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버튼부재를 가압시 가압부분에 따라 버튼부재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한 쌍의 펌핑부재 중 어느 하나의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내용물 혼합부로 토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container for dispensing different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enser for mixing a dispensing member with a dispensing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capable of sequentially dispens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discharg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to a mixing portion at a desired ratio by a user and mixing the contents.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 에센스, 파운데이션 & 하이라이트, 에센스1 & 에센스2, day & night 등이 있다.Cosmetics generally include cosmetics that use two ingredients together or that must be used sequentially. For example, there are Foundation & Essence, Foundation & Highlight, Essence 1 & Essence 2, and day & night.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내용물들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수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수의 용기를 각각 챙겨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ntents is received and sold in separate containers, the user has to collect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which inconveniences the user.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배출홀을 통해 듀얼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구조가 등록특허 제10-0359486호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tructure in which contents contained in a dual container are mixed and discharged through a single discharge hole is disclosed in Patent No. 10-0359486.
상기 등록특허 제10-0359486호는 하나의 케이스(2)내에 제1,2용액수용부(1,1')로 이루어지는 듀얼 용기를 구성하여 토출캡(7)을 가압시에 제1,2용액수용부(1,1')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펌프(6,6')가 작동하여 제1,2용액수용부(1,1')에 각각 수용된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킨 후, 혼합관(8b)에서 내용물을 혼합하여 하나의 배출홀을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되는데,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종의 내용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혼합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사용해야하는 내용물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10-0359486 discloses a dual container composed of a first and a second solution receiving part (1,1 ') in one case (2), so that when the discharge cap (7) The pumps 6 and 6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토출시킨 후, 혼합부에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록특허 제10-1037361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37361, in which different kinds of contents are respectively discharged and mixed with different contents in a mixing portion, is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상기 등록특허 제10-1037361호는 한 쌍의 버튼(200,200') 중 어느 하나를 가압시에 한 쌍의 화장품토출부(120,12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혼합부(110)의 상단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버튼(200,200')을 조작하여 보관용기(400,400')에 저장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부(110)로 각각 토출하여 사용자가 혼합부(110)로 토출된 이종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037361 discloses a cosmetic dispenser that discharges the contents to the upper part of the mixing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제10-1037361호는 외용기(300)의 상부 일측에 한 쌍의 버튼(200,200')을 형성하고, 외용기(300)의 상부 타측에는 내용물 혼합부(110)를 형성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제품의 생산시간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한 제품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No. 10-1037361, a pair of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부재를 가압시 가압부분에 따라 버튼부재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한 쌍의 펌핑부재 중 어느 하나의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내용물 혼합부로 토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mp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pumping a butt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ispensing container for dispens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which can dispense different contents sequentially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dispense different contents into a contents mixing section at a desired ratio by the user,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외용기(100); 상기 외용기(100)의 내부에서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이 설치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기(200,200'); 상기 내용기(200,2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펌핑작용에 의해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부재(300,300'); 및 상기 펌핑부재(300,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300,300')로 압력을 전달하되, 상기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도록 내용물 배출홀(411,411')이 형성된 내용물 혼합부(410)가 구비되는 버튼부재(400);를 포함하되,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상기 버튼부재(400)의 가압 부분에 따라 상기 내용기(200,200') 및 버튼부재(400)가 함께 기울어지며 상기 펌핑부재(300,300') 중 어느 하나로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외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재(400)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재(400)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어하는 하우징(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또한, 상기 하우징(500)의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재(40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재(400)에는 상기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가 각각 삽입되어 승하강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기이동홀(420,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ir of limiting
또한, 상기 제한돌기(510,510')는 상기 버튼부재(400)의 가압부분에 따라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 중 어느 하나가 중심축이 되어 상기 버튼부재(400)의 기울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f the pair of
또한, 상기 외용기(10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내용기(200,200')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상기 버튼부재(400)의 가압시 상기 내용기(200,200')의 기울어짐을 가이드 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돌기(110,1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10,110')는 상기 버튼부재(400)의 가압부분에 따라 상기 내용기(200,2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진시에 내용기(200,2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외용기(100)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버튼부재(400)의 양측에는 상기 펌핑부재(300,300')의 펌핑작동을 위한 버튼부재(400)의 가압부분을 표시하도록 가압표시부(430,4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재를 가압시 가압부분에 따라 버튼부재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한 쌍의 펌핑부재 중 어느 하나의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내용물 혼합부로 토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member is tilted to one side according to the pressed portion when the button member is pressed and the pumping action of one of the pair of pumping members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ispense the contents of the dispenser into the contents mixing section and to mix them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ixing container for dispensing different cont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ensing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dispensing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외용기(100), 내용기(200,200'), 펌핑부재(300,300'), 버튼부재(40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외용기(100)는 내용기(200,2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내용기(200,200') 하단부를 각각 지지하여 버튼부재(400)의 가압시 내용기(200,200')의 기울어짐을 가이드 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돌기(110,11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상기 가이드돌기(110,110')는 사용자가 버튼부재(400)의 가압표시부(430,430') 중 어느 한 부분을 가압시에 내용기(200,20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외용기(100)의 상부 내측에는 후술할 버튼부재(400)와 연결되어 버튼부재(400)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어하는 하우징(500)이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0)의 내측에는 버튼부재(40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위치하는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
상기 제한돌기(510,510')는 상기 버튼부재(400)의 가압표시부(430,430') 중 어느 한 부분을 가압시에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 중 어느 하나가 중심축이 되어 버튼부재(400)의 기울임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가압표시부(430)를 가압할 경우에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제한돌기(510')가 중심축이 되어 제한돌기(510)가 돌기이동홀(420) 내에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돌기이동홀(420)의 높이만큼 버튼부재(400)가 기울어지며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한돌기(510,510')는 버튼부재(400)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내측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any one of the
한편, 상기 하우징(500)의 일측에는 버튼부재(400)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버튼부재(400)의 상부를 덮는 캡(600)이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캡(60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화장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거울(610)이 구비된다.A
또한, 상기 하우징(500)은 상기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소진시에 내용기(200,20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외용기(100)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상기 내용기(200,200')는 상기 외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용기(100)의 내부에서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이 설치되어 펌핑부재(300,300')의 펌핑작용에 의해 한 쌍의 내용기(200,2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데, 내용기(200,200')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박막 블로우(700,700')가 구비된다.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용기(200,200')의 내측에 박막 블로우(700,700')가 구비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내용기(200,200')에 직접 내용물을 저장하고 그 내측 하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피스톤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are stored by the
상기 펌핑부재(300,300')는 상기 내용기(200,2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펌핑작용에 의해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펌프하우징(310,310'), 실린더(320,320'), 펌핑가이드부재(330,330')를 포함한다.The
상기 펌프하우징(310,310')은 상기 내용기(200,2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내용기(200,2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유입홀(311,311')이 형성된다.The
상기 펌프하우징(310,310')의 내부에는 실린더(320,320')를 둘러싸며 결합되어 펌핑가이드부재(330,3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12,312')이 설치된다.
Springs 312 and 312 'are installed inside the
상기 실린더(320,320')는 상기 펌프하우징(310,310')의 내측 하단에서 상기 내용물 유입홀(311,311')을 둘러싸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내용물 유입홀(311,311')을 개폐하는 체크밸브(321,321')가 설치된다.
The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30,330')는 후술할 버튼부재(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펌프하우징(310,310')의 내벽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되며 펌핑부재(300,300')의 펌핑작용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 상기 실린더(320,32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피스톤로드(340,340') 및 상기 피스톤로드(340,340')의 하부에서 피스톤로드(340,34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실린더(320,3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실캡(350,350')이 결합된다.
The
상기 버튼부재(400)는 상기 펌핑부재(300,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에 따라 펌핑부재(300,300')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가압시 좌,우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한 쌍의 펌핑부재(300,30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버튼부재(400)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기(200,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도록 내용물 배출홀(411,411')이 형성되는 내용물 혼합부(410)가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혼합부(410)는 접시형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배출홀(411.411')을 통해 각각 배출되는 이종의 내용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적절한 비율로 각각 토출시킨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
상기 내용물 혼합부(410)의 상단에는 배출된 내용물을 묻혀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퍼프(P)와 같은 도포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내용물 배출홀(411,411')에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펌핑부재(300,300')의 펌핑작용에 따른 내용물의 상승시에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러버팁(412,412')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400)에는 상기 한 쌍의 제한돌기(510,510')가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의 돌기이동홀(420,4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돌기이동홀(420,420')은 버튼부재(400)의 가압 여부에 따라 삽입된 제한돌기(510,510') 중 어느 하나가 승하강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하우징(500)의 내측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는 제한돌기(510,510')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버튼부재(4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버튼부재(400)의 양측에는 상기 펌핑부재(300,300')의 펌핑작동을 위한 버튼부재(400)의 가압부분을 표시하도록 가압표시부(430,4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압표시부(430,430')에는 사용자가 가압부분을 인지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화살표 등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버튼부재(400)에는 상기 외용기(1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내용기(200,200')가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버튼부재(400)의 내측 상단 중앙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구획판(440)이 구비된다.
The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pensing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사용자가 버튼부재(400)의 좌측 부분 즉, 가압표시부(430)를 가압할 경우, 버튼부재(400)의 가압에 따른 압력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펌핑부재(300) 및 내용기(200)로 전달되는데, 이때, 내용기(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돌기(110,110')에 의해 상기 내용기(200) 및 버튼부재(400)가 함께 기울어지며 상기 펌핑부재(300)로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부재(300)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져 내용기(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배출홀(411)을 통해 내용물 혼합부(410)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FIGS. 4 and 5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the dispensing contents mix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가압표시부(430)를 가압하게 되면,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한돌기(510')가 중심축이 되어 제한돌기(510)가 돌기이동홀(420) 내에서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돌기이동홀(420)의 높이만큼 버튼부재(400)가 기울어지며 하강하여 펌핑부재(300)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사용자가 버튼부재(400)의 우측 부분 즉, 가압표시부(430')를 가압할 경우,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펌핑부재(300')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져 내용기(200')에 저장된 또 다른 내용물이 내용물 배출홀(411')을 통해 내용물 혼합부(410)로 배출되는데, 이로 인하여, 사용자 필요에 따라 이종의 내용물을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내용물 혼합부(410)로 배출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right portion of the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외용기110,110': 가이드돌기
200,200': 내용기300,300': 펌핑부재
310,310': 펌프하우징311,311': 내용물 유입홀
312,312': 스프링320,320': 실린더
321,321': 체크밸브330,330': 펌핑가이드부재
340,340': 피스톤로드350,350': 실캡
400: 버튼부재410: 내용물 혼합부
411,411': 내용물 배출홀412,412': 러버팁
420,420': 돌기이동홀430,430': 가압표시부
440: 구획판500: 하우징
510,510': 제한돌기600: 캡
610: 거울700,700': 박막 블로우100:
 200,200 ': Content container 300,300': Pumping member
 310, 310 ':
 312, 312 ':
 321, 321 ':
 340,340 ':
 400: Button member 410: Contents mixing section
 411, 411 ': Contents discharge
 420, 420 ':
 440: partition plate 500: housing
 510,510 ': Restriction projection 600: Cap
 610: Mirror 700,700 ': Thin film blow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68738AKR101420128B1 (en) | 2013-06-17 | 2013-06-17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PCT/KR2014/004513WO2014204100A2 (en) | 2013-06-17 | 2014-05-21 |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068738AKR101420128B1 (en) | 2013-06-17 | 2013-06-17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420128B1true KR101420128B1 (en) | 2014-07-1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68738AExpired - Fee RelatedKR101420128B1 (en) | 2013-06-17 | 2013-06-17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420128B1 (en) | 
| WO (1) | WO2014204100A2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5780B1 (en)* | 2015-01-06 | 2017-07-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 KR101826517B1 (en)* | 2016-01-13 | 2018-02-08 | (주)아모레퍼시픽 | Dual compact container | 
| KR101918478B1 (en) | 2017-02-14 | 2018-11-14 | (주)아모레퍼시픽 | Dual capsule cosmetic container | 
| KR102115732B1 (en)* | 2019-11-06 | 2020-05-27 | 한국콜마주식회사 | Container for two-typed materials | 
| KR102238256B1 (en)* | 2019-12-18 | 2021-04-09 | 주식회사 삼화 | Mixing cosmetic contai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5143858U (en)* | 2014-12-31 | 2016-04-13 |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 Muffin container with annular button component | 
| KR200482091Y1 (en)* | 2015-03-31 | 2016-12-15 | 펌텍코리아 (주) | vertical pressurization compact container having a pouch contai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40663Y1 (en) | 2007-12-27 | 2008-06-24 | (주)연우 | Rotary cosmetics container with multiple contents | 
| KR200460321Y1 (en) | 2009-08-12 | 2012-05-21 | (주)톨리코리아 | Dual container for selective control of the discharge of contents | 
| KR101182225B1 (en) | 2012-02-02 | 2012-09-14 | 조성아 | Selectively the liquid contents of the container has a dual discharge to control | 
| KR101326588B1 (en) | 2013-05-27 | 2013-11-08 |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 Dual type cosmetic cas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077135B2 (en)* | 1996-01-31 | 2000-08-14 | 花王株式会社 | Discharge container | 
| KR101037361B1 (en)* | 2009-03-10 | 2011-05-26 | (주)연우 | Cosmetic container that mixes different content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40663Y1 (en) | 2007-12-27 | 2008-06-24 | (주)연우 | Rotary cosmetics container with multiple contents | 
| KR200460321Y1 (en) | 2009-08-12 | 2012-05-21 | (주)톨리코리아 | Dual container for selective control of the discharge of contents | 
| KR101182225B1 (en) | 2012-02-02 | 2012-09-14 | 조성아 | Selectively the liquid contents of the container has a dual discharge to control | 
| KR101326588B1 (en) | 2013-05-27 | 2013-11-08 | 주식회사 코리아코스팩 | Dual type cosmetic cas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55780B1 (en)* | 2015-01-06 | 2017-07-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Cosmetic vessel | 
| KR101826517B1 (en)* | 2016-01-13 | 2018-02-08 | (주)아모레퍼시픽 | Dual compact container | 
| KR101918478B1 (en) | 2017-02-14 | 2018-11-14 | (주)아모레퍼시픽 | Dual capsule cosmetic container | 
| KR102115732B1 (en)* | 2019-11-06 | 2020-05-27 | 한국콜마주식회사 | Container for two-typed materials | 
| KR102238256B1 (en)* | 2019-12-18 | 2021-04-09 | 주식회사 삼화 | Mixing cosmetic contain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4204100A3 (en) | 2015-04-09 | 
| WO2014204100A2 (en) | 2014-12-24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20128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 KR101478978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 KR101631827B1 (en) | Pump type Compact case | |
| KR101817077B1 (en) | Hand-Operated Dual Spray Device | |
| KR200472282Y1 (en) | Heterogeneous contents mixed cosmetic containers | |
| US20130168413A1 (en) | Dispensing module and method for filling a dispensing module | |
| KR101488340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 KR101928640B1 (en) |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 |
| KR101280530B1 (en) | Containers with mixed use of different liquid contents | |
| KR102210005B1 (en) | Tumbler for drink manufacturing | |
| JP2009543742A (en) | Dispenser container | |
| KR20180085253A (en) |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 |
| KR102164743B1 (en) | A cosmetic container assembly which is able to discharge to contents at the same time | |
| KR102148690B1 (en) | A cosmetic container assembly which is able to discharge to contents at the same time | |
| KR101597091B1 (en) | A Dispenser Vessel | |
| KR102386630B1 (en) | 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having refill vessel and A push button | |
| US11832705B2 (en) | Cosmetic container | |
| KR100819764B1 (en) | Dispenser container | |
| CN114401902B (en) | Cosmetic container assembly capable of discharging multiple contents simultaneously | |
| KR200450736Y1 (en) | Dispenser container with controlled discharge | |
| KR20200008367A (en) | Contianer with variable discharging capacity | |
| JP4627006B2 (en) | Two-component mixing container with pump | |
| US12403491B2 (en) |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 |
| KR101676027B1 (en) |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
| KR20210064893A (en) | Discharge container of different content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206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07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