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488717B1 - 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717B1
KR101488717B1KR20130101210AKR20130101210AKR101488717B1KR 101488717 B1KR101488717 B1KR 101488717B1KR 20130101210 AKR20130101210 AKR 20130101210AKR 20130101210 AKR20130101210 AKR 20130101210AKR 101488717 B1KR101488717 B1KR 101488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pointer
unit
pointing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3385A (en
Inventor
최은석
소병석
유호준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73,131priorityCriticalpatent/US9952684B2/en
Priority to EP14167606.4Aprioritypatent/EP2801891B1/en
Publication of KR20140133385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40133385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717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488717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is start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pointing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ointer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The controller displays the pointer at a first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pointer at a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inting device whe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입력 장치, 포인팅 장치, 포인터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 pointing device, a pointer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포인팅 장치에 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에 비해 높은 시인성을 갖는 입력 장치, 포인팅 장치, 포인터 표시 방법 및 기록 매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a pointing device, a pointer display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higher visibility than a conventional laser pointer.

PC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대형 화면으로 보기 위해 전통적으로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를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기술이 자주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빔 프로젝터는 휘도와 해상도가 낮아 조명이 밝은 경우 영상이 잘 보이지 않고, 영상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도와 해상도가 높아 빔 프로젝터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낮은 가격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생산이 가능해져 앞으로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Conventionally, a technique for projecting images output from a PC onto a screen using a beam projector has been frequently used to view a large screen. However, since the beam projector has low brightness and resolu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is not well visible and the image is not clear when the light is bright. On the other hand,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is recognized as a means of replacing a beam projector due to its high luminance and high resolution. Especially, as the display technology develops, it becomes possible to produce large-sized display devices at a low price, and this trend will be further intensified in the future.

한편, 빔 프로젝터와 종종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특정 부분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터가 있다. 종래에는 레이저 광을 방사시키는 레이저 포인터(Laser pointer)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해서 빔 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된 스크린 상의 원하는 지점에 레이저 광을 비춤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지시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등의 간단한 영상 제어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포인터도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ointer to indicate a specific part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s often used with the beam projector. Conventionally, laser pointers for emitting laser beams have been used. The user could indicate the desired portion by illuminating the laser beam at a desired spot on the screen projected by the beam projector using the laser pointer. In recent years, laser pointers having simple image control functions such as switching pages of presentation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빔 프로젝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되면서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는 경우 포인터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는 레이저 광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표면에 반사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레이저 광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휘도를 갖기 때문이다.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when the laser pointer is used in a display device while the beam projector is replaced with a display device, the visibility of the pointer is deteriorated. This is because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has a luminance similar to or higher than that of the laser light.

따라서,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를 대체하여 휘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시인성이 높은 포인팅 기술이 요청된다.Therefore, a pointing technology with high visibility is required even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high luminance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laser poin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시인성이 높은 포인팅 기술을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inting technique with high visibility even in a display device with high lumina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pointing devic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ointer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pointer at a first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nd, when receiving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from the pointing device, displays the pointer at a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point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서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while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inter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inting device,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앙 위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osition may be a central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는, 절대 포인팅 방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Also,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an absolute pointing method.

또한, 상기 제어부는, 마우스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와 독립적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a mouse pointer independently of the pointer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use input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포인터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disappear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for a preset tim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모드 전환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오브젝트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select the object when th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fter the mode switch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포인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포인팅 장치에 대한 복수의 포인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independently display a plurality of pointers to the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포인터를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display the plurality of pointers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는, 입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포인팅 입력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inting device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input devic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tarting a pointing input; A sensor unit for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pparatu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user input and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put apparatus.

또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의 절대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including the sensor member,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to detect the absolu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이때, 상기 입력 부는 입력 모드 전환 입력을 위한 제1 버튼 부와, 상기 입력 장치 제어를 위한 제2 버튼 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 부 조작에 의해 모드 전환 입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모드 전환 입력을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포인팅 장치의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제2 버튼 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환된 입력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button unit for input mode switching input and a second button unit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button unit, When receiving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by an operation of the second button unit, switching the input mode of the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for the received mode switching in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상기 입력 모드가 프리젠테이션 모드인 경우, 상기 제2 버튼 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입력 장치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의 페이지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nput mode is a presentation mode, when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nput device is received by operation of the second button unit,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a pag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input device is generated,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아무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포인팅 장치의 변화된 위치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turn off power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f no us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The pointing device can be switched to the sleep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포인팅 장치의 변화된 위치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이 선택적으로 차단된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를 웨이크 업(wake up)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struction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or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in the sleep stat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inting device, And to switch the pointing device to a wake up stat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은, 포인팅 장치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시작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point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tart signal from a pointing device; displaying a pointer at a first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rt signal; And displaying the pointer at a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pointing device whe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서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while receiving the start signal from the pointing device, And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은 포인팅 입력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point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user input for starting a pointing input; And transmitting the user input and the sensed location information to an input device.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전술한 포인터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 일시적 기록 매체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ointer display metho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휘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는 경우도 시인성이 높은 포인팅 기술을 제공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inting technology having high visibility even when used in a display device with high lumi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화면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의 모식도,
도 6은 도 5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참고도, 그리고,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inter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of FIG. 5;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poin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flowcharts of a pointer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화면을 도시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inter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휘도가 높고 패널 표면에서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므로 포인터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포인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When a pointer is displayed using a laser pointer on the screen of a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high and the laser light is reflect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thereby deteriorating the visibility of the point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encoding and outputting a pointer to an image to be displayed can be considered.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마우스 포인터(20)와 구별되는 별도의 포인터(10)를 출력하는 방법이다. 다만, 종래의 마우스 포인터(20)와 별도의 무선 포인팅 장치를 통해 공간상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화면의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경우 포인터(10)는 영상과 함께 출력되고 식별력이 있는 색깔이나 모양을 갖으므로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 포인터(20)와 구별되므로 마우스의 움직임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만 의존한다. 따라서, 마우스가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용상 혼동의 우려가 없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포인터를 화면에 출력하므로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처럼 현실의 광에 의해 포인팅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므로 가상 포인터(virtual pointer)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가상 포인터 기술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at is, it is a method of outputting aseparate pointer 10 distinguished from theconventional mouse pointer 20 as shown in FI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pointer is output at the position of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 the space through the wireless pointing device separate from theconventional mouse pointer 20. In this case, thepointer 10 is output together with the image and has a distinctive color or shape, so that the visibility is enhanced. In addition, since themouse pointer 20 is distinguished from theconventional mouse pointer 20, it is not affected by movement of the mouse, and only depends on the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Therefore, there is no fear of confusion in use that may occur due to movement of the mou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pointer to a screen, it does not perform pointing with real light like a conventional laser pointer, and thus may be called a virtual pointer. Hereinafter, the virtual pointer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은 포인팅 장치(100)와,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ointing device 100 and aninput device 200.

포인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와 달리 포인팅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포인터 명령을 생성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pointing device 100 receives a user input and senses mo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to theinput device 200. Alternatively, thepoin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pointer instruc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and the sensed motion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pointer instruction to theinput device 200.

특히, 포인팅 장치(100)는 포인팅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신호를 전송하고 입력 장치(200)는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포인터(10)를 표시한다. 포인팅이 시작되면 포인팅 장치(100)는 움직임 즉,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한다. 입력 장치(200)는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포인터(10)를 화면상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한다.In particular, thepointing device 100 transmits a start signal for starting the pointing, and theinput device 200 receives the start signal and displays thepointer 10 on the screen. When the pointing operation is started, thepointing device 100 senses the movement, that i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input device 200. Theinput device 200 displays thepointer 1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

이하에서는 각 장치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 장치(200)를 설명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통신 부(210), 디스플레이 부(220), 제어 부(230)를 포함한다.3, an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mmunication unit 210, adisplay unit 220, and acontrol unit 230. As shown in FIG.

통신 부(210)는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부(210)는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포인팅 시작을 알리는 시작 신호,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다르게 위치 정보에 따른 포인팅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부(210)는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제공한다.The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signal from thepointing device 100. [ Specifically, the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the start signal indicating the start of pointing from thepointing device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Alternatively, a pointin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ecommunication unit 210 provides the received signal to thecontroller 230.

통신 부(2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부(210)는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The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communication unit 210 mainly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a WIFI, a Wideband CDMA (WCDMA),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WiBro), LTE, Bluetooth modul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Zigbee, and Wireless LAN .

디스플레이 부(220)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부(220)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표시한다.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 부(220)는 마우스에 대한 포인터를 별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Thedisplay unit 220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 pointer. Specifically, thedisplay unit 220 displays a pointer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Also,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display unit 220 may display a pointer to the mouse separately.

디스플레이 부(22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부(220)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주로 발광형으로 이루어질 것이지만, 반사형 디스플레이(E-ink, P-ink, Photonic Crystal)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등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Thedisplay unit 220 can be designed with various display panels. That is, thedisplay unit 220 may inclu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ELD). The display panel will mainly be of an emission type, but does not exclude a reflective display (E-ink, P-ink, Photonic Crystal).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a transparent display, or the like.

제어 부(230)는 입력 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 부(230)는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부(220)의 제1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input device 200. In particular, when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pointing device 100, the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pointer to be display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display unit 220.

여기서 제1 위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기 설정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220)의 중앙 위치 또는 모서리 위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osition may be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For example, a central position or an edge position of thedisplay unit 220. [

시작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디스플레이 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다. 물론, 이때도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할 수는 있다. 이때는 포인팅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음을 전제로 한다.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포인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려는 의도로 간주한다. 그러므로, 제어 부(230)는 포인터가 화면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부(220)를 제어한다.Thedisplay unit 220 does not display the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creen before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Of course, you can also display the mouse pointer at this time.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pointing device 100 is not used. When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the pointer is regarded as an intention to display the pointer using thepointing device 100. Therefore, thecontrol unit 230 controls thedisplay unit 220 to display the poin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이처럼 포인팅이 시작되는 경우 포인터가 기 설정된 위치에 시작되는 것은 종래의 마우스 포인터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기존의 마우스 포인터의 경우는 컴퓨터 부팅이 이루어진 후 포인팅이 중단되고 이후에 포인팅이 재개된 경우 마우스 포인터가 다시 새로운 지점에서 포인팅을 시작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마우스 포인터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등으로 인해 포인터가 움직이는 한계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그 한계를 벗어나서 움직일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인팅 장치(100)를 소지한 사용자는 공간 상의 어느 위치에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사용자는 화면의 정면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포인팅 장치(100)의 현실의 위치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포인터가 화면에 매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포인터에 대한 기준점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When the pointing is started as described above, the pointer is sta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mouse point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use pointer, the pointing is stopped after the computer is booted, and when the pointing is resumed later, the mouse pointer does not start pointing again at the new point. This is because the mouse pointer has a clear limit for the movement of the pointer due to the wired connection, and it is unlikely to move beyond the limit. However, the user holding thepointing device 100 may be in any position in space. For example, a user who is presenting may b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screen, but may be located on the side. If such a case that displays a pointer on the scree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eality of thepointing device 100 it may or may not map to the pointer on the scre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reference point for the pointer.

제어 부(230)는 시작 신호가 수신된 이후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포인팅 장치(100)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220)의 제2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econtrol unit 230 receives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from thepointing device 100 after receiving the start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to thedisplay unit 220 The pointer is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포인팅 장치(100)는 후술하는 것처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포인팅 장치(100)의 3차원 공간 상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된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즉, 포인팅 장치(100)의 모션 센서값이 이전의 센싱값과 달라지는 경우 포인팅 장치(100)는 새롭게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한다.Thepointing device 100 senses the position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pointing device 1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s described later. When the sensed position is changed, that is, when the motion sensor value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ensed value, thepointing device 100 transmits the newly sens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input device 200.

제2 위치는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부(220) 상의 위치를 말한다. 즉, 현실의 3차원 공간좌표에 매핑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2차원 좌표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부(220) 방향으로 움직이는 벡터값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인팅 장치(100)의 가까워짐과 멀어짐에 따라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하는 실시 예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포인팅 장치(100)가 공간 상에서 입력 장치(200)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움직이는 경우 표시되는 포인터의 크기가 커지고, 입력 장치(200) 방향에서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경우 포인터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refers to a position on thedisplay unit 2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That is, it becomes a two-dimensional coordinate on the display screen that is mapped to realistic three-dimensional space coordinates. Therefore, generally, the vector value of thepointing device 100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display unit 220 is not considered. However, embodiments that change the size of the pointer as thepointing device 100 approaches and distances may also be implemented. That is, the size of the pointer displayed when thepointing device 100 moves toward theinput device 200 in the space is increased, and the size of the pointer is decreased when the device is moved away from the direction of theinput device 200 .

포인팅 장치(100)는 포인팅 방향(전면부)에 포인터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포인팅 장치(100)의 방향 각의 움직임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100)의 전면부가 디스플레이 부(220)의 제1 지점을 가리키고 있다가 포인팅 장치(100)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여 전면부가 디스플레이 부(220)의 제2 지점을 가리키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물론, 이때 포인터는 화면 상에서 제 1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움직이도록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포인팅 장치(1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100) 상의 어느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회전한 결과 최종적으로 전면부가 가리키는 지점이 제2 지점이 된 경우 수평방향으로 포인팅 장치(100)가 움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인터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두 가지 실시 예의 경우 포인터의 움직임은 거의 유사하게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Since thepoint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pointer in the pointing direction (front portion), the movement of the direction angle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also considered. For example,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points to the first point of thedisplay portion 220 and thepointing device 100 moves 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ront portion moves to the second point of thedisplay portion 220 Consider the case of pointing. Of course, at this point the pointer should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 mov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pointing device 100 is rotated around a certain point on thepointing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pointing device 100 does not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ointer will have to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pointing device 1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oint at which the front end point is the result of the rotation finally becomes the second poi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two embodiments, the movement of the pointer should be displayed in a similar manner.

또한, 제어 부(230)는 시작 신호와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조합한 결과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작 신호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새로운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만 포인터의 표시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시작 신호가 수신된 후 시작 신호와 새로운 위치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만 포인터의 표시를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0)의 제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포인터를 움직이도록 설계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제어 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시작 신호와 위치 정보가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 버튼에 대한 입력이 사라지면 화면에서 포인터는 사라진다. 물론, 포인터가 사라지지 않고 기 설정된 위치로 돌아가거나 그 자리에 고정되도록 구현도 가능하다.Thecontrol unit 230 can display the pointer based on the result of combining the star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pointer to be updated only when new pos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In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pointer to be updated only when the start signal and the new pos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at the same time after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In the latter case, the user is designed to move the pointer while holding the control butt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the start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Then, when the input to the control button disappears, the pointer disappears from the screen.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the pointer does not go away but goes back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r is fixed in place.

전술한 것처럼 포인팅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는 종래의 마우스 포인터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특정 아이콘이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따라서, 마우스 포인터는 컴퓨터 운영체제와 유기적으로 동작하며 운영체제는 마우스 포인터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마우스를 움직이게 되면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은 프리젠테이션 화면에서 벗어나도록 하거나 별도의 메뉴를 표시한다. 반면, 본원발명의 포인팅 장치(100)에 의한 포인터의 움직임은 운영체제의 아이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ointer by thepointing device 100 need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mouse pointer. Typically, a mouse is an input device for selecting a specific icon or item. Therefore, the mouse pointer operates organically with the computer opera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system is sensitive to the movement of the mouse pointer. For example, when you are performing a presentation, if you move the mouse, the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will either leave the presentation screen or display a separate menu. On the other hand, movement of the pointer by the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amage the item or the application of an operating system.

또한, 포인팅 장치(100)의 포인터는 화면 상의 객체를 가리키기 위한 것이므로 식별력 있게 표시될 필요가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에 주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색깔이나 모양 등이 식별력 있게 표시되어야 한다. 반면, 마우스 포인터는 객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포인팅 장치(100)의 포인터 정도로 식별력 있게 표시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since the pointer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for pointing to an object on the screen, it needs to be displayed with a distinctive power. That is, since a plurality of users need to be able to pay attention to a point where a pointer is located, color or shape must be displayed distinctivel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ouse pointer is for selecting and executing an object, it is not necessary to display the mouse pointer as a pointer of thepointing device 100 in a distinct manner.

따라서, 포인팅 장치(100)의 포인터와 마우스 포인터는 기능이나 동작 면에서 구별되므로 포인팅 장치(100)의 포인터를 마우스 포인터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뒤에서는 포인팅 장치(100)가 마우스 포인터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의 실시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는 모드 전환을 통해 어느 한 종류의 포인터만을 표시한다.Accordingly, since the pointer and the mouse pointer of thepointing device 100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function or operation, the pointer of thepointing device 100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ouse pointer.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pointing device 100 includes a mouse pointer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only one type of pointer is displayed through mode switching.

포인팅 장치(100)의 버튼 조작이 있는 경우만 포인터를 표시하는 경우라면 버튼 조작이 없는 이상 제어 부(230)는 화면 상에 포인터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버튼 조작이 없는 경우도 포인터를 최종 위치에 계속 표시하도록 설계된 경우 제어 부(230)는 포인터가 화면에 표시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포인팅 장치(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부(220)에 표시된 상기 포인터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pointer only when the button ope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performed, thecontrol unit 230 does not display the pointer on the screen any longer unless the button operation is performed. However, if the pointer is designed to continue to be displayed at the final position in the absence of the button operation, thecontroller 230 displays the pointer on thedisplay unit 220 if there is no movement of thepointing device 100 for a preset time, So that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isappears.

또한, 복수 개의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부(230)는, 복수의 포인팅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포인팅 장치(100)에 대한 복수의 포인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의 중에 여러 사람이 자신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se where a signal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pointingdevices 100 can be considered. At this time, the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o display a plurality of pointers to the plurality of pointingdevices 100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pointingdevices 100. This allows multiple people to display pointers on the screen through their pointing devices during a meeting.

이때 복수의 포인터는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색깔, 모양, 형상 등이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인터는 빨간색, 제2 포인터는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ointers can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at is, colors, shapes, shape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pointer may be red, and the second pointer may be yellow.

한편,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포인팅 장치(100)는 모드 전환에 따라 전술한 포인터를 표시하는 프리젠테이션 모드와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하는 마우스 모드 사이의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pointing device 100 can perform a mode conversion between the presentation mode for displaying the pointer and the mouse mode for displaying the mouse pointer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이때, 제어 부(230)는, 포인팅 장치(110)로부터 모드 전환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부(220)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상태에서 포인팅 장치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마우스 포인터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목적의 포인터이므로,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포인팅 장치(100)는 마우스처럼 동작한다.If a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mous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object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220 after the mode switch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pointing device 110, . When the mouse pointer is switched to, the mouse mode, so the pointer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the object, thepointing device 100 acts as a mouse.

이 밖에도 제어 부(230)는 입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 부(23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입력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input device 200. The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an operating system, . A control command for each component for operation of theinput device 200 is read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the system clock, and an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ad control command to operate each component of the hardware.

이하에서는 포인팅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는 통신 부(110), 입력 부(120), 센서 부(130), 제어 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pointing device 100 includes acommunication unit 110, aninput unit 120, asensor unit 130, and a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부(110)는 입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부(110)는 포인팅 입력의 시작 신호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포인팅 장치(100)의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한다.The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input device 200. Specifically, the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start signal of a pointing input to theinput device 200 or transmits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to theinput device 200.

통신 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주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부(110)는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The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communication unit 110 mainly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WIFI, a Wideband CDMA (WCDMA),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 High Speed Packet Access Mobile WiMAX, WiBro, LTE, bluetooth module, IrD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and WLAN. have.

입력 부(120)는 포인팅 입력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입력 부(120)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포인팅 입력을 시작하는 신호가 생성되거나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가 센싱된다. 버튼은 텍트(tact) 버튼, 터치 버튼, 2단 입력 버튼, 윌(wheel), 스위치 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Theinput unit 120 receives the user input for starting the pointing input. For this purpose, theinput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buttons. When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a signal for starting the pointing input is generated or the posi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sensed. The buttons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act button, a touch button, a two-stage input button, a wheel, and a switch button.

버튼은 기능에 따라 구별될 수도 있다. 센터 버튼은 눌러지면 포인터가 화면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생성되고 누른 상태에서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방향 버튼은 프리젠테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왼쪽 방향 버튼은 이전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은 다음 페이지를 표시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Buttons may be distinguished by function. The center button is designed so that when pressed, a pointer is created at a predetermined point on the screen and the pointer is moved while pressed. The direction button provides the ability to move the page when the presentation is running. For example, the left direction button can be used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to display the previous page, and the right direction button can be used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to display the next page.

한편, 포인팅 장치(100)가 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입력 모드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 전환 버튼이 제공된다. 모드 전환 버튼은 토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리젠테이션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이 눌러지면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고, 마우스 모드에서 모드 전환 버튼이 눌러지면 프리젠테이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pointing device 100 supports mode switching, a mode switching button for performing input mode switching is provided. The mode switching button may be designed in a toggle manner. In this case, the mode switch button is pressed in the presentation mode, and the mouse mode is switched to the presentation mode when the mode switching button is pressed in the mouse mode.

마우스 모드에서는 전술한 방향 버튼의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센터 모드에서 왼쪽 방향 버튼은 마우스의 왼쪽 버튼 기능을 수행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은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왼쪽 방향 버튼이 조작되면 화면에 메뉴가 표시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이 조작되면 포인터가 위치한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e mouse mode, the functions of the direction buttons described above may be changed. That is, in the center mode, the left direction button performs the left button function of the mouse, and the right direction button performs the right button function of the mouse. Accordingly, when the left direction button is operated,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when the right direction button is operated, the item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can be selected.

센서 부(130)는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센서 부(130)는 입력 부(12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부(130)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sensor unit 130 is configured to detect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Thesensor unit 130 may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input unit 120. [ Thesensor unit 13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가속도 센서는 단위 시간에 대한 속도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는 3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로 구현된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직교하는 X, Y, Z축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senses the variation of the speed with respect to the unit time. The acceleration sensor can be implemented in three axes. When implemented a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s are provided with X, Y, and Z-axis acceleration sensor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orthogonal to each other.

가속도센서는 X, Y, Z축 가속도 센서 각각의 출력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전처리부로 제공한다. 이때 전처리부는 쵸핑회로, 증폭회로, 필터, 및 A/D 컨버터(A/D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쵸핑, 증폭, 필터링한 후,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converts the output values of the X, Y, and Z axis acceleration sensors into digital values and provides them to the preprocessor. At this time, the pre-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chopping circuit, an amplifying circuit, a filter, and an A / D converter. Accordingly,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is chopped, amplified, and filtered,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voltage value.

각속도 센서는 단위 시간 동안 포인팅 장치(100)의 기 설정된 방향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각속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각속도 센서는 3축을 갖는 자이로스코프가 사용될 수 있다.The angular velocity sensor detects the angular velocity by sensing the amount of change of the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for a unit time. As the angular velocity sensor, a gyroscope having three axes can be used.

이러한 관성 센서의 6축은 상대 포인팅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인팅 장치(100)는 이러한 상대 포인팅 기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대 포인팅 기법은 포인팅 장치와 화면 상에 직접적인 매핑이 없는 장치를 말한다. 즉, 관성 센서만을 이용하여 포인팅 장치(100)의 시작위치와 현재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변화량을 매핑하여 화면 상에서 포인터의 이동을 표시할 수 있다.The six axes of this inertial sensor can represent relative pointing. Thepoi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this relative pointing technique. A relative pointing technique refers to a pointing device and a device that does not have a direct mapping on the screen.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by sensing the start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using only the inertial sensor and mapping the position change amount.

이와 달리 지자기 센서 등을 더 이용하여 절대 포인팅 기법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자기 센서는 자기장의 흐름을 검출하여 방위각을 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는 포인팅 장치(100)의 방위좌표를 검출하게 되고, 방위좌표를 토대로 포인팅 장치(100)가 놓여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n absolute pointing technique by using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The geomagnetic sensor is a sensor that can detect the azimuth angle by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flow. The geomagnetic sensor detects the azimuth coordinates of thepointing device 100, and can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thepointing device 100 is placed based on the azimuth coordinates.

지자기 센서는, 플럭스게이트(flux-gate) 등을 이용하여 지자기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지자기를 검출한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축 지자기 센서에서 산출되는 지자기 출력값은 주변 자기장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자기 출력값을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1 내지 1)내로 매핑시키는 정규화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규화는 스케일 값 또는 오프셋 값과 같은 정규화 인자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정규화 인자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자기 센서를 수차례 회전시키면서 그 출력값을 산출한 후, 출력값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검출하여야 한다. 정규화 인자를 이용하여 정규화된 값은 방위각 보정 작업에 사용된다.The geomagnetic sensor detects the geomagnetism by measuring the voltage value induced by the geomagnetism using a flux-gate or the like. The geomagnetic sensor can be implemented in two or three axes. In this case, since the geomagnetism output value calculated by each axial geomagnetic sensor depends on the magnitude of the surrounding magnetic field, it is general to perform normalization to map the geomagnetism output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1 to 1). The normalization is performed using a normalization factor such as a scale value or an offset value. In order to calculate the normalization factor, the output value should be calculated by rotating the geomagnetic sensor several times before detect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output value. The normalized value using the normalization factor is used for azimuth correction.

절대 포인팅 기법은 포인팅 장치의 위치와 화면상의 포인터의 위치가 직접적으로 매핑되는 기법을 말한다. 절대 포인팅 기법은 좀더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0)를 통해 화면 상의 오브젝트를 가리키게 되면 그 위치에 포인터가 표시되기 때문이다. 절대 포인팅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포인팅이 시작되는 경우 제1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포인팅 가이드를 제공한다.The absolute pointing technique refers to a techniqu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ointing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screen are directly mapped. Absolute pointing techniques can provide a more intuitive user experience. When a user points to an object on the screen through thepointing device 100, a pointer is displayed at that position. When the absolute pointing technique is used, when the pointing is started,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first position provides the user with a pointing guide.

이 밖에도 제어 부(140)는 포인팅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우선, 제어 부(140)는 사용자 입력 및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부(140)는 직접 연산을 수행하여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을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술한 입력 장치(200)의 제어 부(23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First, thecontrol unit 140 controls to transmit user input and sens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input device 200. Thecontrol unit 140 may perform a direct operation to generate a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input device 200. [ In this case, thecontrol unit 230 of theinput device 200 performs some functions.

포인팅 장치(100)가 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 부(140)는, 모드 전환 버튼을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모드 전환 입력에 따라 상기 포인팅 장치(100)의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 전술한 것처럼 입력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방향 버튼의 기능이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모드가 전환되었음을 입력 장치(200)로 알려준다.When thepointing device 100 supports the mode switching, thecontroller 140 receives the mode switching input through the mode switching button and selects the input mode of the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eceived mode switching input. Switch. When the input mode is switched as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of the direction button is changed. Then, it notifies theinput device 200 that the mode has been switched.

입력 모드가 프리젠테이션 모드인 경우, 입력 부(120)를 통해 프리젠테이션의 페이지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부(140)는 입력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의 페이지를 변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input mode is the presentation mode, thecontrol unit 140 receives a page change instruction for presentation through theinput unit 12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verting the pag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input device 200 And transmits it to theinput device 200.

그러나, 입력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입력 부(120)를 통해 입력 장치(200)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 장치(200)에 디스플레이 된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입력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put mode is the mouse mode, when a user command for controlling theinput device 200 is received through theinput unit 120,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input device 200 is generated To the input device (200).

한편, 상기 제어 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 부(120)를 통해 아무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센서 부(130)를 통해 상기 포인팅 장치(100)의 변화된 위치 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면, 포인팅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포인팅 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at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thesensor unit 130 when no us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input unit 12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urn off the power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pointing device 100 to switch thepointing device 100 to the sleep state.

그러나, 슬립 상태에서, 입력 부(12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 부(130)를 통해 포인팅 장치(100)의 변화된 위치 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이 선택적으로 차단된 포인팅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여 포인팅 장치를 웨이크 업(wake up)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However, in the sleep state, if a us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input unit 120 or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detected through thesensor unit 130, the power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pointing device 100 May be powered on to switch the pointing device to a wake up state.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포인팅 장치(100)를 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른 경우와 같이 포인팅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Such a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ecause the power source is efficiently used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pointing device 100, such as when the user has placed thepointing device 100 on the table and has not used 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제어 부(140)는 포인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어 부(14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과,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한다. 시스템 클럭에 따라 포인팅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명령이 메모리에서 읽혀지며, 읽혀진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킨다.The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The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 processing unit (MPU)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cache memory, and a data bus, and an operating system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 A control command for each component for oper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is read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the system clock, and an electric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ad control command to operate each component of the hardwa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of FIG.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시스템은 포인팅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 입력 장치(200)를 포함한다.5, the poin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ointing device 100, adisplay device 300, and aninput device 200.

포인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와 달리 포인팅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 및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포인터 명령을 생성하여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포인팅 장치(10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시작 신호와 포인팅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200)로 전송한다.Thepointing device 100 receives a user input and senses mo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to theinput device 200. Alternatively, thepoin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pointer instruc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and the sensed motion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pointer instruction to theinput device 200. Thepointing device 100 is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tart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pointing device 100 are transmitted to theinput device 200.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300) 상에 포인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한다.Theinput device 200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attachable to thedisplay device 300. Theinput device 200 does not include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pointer on thedisplay device 300 to thedisplay device 300. [

이러한 시스템의 이점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갖는 입력 장치(200)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인팅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결합될 수 있는 동글을 포함한다. 그리고, 동글은 USB로 설계될 수 있다.An advantage of such a system is that the pointing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simply connecting theinput device 200 hav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to theconventional display device 300. [ To this end, theinput device 200 includes a dongle that can be coupled to thedisplay device 300. And, the dongle can be designed with USB.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와 달리 입력 장치(200)는 실질적으로 데이터 수신만 하고, 연산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owever, unlike this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input device 200 is substantially data-only, an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by thedisplay device 300. [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장치(200)의 구성은 통신 부(210), 제어 부(230)를 포함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부는 포함하지 않는다. 통신 부(210), 제어 부(230)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input device 200 includes acommunication unit 210 and acontrol unit 230. However, the display unit is not included. The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control unit 230 have bee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포인팅 장치(100)와 입력 장치(200)의 추가적인 구성과 외관을 설명한다.Additional configurations and appearance of thepointing device 100 and thein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의 외관을 도시한 참고도이다.FIG.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pointing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input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100)는 모드 선택 버튼(71), 인디케이터(70), 방향 버튼(72), 센터 버튼(7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pointing device 100 includes amode selection button 71, anindicator 70, adirection button 72, and acenter button 73.

모드 선택 버튼(71), 센터 버튼(73), 방향 버튼(72)에 대해서는 전술한 구성이므로 생략한다.Themode selection button 71, thecenter button 73, and thedirection button 72 are omitted in FIG.

인디케이터는 입력 모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빛을 점등하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버튼(71)이 조작되어 입력 모드가 프리젠테이션 모드가 되면 왼쪽의 인디케이터가 점등될 수 있다. 반면, 마우스 모드가 되면 오른쪽의 인디케이터가 점등될 수 있다.The indicator may consist of a lamp that lights the light in a configuration that indicates the input mode. For example, when themode selection button 71 is operated and the input mode becomes the presentation mode, the left indicator may be turned on. On the other hand, when mouse mode is on, the indicator on the right can be turned on.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인팅 장치(100)는 저장 부, 전원 부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부는 전술한 전원 절감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poin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storage unit, a power source unit,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can be designed to have the power saving structure described above.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200)는 포트(81), 바디(82), 인디케이터(83)를 포함할 수 있다.8, theinput device 200 may include aport 81, abody 82, and anindicator 83. [

포트(8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포트(81)는 전원 공급 라인, 데이터 공급 라인 및 제어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81)를 통해서 입력 장치(200)는 포인터에 대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달한다.Theport 81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display device 100. Theport 8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line, a data supply line, and a control line. Through theport 81, theinput device 2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the pointer to thedisplay device 300.

바디(82)는 입력 장치(200)의 구성인 통신 부(210), 제어 부(230)를 수용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부, 기타 각종 회로 구성을 수용할 수 있다.Thebody 82 accommodates the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control unit 230 which are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input device 200, and can accept a storage unit and various other circuit configurations, if necessary.

인디케이터(83)는 포인터의 동작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빛을 점등하는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포인팅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신호를 전송한 포인팅 장치에 따라 램프의 점등 색이 달라질 수 있다.Theindicator 83 may be constituted by a lamp for lighting light in a configuration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When a plurality of users perform pointing input through their own pointing devices, the lighting colors of the lamp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inting device that transmitted the sign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ointer display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의 흐름도이다.9 to 11 are flowcharts of a pointer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은, 포인팅 장치로부터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910), 상기 수신된 시작 신호에 따라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S920),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S930-Y),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S940)를 포함한다.9, a method of displaying a poin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start signal from a pointing device (S910), displaying a pointer at a first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rt signal (S920), displaying the pointer at a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when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S930-Y) S940).

이때, 디스플레이 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S940)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서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감지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된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displaying the pointer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S940) may include the step of, when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while receiving the start signal from the pointing device, The pointer can be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인터 표시 방법은, 포인팅 입력을 시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010),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020), 상기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감지된 위치 정보를 입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10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a pointer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starting a pointing input (S1010),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S1020), and transmitting the user input and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to an input device (S1030).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드 전환이 가능한 포인터 표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inter display method capable of mode switch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모드 전환 입력에 의해 현재의 모드가 감지된다(S1110). 전환된 모드가 프리젠테이션 모드인 경우 센터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감지한다(S1111). 센터 버튼이 조작된 경우라면, 파라미터 설정을 수행한다(S1112). 여기서 파라미터는 포인팅 장치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포인터가 위치하는 화면 중심의 좌표를 생성한다(S1113). 이후 알고리즘을 수행하여(S1114)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고 포인터를 표시한다(S1115, S1116).Referring to FIG. 11, the current mode is detected by a mode switching input (S1110). When the switched mode is the presentation mode, it is detected whether the center button is operated (S1111). If the center button has been operated, parameter setting is performed (S1112). Here, the parameter means a parameter for set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ointing device. Then,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screen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are generated (S1113). Thereafter, an algorithm is executed (S1114),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necessary calculations are performed, and a pointer is displayed (S1115, S1116).

센터 버튼이 조작되지 않고 방향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방향 버튼에 대응되는 키를 매핑한다(S1117). 이때 방향 버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키로 매핑 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의 경우라면 왼쪽 방향 버튼은 이전 페이지로 전환하는 키로 매핑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은 다음 페이지로 전환하는 키로 매핑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왼쪽 방향 버튼은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키로 매핑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은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시키는 키로 매핑 될 수도 있을 것이다. PC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령이 전달되면(S1118), PC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1119).If the center button is not operated and the direction button is operated,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button is mapped (S1117). At this time, the direction buttons can be mapped to various keys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e case of a presentation, the left direction button is mapped to a key for switching to a previous page, and the right direction button can be mapped to a key for switching to the next page. However, the left directional button may be mapped to a key for moving the playback time of the moving image forward, and the rightward button may be mapped to a key for moving the playback time of the moving image backward. When a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C or the display device (S1118), the PC or the display device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S1119).

전환된 모드가 마우스 모드인 경우 역시 센터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감지한다(S1120). 센터 버튼이 조작된 경우라면, 파라미터 설정을 수행한다(S1121). 여기서 파라미터는 포인팅 장치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포인터가 위치하는 화면 중심의 좌표를 생성한다(S1122). 이후 알고리즘을 수행하여(S1123)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고 마우스 포인터를 표시한다(S1124, S1125).When the switched mode is the mouse mode, it is also detected whether the center button is operated (S1120). If the center button has been operated, parameter setting is performed (S1121). Here, the parameter means a parameter for sett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ointing device. Then,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screen where the pointer is located are generated (S1122). Thereafter, an algorithm is executed (S1123),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received, necessary calculations are performed, and a mouse pointer is displayed (S1124, S1125).

센터 버튼이 조작되지 않고 방향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방향 버튼에 대응되는 키를 매핑한다(S1126). 이때 방향 버튼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키로 매핑 될 수 있다. 왼쪽 방향 버튼은 마우스의 왼쪽 키로 매핑되고 오른쪽 방향 버튼은 마우스의 오른쪽 키로 매핑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매핑 될 수도 있을 것이다. PC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령이 전달되면(S1127), PC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1128).If the center button is not operated and the direction button is operated,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button is mapped (S1126). At this time, the direction buttons can be mapped to various key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left button is mapped to the left key of the mouse, and the right button can be mapped to the right key of the mouse. However, it may be otherwise mapped. When a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C or the display device (S1127), the PC or the display device performs a function according to the mapping (S1128).

한편 전술한 포인터 표시 방법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ointer display method may be configured to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is recorded.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읏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not a medium for storing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a cache, etc., but means a medium capable of semi-permanently storing data and reading by a transducer. For example, a CD, a DVD, a hard disk, a Blu-ray disc, a USB, a memory card, a ROM, and the lik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LCD/PDP/OLED 등으로 제작된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visibility is low when a laser pointer is used in a large-sized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an LCD / PDP / OLED or the like.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별도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포인팅 장치에 내장된 센서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듯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ability that the laser pointer is us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by utilizing the sensor built in the pointing device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device in the display device.

또한, 하나의 기기로 프리젠테이션 모드와 마우스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 PC 마우스와는 별도로 동작하므로 사용에 혼동이 생기거나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다.In addition, one device can selectively use the presentation mode and the mouse mode. It works separately from general PC mouse, so it does not cause confusion or inconvenience to use.

또한, 절대 포인팅 방식을 사용하므로 레이저 포인터와 유사한 직관적인 사용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it uses an absolute pointing method, it provides an intuitive usability similar to a laser pointer.

아울러, 레이저 포인터는 사람 눈에 비추게 되면 안전상의 문제가 생기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laser pointer is illuminated to the human eye, a safety problem arises,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such a problem does not occu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포인팅 장치 200 : 입력 장치
3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통신 부 120 : 입력 부
130 : 센서 부 140 : 제어부
210 : 통신 부 220 : 디스플레이 부
230 : 제어부
100: pointing device 200: input device
300: display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sensor unit 140:
210: communication unit 220: display unit
230:

Claims (24)

Translated fromKorean
동글(dongle) 장치에 있어서,
포인팅 장치로부터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또는 방향에 따른 센싱값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글 장치.
In a dongle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movement or direction of the pointing device from a pointing devi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value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시작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received start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은,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value may be,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of the po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는, 절대 포인팅 방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calculated according to an absolute point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mmunicates with the pointing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인터가 사라지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hat causes the pointer to disappear to the display device if there is no movement of the pointing devic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포인팅 장치로부터 움직임 또는 방향에 따른 센싱값들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센싱값들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복수의 포인팅 장치 각각의 위치 정보들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 정보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alculating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on a three-dimensional space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values when receiving sensing values according to movement or direction from a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ata to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포인터를 화면의 기 설정된 위치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positioning the pointe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first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an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제2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계산된 위치 정보에 따라 포인터를 화면 상에서 움직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econd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로부터 제3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젠테이션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passing a page of a present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third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pointing device.
포인팅 장치에 있어서,
동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또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부;및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센싱값을 상기 동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
In the point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ngle device;
An input for receiving user input;
A sensor unit for sensing a movement or a direction of the poin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sensed value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to the dongl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의 가속도, 각속도 및 자기(磁氣)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or unit includes:
Angular velocity, and magnetism of the pointing device,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는
제1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센서부가 감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부가 출력하는 센싱값을 상기 동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input unit
A first button,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sensor unit to perform the sensing operation only when the first button is operated or to transmit th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sensor unit to the dongle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 동안 조작되면, 포인터를 화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동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positioning the poin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dongle device when the first button is operated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Pointing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버튼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조작되면, 상기 센싱값에 따라 포인터를 화면 상에서 움직이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동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mov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 and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dongle device when the first button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 second button,
Wherein,
And switches the input mode of the pointing device when the second button is oper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3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버튼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프리젠테이션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동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 third button,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passing the page of the present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when the third button is operated and to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dongle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는 상기 화면의 중앙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a center position of the scr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아무런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를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If no us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for a preset time and a movement change of the pointing devic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Wherein the pointing device selectively switches off power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to switch the pointing device to a sleep stat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전원이 선택적으로 차단된 포인팅 장치의 내부 구성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를 웨이크 업(wake up)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팅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In the sleep state, when a us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or a change of motion of the pointing devic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Wherein the power is applied to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device in which the power source is selectively blocked to switch the pointing device into a wake up state.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Wherein,
And stores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 pointer at a position of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동글 장치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및
상기 동글 장치로부터 3차원 공간 상에서의 포인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dongle devic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ointing device from the dongle devic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displaying a pointer at a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ositional informa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을 기초로 계산된 위치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들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들에 복수의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lurality of pointers at positions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pointing devices is received.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인터는,
색깔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plurality of pointers may include:
Wherein at least one of a color and a shape is displayed differently.
KR20130101210A2013-05-092013-08-26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ActiveKR101488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US14/273,131US9952684B2 (en)2013-05-092014-05-08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EP14167606.4AEP2801891B1 (en)2013-05-092014-05-08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US201361821398P2013-05-092013-05-09
US61/821,3982013-05-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111049ADivisionKR101519057B1 (en)2013-05-092014-08-25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133385A KR20140133385A (en)2014-11-19
KR101488717B1true KR101488717B1 (en)2015-02-11

Family

ID=524540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20130101210AActiveKR101488717B1 (en)2013-05-092013-08-26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1020140111049AActiveKR101519057B1 (en)2013-05-092014-08-25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40111049AActiveKR101519057B1 (en)2013-05-092014-08-25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2)KR1014887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2801891B1 (en)2013-05-092018-12-26Samsung Electronics Co., Ltd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102410211B1 (en)*2015-09-012022-06-17엘지전자 주식회사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of the devices
KR102226507B1 (en)*2019-03-292021-03-11주식회사 에이스이앤티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for three-dimensional viewer
KR102770833B1 (en)*2022-05-062025-02-21엘지전자 주식회사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30067863A (en)*2002-02-082003-08-19김영수Laser beam pointer with mouse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30067863A (en)*2002-02-082003-08-19김영수Laser beam pointer with mous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133487A (en)2014-11-19
KR101519057B1 (en)2015-05-12
KR20140133385A (en)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9760187B2 (en)Stylus with active color display/select for touch sensitive devices
KR102161510B1 (en)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19057B1 (en)Input apparatus, pointng apparatus,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20160063834A (en)Pointing apparatus, dongle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10261327B2 (en)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KR20130142824A (en)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218549A (en)Electronic equipment
US10386987B2 (en)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350122A1 (en)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50117018A (en)Compu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ing apparatus thereof, and multi-display system
KR102655584B1 (en)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801891B1 (en)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KR102165448B1 (en)Overlappe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9988A (en)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reof
JP2014089713A (en)Input device and input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95823B1 (en) Method of providing an interface using a mobile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KR101651535B1 (en)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39985B1 (en)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138299A (en) Indicator and coordinate detection system
EP3779893B1 (en)Image processing system showing jig arrangement
JP2014052817A (en)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10452158B2 (en)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80075110A (en)Poin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0663B1 (en)A detachable mouse for switching function
KR20150117563A (en)Touch screen equipment using projected radio frequency signal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30826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52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A107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40825

Patent event code:PA01071R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41027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5012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5012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1228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7122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1227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8122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91230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1230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1229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31228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