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및 헬스장 등에서 사용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시이소 운동하듯이 인체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운동기구에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전동식으로 구동되게 형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헬스장 등에서는 신체의 순환기능을 활성화하는 운동요법의 하나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며,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에 사용하는 여러 유형의 헬스기구(일명 거꾸리로 통칭 됨)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in a gym or the like, exercise is performed as a kind of exercise therapy for activating the circulation function of the body, and various types of fitness apparatu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umor) used for the exercise of the wimp are developed and widely used.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는 지지체(포스트)의 상단에 침상형태의 등받이대를 시이소 작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등받이대 하단부에는 발묶음기구를 구비하여 신체를 등받이대에 뉘인 자세로 발을 묶어서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누운 자세로 지지체의 손잡이를 잡아당겨서 적당한 시간 동안 등받이대를 거꾸로 숙였다가 다시 위로 세워주는 시이소 작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수동작업은 매우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성 등의 노약자는 쉽게 사용할 수 없다.In the conventional fitness apparatus for exercising the wristwatch, a needle-shaped backrest base is operably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a support (post) and a foot binding mechanism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so as to bind the body to the backrest Respectively. Also, the user repeatedly pulls back the support by pulling the handle of the support in a lying position, and backs up the backrest for a suitable period of time. These manual tasks are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so children and the elderly such as women can not easily use them.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에 대한 다른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6268호가 알려져 있으며, 상기한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구조를 그대로 구비한 상태에서, 등받이대 하단의 발묶음구조 만을 개선한 것으로서, 등받이대의 시이소 작동은 역시 수동조작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한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art for a fitness apparatus for exercising a crawle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6268. In a state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rawler crawler exercising apparatus is intact, only the backrest- As a result, the seesaw operation of the backrest is also adopted as a conventional structure which is also manually operated.
다른 선행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6269호가 알려져 있는바, 이는 등받이대의 회전기능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지지체와 등받이대의 연결축 구조를 개선하여 회동부의 소음방지와 마모감소의 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며, 이 역시 인체가 실린 등받이대를 거꾸로 세우거나 들어올리는 작용을 사용자가 직접 수동조작으로 실시하는 구조이다.Another prior art is known fro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6269, which improves the connecting shaft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ackrest for the purpose of smoothly rotating the backrest, thereby preventing noise and reducing wear of the turning portion This is also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manually manipulates the operation of lifting or lifting the backrest with the human body.
또 다른 선행기술인 등록특허(공개번호 10-2005-0114925호)는 전동식 헬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웜기어를 통해서 등받이대 회동축에 전달하여 회동시키는 구조이며, 필요시 동력전달장치를 웜기어에서 분리 이격시켜 동력을 단절시키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 것이다.Another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4925) relates to an electric fitness exercise device, which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to a backrest and a rotating shaft through a worm gear to rotate the motor. It separates from worm gear and separates power.
상기 선행기술 구조는 모터의 구동력이 웜과 웜기어를 이용하는 회전형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다시 등받이대의 회동축을 구동시키는 복잡한 구조이므로 회전구동력에 부하가 크고, 회동축에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으로 인체의 중량이 실린 등받이대를 상하로 회동시키기에는 반력이 세기 때문에 작동이 원활치못하고 고장 및 파손의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In the prior art structur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power transmission means using the worm and the worm gear, an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thus transmitted is a complicated structure driving the rotation axis of the backrest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not smooth and there is a fear of failure or breakage because the reaction force is strong for rotating the backrest load carrying the weight of the human body up and down by the transmitted rotational driving force.
본 발명은 동력의 전달수단이 기어방식이 아닌 나사축 구동방식을 채용하여 등받이대의 기장을 늘리거나 줄이는 진퇴식 작용으로 등받이대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가볍게 시이소 작동을 시행하는 새로운 기술구조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echnology structure for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rest b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rest by a forward and backward a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backre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tness instrument for a bod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가지며 일정한 벌림간격을 갖도록 세워지는 양쪽의 포스트와,   상기 양쪽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며 양쪽 포스트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매달리는 등받이대와,    상기 등받이대의 뒷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소켓관과,    상기 소켓관에 헐겁게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긴 기장을 가진 구동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로울러로 구비된 발묶음 수단과,    상기 등받이대의 뒷면에 고정되며 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등받이대의 뒷면에 고정된 소켓관에 헐겁게 끼워진 구동프레임의 선단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구동프레임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너트와,   등받이대의 뒷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의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레버식 스위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at comprising: a pair of posts each having a handle and rais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interval, a backrest provided between the both posts and pivotable abou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posts, A driving frame having a long length and being loosely fitted to the socket tube and fixed to the socket tub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oot binding mean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A screw shaft fixed integrally to a front end of the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shaft integrally attached to a front end of a driving frame loosely fitted to a socket tube fixed to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A nut that is screwed to the shaft and moves the drive frame forward and backwar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And a lever type switch device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and used f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of the drive device.
본 발명은 등받이대의 뒷면에 작은 면적과 좁은 범위 내에서 작동되는 전동 나사축 방식의 구동장치를 채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파워의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riving apparatu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simple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a powerful driving apparatus by adopting a driving apparatus of a screw-down type, which is operated in a small area and a narrow range,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또한 전동나사축을 이용하여 등받이대의 기장을 늘리거나 줄이는 진퇴작용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에 의해서 시이소 작동이 시행되므로 부드럽고 원활한 승강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하와 소음발생 및 마모를 줄여서 고장 및 파손의 우려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esaw operation is performed b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length of the backrest base by using the electric screw shaf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smooth and smooth lifting operation and reduce the load, noise and wea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등받이대와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구동프레임의 진퇴작동을 보인 확대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ckrest and a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과 같이  각각 손잡이(2)를 가지며 일정한 벌림간격을 갖도록 세워지는 양쪽 포스트(1)와,  상기 양쪽 포스트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매달리는 긴 판체형의 등받이대(3)와,  상기 등받이대(3)의 뒷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소켓관(4)과,  상기 소켓관(4)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구동프레임(5)과,  상기 구동프레임(5)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로울러로 구비된 발묶음수단(6)으로 구성된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의 기본 구성은 공지한 구조와 같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re are provided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의 등받이대(3)의 뒷면에  통상형의 모터(11)와 감속기(12)를 구비한 구동장치(1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10)는 등받이대(3)에 부착된 상태로 함께 시이소 작동을 하면서도 개별적인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연동장치를 구동시킬 목적으로 설치된다.2 and 3, a
상기 구동장치(10)에는 장축의 나사축(13)이 구비되어 있으며, 모터(11)의 회동(정회전/역회전)에 따라서 동일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The
상기 등받이대(3)의 뒷면에 고정된 소켓관(4)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관(4)에 헐겁게 끼워진 구동프레임(5)도 역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겉돌거나 회동하지 않고 직선으로만 진퇴작동되게 구성한 것이다.The socket tube (4)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base (3) is formed of a square tube. Also, the
상기 구동프레임(5)의 선단에는 상기 나사축(13)과 나사결합되는 너트(14)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14)는 구동프레임(5)에 일체로 고정된 것이므로 나사축(13)의 정,역회전에 따라서 구동프레임(5)이 전진 또는 후진작동을 하며, 이로 인한 구동프레임(5)의 진퇴작용은 등받이대(3)의 전체 기장을 길게 또는 짧게 가변시키는 작용을 한다.A
또한 등받이대(3)의 뒷면에는 상기 구동장치(10)의 모터(1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레버식 스위치장치(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등받이대(3)에 누운 자세에서 취급 및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A lever
상기 구동프레임(5)의 선단에 부착된 너트(14)는 나사축(13)과의 유연한 접속을 위해서 통상의 유니버셜 죠인트처럼 유동적인 부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또한 나사축(13)도 직선형 동력전달은 가능하면서도 몸체의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원활한 동력전달을 구현토록 하는 것도 포함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운동기구를 비사용시에는 등받이대(3)가 위로 경사진 정상위치에 있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목적으로 등받이대(3)에 누운 후 통상의 사용방법처럼 발묶음수단(6)을 이용하여 양발을 고정한다. 1, when the exercise device is not used, the
뒤 이어서 사용자는 등받이대(3) 밑에 있는 스위치장치(15)의 레버를 일측으로 제쳐주면 구동장치(10)가 가동하여 나사축(13)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도 4와 같이 나사축(13)에 나사결합된 너트(14)와 구동프레임(5)은 나사축(13)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이동(전진/후진)한다.The user then moves the lever of the
예를 들어서 나사축(13)이 정회전하면 구동프레임(5)이 등받이대(3) 쪽으로 서서히 전진 이동하여 기장이 짧아지고,  이와는 반대로 나사축(13)이 역회전하면 구동프레임(5)이 등받이대(3)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므로 전체길이(등받이대+구동프레임)가 길어진다. 따라서 전체의 중량에서 길이가 짧은 쪽이 상승하고, 길이가 긴 쪽이 하강하는 시이소의 원리와 기능처럼 작용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본 발명은 등받이대 뒷면에 설치된 일련의 무게중심이동장치를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 외력의 도움없이 짧은 범위 내에서 자체적으로 실시되게 구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center-of-gravity moving device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backrest are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so as to be carried out within a short range without any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의 정,역회전에 의해서 나사축이 구동프레임의 기장을 길게 또는 짧게 가변시키는 진퇴작동을 수행토록 하고, 무게의 중심이동 변위에 의해서 등받이대가 하부로(인체를 거꾸로) 숙여지거나, 상향 회동하여 인체를 위로 세워주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shaf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drive device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n which the length of the drive frame is changed in a long or short manner and the backrest is folded back Or upward, and the human body is raised up.
1: 퍼스트
2: 손잡이
3: 등받이대
4: 소켓관
5: 구동프레임
6: 발묶음수단
10: 구동장치
11: 모터
12: 감속기
13: 나사축
14: 너트
15: 스위치장치1: First
 2: Handle
 3: Backrest stand
 4: Socket tube
 5: Driving frame
 6: foot bundling means
 10: Driving device
 11: Motor
 12: Reducer
 13: Screw shaft
 14: Nut
 15: Switch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56904AKR101437681B1 (en) | 2013-12-17 | 2013-12-17 | Health machine for hand stand sporting good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56904AKR101437681B1 (en) | 2013-12-17 | 2013-12-17 | Health machine for hand stand sporting good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37681B1true KR101437681B1 (en) | 2014-09-0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56904AExpired - Fee RelatedKR101437681B1 (en) | 2013-12-17 | 2013-12-17 | Health machine for hand stand sporting good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37681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22942A (en) | 2015-01-13 | 2015-03-04 | 주영훈 | inverted hang | 
| KR20160003081U (en)* | 2015-03-03 | 2016-09-13 | 황연자 |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 
| RU2738797C1 (en)* | 2020-07-17 | 2020-12-16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я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И.П. Павл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Simulato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90099A (en)* | 2002-01-07 | 2002-11-30 | 박광현 | A angle change device for handstanding apparatus | 
| KR20060034614A (en)* | 2004-10-19 | 2006-04-24 | 김석규 | Titan Stand and Sit-Ups | 
| KR20120019001A (en)* | 2010-08-24 | 2012-03-06 | 김대승 | Manual-pivot changing device of electric handstand sporting goods | 
| KR20130103966A (en)* | 2012-03-12 | 2013-09-25 | 기 석 우 | Partial release and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90099A (en)* | 2002-01-07 | 2002-11-30 | 박광현 | A angle change device for handstanding apparatus | 
| KR20060034614A (en)* | 2004-10-19 | 2006-04-24 | 김석규 | Titan Stand and Sit-Ups | 
| KR20120019001A (en)* | 2010-08-24 | 2012-03-06 | 김대승 | Manual-pivot changing device of electric handstand sporting goods | 
| KR20130103966A (en)* | 2012-03-12 | 2013-09-25 | 기 석 우 | Partial release and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22942A (en) | 2015-01-13 | 2015-03-04 | 주영훈 | inverted hang | 
| KR101582067B1 (en) | 2015-01-13 | 2016-01-11 | 주영훈 | inverted hang | 
| KR20160003081U (en)* | 2015-03-03 | 2016-09-13 | 황연자 |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 
| KR200482383Y1 (en) | 2015-03-03 | 2017-01-18 | 황연자 |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 
| RU2738797C1 (en)* | 2020-07-17 | 2020-12-16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я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И.П. Павл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Simulato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02547B1 (en) | Multipurpose bicycle health machine | |
| US20160045383A1 (en) | Rehabilitation Bed | |
| US9452316B2 (en) | Wheel chair with leg exercising device | |
| CN111035537B (en) | A hom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ith continuously rising traction weight | |
| KR101437681B1 (en) | Health machine for hand stand sporting goods | |
| KR101854539B1 (en) | Continuous passive motion machine for easy changing of left arm and right arm | |
| KR101677528B1 (en) | Electric powered hand standing machine | |
| CN210812095U (en) | Aid to get up | |
| US8459610B2 (en) | Assistance mechanism for assisting patients to stand up | |
| CN207477875U (en) | Pressing-leg device and leg-stretching trainer | |
| AU2003248613A1 (en) | Supplementary driving mechanism of the muscle-driven vehicle for accelerated rehabilitation of a paralyzed arm | |
| KR101825414B1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 |
| CN207785760U (en) | Rehabilitation machine | |
| CN208114550U (en) | Hand self becomes the anteflexion back-rubbing machine of energy that center is driven away from two stage speed change | |
| KR101380031B1 (en) | Bicycle for the disabled | |
| CN208114552U (en) | Hand self become center away from level Four step-up drive can be anteflexion back-rubbing machine | |
| JP3213959U (en) | Health appliances | |
| KR20110105413A (en) | a | |
| CN208114551U (en) | The flexible axle back-rubbing machine that hand self energy position rotating energy is anteflexion | |
| TWM494011U (en) | Composite fitness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 |
| CN104436536B (en) | Automatic control lifting rotary body building device | |
| TW201408276A (en) | Wheelchair | |
| TW201628582A (en) | Traction type rehabilitation device | |
| JP6523670B2 (en) | Multipurpose ergometer | |
| TWI377056B (e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828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823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611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008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