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513619B1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619B1
KR101513619B1KR1020080086047AKR20080086047AKR101513619B1KR 101513619 B1KR101513619 B1KR 101513619B1KR 1020080086047 AKR1020080086047 AKR 1020080086047AKR 20080086047 AKR20080086047 AKR 20080086047AKR 101513619 B1KR101513619 B1KR 10151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unit
electronic document
unit
content 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6877A (en
Inventor
최무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047ApriorityCriticalpatent/KR101513619B1/en
Priority to US12/549,848prioritypatent/US20100053108A1/en
Publication of KR2010002687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00026877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61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513619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 2 입출력부(200)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00),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input / output units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contents.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100 reproduces multimedia contents,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200 reproduces an electronic document, and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 A memory unit 400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s files and electronic document files, and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hyperlink objects during reprodu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a controller 300 for detecting a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from the memory unit 400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link content file to the second controller 220 when receiving the linked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ctronic document is reproduced through one input / output unit and a specific entity is selected from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the hyperlinked contents of the selected entity can be reproduced through another input / output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increased.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종이, e-paper, 전자문서Portable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paper, e-paper, electronic documen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Portable device and the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s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input / output units and a method for reproducing the contents.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반도체 분야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 및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디지털 기술에 의해 촉발된 디지털 컨버전스는 각종 미디어 및 정보통신 환경 전체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컨버전스는 디지털 방송, 인터넷, 모바일 등의 확장을 통해 가전, 통신, 방송, 기타 서비스업 등이 융합(converge)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음성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DMB의 시청, MP3 파일의 재생, 사진촬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s,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rapidly spreading and used. Digital convergence triggered by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great change in various media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s. At this time, the digital convergence means convergence of household appliances, communication, broadcasting, and other service businesses through expansion of digital broadcasting, the Internet, and mobi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functions such as viewing a DMB, playing an MP3 file, and taking a picture can be performed through a single terminal in addition to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text message.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표시부(display unit)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보,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정보 및 사용자입력에 따른 정보 등을 시각적 수단을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특 히, 디지털 컨버전스의 최근 경향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기능은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 component that ultimately displays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outside, information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input through visual means. Particularly, according to recent trends of digital convergence, the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becomes more important.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표시부는 CRT(cathode ray tude) 디스플레이장치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유비쿼터스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이의 장점과 전자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결합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반사형의 쌍안정성(bistable) 표시소자가 올라가는 형태의 전자종이가 개발되었다.The display unit us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RT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increased, and as the era of ubiquitous computing has com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display device. Accordingly, a display device combining the advantages of paper and the advantages of electronic display has been developed. That is, an electronic paper in which a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on a plastic substrate and a reflection type bistable display element is mounted thereon has been developed.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버튼에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스틱 또는 손의 접촉으로 입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입력 방식은 저항막 방식과 정전 용량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To control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user presses a button or performs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or touch of a stick or a hand. The input method utilizing the touch screen is classified into a resistive type and a capacitive typ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성상 현재 재생 중인 전자문서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을 중지하고 저장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order to receive multimedia contents related to an electronic docume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stop the reprodu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search for the stored multimedia contents, The user can not receive the multimedia cont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one input / output unit, And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hyperlinked contents through another input / out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a content file linked to a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a user from an electronic document reproduced through one input / output unit, even if the content file is not stored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the Interne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입출력부와,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 2 입출력부와,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신호를 송출하는 제 1 컨트롤러 및 제 2 컨트롤러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a first input / output unit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a second input / output unit for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 A memory for storing a multimedia content file and an electronic document file;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during playback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from the memory unit and outputting the detected content file to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이때,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downloading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the server using the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when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in the memory unit .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hyperlink object may be one of text, image, background, and underline display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또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파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may be any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content files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video signal having a higher frame rate than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ody,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a monostabl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a bistable display device.

이때,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stable display device may be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은 (a)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단계와, (b)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 텐츠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d)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링크 대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hyperlink object through a second input / output unit; (b) receiving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during playback of the electronic document; c) detecting a link target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and (d) reproducing the link target content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이때,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c) may include the step of (c1) downloading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the server 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그리고 상기 (c1) 단계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c1) may be performed by downloading the linked content file from the server using the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또한,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yperlink object may be one of text, image, background, and underline display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 target content may be any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video signal having a frame rat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ody,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a monostabl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a bistable dis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The bistable display device may be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컨텐츠 재생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reprodu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when a specific entity is selected from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while reproducing the electronic document through one input / output unit, the hyperlinked contents of the selected entity can be reproduced through another input / output unit, There are advantage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content file associated with a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a user from the contents of an electronic document reproduced through one input / output unit is not stored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the content file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is transmitted through another input /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stitu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제 1 입출력부(100)와 제 2 입출력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터치패널(110) 및 제 2 터치패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a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clude afirst touch panel 110 and asecond touch panel 210, respectively.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안정 및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기장 제거시의 투과 상태에 따라 구분된다. 즉, 상기 단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관계없이 언제나 한가지의 투과도만을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 반면에, 상기 쌍안정 방식은 전기장의 제거시 최종적으로 인가한 전기장 신호에 따라 검정색 및 흰색의 두가지 투과도를 보이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한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may be a monostabl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may be a bistable display device. Here, the monostable and bistable display devi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tate at the time of electric field removal. That is, the monostable scheme refers to a display scheme that always shows only one transmittance regardless of the electric field signal finally applied when the electric field is removed. On the other hand, the bistable method refers to a display method that displays two transmittances of black and white according to an electric field signal finally applied when an electric field is removed.

예컨대 상기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자종이(e-paper, electronic paper)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For example, the monost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mmonly used liquid crystal display (LCD) device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device, and the bist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paper . Particularly, the electronic paper is a bistable display in which an image is kept as it is when there is no external signal input,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각각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비디오화면을 재생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120) 및 제 2 컨트롤러(220)는 후술할 제어부(3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각각에 송출한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receive a video signal from thefirst controller 120 and thesecond controller 220, respectively, and reproduce the video screen. Thefirst controller 120 and thesecond controller 220 convert the data output from thecontroll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nto video signals suitable for display and output the video signals to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비하여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1 컨트롤러(1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또는 전자문서를 재생한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configured to display video signals having a higher frame rate tha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For example,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first controller 120 to reproduce multimedia contents,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second controller 220 And reproduces related information or electronic docu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과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전자문서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데이터의 기록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부(400)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쉬 메모리, PRAM(Phase-change RAM), FRMA(Ferro-electric RAM), 그리고 MRAM(Magneto-resistive RAM)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multimedia contents file,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of the multimedia contents, and the electronic document are stored in thememory unit 400. Thememory unit 400 is constituted by a nonvolatile memory capable of recording and erasing data. For example, thememory unit 400 may be configured by any one of an electrically erasable PROM (EEPROM), a flash memory, a phase-change RAM (PRAM), a ferro-electric RAM (FRMA), and a magneto- have.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는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되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of the multimedia contents is detected by thecontrol unit 300 from thememory unit 400 and transmitted to thesecond controller 220 do. At this time, thecontrol unit 300 detects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thememory unit 400 using the file name of the multimedia content.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to thesecond controller 220 by thecontroller 3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즉,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ID3 태그정보, 가사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음악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음악의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곡명, 작곡가, 가수 등의 정보는 ID3 태그정보에 포함된 곡 해설정보로부터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입출력부(100)는 가사정보와 인기순위, 방송출연 등의 신문기사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That is, when the multimedia content file is a music file, 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ID3 tag information, lyric information, and related articl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music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nformation such as a music name, a composer, and a music number of the music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input to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Lt; / RTI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song name, composer, singer, etc. is detected from the track descri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3 tag informati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100 displays newspaper information such as the lyric information, the popularity ranking, and the broadcasting appearance.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비디오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자막정보, 영화정보 및 관련기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영화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 중인 영화의 제목, 감독, 출연자, 시놉시스 등을 포함하는 영화정보와 자막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영화의 인기순위, 관객동원 등과 관련된 신문기사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I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is a video file, 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ubtitle information, movie information, and related articl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movie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 movie information and the cap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itle, director, performer, synopsis, etc. of the movie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 And is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 addition, newspaper artic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pularity ranking of the movie, the audience mobilization,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이미지파일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는 EXIF(exchageable image file format)정보 및 사용자입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사진이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사진의 카메라 및 렌즈 정보, 촬영날짜, 노출시간, 플래시 사용 여부 등의 EXIF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메시지로 구성되는 사용자입력정보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multimedia content file is an image file, 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EXIF (exchageable image file format) information and user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photograph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 EXIF information such as the camera and len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 the shooting date, the exposure time, and whether or not the flash is used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input / Is displayed. And user input information composed of a specific message input from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은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비디오신호를 생성한다.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control unit 300 detects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thememory unit 400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lated information data to thesecond controller 220, Thesecond controller 220 sequentially accumulates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controller 300 to generate a video signal.

여기서,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한다는 것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순차적으로 재생되거나 또는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최초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로부터 최종적으로 검출된 관련정보 데이터까지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누적하여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accumulation of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sequentially means that when a plurality of multimedia contents are sequentially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or a plurality of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are sequentially composed and detected, From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to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finally detected, is cumulatively recorded for sequentially displaying.

예컨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이 음악파일인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하는데, 이때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송받는 음악가사 등의 정보를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누적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is a music file, thecontrol unit 300 detects information such as music lyrics from thememory unit 4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second controller 220. At this time, 220 sequentially accumulate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in order to sequentiall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music lyrics received from thecontroller 300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상기 순차적으로 누적된 관련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비디오신호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송출되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관련정보를 전자문서 형태로 재생한다.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문서의 형태로 재생되는 상기 관련정보는 하나의 페이지에 순차적으로 표시되거나 또는 각각 하나의 페이지를 구성하여 복수 개의 페이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generated using the sequentially accumulated related information data is sent to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reproduces the rela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At this time, the related information reproduc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one page or a plurality of page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by configuring one page.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한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 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400)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 1 컨트롤러(110)에 전송한다.When thecontrol unit 300 receives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during reprodu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nd detects the content file from thememory unit 400 and transmits the detected content file to thefirst controller 110.

여기서, 상기 전자문서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및 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전자신문 등의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자신문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되는 것이다.Here, the electronic document means data of a document format that is created in an electronic form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s transmitted, received, or stored. 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ocument such as an electronic newspaper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 hyperlink object displayed in any form of text, image, background, The link target content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n this case,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단어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흑백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서 재생할 수 없는 컬러 이미지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 2 입출력부(200)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link target contents include at least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data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word from an electronic document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e image or video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word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refore,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or image that can not be reproduced by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composed of a screen of black and white like an electronic paper device is input to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which can display video signals having a relatively low frame rate,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roduce moving picture contents that can not be reproduced by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o a user.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2 입출력 부의 화면 예시도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second input / output un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는 전자문서가 재생된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는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의 내용을 구성하는 텍스트 중에서 밑줄표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재생된다.The electronic document is reproduced in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200). The electronic document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cludes a hyperlink objec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hyperlink object may be displayed by an underline in the text that composes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document. At this time, if the hyperlink object is selected by the user, the linked content linked to the selected hyperlink object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도 2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1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이다.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first input / output un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링크 대상 컨텐츠가 재생된다. 즉,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에서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비디오 데이터 등이 재생된다.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동영상을 재생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서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동영상 컨텐츠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하여 재생되는 것이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outputs a video sign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frame rate tha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reproduces the link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i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video data linked to a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reproduced. Since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composed of a bis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paper device, it ha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ut has a low frame rate characteristic not suitable for reproducing a moving image The moving picture content linked with the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 우, 통신부(500)는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에 밑줄이 표시된 하이퍼링크 객체정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단어를 검색어로 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링크 대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in thememory unit 400, thecommunication unit 500 downloads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the server. At this time, thecommunication unit 500 downloads the link target content from the server using the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in which a specific word is underlined is received from a user, the link target content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using the word as a search term.

그리고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관련정보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통신부(500)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헤더 부분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련정보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of the multimedia contents is not stored in thememory unit 400, thecommunication unit 500 transmits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Download from the server. At this time, thecommunication unit 500 downloads the related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por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file.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메인입출력부를 설정하는 메인설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는 서브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입출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전자문서의 재생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재생명령에 대응하는 메인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입출력부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 경우, 상기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지 아니한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의미한다.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main setting unit 600 for setting a main input / output unit.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and the other as a sub input / output unit. Herei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refers to an input /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main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command when a user inputs a playback command for multimedia content or an electronic document. The sub input / output unit refers to another input / output unit which is not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when any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되는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은 변환 부(700)에 의해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 예컨대,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The touch screen of the sub input / output unit set by themain setting unit 600 is converted by the convertingunit 700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main input / output unit.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by themain setting unit 600,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controls the first input / To be converted into a touch pad.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설정된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 이때,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대하여 일대 일로 대응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 정면 및 배면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면 대칭에 의한 점들과 각각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즉, 사용자에 의한 특정 위치에 대한 입력은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에서 상기 특정 위치의 면 대칭에 해당하는 지점의 입력으로 인식된다.The convertingunit 700 moves the cursor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or scrolls the screen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the touch screen of the sub input / output unit set by themain setting unit 600. [ At this time, the cursor movement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may be performed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respect to the touch input.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s on the sub- And are s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ints due to the surface symmetry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respectively. That is, the input to the specific position by the user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plane symmetry of the specific position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 이동은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서브입출력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 터치입력의 상대적인 위치 및 속도에 따라 상기 메인입출력부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한다.The movement of the cursor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may be performed relative to the touch input. For example, the cursor on the main input / output unit is moved or scroll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and speed of the user touch input to the sub input / output unit touch scree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인입출력부를 통한 화면의 재생을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상기 서브입출력부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패드로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touch screen of the sub-input / output unit as a touch pad while being provided with the playback of the screen through the main input / output uni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만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될 때에 한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사용자명령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At this time, only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formed of the touch screen.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not formed by a touch screen,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set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And converts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to a touch pad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감지센서(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력감지센서(610)는 중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main setting unit 600 includes a gravity sensing sensor 610. The gravity sensing sensor 610 determines any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by sensing gravity. That is,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an input / output unit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at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중력감지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중력을 이용하여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body, respectively. Themain setting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gravity sensor 610 And sets the input / output unit on the sid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gravity to the main input / output unit using the detected gravity.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중력방향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중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faces the gravity directi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Output section 200 is set as a main input / output section. Theconversion unit 700 converts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a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rough thefirst touch panel 110.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조도감지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도감지센서(620)는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조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main setting unit 600 includes anilluminance detection sensor 620. Theilluminance detection sensor 620 determines any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by sensing the illuminance. That is,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an input / output unit,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조도감지센서(620)에 의해 감지된 조도를 이용하여 조도가 더 높은 측의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Themain setting unit 600 is connected to themain unit 600 by theillumination sensor 620 And sets the input / output unit on the higher illuminance side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using the sensed illuminance.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지면을 향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반대 측에 형성되며, 지면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측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은 것으로 감지되는 제 2 입출력부(2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터치패널(110)을 통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faces the grou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first input / When the illuminance is relatively low,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which is relatively high in luminous intensity,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Theconversion unit 700 converts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a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rough thefirst touch panel 110.

또한,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카메라센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판단한다. 즉,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의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면에 형성된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In addition, themain setting unit 600 includes a camera sensor 630. The camera sensor 63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by sensing the user. That is,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an input / output unit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at faces the direction of the user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센서(630)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형상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사용자측을 향하고 있는 입출력부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 camera sensor 6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re formed. At this time, the camera sensor 630 sets an input / output unit facing the user out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by sensing a pupil of a user or sensing a shape of a user .

예컨대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형성되는 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카메라센서(63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사용자측을 향하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터치패널(210)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sensed by the camera sensor 63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formed, themain setting unit 600 may det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100 ) To the main input / output unit. Theconversion unit 700 converts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a touch input for controlling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rough thesecond touch panel 210.

그리고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적외선센서에 의해 사용자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Themain setting unit 600 includes an infrared sensor and detects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by sensing the user by the infrared sensor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입력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메인설정부(60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650)가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650. The user input unit 65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tting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At this time, themain setting unit 600 sets any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a user input received by the user input unit 650.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측에 버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버튼에의 입력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The user input unit 650 may be configured as a button on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ser sets any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through the input to the butt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set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button,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switched by theconversion unit 700 to the first input / ) Of the touch panel.

여기서, 터치스크린은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터치스크린 상의 점들이 각각 일 대 일로 대응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의 입력장치이다. 반면에, 터치패드는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입출력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커서를 움직이는 입력장치이다. 상기 터치패드는 입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의 점들과 일 대 일로 대응되는 방식에 의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동된다.Here, the touch screen is a touch input screen in which the points on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and the points on the touch screen correspond to each other one by one and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is recognized as an input for a position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touch pad is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touch input and moving a cursor displayed on the input / output unit. The touchpad is driven differently from the touch screen in that it does not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oints on th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그리고 상기 사용자입력부(650)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입력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터치입력부에의 접촉을 통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한다.The user input unit 65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of a user's touch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user sets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through contact with the touch input unit.

이때, 상기 터치입력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터치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우측면 및 좌측면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경우, 상기 우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입출력부(100)를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부(7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터치스크린을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한다.At this time, the touch input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grasp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a touch input by the user. The touch input uni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grasp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hen the user grasp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right hand,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by contacting the touch input unit formed on the right side. At this time, theconversion unit 700 converts the touch scree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또한, 사용자가 우측 손으로 상기 좌측면에 형성된 터치입력부를 접촉하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입출력부(2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입출력부(100)의 터치스크린은 상기 변환부(70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패드로 변환된다.Also,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input unit formed on the left side with the right h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At this time, the touch screen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converted into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by theconversion unit 700.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대기화면정보는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 정보 또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Thecontrol unit 300 generates idle screen informatio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Here, the idle scree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for configuring a standby scree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whe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enters the standby mode. The idle screen information includes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charge / discharge estimated time information or current time and user schedul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된 대기화면정보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되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의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더라도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대기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인가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The idle scree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controller 300 is transmitted to thesecond controller 220 and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econtrol unit 300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dl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by thesecond controller 220 . This is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composed of the bistable display device. That is, even i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removes the external signal input, the final image remains unchanged. Therefor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ile displaying the idle scree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기설정된 시간의 주기로 갱신하여 상기 제 2 컨트롤러(220)에 전송한다.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은 외부 신호 입력을 제거하기 직전의 최종적인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변화된 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대기화면이 갱신된 이후, 상기 제어부(300)는 다시 상기 제 2 입출력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한다.Whe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enters the standby mode, thecontrol unit 300 updates the idle screen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ransmits the updated idle screen information to thesecond controller 220. This is because the idl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nal image just before the external signal input is removed is maintained, so that the changed information is updated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 Therefore, after the idl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updated, thecontroller 300 again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은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용량산출부(800)는 배터리의 잔여용량을 측정하여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용량산출부(80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의 잔여용량과 상기 산출된 충전 및 방전 예상시간을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용량 및 충, 방전 예상시간을 막대, 눈금, 도형 형태의 그래픽이미지와 함께 시간을 단위로 한 숫자의 형태로 디스 플레이한다.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constituting the idle screen information is measured by thecapacity calculating unit 800. Thecapacity calculating unit 800 measure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nd calculates a charging and discharging expected time. Thecontrol unit 300 generates idle screen information us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measured by thecapacity calculating unit 800 and the calculated charging and discharging expected time. Thecontroller 300 display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nd the expected discharge time of the battery in the form of a number in units of time together with a graphical image in the form of bars, scales, and graphics.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구성하는 현재 시각 및 사용자스케줄 정보는 타이머부(900) 및 메모리부(40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타이머부(900)는 현재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사용자스케줄 정보와 상기 타이머부(900)에 의한 현재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현재 시각과 함께 시각에 따른 사용자스케줄을 디스플레이한다.The current time and user schedule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idle screen information are provided by thetimer unit 900 and thememory unit 400. Thetimer unit 900 provides current time information. Thememory unit 400 stores schedul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econtrol unit 300 generates the idle screen information using the user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memory unit 400 and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by thetimer unit 900. [ Thecontrol unit 300 displays a user sche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time.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 및 제 2 입출력부(200) 중 어느 하나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가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서브입출력부로 설정된 입출력부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설정부(600)에 의해 상기 제 1 입출력부(100)가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one o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nd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set as a main input / output unit and the other is set as a sub input / output unit by themain setting unit 600, Themain setting unit 600 determines that the input / output unit set to the sub-input / output unit has entered the standby mode. Accordingly, if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is set as the main input / output unit by themain setting unit 600,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displays an idle screen.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입출력부(100)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 을 디스플레이한다.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thecontroll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enters the standby mode when the multimedia contents are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At this time, thecontrol unit 300 generates idle screen informatio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multimedia contents are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output unit 100. Thesecond controller 220 receives the idle screen information from thecontroller 300 and displays an idle screen 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원종료 신호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배터리의 전기용량이 모두 소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의 대기화면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러(22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대기화면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 2 입출력부(200)에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when thecontroller 300 receives the power-off signal, thecontroller 3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enters the standby mode. The power supply termination signal is a signal for terminating the main pow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or when the electric capacity of the battery is exhausted, thecontroller 300 receives the power-off signal and generates the idle screen information of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Thesecond controller 220 receives the idle screen information from thecontroller 300 and displays an idle screen on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여기서 상기 전원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 2 입출력부(200)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를 통해 특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2 입출력부(200)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므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종료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원의 인가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 최종적인 상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계속하여 제공하기 위함이다.Herein, when the power-off signal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enters the standby mode in order to display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n the standby mode . That is, since the second input /output unit 200 is constituted by a bistable display device, even when the signal for terminating the main pow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 final imag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continuously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따르면, 전자종이 소자의 입출력부를 통해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원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일정한 시간을 주기로 대기화면을 갱신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현재 전원상태를 알 수 있고, 현재 시각에 따른 스케줄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displaying an idle screen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of the electronic paper device, and the idle screen is renew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can manage the sche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 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tent reproducing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s of a content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은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100 단계를 재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문서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되어 송신 및 수신 또는 저장되는 문서 형식의 데이터를 의미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 3, the content playback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played back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S100). If the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step 11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onic document is not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step 100 is performed again. Here, the electronic document refers to data of a document format written in an electronic form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transmitted, received, or sto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에 대하여 제 1 입출력부의 반대 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출력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종이는 외부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쌍안정성 디스플레이로서, 전력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video signal having a frame rat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a monostabl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a bistable display device.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may be a general display device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may be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Particularly, the electronic paper is a bistable display in which a phase is kept as it is when there is no external signal input,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다음으로, 제 1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12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10 단계를 재수행한다.Next, 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100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 for the hyperlink objec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In this case, if the user input is received,step 12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put is not received,step 110 is performed again.

여기서, 하이퍼링크는 사용자가 선택한 내용을 즉시 보여주는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화살표 형상의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키면, 상기 마우스 커서는 손가락 형상으로 바뀌며, 이때 사용자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hyperlink mean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user immediately. The hyperlink object refers to any one of text, image, background, and underline display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For example, when a user places an arrow-shaped mouse cursor on any one of text, image, background, and underline display during playback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mouse cursor changes to a finger shape, You can select the link target content associated with the link object.

이어서, 제 1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검출한다(S120).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도록 연결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110 that the user input is received, the link target content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is detected in operation S120. This is for reproducing link target contents connected to the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Here, the link target content refers to any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content linked to correspond to the hyperlink object.

이때,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EEPROM, 플래쉬 메모리, PRAM, FRAM, 그리고 MRAM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As described above, the non-volatile memory can be configured by any one of EEPROM, flash memory, PRAM, FRAM, and MRAM.

이어서, 상기 검출된 링크 대상 컨텐츠를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한다(S130). 이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는 전자종이 소자와 같이 흑백의 화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입출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입출력부의 내용 중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하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하이퍼링크의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Then, the detected link target cont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S130).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is constituted by a black-and-white screen like an electronic paper device and is composed of a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having a relatively low frame rate as compared wit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content suitable for playback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 hyperlink,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르면,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를 재생하면서, 전자문서에 포함된 내용 중 특정 개체를 선택하면 하이퍼링크된 컨텐츠를 제 2 입출력부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lectronic docum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and a specific object among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is sel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par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s of a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은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200). 이때,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전자문서가 재생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 200 단계를 재수행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tent playback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determining whether an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play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S200). If the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step 21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electronic document is not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step 200 is performed again.

다음으로, 제 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자문서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 자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 22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10 단계를 재수행한다.Next, 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200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i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 for the hyperlink objec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is received. If the user input is received,step 22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put is not received,step 210 is performed again.

이어서, 제 2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3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40 단계를 수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210 that the linked content file associated with the hyperlink object has been stored in operation S220, At this time, if the linked content file is stored, step 230 i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step 240 is performed.

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함이다.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the cont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다음으로, 제 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검출한다(S230).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220 that the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is stored, the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is detected in operation S230.

한편, 제 22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한다(S240).If it is determined inoperation 220 that the linked content file is not stored, the linked content file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in operation S240.

이어서, 상기 제 1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를 재생한다(S250). 이때,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 상기 제 2 입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하이퍼링크 객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체와 연결된 컨 텐츠로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Then, the link target content is reproduced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S250). In this case, the link target content is composed of any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content, which is linked to an object selected by a user among hyperlink objects included in an electronic document reproduced through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에 따르면, 재생되는 전자문서의 내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컨텐츠파일이 휴대용 저장기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 playback metho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selected by the user is not stored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from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document to be played back, It is possible to download and provide it to the user,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onvenience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2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FIG. 2A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second input / output un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b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제 1 입출력부의 화면 예시도.FIG. 2B is a view showing a screen of a first input / output uni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s of a content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s of a content playback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제 1 입출력부110: 제 1 터치패널100: first input / output unit 110: first touch panel

120: 제 1 컨트롤러200: 제 2 입출력부120: first controller 200: second input /

210: 제 2 터치패널220: 제 2 컨트롤러210: second touch panel 220: second controller

300: 제어부400: 메모리부300: control unit 400: memory unit

500: 통신부600: 메인설정부500: communication unit 600: main setting unit

610: 중력감지센서620: 조도감지센서610: Gravity sensor 620: Illumination sensor

630: 카메라센서650: 사용자입력부630: camera sensor 650: user input

700: 변환부800: 용량산출부700: conversion unit 800: capacity calculation unit

900: 타이머부900: Timer part

Claims (17)

Translated fromKorean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입출력부와;A first input / output unit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2 입출력부와;A second input / output unit for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제2 입출력부 각각에 비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제1 컨트롤러 및 제2 컨트롤러와;A first controller and a second controller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to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 respectively;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및 전자문서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A memory unit for storing multimedia contents files and electronic document files; And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의 컬러 이미지 또는 일정 수준 이상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제1 입출력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및,When receiving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during playback of the electronic document, detecting a color image of a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or moving image content having a frame rate higher than a certain level from the memory unit,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data to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사용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전자문서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부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재생 명령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입출력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를 상기 메인입출력부의 제어를 위한 터치 패드로 설정하는 메인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command when a reproduction command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s or an electronic document is input from a user and the other input / And a mai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ouch pad as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main input / output unit.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d a communication unit for downloading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the server using the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in the memory unit. Electronics.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Wherein the hyperlink object comprises: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Wherein the electronic docu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 background, and an underlined display included in the electronic document.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은,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ncludes: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파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 audio, and a video content file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상기 제 1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d a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having a higher frame rate than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상기 제 1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단안정(mono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It consists of monostable display elements:상기 제 2 입출력부는,Wherein the second input /쌍안정(bistable)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nd a display device of a bistable type.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In the bistable display device,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Wherein the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device.a)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제2 입출력부를 통해 하이퍼링크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를 재생하는 단계와;a)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 including a hyperlink object through a second input / output unit reproducing an electronic document;b) 상기 전자문서의 재생 중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b) receiving a user input for a hyperlink object during playback of the electronic document;c) 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와 연결된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c) detecting a linked content file linked to the hyperlink object; And,d)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의 컬러 이미지 또는 일정 수준 이상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d) reproducing the color image o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or the moving image content having a frame rate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rough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content,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제2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상기 전자문서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부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재생 명령에 따른 비디오 신호를 송출하는 메인입출력부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입출력부가 상기 메인입출력부의 제어를 위한 터치 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컨텐츠 재생 방법.Output unit is set to a main input /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command when a reproduction command for reproducing the multimedia contents or the electronic document is input from a user,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 Output unit is set as a touch pad for controlling the main input / output unit.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상기 (c) 단계는,The step (c)(c1)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c1) if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is not stored, downloading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the server.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상기 (c1) 단계는,The step (c1)상기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And downloading the link target content file from a server using hyperlink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제 11 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상기 하이퍼링크 객체는,Wherein the hyperlink object comprises:상기 전자문서에 포함된 텍스트, 이미지, 배경 및 밑줄표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Wherein the electronic docu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xt, an image, a background, and an underline displayed in the electronic document.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상기 링크 대상 컨텐츠는,The link target content includes:상기 하이퍼링크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Wherein the content is one of text, image, audio, and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hyperlink object.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상기 제 1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상기 제 2 입출력부에 비해 높은 프레임레이트의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And a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having a higher frame rate than the second input / output unit.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상기 제 1 입출력부 및 제 2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 out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본체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상기 제 1 입출력부는,Wherein the first input /단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되고:It consists of a monostable display element:상기 제 2 입출력부는,Wherein the second input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And a display device of a bistable type.제 16 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상기 쌍안정 방식의 디스플레이 소자는,In the bistable display device,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컨텐츠 재생방법.And the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element.
KR1020080086047A2008-09-012008-09-01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Expired - Fee RelatedKR101513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86047AKR101513619B1 (en)2008-09-012008-09-01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US12/549,848US20100053108A1 (en)2008-09-012009-08-28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86047AKR101513619B1 (en)2008-09-012008-09-01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26877A KR20100026877A (en)2010-03-10
KR101513619B1true KR101513619B1 (en)2015-04-20

Family

ID=4217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086047AExpired - Fee RelatedKR101513619B1 (en)2008-09-012008-09-01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5136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GB201112458D0 (en)*2010-09-282011-08-31Yota Group Cyprus Ltddevice with display screen
CN103370924A (en)*2010-12-102013-10-23尤塔设备Ipr有限公司Mobile device with user interface
US20150189482A1 (en)*2012-06-122015-07-02And Works Co., Ltd.Device for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for mon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for sharing related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080072163A1 (en)*2006-09-142008-03-20Springs Design, Inc.Electronic devices having complementary dual displ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20080072163A1 (en)*2006-09-142008-03-20Springs Design, Inc.Electronic devices having complementary dual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26877A (en)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533247B1 (en)Portable device and the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16860B2 (en)Wireless control of stored media presentation
US6633930B2 (en)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dium
US8751968B2 (en)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multimedia items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472021B1 (en)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728812B2 (en)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thereof
US8152308B2 (en)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unit in the mobile terminal
US20060015826A1 (en)Hard disk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US20100020030A1 (en)Method of manag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235266B2 (en)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vibrating section which vibrates depending on reproduction position
CN112954199B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CN111147779B (en)Video produ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US20090027381A1 (en)Three-dimensional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133667A (en)For manag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the operator scheme of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79371A (en)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device
CN113380279B (en) Audio play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US20100053108A1 (en)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361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CN116095358A (en) Video gener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KR102104498B1 (en)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lide show
KR10150420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thereof
CN110809186B (en)Vide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0432912C (en)Mobile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method, program and graphical interface thereof
CN108650456A (en) Focu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148982A (en)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323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104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10415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