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451658B1 -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58B1
KR101451658B1KR1020080034857AKR20080034857AKR101451658B1KR 101451658 B1KR101451658 B1KR 101451658B1KR 1020080034857 AKR1020080034857 AKR 1020080034857AKR 20080034857 AKR20080034857 AKR 20080034857AKR 101451658 B1KR101451658 B1KR 101451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maker
distan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9418A (en
Inventor
이동훈
김용수
정경한
서광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857ApriorityCriticalpatent/KR101451658B1/en
Publication of KR2009010941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90109418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58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451658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A full ice detect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is disclosed.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및 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되어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A freeze detection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is disclosed. The freeze detection apparatus is disposed in a refrigerator and is capable of making ice, comprising: an ice maker body in which an ice making unit is disposed; And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ice-maker body and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making unit.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거리 감지 센서를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감지는 물론, 얼음 수용 용기 내의 얼음의 양을 표시할 수 있고, 얼음 수용 용기 내의 얼음의 양 또는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 여부에 따라 제빙기 및/또는 제빙 팬을 제어하여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ce-maker detection device of the refrigerator ice-maker disclosed in the above, by applying the distance sensor to the ice maker,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amount of ice in the ice-containing container as well as to detect 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controlling the ice maker and / or the ice making fan depending on whether the ice container is detached or not.

만빙 감지, 거리 감지, 제빙 팬 제어Full ice detection, distance detection, ice fan contro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ll ice detect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냉장 또는 냉동시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인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뱅크가 설치될 수 있다.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can store foods freshly by refrigeration or freezing. Such a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with an ice maker, which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ice, and an ice bank, which receives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최근에는 수요 증가에 따라 냉장고에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설치되는 예가 많다. 이러한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 뱅크로 낙하되어, 아이스 뱅크 내에 쌓이게 된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ice makers and ice banks are installed in refrigerators as demand increases. The ice produced in such an ice maker is dropped into the ice bank and accumulated in the ice bank.

종래의 냉장고 제빙기에 있어서는, 제빙기의 제어부에 연결된 만빙 감지 레버를 이용하여,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 즉, 종래에는 기구적인 구조물에 의하여,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In a conventional refrigerator ice maker, a full ice detection lever connected to a controller of the ice maker was us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ice cubes were full. That is, in the past, it was detected whether or not the ice bank was full by a mechanical structure.

상기 만빙 감지 레버는 그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고, 얼음이 아이스 뱅크 내에 차오르는 만큼 상승하는 구조였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가 얼음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만빙으로 판단된다.The ice-making sensing lever is rotated downward by a spring connected to the ice-making sensing lever, and the ice-making sensing lever ascends as the ice moves in the ice bank. When the ice-making detecting lever is elevat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by ice, it is judged as full 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만빙 감지 방식에 의하면,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버리는 경우 등 만빙 감지 레버의 기구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빙 감지 레버가 제대로 동작되지 아니하므로,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아이스 뱅크 내가 만빙된 후에도 얼음이 계속 공급되어, 아이스 뱅크 외부로 얼음이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ull ice sensing method, when the rotation of the ice-cube detecting lever is frozen, mechanical movement of the ice-cube detecting lever may not be performed. In such a case, the ice-full detection lever is not properly operated, so that the ice-full ice in the ice bank is not properly detected. Then, even after the ice bank is empty, the ice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 ice bank may flood outside the ice bank.

본 발명은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ll ice sens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ccurately and stably detecting whether ice cubes are free from ice in the ice mak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 시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ll ice sens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during ice mak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maker for ice-making, which is disposed in a refrigerator,

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및 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되어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An ice maker body in which the ice making unit is disposed; And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ice-maker body and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making unit.

상기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값에 따라 상기 얼음의 누적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ll ice sensing device of the refrigerator ice maker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according to a distance value sensed by the distance sensing sensor.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로의 냉기 전달을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제빙 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제빙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ice-making fan for generating wind power for transferring cold air to the ice maker,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ce-making fan according to the amount of ice accumulated.

상기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제빙기 몸체 하측에는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된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수용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감지 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얼음 수용 용기 위치값보다 크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가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빙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ce-making detector of the refrigerator ice-making machine, an ice-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he ice stored in the ice-making un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icemaker body, and if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ic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ainer is detached and stopping the ice mak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거리 감지 센서를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감지는 물론, 얼음 수용 용기 내의 얼음의 양을 표시할 수 있고, 얼음 수용 용기 내의 얼음의 양 또는 얼음 수용 용기의 착탈 여부에 따라 제빙기 및/또는 제빙 팬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to the ice maker,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amount of ice in the ice container, as well as to detect ice in the ice container, The ice-making machine and / or the ice-making fan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ice in the ice-making container or the detachability of the ice-receiving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장기간 제빙기 및 얼음 수용 용기 내의 얼음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얼음 수용 용기 내에 얼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음이 있는 경우 제빙 팬을 계속 작동시켜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고, 얼음이 없는 경우 제빙 팬을 정지시켜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사항은 사용자가 제빙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장기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더욱 유효할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ice in the ice-making container and the ice-making container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ice exists in the ice- The ice-making fan is continuously operated to prevent the ice from melting, and when there is no ice, the ice-making fan is stopped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Particularly, thi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of the ice maker and does not use the ice maker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거리 감지 센서가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어, 제빙기에서 이빙되어 얼음 수용 용기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므로, 기구적인 만빙 감지 레버 등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할 때 그러한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서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얼음 수용 용기 내부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sensing sensor is disposed on an ice maker body and is detached from the ice maker to detect the ice of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rotation of the ice-making sensor lever is frozen and the ice-making is not properly detected,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stably detect whether or not the ice-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거리 감지 센서의 감지 높이가 얼음 수용 용기의 상단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는 얼음 수용 용기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height of the distance sensor is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a full ice level of an ice contain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an upper end of the ice container, . Therefore, the presence of the ice in the ice container can be accurately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제빙 히터와 거리 감지 센서를 연결하는 열 매개체가 구비됨으로써, 제빙 히터에서 발생된 열의 일부가 열 매개체를 통해 거리 감지 센서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제빙 히터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거리 감지 센서의 표면이 가열될 수 있으므로, 거리 감지 센서 표면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감지 센서에서 정확한 만빙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detecting ice cubes in a refrigerator ice maker, wherein a heat medium connecting the ice making heater and the distance detecting sensor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ice making heater is transmitted to the distance detecting sensor . Then, the surface of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can be hea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ice making heater, so that the propert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can be remov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orrect maneuver dete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ull ice detect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냉장고(10)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기기로서,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11)과,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 등과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12)과,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100)와,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조되는 얼음이 축적 보관되는 얼음 수용 용기(180)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보관되는 얼음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디스펜서(190)가 형성된다.1, the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Therefrigerator 10 includes a refrigeratingchamber 11 in which foods are stored at a temperature of an image, afreezing chamber 11 for storing foods such as ice Anice making container 100 accommodated in thefreezing chamber 12 to produce ice and anice receiving container 180 for storing and storing ice produced in theice making device 100, Adispenser 190 is provided to allow the ice stored in theice maker 180 to be supplied appropriately when desired by the user.

물론,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이 형성된다.Of course, components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der, and an evaporator for forming a refrigeration cycle are formed in therefrigerator 10.

또한, 상기 냉장실(11) 및 상기 냉동실(12)은 각각 냉장실 도어(13) 및 냉동실 도어(14)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개폐된다.The refrigeratingcompartment 11 and thefreezing compartment 12 ar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by the refrigeratingcompartment door 13 and thefreezing compartment door 14, respectively.

상기 제빙기(100)와 관련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An operation related to the ice-maker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제빙기(100)로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된 뒤에, 상기 제빙기(100)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100)에서 얼음이 제조된 뒤에는, 상기 제빙기(100)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리되어 얼음 수용 용기(180)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수용된 얼음이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원하는 양만큼 디스펜서(190)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After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er 100, cool air is supplied to theice maker 100. After the ice is produced in theice maker 100 by the supplied cool air, the ice is separated by the self-operation of theice maker 100 and falls into theice container 180 and is received therein. Each time the ice cubes contained in theice container 180 are requested by the user, the ice cubes are supplied to the user by thedispenser 190 by a desired amoun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ice make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ice make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full ice detecting device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이 제조되는 물품으로서,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107)와,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실(104)과,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이젝터(105)와,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제빙기 몸체(101)가 포함된다.2 to 5 together, the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rticle in which ice is manufactured. Theice maker 100 includes awater supply unit 107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anice making chamber 104 for ice- Anejector 105 in which ice produced in theice making chamber 104 is separated and anice maker body 101 in which a number of components for rotating theejector 105 are contained.

상기 제빙실(104)의 후방에는 제빙기(100)가 냉장고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02)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도면번호 103은 상기 안착부(102)가 냉장고 내부에 안착되도록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홀이다.At the rear of theice making chamber 104 is formed aseating portion 102 for allowing theice maker 100 to be placed inside the refrigerator.Reference numeral 103 in FIG. 2 is a hole into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is inserted so that theseating portion 102 is seated in the refrigerator.

상기 제빙기 몸체(101)의 외측으로는 회전운동되는 축이 연장된다. 상기 축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이젝터(105)가 연장되어, 상기 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면서, 얼음을 퍼 올린다.The shaft to be rotated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ice-maker body 101. Theejector 105 is extend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haft, and theejector 105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pierce the ice.

상기 제빙실(104)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퍼 올려진 얼음이 얼음 수용 용기(180)로 안내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06)가 형성된다.Aseparator 106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ice making chamber 104 to guide the ice raised by theejector 105 to theice container 180 to be dropped.

상기 급수부(107), 상기 제빙실(104), 상기 이젝터(105) 등은 상기 제빙기(100) 내에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들로, 얼음 제조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얼음 제조 유닛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구성에 다른 구성 요소가 더 부가될 수도 있고, 상기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삭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water supply unit 107, theice making chamber 104, theejector 105 and the like may be defined as units for manufacturing ice in theice maker 100 and an ice making unit.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ice-making unit is exemplary, and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configur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deleted.

상기 제빙실(104)의 하측에는 얼음과 제빙실(104) 내부면의 계면이 상호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제빙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빙 히터(140)는 상기 제빙기 몸체(11) 내에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n ice-makingheater 140 is installed under the ice-makingchamber 104 to apply heat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i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ce-making chamber 104. The ice-makingheater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the ice-maker body 11.

상기 제빙 히터(140)의 하측에는 히터 받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A heater supportpart 130 is formed below the ice-makingheater 140. The heater supportpart 130 is connected to theicemaker body 101. Preferably, the heater supportpart 130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ice maker body 10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로부터 하측으로 거리 감지 센서 돌출부(121)가 돌출된다.In this embodiment, thedistance sensor protrusion 12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ce-maker body 101.

상기와 같이 돌출된 거리 감지 센서 돌출부(121)에는 발신부(122) 및 수신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발신부(122) 및 상기 수신부(123)는 서로 신호,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수발신하면서, 얼음과의 거리(d)를 감지한다.The distance detectingsensor protrusion 121 protruding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transmitter 122 and areceiver 123. The transmittingunit 122 and thereceiving unit 123 receive signals,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and sense the distance d to the ice.

상기 발신부(122)와, 상기 수신부(123)는 서로 신호를 수발신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므로, 거리 감지 센서(120)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감지 센서(120)로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Thesensing unit 122 and thereceiving unit 123 may be defined as adistance sensing sensor 120 because sensing whether or not the inside of theice container 180 is full while receiving and receiving signals from each other. Thedistance sensor 120 may be an infrared sensor.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10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한다.Thedistance sensor 120 is disposed in the ice-maker body 101 and senses ice cubes accumulated in the ice-makingcontainer 180 when the ice-maker 100 is ice-pick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가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는 물론, 얼음의 누적 정도도 알 수 있다.Thedistance sensing sensor 120 can sense the distance between theicemaker body 101 and the ice accumulated in theice container 180. Therefore, And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ice can be known.

또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이탈된 경우,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감지되는 거리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결합된 경우의 거리보다 더 멀 게 감지되므로, 이러한 감지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착탈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빙기(100)에서의 이빙을 중지시켜, 얼음이 쏟아지지 아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ice container 180 is detached, the distance sensed by thedistance sensor 120 is detected to be farther than the distance when theice container 180 is enga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ice container 180 is detached or not. If it is detected that theice container 180 is detached, ice removal in theice maker 100 may be stopped to prevent ice from being poured.

여기서,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distance sensor 12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ull height of theice storage container 180.

상세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2) 및 수신부(123)는 하방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까지 연장된다.3 and 4, thetransmitter 122 and thereceiver 123 of thedistance sensor 120 extend downward to the inside of theice container 180.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의 감지 높이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상단(181)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 의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When thedistance sensing sensor 12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height of thedistance sensing sensor 120 is set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ull height of theice container 18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upper end 181 of theice container 180 . Therefore, thedistance detection sensor 120 can accurately detect the full ice in theice container 180.

한편,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는 그 내부에 상기 제빙기(100)로부터 이빙된 얼음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Meanwhile, theice container 180 is provided therein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ce released from theice maker 100.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하부에는 이송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순차적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서 이송시키고, 요구되는 적절한 크기로 분쇄시킨다.Atransfer unit 150 is installed below theice container 180. Thetransfer unit 150 sequentially transfers the ice contained in theice container 180 into theice container 180 and crushes the ice into the appropriate size required.

상세히,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고정되는 고정 블레이드(155)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회전 블레이드(15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연결되는 회전축(153)과, 상기 회전축(153)과 연결되는 모터(154)와,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 블레이드(152)를 포함한다.In detail, thetransfer unit 150 includes a fixedblade 155 fixed to theice container 180, arotating blade 151 rotating relative to the fixedblade 155, Amotor 154 connected to therotary shaft 153, and a conveyingblade 152 for conveying the ice.

상기 회전축(153)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1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rotary shaft 15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rotary shaft 153, and thetransfer blade 15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rotation shaft 153, therotation blade 151 and thetransfer blade 152 can be rotated together.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로는 나선 형상의 오거(auger)가 이용될 수 있다.As thetransfer blade 152, a spiral auger may be used.

도 3에 도시된 도면번호 160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서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이고, 도면번호 170은 상기 출구(160)를 통해 취출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90)로 안내되는 안내로이다.Reference numeral 160 in FIG. 3 denote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ice is taken out from theice container 180, andreference numeral 170 denotes a guide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taken out through theoutlet 160 is guided to thedispenser 190 .

이하에서 상기 제빙기(100), 상기 이송부(150) 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s of the ice-maker 100, thetransfer unit 150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먼저, 소정 형상의 급수관에 의해서 안내되어 물이 상기 급수부(107)로 공급된다. 급수된 물은 제빙실(104)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104)에 영하의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실(104)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려진다.First, water is guided by a water supply pipe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water is supplied to thewater supply unit 107. Water supplied into theice making chamber 104 flows into theice making chamber 104, and freezing air is supplied to theice making chamber 104 to freeze the water contained in theice making chamber 104.

상기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빙실(104) 내부의 물이 완전히 얼려진 뒤에는 제빙기 몸체(101)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이젝터(105)가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 얼려진 얼음이 제빙실(104)의 내주면을 따라서 퍼 올려진다.After the water in theice making chamber 104 is completely frozen as described above, theejector 105 is operated by a predetermined drive mechanism placed inside theicemaker body 101. Then, the frozen ice in theice making chamber 104 is pushed up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ice making chamber 104.

여기서, 상기 이젝터(105)가 동작되기 전에 제빙 히터(140)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104) 쪽으로 열이 가하여져서 얼음과 제빙실(104)의 접면이 상호 박리되도록 한다.Before theejector 105 is operated, heat is applied to the ice-makingchamber 104 by the ice-makingheater 140 so that the ic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ice-makingchamber 10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얼음이 퍼 올려진 뒤에는, 얼음이 상기 세퍼레이터(106)에 의해서 안내되어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로 낙하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축적된다.After the ice is pushed up by theejector 105, ice is guided by theseparator 106 and falls into theice container 180, and is accumulated in theice container 180.

상기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는데, 반복 수행되는 동작 중에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에 얼음이 만 수용된 뒤에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 의해서 얼음이 만 수용된 것이 감지되어 제빙기(100)의 동작이 정지된다.After the ice cubes are received in theice container 180 during the repetitive operation, only ice is received by thedistance sensor 120, and the ice cubes 100 ) Is stopped.

한편,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얼음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모터(154)가 구동되면서, 상기 모터(154)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153)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된다.Meanwhile, when ice supply is requested to the user through thedispenser 190, themotor 154 is driven and therotation shaft 153 connected to themotor 154 is rotated. Then, therotary blade 151 and thetransfer blade 152 are rotated together.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하부의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이송된다.The ice in the lower part of theice container 180 is transferred to therotary blade 151 while thetransfer blade 152 is rotated.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안내된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와 고정 블레이드(155) 사이에 물리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의 미는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쇄된다.When the ice guided to therotating blade 151 is caught between therotating blade 151 and the fixedblade 155, the ice is crushed by the pushing action of therotating blade 151.

상기와 같이 분쇄된 얼음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출구(160)를 통하여 취출된다. 취출된 얼음은 상기 안내로(170)를 통해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The crushed ice is taken out through theoutlet 160 formed below thestationary blade 155. The extracted ice is dropped through theguide passage 170. The dropped ice can b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dispenser 190.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ll ice detector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full ice detector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는 제빙기 몸체(101)와, 얼음 수용 용기(180)에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120)와,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값을 전달받아 처리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한다.6 and 7, the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ce-maker body 101, adistance sensor 120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ice accumulated in the ice-receivingcontainer 180, And acontrol unit 200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sensed value from thedistance sensor 120.

또한, 상기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빙기(100) 등의 냉장고 구성 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10)와,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결과 및 각종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0)와,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ull ice level sensing device includes adriving unit 210 receiving signals from thecontrol unit 200 and driving refrigerator components such as theice maker 100 and the like, Adisplay unit 220, and aninput unit 230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이러한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먼저, 제빙이 시작되면(S100),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얼음과의 거리를 감지한다(S110).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감지된 거리값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First, when ice-making is started (S100), thedistance sensor 120 detects the distance to the ice (S110). The distance detected by thedistance sensor 120 is transmitted to thecontroller 200.

상기 거리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감지된 거리값에 따라 상기 얼음의 누적량을 판단한다. 즉,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Thecontroller 200 receives the distance value and determines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according to a distance value detected by thedistance sensor 120. [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distance value has reached a preset reference level (S120).

여기서,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만빙이 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값이다.Here, the predetermined freezing reference value is a value corresponding to a height at which the ice cubes become ice-filled in theice container 18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빙기(100)에서의 제빙을 지속적으로 수행시키면서,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거리 감지가 지속된다(S1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has not reached the predetermined still ice level, thedistance detection sensor 120 continues the distance sensing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ice making in the ice maker 100 (S110) .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면, 제빙을 정지시킨다(S13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distance value has reached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ice-making is stopped (S1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arrying out these explanations,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alread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omitted here.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Fig.

도 8 및 도 9A 및 9B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기(100)와, 얼음 수용 용기(180)에 냉기를 도입하는 도입관(260)과, 도입된 냉기의 순환을 위해 유출시키는 유출관(270)과, 상기 제빙기(100)로의 냉기 전달을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제빙 팬(250)이 설치된다. 상기 제빙 팬(250)은 상기 도입관(260)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도입관(260) 내부로 냉기를 도입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nd FIGS. 9A and 9B together, in this embodiment, anice maker 100, aninlet pipe 260 for introducing cool air into theice container 180, Apipe 270 and an ice-makingfan 250 for generating a wind power for transferring cold air to the ice-maker 100 are installed. Theice making fan 250 may be installed at an inlet of theintroduction pipe 260 to introduce cold air into theintroduction pipe 260.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가 거리 감지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얼음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제빙 팬(25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얼음이 누적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빙 팬(250)을 작동시키고, 상기 얼음이 누적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제빙 팬(250)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controller 200 controls the ice-makingfan 250 according to the amount of ice accumulated in the ice-receivingcontainer 180 sensed by thedistance sensor 120.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accumulated, thecontroller 200 operates the ice-makingfan 250, and if the ice is not accumulated, thecontroller 250 controls the ice- It can be stopped.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얼음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제빙 팬(250)의 RPM을 제어한다. 즉, 상기 얼음의 누적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빙 팬의 RPM을 증가시키고, 만빙인 경우, 상기 제빙 팬을 정지시킬 수 있다.Also, thecontroller 200 controls the RPM of the ice-makingfan 250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amount of ice. That is, when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PM of the ice-making fan is increased, and in the case of full ice, the ice-making fan can be stopped.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얼음 수용 용기 위치값, 즉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바닥까지의 거리값보다 크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빙기(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If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ice container 180, thecontroller 200 may determine that theice container 180 is detached from theice container 180 And theice maker 100 can be stopped.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에 따른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에 따른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는 물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얼음의 양을 표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controller 200 may display the determination result on thedisplay unit 220 according to the sensed distance value. That is, thecontroller 200 may indicate the amount of ice in theice container 180 as well as the ice in theice container 180 according to the sensed distance value.

이하에서는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ull i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먼저,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에서 거리를 감지한다(S200). 상기 감지된 거리값은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된다.First, thedistance sensor 120 detects the distance (S200).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controller 200.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The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distance value has reached the preset reference level (S210).

상기 판단(S21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만빙으로 판단하고(S211), 상기 제빙기(100)의 정지 및/또는 상기 제빙 팬(250)을 정지시킨다(S212).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0 that the detected distance value has reached the preset freezing reference value, thecontrol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ice cubes are full ice (S211), and stops theice maker 100 and / The ice-makingfan 250 is stopped (S212).

한편, 상기 판단(S21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바닥까지의 거리값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2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has not reached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tep 220).

상기 판단 결과(S22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바닥까지의 거리값 사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 얼음이 아직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고(S221), 상기 제빙기(100)에서의 제빙이 촉진되도록 상기 제빙 팬(250)의 RPM을 증가시킨다(S222).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betwe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ice container 18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220,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still insufficient in theice making chamber 180 and the RPM of theice making fan 250 is increased so as to accelerate ice making in theice making machine 100 at step S222.

한편, 상기 판단(S22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바닥까지의 거리값 사이에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바닥까지의 거리값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not between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ice container 18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value has reached the distance value to the bottom of the ice container 180 (S230).

상기 판단(S23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바닥까지의 거리값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얼음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S231),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상기 제빙 팬(250)을 정지시킨다(S232).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0 that the sensed distance value has reached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ice container 18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ice container 180 (S231 , The ice-makingfan 250 is stopped for energy saving (S232).

한편, 상기 판단(S230) 결과, 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바닥까지의 거리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가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S240),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조된 얼음이 쏟아지지 않도록 상기 제빙기(100)를 정지시킨다(S241).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dista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ice container 18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230, (S240). Then, theice maker 100 is stopped so that the ice produced in theice maker 100 is not poured (S241).

상기와 같이, 상기 거리 감지 센서(120)를 상기 제빙기(100)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감지는 물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얼음의 양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얼음의 양 또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기(100) 및/또는 상기 제빙 팬(250)을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distance sensor 120 to theice maker 100,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amount of ice in theice container 180, as well as to detect ice in theice container 180 The ice-makingmachine 100 and / or the ice-makingfan 25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ce in the ice-receivingcontainer 180 or the detachability of the ice-receivingcontainer 180.

또한, 사용자가 장기간 상기 제빙기(100) 및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얼음을 이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 얼음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얼음이 있는 경우 상기 제빙 팬(250)을 계속 작동시켜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고, 얼음이 없는 경우 상기 제빙 팬(250)을 정지시켜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사항은 사용자가 상기 제빙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장기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더욱 유효할 것이다.Further,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ice in theice maker 100 and theice container 180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ice in theice container 180. If there is ice, Thefan 25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to prevent the ice from melting, and in the absence of ice, theice making fan 250 can be stopped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Particularly, this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of the ice-maker 100 and does not use it for a long time.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an be changed. However,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의하면,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ll ice sensing device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can accurately and stably detect whether or not the ice cubes are free from ice in the ice mak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ice make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FIG. 3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ice make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Fig.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ice cubes in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ll ice detector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refrigerator to which a full ice sensing device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FIG. 9A and FIG. 9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ll ice detector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냉장고100 : 제빙기10: Refrigerator 100: Ice-maker

101 : 제빙기 몸체120 : 거리 감지 센서101: Ice-maker body 120: Distance sensor

122 : 발신부123 : 수신부122: transmitter 123: receiver

140 : 제빙 히터150 : 이송부140: Ice-making heater 150:

180 : 얼음 수용 용기190 : 디스펜서180: ice container 190: dispenser

200 : 제어부220 : 디스플레이부200: control unit 220: display unit

250 : 제빙 팬260 : 도입관250: ice-making fan 260: introduction pipe

270 : 유출관270: Outflow tube

Claims (12)

Translated fromKorean
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In an ice maker disposed in a refrigerator and capable of making ice,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 및An ice maker body in which the ice making unit is disposed; And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되어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And a distance sensing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ice-making body and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making unit,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값에 따라 상기 얼음의 누적량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according to a distance valu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로의 냉기 전달을 위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제빙 팬을 포함하고,Wherein the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making fan for generating a blowing force for transferring cold air to the ice maker,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제빙 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ce-making fan according to the amount of ice accumulated in the ice-maker.삭제delete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지 아니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제조 유닛의 제빙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ice making of the ice making unit if the sensed distance value does not reach the predetermined still ice level.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만빙 기준값에 도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 제조 유닛의 제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ice making of the ice making unit when the sensed distanc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still ice level.삭제delete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얼음이 누적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얼음이 누적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ce-making f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accumulated, and stops the ice-making f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is not accumulated.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제빙 팬의 RPM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PM of the ice-making fan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amount of the ice.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음의 누적량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빙 팬의 RPM을 증가시키고, 만빙인 경우, 상기 제빙 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RPM of the ice-making fan when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stops the ice-making fan when the accumulation amount of the i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냉장고에 배치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있어서,In an ice maker disposed in a refrigerator and capable of making ice,얼음 제조 유닛이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된 얼음이 수용되는 얼음 수용 용기가 배치되는 제빙기 몸체;An ice maker body in which an ice producing unit is disposed and an ice receiving container in which ice stored in the ice making unit is accommodated,상기 제빙기 몸체와, 상기 얼음 제조 유닛에서 이빙되어 누적된 얼음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및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ce-making body and the ice accumulated in the ice making unit;상기 감지된 거리값이 미리 설정된 얼음 수용 용기 위치값보다 크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가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빙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ice container is detached and stopping the ice maker if the sensed distance valu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ice container position value.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4, 5, 7, 8, 9, or 10,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거리값에 따른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sensed distance value on the display unit.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제빙기 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Wherein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on the ice-maker body.
KR1020080034857A2008-04-152008-04-15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ActiveKR101451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34857AKR101451658B1 (en)2008-04-152008-04-15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34857AKR101451658B1 (en)2008-04-152008-04-15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109418A KR20090109418A (en)2009-10-20
KR101451658B1true KR101451658B1 (en)2014-10-16

Family

ID=4155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034857AActiveKR101451658B1 (en)2008-04-152008-04-15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4516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103807A (en)*2018-02-282019-09-05엘지전자 주식회사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219919A (en)*2018-11-262020-06-02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ice mak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243833B2 (en)2013-11-052016-01-26General Electric CompanyIce mak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n ice level within an ice bucket
KR102279393B1 (en)2014-08-222021-07-21삼성전자주식회사Refrigerator
CN111219916A (en)*2018-11-262020-06-02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Ice making device and ice detection method
CN111219915A (en)*2018-11-262020-06-02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ice mak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0105115A (en)*1998-09-292000-04-11Hoshizaki Electric Co Ltd Ultrasonic object detector and ultrasonic ice storage detector
KR20030021529A (en)*2001-09-062003-03-15주식회사 엘지이아이Ice amount sens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80026385A (en)*2006-09-202008-03-25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0105115A (en)*1998-09-292000-04-11Hoshizaki Electric Co Ltd Ultrasonic object detector and ultrasonic ice storage detector
KR20030021529A (en)*2001-09-062003-03-15주식회사 엘지이아이Ice amount sens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80026385A (en)*2006-09-202008-03-25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90103807A (en)*2018-02-282019-09-05엘지전자 주식회사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90558B1 (en)2018-02-282023-01-19엘지전자 주식회사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85584B2 (en)2018-02-282023-02-21Lg Electronics Inc.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219919A (en)*2018-11-262020-06-02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ice m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109418A (en)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456571B1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ce cubes in refrigerator ice maker
KR101456572B1 (en)Sensor heater controlling method of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1535481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1474439B1 (en) How to control the sensor heater of the ice detector of ice-maker in refrigerator
JP4554992B2 (en) Rapid ice making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ice maker
KR101451658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1182276B1 (en)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798500A2 (en)Ice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679073B1 (en)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KR101580448B1 (en)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KR20080094352A (en) Ice maker in refrigerator
KR101690126B1 (en)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00089075A1 (en)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3028B1 (en)Ice maker controlling method of refrigerator
KR20110098091A (en) How to control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20090030689A (en) Ice bank in refrigerator
KR20080066227A (en) Refrigerator
KR101535483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KR100408573B1 (en) How to control the dispenser of the refrigerator
KR100688163B1 (en) Ice detection device
KR101500732B1 (en)Method for estimating completion of ice-making for an ice making assembly of refrigerator
KR20100002901A (en)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and method thereof
JP7627931B2 (en) refrigerator
KR20080108188A (en) Refrigerator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KR100621241B1 (en) Ice making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e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80415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130107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080415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404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40923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41010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4101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0914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0909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