525397B1 (en)2014-03-102014-03-10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40027894AKR101525397B1 (en)2014-03-102014-03-10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525397B1true KR101525397B1 (en)2015-06-03

Family

ID=5350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027894AActiveKR101525397B1 (en)2014-03-102014-03-10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5253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57518A (en)*2017-11-202019-05-29김주식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20210002667U (en)*2020-05-262021-12-06콴린 우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capable of being adjusted angl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312255A (en)*1989-06-051994-05-17Ernst BauerScrew implant for a jawbone
KR20000067899A (en)*1996-07-182000-11-25윌리엄 에이치. 로스Abutment-mount system for dental implants
KR200425721Y1 (en)*2006-06-232006-09-06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butment G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312255A (en)*1989-06-051994-05-17Ernst BauerScrew implant for a jawbone
KR20000067899A (en)*1996-07-182000-11-25윌리엄 에이치. 로스Abutment-mount system for dental implants
KR200425721Y1 (en)*2006-06-232006-09-06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butment Gag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057518A (en)*2017-11-202019-05-29김주식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2068525B1 (en)2017-11-202020-01-21김주식Implant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20210002667U (en)*2020-05-262021-12-06콴린 우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capable of being adjusted angle thereof
KR200495903Y1 (en)2020-05-262022-09-15콴린 우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capable of being adjusted angl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6301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ts of dental implants and abutments for restoration
EP2934367B1 (en)Abutment
KR101570615B1 (en)Fixture remover for implant
JP4694453B2 (en) Healing abutment pillar
JP6527143B2 (en) Dental implant replica
JP6360615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EP3421004A1 (en)Detachable implant-coupling prosthesis
KR101943437B1 (en)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19529047A (en) System for connec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dental implant
JP2017525437A (en) Temporary prosthetic system and usage of the temporary prosthetic system
JPH0780002A (en)Implant fixture and pincers for implant fixture
KR101419832B1 (en)Material holder for implan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644656B (en)Implant structure and abutment
KR20210131600A (en)Coupling Assembly for Dental Implant Prosthesis
KR20210030821A (en)Dental orthodontic appliance indirect bonding device
JP2017196363A (en)Abutment separation tool
KR102470652B1 (en)Implant impression coping with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KR101525397B1 (en)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EP2907473B1 (en)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20160126584A (en)Bi-acceptab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515790B1 (en)fitting jig for healing abutment
CN109069234B (en) Handling tool, dental kit and method for assembling dental components
KR101498197B1 (en)Tool for adjusting an angle of a dental implant
KR101067484B1 (e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KR102208219B1 (en)Dental implant assembly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4031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5052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5052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5052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323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80323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0325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0426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20425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40325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50422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