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필터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filter assembly.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에 내장된 진공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오물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전기제품이다. 예전에는 먼지백을 사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 진공청소기들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A vacuum cleaner is an electric appliance that sucks and collects dirt existing on a surface to be cleaned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vacuum source built i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BACKGROUND ART In the past, vacuum cleaners for separating dirt using dust bags have been widely used, but in recent years, cyclone vacuum cleaners have been mainly used for separating dirt from the inhaled air using centrifugal force.
이러한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의 본체에는 통상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원이 내장되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집진장치에서 오물의 분리가 수행된 이후 공기는 집진장치를 빠져나와서 진공원으로 흡입된다. 집진장치를 빠져나온 공기가 진공원에 흡입되기 이전에 그 공기에 잔존하는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진공청소기의 본체에는 집진장치의 공기 배출면과 대향되도록 착탈 가능한 필터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A vacuum sour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s usu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cyclone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dirt from the sucked air is detachably installed.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irt is performed in such a dust collector, the air exits the dust collector and is sucked into the vacuum source. A filter assembly removably mountable o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o as to face the air discharg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to filter the fine dust remaining in the air before the air that has escap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sucked into the vacuum source.
진공청소기를 사용함에 따라 집진장치 내부에 축적되는 오물이 양이 증가하며 필터조립체에 걸러진 먼지의 양도 마찬가지로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본체로부터 집진장치를 분리하여 내부에 축적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필터조립체 내의 필터로부터 먼지를 털어내는 것과 같은 필터 보수를 수행하거나 필터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The use of a vacuum cleaner increases the amount of dir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and increases the amount of dust filtered on the filter assembly.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use expires, the user removes the dust collecting device from the main body, discharges the accumulated dirt to the outside, performs filter maintenance such as dust removal from the filter in the filter assembly, There is a need.
이때 필터 보수 또는 필터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체로부터 필터조립체의 일측을 커버하는 집진장치를 분리한 후 본체에 수용된 필터조립체를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perform the filter maintenance or the filter replacement, the filter assem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must fir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ft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vering the one side of the filter assembly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그런데, 필터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집진장치와 대향하는 측면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체로부터 집진장치를 분리한 후에도, 필터조립체가 존재함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필터조립체의 필터를 보수하거나 교환하지 않고 진공청소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필터 막힘 현상으로 인한 흡입력의 손실이 잇따르게 된다.However, since the filter assembly is generally housed in the main body so that only the side opposite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at the filter assembly is present even after removing the dust collecting device from the main bod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be recognized. In this case, the user will continue to use the vacuum cleaner without repairing or replacing the filter in the filter assembly, resulting in loss of suction power due to filter clogging.
또한, 청소기본체의 오목한 공간에 수용된 필터조립체의 경우, 필터조립체가 쉽게 잡히지 않아서 사용자가 청소기본체로부터 필터조립체를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a filter assembly housed in a recessed space in the cleaner body, the filter assembly may not be easily caught and it may not be easy for the user to remove the filter assembly from the cleaner body.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터조립체의 존재 및 착탈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청소기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필터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filter assembly, which are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ich can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and removability of the filter assembly by the use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do.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원 및 착탈 가능한 집진장치를 갖는 청소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조립체로서, 상기 집진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청소기본체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장치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assembly detachably installed in a vacuum cleaner body having a vacuum sour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detachable dust collection device, the filter assembly comprising: a filter for filter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device; A filter housing having the filter and hav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a handle disposed on the filter housing to b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부에 평행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handle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pivot axis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손잡이의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청소기본체에 장착시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Further,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may b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ved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And, the handle can be pivoted between a first position,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part, and a second position, which is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 기 손잡이에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force to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회동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손잡이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제한돌기를 블로킹하는 회동제한벽이 구비될 수 있다.A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restricting wall for blocking the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when the knob is in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개방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may have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and open toward the dust collec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는 사용자에게 필터의 상태를 확인할 것을 인식시키는 문구가 새겨지거나 상기 문구가 기재된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On the one surface of the handle, a user may be warned that the status of the filter is confirmed or a label on which the phrase is written may be attach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또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원, 착탈 가능한 집진장치 및 착탈 가능한 필터조립체를 갖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 상의 오물과 함께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집진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청소기본체에 장착된 경우 상기 집진장치의 일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필터 하우징;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vacuum sourc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detachable dust collection device, and a removable filter assembly;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nozzle, the filter assembly comprising: a filter for filter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A filter housing having the filter and hav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And a handle provided on the filter housing to b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상기 집진장치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ilter assembly may be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부에 평행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The handle may be installed on the filter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pivot axis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손잡이의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청소기본체에 장 착시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of the handle may b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moved upon installation on the cleaner main body.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지지부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And, the handle can be pivoted between a first position,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part, and a second position, which is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applies a force to the handle so that the handle can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는 회동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손잡이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제한돌기를 블로킹하는 회동제한벽이 구비될 수 있다.A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restricting wall for blocking the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when the knob is in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기 필터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집진장치를 향해 개방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may have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and open toward the dust collecting device.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는 사용자에게 필터의 상태를 확인할 것을 인식시키는 문구가 새겨지거나 상기 문구가 기재된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On the one surface of the handle, a user may be warned that the status of the filter is confirmed or a label on which the phrase is written may be attached.
또한, 상기 집진장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할 수 있다.Further,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can separate the dirt from the intake air by using the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조립체의 손잡이, 필터조립체의 손잡이에 표시된 문구 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의 일면을 보고 사용자가 필터조립체의 존재 및 착탈성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and detachability of the filter assembly by looking at the handle of the filter assembly, the phrase displayed on the handle of the filter assembly, or one side of the filte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조립체에 커버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필터조립체를 청소기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필터에 걸러진 먼지의 양을 파 악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assembly is not provided with a cover, the user can grasp the amount of dust filtered on the filter without detaching the filter assembly from the cleaner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조립체 내의 필터를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터 하우징에 설치된 손잡이를 사용하여 필터조립체를 청소기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ter in the filter assembly is to be repaired or replace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assembly from the cleaner body using the handle provided on the filter hous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2)와, 연결부(3)와, 흡입노즐(4)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상기 청소기본체(2)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와 같은 진공원(미도시)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흡입노즐(4)은 피청소면과 접촉 이동하면서 주변 공기와 함께 피청소면 상의 오물을 흡입한다. 상기 연결부(3)는 청소기본체(2)와 흡입노즐(4)을 연결하며 흡입노즐(4)이 흡입한 공기를 청소기본체(2)로 안내한다. 이러한 연결부(3)는, 청소 도중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5)와, 손잡이부(5)와 청소기본체(2)를 연결하는 연성의 흡입호스(6)와, 손잡이부(5)와 흡입노즐(4)을 연결하는 연장관부(7)를 포함한다.The vacuum cleaner
이와 같이, 연결부(3)에 의해 청소기본체(2)와 흡입노즐(4)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진공청소기를 흔히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라고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일체적으로 결합된 업라이트형의 진공청소기 등에도 폭넓 게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vacuum clean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leaner
상기 청소기본체(2)에는 집진장치(8)가 장착될 수 있도록 집진장치(8)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착공간(S)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집진장치(8)에 대응하여 장착공간(S)도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A mounting space 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이러한 장착공간(S)에 집진장치(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는 집진장치(8)의 측면에 구비된 손잡이(8a)를 이용하여 집진장치(8)를 용이하게 청소기본체(2)에 장착하거나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집진장치(8)는 청소 도중에는 청소기본체(2)의 장착공간(S)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
상기 집진장치(8)는 흡입호스(6)를 통하여 흡입노즐(4)이 흡입한 공기를 전달받고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집진장치(8)는 사이클론 방식으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집진장치(8)는 흡입 공기로부터 분리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챔버(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The
상기 청소기본체(2)는 상기 집진장치(8)의 하측에 필터조립체(9)를 수용한다. 필터조립체(9)를 수용하기 위해, 청소기본체(2)에는 집진장치(8)의 장착공간(S)의 하측에 필터조립체(9)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용홈(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에 장착된 경우, 집진장치(8)의 하면(8b)은 필터조립체(9)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The cleaner
상기 필터조립체(9)는 집진장치(8)에서 오물이 분리된 후 배출되는 공기에  잔존하는 먼지를 필터링하며, 집진장치(8)와 마찬가지로 청소기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이와 같은 필터조립체(9)의 구성을 도 2 내지 3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of such a
도 2는 도 1의 필터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필터조립체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filter assembly of Fig.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조립체(9)는, 필터 하우징(10)과, 필터(20)와, 손잡이(30)를 포함한다.2 and 3, the
상기 필터 하우징(10)은 청소기본체(2)에 형성된 수용홈(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상단에는 집진장치(8)의 하면(8b, 도 1 참조)이 안착되는 지지부(11)가 마련된다. 지지부(11)는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에 장착된 경우 집진장치(8)의 하면(8b)을 접촉 지지한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필터(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13)가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10)의 내부를 커버하는 커버는 구비되지 않는다. 이처럼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3)를 통하여 필터 하우징(10)에 대해 필터(2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필터조립체(9)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개구(13)를 통하여 필터(20)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3, a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손잡이(3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벽(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제한벽(12)은, 손잡이(30)가 반시계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하여 필터 하우징(10)과 일정 각도를 이룰 때, 손잡이(30)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3)를 블로킹함으로써, 손잡이(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상기 필터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공(14)은 청소기본체(2)의 진공원과 유체 연통된다. 그리하여, 필터(20)에서 잔존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는 필터 하우징(10)의 공기배출공(14)을 통하여 필터조립체(9) 밖으로 배출되어 청소기본체(2)의 진공원으로 흡입된다.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14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필터(20)는 필터 하우징(9)의 내부에 수용된다. 필터(20)는 집진장치(8)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잔존하는 먼지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필터(20)는 스폰지 재질의 필터 또는 마이크로 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다른 둘 이상의 필터가 적층될 수도 있다.The
상기 손잡이(30)는 청소기본체(2)의 수용홈에 장착된 필터조립체(9)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들어올리기 위해 마련된다. 손잡이(30)는 회동축 X-X'(도 2 참조)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필터 하우징(10)에 설치된다. 이에 손잡이(30)는 필터 하우징(10) 내측에 고정되는 축부재(32)를 갖는다. 이러한 축부재(32)의 중심을 상기 회동축 X-X'가 통과하며, 회동축 X-X'는 필터 하우징(10)의 지지부(11)에는 나란하고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착탈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30)의 축부재(32)에는 코일 형상의 탄성 부재(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40)는 손잡이(30)에 반시계방향(도 3 기준) 으로 회동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따라서, 필터조립체(9)의 지지부(11)에 안착되어 손잡이(30)의 회동을 억제하고 있는 집진장치(8)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하면, 필터조립체(9)의 손잡이(30)는 탄성 부재(40)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동한다.3, a coil-shap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30)의 일단에는 회동제한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제한돌기(33)는 손잡이(30)와 지지부(11)가 일정 각도를 이룰 때 필터하우징(10)에 마련된 회동제한벽(12)에 의해 블로킹된다. 따라서, 회동제한돌기(33)가 회동제한벽(12)에 블로킹되면, 손잡이(30)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필터 하우징(2)의 지지부(1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3, a
손잡이(30)의 일면(31)에는, 사용자에게 필터조립체(9) 내의 필터(20)의 보수 또는 교체할 것을 환기시키는 문구가 새겨지거나 그러한 문구가 기재된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One
필터조립체(9)의 동작을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도 4a는 청소기본체에 집진장치가 장착된 경우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하며, 도 4b는 청소기본체로부터 집진장치가 분리되는 도중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하고, 도 4c는 청소기본체로부터 집진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한다.4A show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assembly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cleaner body, FIG. 4C show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assembly whil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filter assembly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separated.
본 실시예의 진공청소기(1)를 사용하여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는 도중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장치(8)의 하면(8b)은 필터조립체(10)의 지지부(11) 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경우, 필터 하우징(10)에 설치된 손잡이(30)는,  집진장치(8)의 하면(8b)에 의해 회동이 억제되어 지지부(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제1 위치)에 배치된다.4A, the
사용자가 집진장치(8)를 청소기본체(2)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집진장치(8)의 손잡이(8a)를 A 방향 즉 필터조립체(10)의 지지부(1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필터조립체(10)의 손잡이(30)는,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탄성 부재(40, 도 3 참조)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B 방향 즉 반시계방향(도 4b 기준)으로 회동한다.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가 지지부(11)에 대해 θ의 각을 형성하는 위치(제2 위치)까지 회동하면, 손잡이(30)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제한돌기(33, 도 3 참조)가 필터 하우징(10)에 형성된 회동제한턱(12, 도 3 참조)에 의해 블로킹된다. 그리하여,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된 경우, 손잡이(30)는 지지부(11)에 대해 일정각 θ를 유지하는 상태 즉 기울어진 또는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4 (c), when the
도 4c에서처럼 기립된 손잡이(30)는 사용자의 시선을 끌 가능성이 크다. 그리하여 청소기본체(2)에 필터조립체(9)가 장착되어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였던 사용자라 하더라도 기립된 손잡이(30)를 보고 청소기본체(2)에 필터조립체(9)가 장착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더욱이, 손잡이(30)의 일면(31)에는 필터(20)의 보수 또는 교환의 필요성을 확인할 것을 알리는 문구가 새겨지거나 그러한 문구가 기재된 라벨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30)가 필터(20)의 보수 또는 교 환을 위한 것임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C, the raised
그리고, 도 4c에서처럼 집진장치(8)가 분리된 경우, 사용자는 필터조립체(9)를 청소기본체(2)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3, 도 3 참조)를 통하여 필터(20)의 상면 전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20)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터조립체(9)가 필터 하우징(10)에 장착된 채로 필터(20)의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When the
필터(20)가 보수되거나 교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잡고 필터조립체(9)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필터조립체(9)가 분리된 후, 사용자는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13, 도 3 참조)를 통하여 필터(20)를 필터 하우징(10)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s 5 and 6 each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6에 도시된 필터조립체(9', 9'')는, 필터 하우징(10', 10''), 필터(20', 20'') 및 지지부(11', 11'')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필터조립체(9)와 유사하다. 다만, 손잡이(30', 30'')의 축부재들이 필터 하우징(10', 10'')의 중앙부에서 설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필터조립체(9)와 차이가 있고, 또한 도 5의 필터조립체(9')의 손잡이(30')는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도 6의 필터조립체(9'')의 손잡이(30'')는 판 형상이라는 점에서 각각 전술한 필터조립체와 차이가 있다.The filter assemblies 9 ', 9' 'shown in FIGS. 5 and 6 are mounted on the filter housings 10' and 10 '', the filters 20 'and 20' 'and the supports 11' and 11 ' Is similar to the
이외에도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의 축부재 설치위치 및 손잡이 형상은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member mounting position and handle shape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이상 설명한 필터조립체(9, 9', 9'') 및 그것을 구비한 진공청소기(1)에 따르면,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된 경우, 필터조립체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던 사용자라도 기울어진 또는 기립된 손잡이(30), 손잡이(30)의 일면에 기재된 문구 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20)의 상면을 보고 필터조립체의 존재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그리고, 필터(20, 20', 20'')를 보수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30, 30', 30'')를 사용하여 필터조립체(9, 9', 9'')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repair or replace the
또한, 집진장치(8)가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된 경우 필터(20, 20', 20'')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필터조립체(9, 9', 9'')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필터(20, 20', 20'')에 걸러진 먼지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0, 20', 20'')가 보수 또는 교체될 필요가 없는데도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필터조립체(9, 9', 9'')를 청소기본체(2)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터조립체가 집진장치의 하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필터조립체가 집진장치의 측면 또는 상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filter assembly is arrang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filter assembly is arranged to face the side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필터조립체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필터조립체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filter assembly of FIG. 2;
도 4a는 청소기본체에 집진장치가 장착된 경우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한다,4A show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assembly when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도 4b는 청소기본체로부터 집진장치가 분리되는 도중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한다.4B show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assembly on the way that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도 4c는 청소기본체로부터 집진장치가 분리된 경우의 집진장치 및 필터조립체를 도시한다.4C show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filter assembly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Figures 5 and 6 each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진공청소기2: 청소기본체1: Vacuum cleaner 2: Cleaner main body
3: 연결부4: 흡입노즐3: connection 4: suction nozzle
8: 집진장치9, 9', 9'': 필터조립체8:
10, 10', 10'': 필터 하우징11, 11', 11'': 지지부10, 10 ', 10' ': filter
12: 회동제한벽13: 개구12: rotation restricting wall 13: opening
14: 공기배출공20, 20', 20'': 필터14:
30, 30', 30'': 손잡이32: 축부재30, 30 ', 30 ": handle 32: shaft member
33: 회동제한돌기40: 탄성 부재33: rotation restricting projection 40: elastic memb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57876AKR101476163B1 (en) | 2008-06-19 | 2008-06-19 | Filte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PCT/KR2009/003089WO2009154371A2 (en) | 2008-06-19 | 2009-06-09 | Filte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57876AKR101476163B1 (en) | 2008-06-19 | 2008-06-19 | Filte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131893A KR20090131893A (en) | 2009-12-30 | 
| KR101476163B1true KR101476163B1 (en) | 2014-12-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57876AActiveKR101476163B1 (en) | 2008-06-19 | 2008-06-19 | Filte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76163B1 (en) | 
| WO (1) | WO2009154371A2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03252B1 (en) | 2024-12-30 | 2025-05-08 |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 Vacuum cleaner filt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36214A (en)* | 2006-08-08 | 2008-02-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cuum cleaner | 
| KR100818225B1 (en)* | 2006-12-22 | 2008-04-0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58519B2 (en)* | 1991-08-30 | 1998-05-28 | 株式会社テック | Electric vacuum cleaner | 
| JP4273501B2 (en)* | 2004-08-19 | 2009-06-03 | 三菱電機株式会社 | Electric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8036214A (en)* | 2006-08-08 | 2008-02-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Vacuum cleaner | 
| KR100818225B1 (en)* | 2006-12-22 | 2008-04-01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Vacuum clea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03252B1 (en) | 2024-12-30 | 2025-05-08 | 주식회사 도어스 코리아 | Vacuum cleaner filt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09154371A3 (en) | 2010-02-11 | 
| WO2009154371A2 (en) | 2009-12-23 | 
| KR20090131893A (en) | 2009-12-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64450B1 (en) | Mounting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unit | |
| KR100539762B1 (en) | Vacuum cleaner filter cleaning device | |
| EP2443979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 |
| EP1674022A2 (en) |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 |
| EP3528682B1 (en) |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 US20070039124A1 (en) | Exhaust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 JP2009504235A (en) | Vacuum cleaner filter mounting structure | |
| KR101033293B1 (en) | Handheld Hand Cleaner | |
| KR101476163B1 (en) | Filte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same | |
| WO2017028287A1 (en) | Miniature vacuum cleaner | |
| KR100414808B1 (en) | Vacuum cleaner | |
| KR101093187B1 (en) | Handheld Hand Cleaner | |
| KR100587098B1 (en) | Sealing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unit | |
| KR101282536B1 (en) |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 |
| WO2008065404A2 (en) |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 |
| CN100358455C (en) | Vacuum cleaner | |
| CN217792816U (en) | Dust-gas separation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with same | |
| CN113271832B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 KR101042644B1 (en) | Auxiliary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ng method using same | |
| JP2013111333A (en) | Cyclone typ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 |
| KR0177072B1 (en) | Detachable cover for vacuum cleaner with dust bag | |
| KR100587097B1 (en) | Dust collection unit of cyclone vacuum cleaner | |
| KR100570364B1 (en) | Dust bag holder for vacuum cleaner | |
| KR20050013693A (en) | Mounting/dismounting device of dust removing unit in vacuum cleaner | |
| KR200404706Y1 (en) | Filter assembly of sterilizer for bed cloth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1129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515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1219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3-oth-PR0401 |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0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01219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