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유아관찰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유모차, 유아용 카시트 등에 탈착이 가능하고 일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구성되어 원하는 각도에 따라 거울본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아관찰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observation mirr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ant observation mirror which is constituted by a joint structure capable of being detached from a baby carriage, a baby car seat, .
유모차나 유아용 카시트에 유아를 탑승시킨 후 보호자가 유모차를 운전하거나, 자동차를 운전할 때, 보호자가 유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쉽지 않아 보호자가 불안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보호자 시야 밖의 유아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When a child carries a baby in a stroller or a baby car seat, and the car is driving or driving the stroller, it is not easy for the carer to check the infant's condition and the carer will remain in an uneasy state. In addition, the infant outside the view of the guardian is likely to be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모차, 유아용 카시트 등에 유아의 정면을 비추는 거울을 부착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품들은 유아가 손을 뻗게 되면 손이 닿을 거리에 있어 유아가 이를 만지면 쉽게 각도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완전히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다양한 곳에 장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ve been many products in which a mirror for illuminating the front of a baby is attached to a baby carriage, a baby car seat, and the like. However, these products are in the reach of children when they reach out to their hands, and when the infant touches them, the angles are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mounted in various places in a completely attached form.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모차, 유아용 카시트 등에 탈착이 가능한 거울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 또는 유아용 카시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거울본체를 장착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원하는 각도로 거울본체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아의 상태를 관찰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유아관찰용 거울을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 capable of being detached from a stroller or a child car seat, And the angle of the main body of the mirror is adjusted at a desired angle to observe the state of the infant.
또, 조인트 표면에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볼과, 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여 고정볼이 홈에 삽입되므로, 상기 거울본체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고정볼이 홈에 삽입되면서 다양한 각도로 거울본체가 회동되는 유아관찰용 거울을 제공함에 있다.The fix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when the mirror body is rotated, the fixing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diaphragm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t various angles In which the mirror main body is rot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아관찰용 거울은 전면에 거울이 부착되는 거울본체, 유모차 또는 유아용 카시트의 프레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거울본체와 고정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거울본체가 일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rror for a baby, comprising: a mirror body having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thereof; a fixing mean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frame of the baby carriage or a child car seat; And angle adjusting means for turning the mirror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또,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조인트의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조인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둘 이상의 고정볼로 구성되는 조인트, 상기 조인트와 상기 거울본체 간을 연결하는 지지대, 상기 고정볼이 삽입되는 홈이 내측 표면에 복수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를 소정 면적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joint parti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joint, the joint comprising two or more fixed balls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provided in the joint; a support connecting the joint and the mirror body; A plurality of grooves into which the fixing balls are inserted, the plurality of grooves being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joints in a predetermined area.
또, 상기 고정수단은 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means is a clamp.
또, 상기 거울은 아크릴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irror is an acrylic mirror.
본 발명의 유아관찰용 거울에 의하면, 유아의 보호자가 주행 중이거나, 유모차를 운전 할 시, 상기 유아관찰용 거울을 유모차나 유아용 카시트의 프레임에 장착하여 상기 유아관찰용 거울을 통해 유모차나 유아용 카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관찰 할 수 있어, 보호자가 직접 고개를 돌리거나 움직일 필요가 없으므로, 보호자와 유아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fant observation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ector of the infant is running or the baby carriage is operated, the infant observation mirror is mounted on the frame of the baby carriage or baby car seat, and the bab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caregiver to turn his head or move his / her head directly,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guardian and the infant safely.
또, 거울본체가 회동되면서, 조인트의 고정볼이 수용부의 홈으로 삽입되게 되어 거울본체가 일정 각도로 고정되므로 유모차 및 자동차 주행 중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상기 거울본체의 각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혹 유아가 손을 뻗어 상기 거울본체를 건드렸을 때에도 상기 거울본체가 회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Further, as the mirror body is rotated, the fixing ball of the join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irror body is fixed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angle of the mirror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due to the swinging occurring during driving of the baby carriage and the c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irror body is not rotated even when the infant reaches out and touches the mirror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관찰용 거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사용단계도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rror for infant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 3 is a cross-
 Fig. 4 is an explanatory diagram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관찰용 거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infant observation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관찰용 거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ant observation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관찰용 거울은 거울본체(100), 고정수단(300), 각도조절수단(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infant observation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거울본체(100)의 전면에는 거울(102)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102)은 유아의 안전을 위해 잘 깨지지 않는 아크릴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A
상기 고정수단(300)은 유모차 또는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바로 사용되는 프레임(500)에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으로는 도면에 집게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외에 벨크로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거울본체(100)와 고정수단(300)은 각도조절수단(200)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200)은 지지대(230), 조인트(210), 수용부(220)로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230)의 상단은 상기 거울본체(100)의 하부와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조인트(210)의 상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테나와 같은 인출입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조인트(210)는 탄성체(212)와 고정볼(214)로 구성된다.The
상기 탄성체(212)는 상기 조인트(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볼(214)은 상기 조인트(210)의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며, 상기 탄성체(212)에 의해 지지된다.The
여기서 상기 탄성체(212)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볼(214)은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수용부(220)는 상기 고정볼(214)이 삽입되는 홈(222)이 내측표면에 복수가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210)를 소정 면적 감싸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홈(222)은 상기 고정볼(214)이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볼(214)에 대응되는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214)보다 많은 개수의 홈(22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 상기 고정볼(214)이 홈(222)에 삽입되어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지 않으면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만약 유아가 손을 뻗어 상기 거울본체(100)를 건드렸을 때에도 상기 거울본체(100)가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아관찰용 거울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baby observing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유아관찰용 거울의 사용단계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 use step diagram of the baby observing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b), (c)의 순서로 구동된다.(A), (b), and (c), as shown in Fig.
상기 도 4a는 고정볼(214)이 홈(22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 도 4b는 상기 거울본체(100)의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중간단계로, 상기 조인트(210)가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볼(214)이 홈(222)에서 이탈되고 이때, 상기 탄성체(212)가 화살표 방향으로 압축되며 상기 탄성체(21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고정볼(214)이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마지막으로 도 4c는 상기 거울본체(100)가 일정 각도로 변화된 단계로, 상기 탄성체(212)가 복구되며 상기 고정볼(214)이 도 4a의 최초 홈(222)이 아닌 다른 위치의 홈(222)으로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4C shows a state where the
이렇게 상기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면서 상기 거울본체(100)를 보호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관찰용 거울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shows a state of use of the baby observing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 프레임(500)에 고정수단(300)을 장착하고 원하는 각도로 상기 거울본체(100)를 회동하게 되면, 상기 거울(102)에 비춰진 유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보호자도 편안한 마음으로 운전할 수 있다.5,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관찰용 거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거울본체                102 : 거울
200 : 각도조절수단            210 : 조인트
212 : 탄성체                  214 : 고정볼
220 : 수용부                  222 : 홈
230 : 지지대                  300 : 고정수단
500 : 유모차 프레임100: mirror body 102: mirror
 200: angle adjusting means 210: joint
 212: elastic body 214: fixed ball
 220: accommodating portion 222: groove
 230: support 300: fixing means
 500: Stroller fram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64149AKR101481276B1 (en) | 2013-06-04 | 2013-06-04 | Mirror for infant observa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30064149AKR101481276B1 (en) | 2013-06-04 | 2013-06-04 | Mirror for infant observa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42561A KR20140142561A (en) | 2014-12-12 | 
| KR101481276B1true KR101481276B1 (en) | 2015-01-1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130064149AActiveKR101481276B1 (en) | 2013-06-04 | 2013-06-04 | Mirror for infant observa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8127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7125466U (en)* | 2017-08-31 | 2018-03-23 | 温州市天罡贸易有限公司 | mirror with blowing fun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53683A (en) | 2004-03-11 | 2005-09-22 | Kao Corp | Cosmetic container with magnifier | 
| KR20100020601A (en)* | 2008-08-13 | 2010-02-23 | 주식회사 아이엔피 | Mirror for baby carriage | 
| WO2012153979A2 (en) | 2011-05-09 | 2012-11-15 | (주)하이텍파츠 | Ball joint and device mount including same | 
| EP2636336A1 (en)* | 2012-03-08 | 2013-09-11 | Simplehuman LLC | Vanity mirr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253683A (en) | 2004-03-11 | 2005-09-22 | Kao Corp | Cosmetic container with magnifier | 
| KR20100020601A (en)* | 2008-08-13 | 2010-02-23 | 주식회사 아이엔피 | Mirror for baby carriage | 
| WO2012153979A2 (en) | 2011-05-09 | 2012-11-15 | (주)하이텍파츠 | Ball joint and device mount including same | 
| EP2636336A1 (en)* | 2012-03-08 | 2013-09-11 | Simplehuman LLC | Vanity mirro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142561A (en) | 2014-12-1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16517823A (en) | Car seat footrest | |
| JP2006305351A (en) | Reclining mechanism | |
| KR101481276B1 (en) | Mirror for infant observation | |
| US20150238024A1 (en) | Baby seat with blanket | |
| CN105433659B (en) | A kind of babywalker | |
| TWI625115B (en) | Positioning apparatus for head and neck assessment or intervention | |
| WO2009043596A3 (en) | Stroller | |
| CN202437086U (en) | Medical ophthalmic instrument device | |
| ES2785198T3 (en) | Wheeled walking aid comprising a weight that exerts an upward force | |
| ES2863666T3 (en) | Mobile assistance robot comprising at least one pivoting support system | |
| JP2007082798A (en) | Posture supporting tool for handicapped person | |
| WO2015118652A1 (en) | Bouncer | |
| JPWO2016098671A1 (en) | Stroller coupling device | |
| CN206507659U (en) | The anti-band of wandering away of one kind | |
| KR200477218Y1 (en) | Carrier for hip seat | |
| KR101566805B1 (en) | wheel shock absorber of strollers and moving support equipment | |
| CN113693420A (en) | Training chopsticks | |
| CN207444685U (en) | A kind of go-cart | |
| TW201623072A (en) | Seat installation clamp for infant or pet, seat assembly and baby carriage | |
| CN207949461U (en) | A kind of children walk device | |
| RU2636184C1 (en) | Device for child walk training (versions) | |
| CN217547653U (en) | An adjustable drop-proof device for children | |
| KR20150088388A (en) | 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chair | |
| JP3136970U (en) | Sub sun visor | |
| KR200225272Y1 (en) | safe guard for infa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306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6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412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5010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5010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1226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1226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1205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1205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1215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104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