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 예는 전지 잔량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on device.
전지(battery)가 장착된 기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전지 잔량을 표시하여 준다. 이때 일반적으로 ADC(Analogue Digital Converter)를 이용하여 전지 잔량을 검출한다.A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displays the remaining battery charge for user convenience. In this case, the battery level is generally detected using an ADC (Analogue Digital Converter).
보통의 경우, 기기에 탑재된 프로세서(processor)에는 ADC가 내장되어 있지만, 기기에 ADC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지 잔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ADC IC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지 잔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ADC IC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증가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In general, the processor built into the device has an ADC, but if the device does not have an ADC, a separate ADC IC must be used to detect the remaining battery. However, when a separate ADC IC is used to detect the remaining battery power,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실시 예는 전지 잔량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전지 잔량 검출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simply detecting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는, 전지의 출력단과 연결된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시키는 전압조절부와, 상기 전압조절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 받으며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ON/OFF)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remaining detection device include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battery, a voltag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o adjust a voltage level, and a voltage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r;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output an ON / OFF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and detect a residual amount of the battery.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에 의하면, 전지 잔량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can be easily and simply det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의 출력단과 연결된 입력단자(11)와, 전압조절부(13)와, 신호생성부(15)와, 프로세서(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remaining
상기 전압조절부(13)는 상기 입력단자(11)에 연결되어 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 받으며,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신호생성부(15)는 상기 전압조절부(1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 받으며,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ON/OFF)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프로세서(17)는 상기 신호생성부(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전지의 잔량을 검출한다.The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전압조절부(13)와 상기 신호생성부(1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상기 전압조절부(13)는 복수의 저항(R1, R2, R3, R4, R5)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13)는 상기 입력단자(11)와 상기 신호생성부(15)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R1, R2, R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조절부(13)는 상기 저항(R3)과 그라운드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R4, R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13)에 구비된 저항(R1, R2, R3, R4, R5)의 저항값 조절에 따라 상기 전압조절부(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로써 상기 전압조절부(13)에 구비된 제1 저항(R1, R2, R3)의 저항값 조절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13)에 구비된 저항(R1, R2, R3, R4, R5)은 고정저항 또는 가변저항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압조절부(13)에 구비된 저항의 직렬연결 또는 병렬연결은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저항의 수도 변경이 가능하다.The
상기 전압조절부(13)에서 출력된 전압은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입력단(T2)에 입력된다. 상기 신호생성부(15)는 상기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출력단(T4)을 통하여 온/오프(ON/OFF)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신호생성부(15)는 상기 전압조절부(13)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큰 경우에 온(ON)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voltage output from the
상기 신호생성부(15)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상기 신호생성부(15)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예컨대 에미터) 및 제어단(예컨대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15)의 기준전압단(T3)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제2 트랜지 스터(Q2)의 입력단(예컨대 에미터) 및 제어단(예컨대 베이스)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입력단(예컨대 콜렉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출력단(예컨대 콜렉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을 통하여 온/오프(ON/OFF)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제어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3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항(R32)에 의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과 제어단에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가 발생된다. 상기 전압의 차이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A resistor R3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A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is generated by the resistor R32. When the difference in voltag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first transistor Q1, current may flow in the first transistor Q1.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과 제어단에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는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와 관련된다. 상기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기 전압조절부(13)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출력단과 제어단에 입력되는 전압의 차이는 상기 신호생성부(15)에 구비된 저항(R31)의 저항값과도 관련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is related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T2 of the
상기 저항(R31, R32)의 저항값이 고정된 이후에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전류 흐름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After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resistors R31 and R32 are fixed, the current flow of the first transistor Q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T2 of the first transistor Q1. do.
한편,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생성부(15)의 기준전압단(T3)으로부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입력단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입력단 및 제어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R33)에 의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입력단과 제어단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urrent flows in the first transistor Q1, a current flows from the reference voltage terminal T3 of the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입력단과 제어단 사이에 발생된 전압차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에 비하여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When the voltage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 current flows in the second transistor Q2. .
이와 같이,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입력단(T2)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는 온/오프(ON/OFF) 신호가 출력될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T2 of the
하나의 예로써, 전지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상기 입력단자(11)에 입력되는 전압이 3.8V 보다 큰 경우에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 온(ON)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압조절부(13) 및 상기 신호생성부(15)에 구비된 각 소자를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설계된 경우에, 전지의 잔량이 3.8V 보다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 온(ON) 신호가 출력되며, 전지의 잔량이 3.8V 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 오프(OFF) 신호가 출력된다.As an example, when the voltage input to the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17)로 입력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신호생성부(15)의 출력단(T4)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프로세서(17)에 구비된 GPIO(General Port Input/Output)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상기 프로세서(17)는 전지의 잔량이 설정된 전압에 비하여 높은 상태인지, 아니면 낮은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T4 of the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별도의 ADC IC를 적용하지 않고도, 트랜지스터와 저항을 이용하여 전지 잔량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17)는 전지의 잔량을 검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이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지 잔량을 표시하여 줄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detect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using a transistor and a resistor without applying a separate ADC IC. The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지의 잔량이 설정된 전압에 비하여 더 높은지 또는 낮은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전압조절부와 신호생성부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전지 잔량의 정도를 구간별로 나누어 검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has described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higher or lower than the set voltage. 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voltage adjusting units and the signal generating unit are applied, the degree of remaining battery power can be divided and detected for each section.
하나의 예로써, 3 개의 전압조절부 및 3 개의 신호생성부가 적용된 예를 도 4에 나타내었다.As an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ree voltage regulators and three signal generators are applied is shown in FIG. 4.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400)는 제1 내지 제3 전압조절부(421, 422, 423)와, 제1 내지 제3 신호생성부(431, 432, 433)를 포함한다.The remaining
상기 제1 내지 제3 전압조절부(421, 422, 423)는 전지의 출력단과 연결된 입력단자(410)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전압조절부(421, 422, 423)에는 전지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입력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o
상기 제1 전압조절부(421)에서 크기가 조절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제1 신호생성부(431)에 입력되고, 상기 제2 전압조절부(422)에서 크기가 조절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제2 신호생성부(432)에 입력되고, 상기 제3 전압조절부(423)에서 크기가 조절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제3 신호생성부(433)에 입력된다.The voltage adjusted and output by the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생성부(431, 432, 433)에서 출력되는 온/오프(ON/OFF) 신호는 프로세서(440)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4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생성부(431, 432, 4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검출을 통하여 전지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로세서(440)는 검출된 전지 잔량은 표시부(45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ON / OFF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to
예로써, 전지 잔량이 4.5V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전압조절부(421)와 제1 신호생성부(431)를 통하여 온(ON)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압조절부(421)와 제1 신호생성부(431)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압조절부(422)와 제2 신호생성부(432)를 통하여 온(ON)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전지 잔량이 3.8V 이상인 경우로 설계하고, 상기 제3 전압조절부(423)와 제3 신호생성부(433)를 통하여 온(ON)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전지 잔량이 3.56V 이상인 경우로 설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attery level is 4.5V or more, the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4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생성부(431, 432, 4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표 1]과 같이 전지 잔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판단결과가 'DC'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신호생성부(431, 432, 433)에서 모두 온(ON) 신호가 출력된 경우이다. 상기 판단결과가 'High'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신호생성부(431)에서만 오프(OFF) 신호가 출력된 경우이므로 전지 잔량이 '4.5V' 보다 작은 경우임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제2 신호생성부(432)에서는 온(ON) 신호가 출력된 상태이므로 전지 잔량이 '3.8V' 이상임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etermination result is 'DC', all of the ON signals are output from the first to
또한 상기 판단결과가 'Medium'인 경우에는 전지 잔량이 '3.56V' 이상이고 '3.8V' 보다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판단결과가 'Low'인 경우에는 전지 잔량이 '3.56V' 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Medium',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greater than '3.56V' and less than '3.8V'. It can be seen.
이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하면 전압조절부와 신호생성부의 설계에 따라 전지 잔량의 검출 구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etection interval o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voltage regulator and the signal generator.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미터, 베이스, 콜렉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가 적용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이트, 소오스, 드레인을 포함하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 transistor including an emitter, a base, and a collector is applied based on an example. However,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ncluding a gate, a source, and a drain may be applied.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전압조절부와 신호생성부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voltage regulator and a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신호생성부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지 잔량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remaining battery pow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400... 전지 잔량 검출장치11, 410... 입력단자10, 400 ... Battery
13... 전압조절부15... 신호생성부13 ...
17, 440... 프로세서421... 제1 전압조절부17, 440 ...
422... 제2 전압조절부423... 제3 전압조절부422 ...
431... 제1 신호생성부432... 제2 신호생성부431 The
433... 제3 신호생성부450... 표시부433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73039AKR101383003B1 (en) | 2007-07-20 | 2007-07-20 | Battery level detection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73039AKR101383003B1 (en) | 2007-07-20 | 2007-07-20 | Battery level detect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9609A KR20090009609A (en) | 2009-01-23 | 
| KR101383003B1true KR101383003B1 (en) | 2014-04-0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73039AExpired - Fee RelatedKR101383003B1 (en) | 2007-07-20 | 2007-07-20 | Battery level detection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8300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58381B2 (en)* | 1982-07-05 | 1991-09-05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
| KR19980030078U (en)* | 1996-11-28 | 1998-08-17 | 배순훈 | Battery low voltage detector | 
| KR19990037500A (en)* | 1997-10-31 | 1999-05-25 | 후지와라 마사루 | Battery level measur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358381B2 (en)* | 1982-07-05 | 1991-09-05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
| KR19980030078U (en)* | 1996-11-28 | 1998-08-17 | 배순훈 | Battery low voltage detector | 
| KR19990037500A (en)* | 1997-10-31 | 1999-05-25 | 후지와라 마사루 | Battery level measur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9609A (en) | 2009-01-23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414427B1 (en) | Integrated multi-function analog circuit including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monitor and gate-driver circuit blocks | |
| JP5516320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regulator | |
| US6573693B2 (en) | Current limiting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 |
| CN101034805B (en) | Ic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 |
| KR100917509B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 |
| JP6500588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regulators | |
| CN109656305B (en) | Method for smoothing the current consumed by an integrated circuit and corresponding device | |
| TWI647557B (en) | Load switching controller and method | |
| TW200824492A (en) |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 |
| JP5225785B2 (en)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 |
| US20130300393A1 (en) | Circuit of outputting temperature compensation power voltage from variable power and method thereof | |
| JP5793979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regulator | |
| JP4845549B2 (en) |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 |
| US7711971B1 (en) | Multi-input power supply supervisor | |
| KR101383003B1 (en) | Battery level detection device | |
| KR101005136B1 (en) | High voltage generator | |
| US9871443B2 (en) | Power control circuit for setting triggering reference point of over current protection scheme | |
| KR20080000542A (en) | Switching regulator | |
| JP2007226392A (en) | Regulator circuit | |
| KR101685704B1 (en) | Swiching circuit for vehicles | |
| JP2016075594A (en) | Temperature detec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 |
| CN100524143C (en) | Common-mode voltage generator for a battery-supplied handset apparatus | |
| JP2008040696A (en) | Power supply circuit and power amplifier using the power supply circuit | |
| JP5640441B2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DC power supply and regulator | |
| JP2018180668A (en) | Modul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307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306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04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04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