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464291B1 -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 Google Patents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291B1
KR101464291B1KR1020130015732AKR20130015732AKR101464291B1KR 101464291 B1KR101464291 B1KR 101464291B1KR 1020130015732 AKR1020130015732 AKR 1020130015732AKR 20130015732 AKR20130015732 AKR 20130015732AKR 101464291 B1KR101464291 B1KR 101464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ensor
mounting portion
plate
balance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2130A (en
Inventor
전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스터filedCritical주식회사 프로스터
Priority to KR1020130015732ApriorityCriticalpatent/KR10146429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213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40112130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9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464291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및 게임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ealth care workout apparatus for an amusement game that can be used by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child who has operated an arm or a le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shaped mounting part for supporting a body part so as to perform balanced motion balancing by using an arm or a foot, a handle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and a mounting part that can be incl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supported by the mounting part. A sensor unit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unit, and a game cente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0002] 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0003]

본 발명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 또는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부위로서 팔이나 다리를 이용하여 균형잡기하여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에 연계된 게임을 진행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exercise apparatus for use in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child who is operated by an arm or a leg, and more particularly, And to enable movement while playing a game linked to game contents by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력 운동이나 평형 감각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enjoyed lightly indoors or outdoors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For example, various exercise apparatuses for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balance sense are known.

[문헌1]에서는 평판체의 보드에 발을 올려 놓고 보드에 설치된 이동수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이동하면서 발운동이나 신체운동을 하는 보드식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운동기구는 신체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재활환자나 어린이 등과 같이 신체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사용자가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필요로 한다.[Document 1] discloses a board-type exercise machine in which a foot is placed on a board of a flat plate and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a moving means provided on the board, while performing a foot movement or a body movement. Most of thes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are made available to people with relatively free physical activity. Therefore, a user who can not use the physical activity smoothly such as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child can use the exercise equipment is necessary.

또한 기존의 운동기구는 운동효과를 발휘하는데 중점을 두고 개발된 관계로 사용자가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흥미 유발을 통한 꾸준한 운동을 유도하는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exercise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exercising the exercise effect, the user can easily feel bor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inducing a steady movement through inducing interest.

[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7267호(2010. 09. 03)[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7267 (2010. 09. 03)

없음none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나 어린이와 같이 신체 활동이 자유스럽지 못한 사용자가 가벼운 몸풀기나 균형잡기함으로써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who is not free to exercise, such as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child who has undergone surgery on an arm or a leg, to lighten body relaxation or balancing to enhance or train body flexibil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운동기구에 설치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하지 않고 흥미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game to be linked with exercise by u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itness device, so that it can be exercised steadily through inducing interest without being tediou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상기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게임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tness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 balance ball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tilte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body part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A sensor unit built in the balance ball and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unting unit; And a game center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game contents using a sensor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거치부는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와,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타측이 고정된 회전봉과, 상기 밸런스 볼과 암수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m rests on which the arms are placed, a rotation rod having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the arm rests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arm rests, and a coupling ball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rm rests.

또한, 상기 각각의 팔거치대는 완만하게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arm rests may have a gently curved portion, and a cushion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curved portion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또한, 상기 거치부는 U자형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고 판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면에 양발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중심부에 상기 밸런스 볼이 일체로 결합된 발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각각 체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base plate to which the U-shaped handle is attache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base plate, a foot plate on which the pair of feet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alance ball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And a connection cord having an elastic force which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string connection parts formed on the edge of the foot plate, respectively.

또한, 상기 끈결합부는 일자형 통공과 고정홈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의 통공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연결끈을 체결하되, 상기 연결끈에 매여지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끈을 상기 끈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ing connecting part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and a fixing groove intersect,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one through hole, and the connecting string is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cord is fastened to the cord coupling part using a fitting rod fitted in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밸런스 볼은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중앙 꼭지에 결합되고 외향 돌출된 돌출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lance ball may have a spherical or semi-circular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piece coupled to a central stem of the body and protruding outward.

또한,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게인센터는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센서 감지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게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컨텐츠에 연계하여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연동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상기 거치부에 인접한 박스형 지지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and the gain center transmit / receive a sensor detection signal using a wireless modem, and the game center may perform a game in cooperation with the sensor detection signal in association with game contents stored in the game content storage unit And the game center is installed on a box-shaped support adjacent to the stationary part.

또한, 상기 센서부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충전가능하고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USB port, and a battery that is chargeable through the USB port and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다리를 수술한 재활환자나 어린이와 같이 신체 활동이 자유스럽지 못한 사용자가 가벼운 몸풀기나 균형잡기함으로써 신체 유연성을 강화하거나 트레이닝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musement gam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user who is not free to perform physical activities such as a rehabilitation patient or a child who has operated an arm or a leg, .

또한,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설치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운동과 연계되어 게임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고 흥미유발을 통하여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rcise steadily through induction of interest without being tedious by playing a game in connection with exercise u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itness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운동기구에 설치한 손잡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용예시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거치부와 밸런스 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거치부와 밸런스 볼의 결합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3의 발판 위에 발판 커버를 위치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발판에 연결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링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발판 커버를 벗겨낸 발판의 상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발판의 하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고정판의 하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3의 고정판의 상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knob provided in the exercise device of FIG. 1; FIG.
FIG. 2B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photographic image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 health care exercise device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balance ball shown in FIG.
Fig. 5 is a photographic image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upled state of the mounting part and the balance ball of Fig. 3;
6 is a plan view of the pedestal cover shown in Fig.
FIG. 7 is a modeling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strap to the foot plate of FIG. 3;
8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op surface structure of a foot plate with the foot cover of FIG. 3 removed.
9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footrest of FIG. 3;
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bottom structure of the fixing plate of FIG. 3; FIG.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op surface structure of the fixing plate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는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는 팔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와 발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운동기구 각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health care fitness equipment for amusement g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 balancing exercise to balance by using an arm or a foot.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 fitness device and a foot movement Each of the exercises for the uncomfortable user will be described.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1)는 팔 수술환자의 재활이나 어린이의 유연성 강화에 도움줄 수 있는 팔 운동을 위한 것으로,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거치부(100)와, 거치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00)와, 거치부(100)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밸런스 볼(3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healthcare fitness equipment 1 for an amusement g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rm movement that can help the rehabilitation of an arm operation patient or the flexibility of a child, And abalance ball 300 detachab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mounting part 100. Thehandle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mounting part 100 and can be held by both hands, Can be configured.

거치부(100)는 밸런스 볼(300)을 지지하는 몸체(130)와, 몸체(130) 양측에 위치하여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110)와, 복수개 팔거치대(110)와 몸체(130)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140)와, 각각의 연결구(14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말단에 손잡이(20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된 회전봉(120)을 포함한다.The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abody 130 for supporting thebalance ball 300, a plurality ofarm rests 110 placed on both sides of thebody 130 and capable of placing arms on both sides, a plurality ofarm rests 110, And arotation bar 120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each of theconnection ports 140 and fixed at the end thereof with ahandle 200 installed vertically.

복수개 팔거치대(110)는 아래쪽 팔 부위를 감싸도록 완만하에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신체 부위와의 접촉감을 높이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고무 등의 완충부재(111)를 부착한다.The plurality ofarm cradles 110 form a curved portion that is gently bent so as to surround the lower arm portion and attach acushioning member 111 such as rubber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feeling with the body portion and prevent slippage do.

몸체(130) 중앙에는 밸런스 볼(130)이 끼워지도록 관통된 결합공(132)이 형성되고, 결합공(132) 내측에는 밸런스 볼(130)의 외측에 마련된 결합편(302)과 암수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132)가 형성된다.Acoupling hole 1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body 130 so that thebalance ball 130 is inserted into thecoupling hole 132. Inside thecoupling hole 132, A threadedportion 132 is formed.

연결구(140)는 팔거치대(110) 측면과 몸체(130) 측면을 연결하는데, 양팔의 간격에 맞추어 대향 설치된 양쪽 팔거치대(1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구(140) 일측이 몸체(130) 내부로 진퇴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connector 140 connects the side surface of thearm rest 110 with the side surface of thebody 130. One end of theconnection port 140 is connected to thebody 130 so as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twoarm rests 110,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backward.

밸런스 볼(300)은 구 형상의 몸체(301)를 구비하고, 몸체(301) 외측에 일정 길이의 결합편(302)이 돌출형성된다. 밸런스 볼(300) 내부에 거치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센서부(400)를 내장하고 있다. 센서부(400)의 USB 포트(404)는 도시하지 않은 USB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로서, 몸체(301) 외측에 노출되어 설치된다.Thebalance ball 300 has aspherical body 301 and acoupling member 30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truded from the outside of thebody 301. And asensor unit 400 including a sensor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mount 100 inside thebalance ball 300. [ TheUSB port 404 of thesensor unit 400 is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a USB cable (not shown) and is exposed outside thebody 301.

도 2a를 참고하여, 거치부(100)의 나사부(132)에 밸런스 볼(300)의 결합편(302)이 암수 결합되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팔거치대(110)와 몸체(130)에 대해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 하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된다. 이렇게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를 바닥에 지지시키고 양쪽 팔거치대(110)에 팔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힘의 방향으로 거치부(100)가 기울어지게 되고, 그 반대측으로 힘의 방향을 이동시키면 거치부(100)는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렇게 거치부(100)의 기울임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양손으로 손잡이(200)를 잡고 운동할 수 있는데, 기울임 동작과 동시 또는 별개의 동작을 손잡이(200)를 회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2A and 2B, when theengaging piece 302 of thebalance ball 300 is coupled to the threadedportion 132 of themounting portion 100 in a male and female connection, thearm rest 110 and thebody 130 The lower portion of thebody 301 of thebalance ball 300 protrudes downward. In such a state that thebody 301 of thebalance ball 300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arm is placed on the both arm rests 110, themounting portion 100 is inclined in a direction of a force biased toward one side, Themounting portion 100 is inclined to the opposite sid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tilting operation of themounting portion 100 is repeated to continue the motion. At this time, the use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holding theknob 200 with both hands and rotating theknob 200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with the tilting operation.

도 2b를 참고하여, 센서부(400)는 거치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401)와, 가속도 센서(401)의 센서 감지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모뎀(402)과, 동작 전원을 제공하며 충전가능하는 배터리(403), 및 배터리(403)를 충전하기 위해 밸런스 볼(300)의 몸체(301)에 노출되게 설치한 USB 포트(4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가속도 센서(401)를 적용하였으나, 거치부(100)의 기울임에 따라 변화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2B, thesensor unit 400 includes anacceleration sensor 401 for sensing the movement of themount 100, awireless modem 402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ensor sensing signal of theacceleration sensor 401, And aUSB port 404 that is exposed to thebody 301 of thebalance ball 300 to charge thebattery 403. Thebattery 403 is charged with thebattery 403, Although theacceleration sensor 401 is applied in the embodiment, a gyro sensor capable of sensing a change in movement with tilting of themount 100 may be applied.

게임센터(500)는 거치부(100)와 떨어진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센서부(400)의 무선모뎀(402)으로부터의 센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모뎀(501)과, USB 포트(502)와, 게임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3)와, 게임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504), 및 센서부(400)의 센서 감지신호에 연계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여기서 USB 포트(502)는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이외에 게임 컨텐츠의 데이터를 갱신 또는 저장하기 위해 전송 매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game center 500 may be located in a space away from themount 100 and includes awireless modem 501 for receiving a sensor detection signal from thewireless modem 402 of thesensor unit 400, Acontrol unit 503 for controlling the game operation using the game contents, acontent storage unit 504 for storing the game content, and a game using the game content in connection with the sensor detection signals of thesensor unit 400 And adisplay unit 505 for displaying an operation. Here, theUSB port 502 may serve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updating or storing data of game contents in addition to supplying power.

게임센터(500)에서 이용하는 게임 종류는 특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게임 그래픽을 배경으로 하여 센서 감지신호에 따라 화면상의 타겟 또는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동 궤적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the kind of game to be used in thegame center 500. [ For example, a game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a target or a cursor on a screen moves according to a sensor detection signal in the background of a game graphic, and a movement trajectory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팔을 복수개 팔거치대(110)에 올려 놓고 게임 센터(500)의 표시부(505)를 보면서 게임을 하듯이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 강화나 트레이닝을 할 때 흥미유발을 통한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다.As illustrated in FIG. 2C, since the user can place a plurality of arms on thearm cradle 110 and perform a balance movement in which the user views thedisplay unit 505 of thegame center 500 and balances them as if playing a game, When training, it is possible to exercise continuously by inducing interest.

다음의 실시예는 발 수술환자의 재활이나 어린이의 유연성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examples describe exercise devices for foot exercises that can help rehabilitate patients with foot surgery or enhance flexibility of children.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1A)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게임을 하듯이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할 수 있도록 거치부(100a)와, 손잡이(200a), 및 게임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3, the healthcare exercise machine 1A for an amusement game includes a mounting part 100a, a handle 200a, and a game center 100a for balancing and balancing the game as a user while standing, (500).

거치부(100a)는 바닥에 지지되는 판형상의 베이스판(150)과, 베이스판(150)에 고정 설치된 판형상의 고정판(160)과, 연결끈(180)을 이용하여 고정판(160)에 구속되는 판형상의 발판(170)을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100a includes a plate-shapedbase plate 150 supported on the floor, a plate-shapedfixing plate 160 fixed to thebase plate 150, and a fixingplate 160 fixed to the fixingplate 160 using theconnection string 180 And includes a plate-like foot plate 170.

거치부(100a)는 발판(170) 상면에 위치하여 발판(170) 상면을 가려주고 함몰된 부위를 막기 위한 발판 커버(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170) 하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밸런스 볼(300a)이 마련된다.The mounting portion 100a may further include afoot cover 171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foot plate 170 and blocking the depressed portion. Thefoot plate 170 is provided with abalance ball 300a to be described later.

베이스판(150)의 가장 자리에는 U자형 손잡이(200a)가 양측에 대향 설치되고, 그 손잡이(200a)의 말단은 베이스판(150)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다.At the edge of thebase plate 150, a U-shaped knob 200a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distal end of the knob 200a is fixed to thebase plate 150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거치부(100a)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게임 동작을 할 수 있는 게임센터(500)가 마련된다. 게임센터(500)는 바닥에서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박스형 지지체(506)에 고정된 표시부(505)를 포함한다. 박스형 지지체(506)는 상하방향의 2열로 배치되어 양쪽의 손잡이(200a)를 횡단하여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507)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게임센터(500)는, 도 2b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무선모뎀(501), USB포트(502), 제어부(503), 컨텐츠저장부(5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game center 5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tationary part 100a to allow a game operation while the user is standing. Thegame center 500 includes adisplay portion 505 fixed to a box-shaped support 506, which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The box-shaped supports 506 are arranged in two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fixed by a connecting frame 507 connecting the knobs 200a across the both sides. Thegame center 500 may include awireless modem 501, aUSB port 502, acontrol unit 503, and acontent storage unit 504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B. And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발판(170) 하면 중앙에는 반원형 밸런스 볼(300a)이 마련된다. 밸런스 볼(300a)은 발판(170)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향 돌출된 몸체(301a)와, 몸체(301a)의 외측 중앙 꼭지에 고정볼트(303)에 의해 결합된 돌출편(302)을 포함한다. 돌출편(302)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판(150)에 접촉하여 지지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semicircular balance ball 300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foot plate 170. Thebalance ball 300a includes abody 301a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foot plate 170 and protruding downward and aprotrusion piece 302 coupled to the outer central stem of thebody 301a by a fixingbolt 303 do. As shown in Fig. 5, the protrudedpiece 302 is held in contact with the fixedplate 150. As shown in Fig.

몸체(301a) 상부에 형성된 함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부(400)가 위치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400) 상부는 발판커버(171)에 의해 가려진다. 이러한 센서부(400)는 도 2b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가속도센서(401), 무선모뎀(402), 배터리(403), 및 USB포트(4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sensor unit 400 (not shown) is located on the depression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body 301a. The upper part of thesensor unit 400 is covered by thefoot cover 171, as shown in FIG. Thesensor unit 400 may include anacceleration sensor 401, awireless modem 402, abattery 403, and aUSB port 404,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B.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연결끈(180)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고정판(150)과 발판(17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체결되는데,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 연결끈(180)에 끼움봉(181)을 이용하여 일측과 타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Theconnection cord 18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string connection parts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xingplate 150 and thefoot plate 170. As illustrated in FIG 7, It can be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using afitting rod 181. [ This fasten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을 참고하여, 발판(17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 끈결합부(172)(173)가 내측 테두리를 돌아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끈결합부는 통공(172)과 고정홈(173)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공(172)은 일자형으로 발판(17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홈(173)은 통공(172)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상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170) 후면에서 볼 때 통공(172)만이 노출형성되고 고정홈(173)은 노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string-fastening portions 172 and 173 are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foot plate 170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ner edge. Each of the string coupling portions may have a cross shape in which the throughhole 172 and the fixinggroove 173 are crossed. The throughhole 172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foot plate 170 and the fixinggroove 173 is formed by being cut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while transversely crossing the throughhole 172. As shown in Fig. 9, only the throughhole 172 is exposed and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rear side of thefoot plate 170, and the fixinggroove 173 is not exposed.

도 10을 참고하여, 고정판(160)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 끈결합부(162)(163)가 내측 테두리를 돌아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끈결합부는 통공(162)과 고정홈(163)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이질 수 있다. 통공(162)은 일자형으로 고정판(160)의 하면과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홈(163)은 통공(162)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하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된다, 고정홈(163)은 통공(162)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60) 상면에서 볼 때 통공(162)만이 노출형성되고 고정홈(163)은 노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string-engagingportions 162 and 163 are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fixingplate 160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inner edge being rotated. Each of the string coupling portions may have a cross shape in which the throughhole 162 and the fixinggroove 163 are intersected. The throughhole 162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passing through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plate 160 and the fixinggroove 163 is formed by being cut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bottom surface while transversely crossing the throughhole 162, (163)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162). As shown in FIG. 11, only the throughhole 162 is exposed and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plate 160, and the fixinggroove 163 is not exposed.

고정판(160) 상면 중앙에는 돌출편(302)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약간 움푹하게 패인 안착홈(161)이 형성된다.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plate 160, aseating recess 161 having a slightly recessed shape for seating the protrudingpiece 302 is formed.

다시 도 4를 참고하여, 연결끈(180) 일측에 끼움봉(181)을 매고나서 이 끼움봉(181)을 발판(170)의 고정홈(173)에 끼워 고정하고, 연결끈(180) 타측에 끼움봉(181)을 매고나서 이 끼움봉(181)을 고정판(160)의 고정홈(163)에 끼워 고정한다. 이렇게 발판(170)과 고정판(160) 사이를 복수개의 연결끈(180)과 끼움봉(181)을 이용하여 체결하며, 이때 발판(170) 하면에 일체로 결합된 밸런스 볼(300a)의 중앙 꼭지의 돌출편(302)은 고정판(160)의 안착홈(161)에 안착되고, 더불어 발판(170)과 고정판(160) 각각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체결된 연결끈(180)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4, thefitting bar 18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cord 180, thefitting bar 181 is fitted into the fixinggroove 173 of thefootrest 17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cord 180 Thefitting rod 181 is fitted into the fixinggroove 163 of the fixingplate 160 and fixed. The center of thebalance ball 300a,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foot plate 170, is fastened between thefoot plate 170 and the fixedplate 160 by using a plurality of connectingstraps 180 and afitting rod 181. At this time, Thefoot plate 170 and the fixingplate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connection string 180 fastened to a plurality of string connection parts formed at the edges It will be stretched tightly.

이러한 발판(170) 위에 양발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는 힘의 방향으로 발판(170)이 기울어지게 되고, 그 반대측으로 힘의 방향을 이동시키면 발판(170)이 이동 방향을 따라 반대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렇게 발판(170)의 기울임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발판(170) 함몰부에 위치한 센서부(400)에서 센서 감지신호를 게임 센터(500)로 전송하고, 게임센터(500)에서 센서 감지신호에 연계하여 게임 동작을 표시부(505)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으로 손잡이(200a)를 잡고 밸런스 운동할 수 있고, 게임센터(500)의 표시부(505)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을 즐기면서 밸런스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foot plate 170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biased force toward one side while the two feet are placed on thefoot plate 170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shif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foot plate 170, The tilting motion of thefoot plate 170 is repeatedly performed to continue the exercise. At this time, a sensor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sensor unit 400 located at the depression of thefoot plate 170 to thegame center 500, and the game operation is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505 in connection with the sensor detection signal at thegame center 500 . Accordingly, the user can balance motion by holding the knob 200a with both hands, and perform balance motion while enjoying the game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505 of thegame center 500. [

1, 1A : 운동기구
100, 100a : 거치부
200, 200a : 손잡이
300, 300a : 밸런스 볼
400 : 센서부
500 : 게임센터
1, 1A: a fitness equipment
100, 100a:
200, 200a: Handle
300, 300a: balance ball
400:
500: Game Center

Claims (8)

Translated fromKorean
팔이나 발을 이용하여 균형잡기하는 밸런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신체 부위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된 손잡이;
상기 거치부에 지지된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치부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결합된 밸런스 볼;
상기 밸런스 볼에 내장되어 상기 거치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센서 감지신호에 연동하여 밸런스 운동을 위한 게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게임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밸런스 볼은 구형상 또는 반원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 꼭지에 결합되고 외향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A plate-shaped mounting part for supporting a body part so as to perform a balanced motion balancing by using an arm or a foot;
A handle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A balance ball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can be tilted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body part supported by the mounting portion;
A sensor unit built in the balance ball and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unting unit;
And a game center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game contents for allowing a game for balance movement to be interlocked with a sensor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balance ball comprises a spherical or semi-circular body, and a protruding piece coupled to a central stem of the body and protruding out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양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복수개 팔거치대와,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은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타측이 고정된 회전봉과, 상기 밸런스 볼과 암수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m rests is rotatably coupl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handle, and a coupling hole for engaging with the balance ball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bod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rm res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팔거치대 각각은 완만하게 굴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 상면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완충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m rests is formed with a gently curved ben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ember for providing a cushion fee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U자형 상기 손잡이가 결합되고 판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고정판과, 상면에 양발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중심부에 상기 밸런스 볼이 일체로 결합된 발판과,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발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개 끈결합부에 각각 체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base plate to which the U-shaped handle is coupled an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base plate, a foot plate on which a pair of feet can be plac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balance ball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And a connecting strap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string connecting parts formed at the edge of the foot plate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끈결합부는 일자형 통공과 고정홈이 교차된 십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자형 통공에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연결끈을 체결하되,
상기 연결끈에 매여지고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는 끼움봉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끈을 상기 끈결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ring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and a fixing groove intersect, at least on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and the connection string is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cord is fastened to the cord coupling part by using a fitting rod attached to the connection cord and fitted in the fixing groove.
삭제delete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게임센터는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센서 감지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게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 컨텐츠에 연계하여 상기 센서 감지신호에 연동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센터는 상기 거치부에 인접한 박스형 지지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핼스케어 운동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nd the game center transmit and receive a sensor detection signal using a wireless modem,
The game center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playing a game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detection signal in association with game contents stored in a game content storage unit,
Wherein the game center is mounted on a box-shaped support adjacent to the mount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USB 포트와,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충전가능하고 상기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or unit comprises a USB port and a battery that is chargeable through the USB port and that supplies power to the sensor.
KR1020130015732A2013-02-142013-02-14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Expired - Fee RelatedKR101464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30015732AKR101464291B1 (en)2013-02-142013-02-14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30015732AKR101464291B1 (en)2013-02-142013-02-14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112130A KR20140112130A (en)2014-09-23
KR101464291B1true KR101464291B1 (en)2014-11-25

Family

ID=5175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30015732AExpired - Fee RelatedKR101464291B1 (en)2013-02-142013-02-14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4642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066503B1 (en)*2018-07-202020-01-15(주)건강한친구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FI125796B (en)*2015-02-272016-02-15Dering Oy Exercise device for detecting a deviation from the equilibrium position
KR102027332B1 (en)*2017-11-162019-10-01이윤경Virtual reality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system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7526030A (en)*2004-02-052007-09-13モトリカ インク Methods and instrument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KR20120137964A (en)*2011-06-142012-12-24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Athletic apparatus for training of body balance and reinforcement 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7526030A (en)*2004-02-052007-09-13モトリカ インク Methods and instrument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KR20120137964A (en)*2011-06-142012-12-24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Athletic apparatus for training of body balance and reinforcement 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066503B1 (en)*2018-07-202020-01-15(주)건강한친구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WO2020017731A1 (en)*2018-07-202020-01-23(주)건강한친구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US11007407B2 (en)2018-07-202021-05-18Strong Friend Inc.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112130A (en)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324997B2 (en)Abdominal and core exerciser device
US11007407B2 (en)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US20180264321A1 (en)Tilting surface application controller
US20110086747A1 (en)Exercise and video game chair
JP2019501684A (en) Smart lower body exerciser {SMART LEG MOVEMENT STIMULATOR DEVICE}
US20140213417A1 (en)Gyroscopic exercise device
JP2007307284A (en)Controller holder with sensor
WO2015130177A1 (en)Balance board for use as a control device
WO2013124930A1 (en)Exercise assisting device
JP2006136694A (en)Portable game holder
KR101464291B1 (en)Healthcare Exercise Device For Entertainment
KR101876796B1 (en)Flank core exercise equipment that can exercise balance
CN109481913B (en)Intelligent body-building device and intelligent body-building interaction system
US20120149469A1 (en)Game control and exercise system
JP5213086B1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KR20210157779A (en)Balance exercise system with motion sensor embedded
US20230310930A1 (en)Exercise device
JP2008167864A (en)Health exercise apparatus
KR101091828B1 (en) Multifunctional board, interactive spinal mo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8943359U (en)Multifunctional intelligent exercise body-building device structure
KR20210157789A (en)Balance game device system
KR101797863B1 (en)portable exercise device operating method with an elastic band
KR101590921B1 (en)Athletic Equipment
WO2017135555A1 (en)Complex-exercise stationary bicycle
KR20190046385A (en)Rehabilitation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limb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P16-X000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Q16-X000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6-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1113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1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1118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