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357323B1 - Case with winding portion - Google Patents

Case with winding por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323B1
KR101357323B1KR1020130098528AKR20130098528AKR101357323B1KR 101357323 B1KR101357323 B1KR 101357323B1KR 1020130098528 AKR1020130098528 AKR 1020130098528AKR 20130098528 AKR20130098528 AKR 20130098528AKR 101357323 B1KR101357323 B1KR 10135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guide
winding
wind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호
Original Assignee
안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호filedCritical안성호
Priority to KR1020130098528ApriorityCriticalpatent/KR101357323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323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357323B1/en
Priority to PCT/KR2014/007727prioritypatent/WO2015026154A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이어폰이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이어폰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슬라이딩 되도록구비되는 권선부에 이어폰이 감겨 보관되므로, 이어폰의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어폰의 사용시 권선부에 감긴 이어폰을 풀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이어폰의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선부는 본체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므로, 권선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권선부를 본체의 오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본체를 휴대하는 도중 권선부가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to allow the earphone to be wound and stored so that the portable and use of the earphone is convenient. Since the earphone is wound and stored in the winding unit provided to slide on the main body, the portable of the earphone is simplified, When the earphone is used, the earphone wound on the winding part can be released and used immediately,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to use the earphone. In addition, since the winding part is provided to slide in the main body, when the winding part is not used, the winding part is slid to the concave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inding part does not hang while carrying the main body.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CASE WITH WINDING PORTION}Cell phone case with winding section {CASE WITH WINDING PORTION}

본 발명은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이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이어폰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carrying and use of the earphone so that the earphone is wound and stored.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등의 휴대단말기들은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설계되고 출시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휴대단말기들은 소형, 박형이면서도 높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정밀한 부품들을 다수 포함되어 있다.In general,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PDAs, etc. are recently designed and releas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In addition, these portable terminals include a large number of precise parts therein to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small, thin, high.

그렇다 보니 내부 각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외부 강도가 중요시 되며, 자체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외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외부 보조 케이스를 추가로 덧씌우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는 내측의 휴대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고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자체적인 미감을 통해 단조로운 형상 및 디자인의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Therefore, the external str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protecting each internal component is important, and it is common to add an external auxiliary case made of synthetic resin on the outsid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its own case. The outer case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inner portable terminal from external impact or scratching, improving grip feeling, and displaying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imple shape and design with various shapes and designs through its own aesthetics.

한편,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휴대단말기는 전화를 걸기 위한 휴대폰 고유의 기능은 물론, DMB나 MP3, 영화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하나의 기기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라디오나 TV 수신, 동영상 시청, 음악 등을 듣거나,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어폰을 휴대단말기에 연결하여 주변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음악을 듣거나 전화통화를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ntly released mobile terminal is not only a unique feature of the mobile phone for making a phone call, but also a multimedia device such as DMB, MP3, movie watching can be conveniently used as a single device. To listen to radio or TV, watch videos, listen to music, etc., or use the hands-free function to make a phone call, you can use the built-in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You can listen to music or make a phone call without harming yourself.

그런데 이어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이 있고, 이어폰을 휴대하는 동안 이어폰의 줄이 엉키게 되어, 이를 다시 풀어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use earphones, the earphones have to be carried separately, so there is a risk of loss, and while the earphones are entangled while carrying the earphones, there is a hassle to release them again.

등록실용신안 제20-0463097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3097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이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이어폰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carrying and use of the earphone so that the earphone is wound and sto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선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winding unit which is slida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configured to wind a string of earphones on the winding unit which is sli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또한, 상기 권선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unit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fix a part of the earphone.

또한, 상기 권선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안내돌기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but a guide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winding is guided to the guide protrusion It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ovement.

또한, 상기 권선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홀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2 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제 2 홀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제 1 홀에서 상기 제 3 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1 홀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홀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내돌기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have an elasticity, the guide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a second hole and a third hole in sequ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to the second hole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in width, and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hole,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irst hole to the third hole or from the third hole to the first hole. At this time, the second hole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orcibly opened by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by the external pressure.

또한, 상기 안내돌기의 외면에는 상기 이어폰 줄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jection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to be fix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earphone string.

또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권선부의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제 2 돌출부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guid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winding part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winding part may Provided i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jection is caught so as not to be separated out.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과 대향되는 상기 권선부의 내면에는 제 1 이동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의 상기 제 1 이동안내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2 이동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부 중 어느 한 안내부는 상기 권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한 안내부는 상기 어느 한 안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제 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부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first movement guide part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opposit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movement guide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movement guide part behind the main body, and the first movement Any one of the guide and the second movement guide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 portion, the other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uide portion, the winding portion is the first movement guide portion and It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ovement while being guided to the second movement guide.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권선부의 내면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권선부의 외면은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권선부의 외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보다 안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is located inside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또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전방커버; 및 전방은 상기 전방커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은 상기 권선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in which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a front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side includes a rear cover on which the winding part is slidably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전방에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the body is formed in the rec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a winding unit slidably mounted to the reces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winding unit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sliding to protrude outward of the recess of the main body. Provide a mobile phone case.

또한, 상기 권선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unit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fix a part of the earphone.

또한, 상기 권선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안내돌기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guide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winding part is the guide protrusion Guide is provided to provide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moved sliding.

또한, 상기 권선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홀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2 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제 2 홀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제 1 홀에서 상기 제 3 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1 홀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홀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내돌기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have an elasticity, the guide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a second hole and a third hole in sequ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to the second hole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in width, and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hole,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irst hole to the third hole or from the third hole to the first hole. At this time, the second hole provide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orcibly opened by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by the external pressure.

또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상기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전방커버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a front cover is formed in the front space that accommodates the mobile phone; And a rea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over, wherein the winding unit is slidably moved along the reces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본 발명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에 슬라이딩 되도록구비되는 권선부에 이어폰이 감겨 보관되므로, 이어폰의 휴대가 간편해지고, 이어폰의 사용시 권선부에 감긴 이어폰을 풀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이어폰의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phone case having the win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winding wound around the main body, so that the earphone is stored, it becomes easy to carry the earphone, when using the earphone can be used immediately to release the earphone wound around the winding, It is easy to use.

또한, 권선부는 본체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므로, 권선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권선부를 본체의 오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본체를 휴대하는 도중 권선부가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ding part is provided to slide in the main body, when the winding part is not used, the winding part is slid to the concave part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inding part does not hang while carrying the main body.

또한, 본체의 전방커버와 후방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권선부는 후방커버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므로, 이어폰을 더 이상 휴대 또는 보관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전방커버에서 후방커버를 탈거하여, 본체의 전방커버가 휴대단말기를 수용하는 도중, 후방커버가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고, 본체의 전체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of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the winding part is configured to slide on the rear cover, when the earphone no longer needs to be carried or stored, the rear cover is removed from the front cover, While the front cover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ar cover is not cumbersome and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main body is made thi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안내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안내돌기에 권선부가 끼워진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가 이동안내부에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에 이어폰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권선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에 이어폰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various shapes of the guide projec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fitted to a guide protrusion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and moved by a movement guide unit.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rphones are wound on a winding part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inserted into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ing unit sliding along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rphones are wound on a winding part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is coup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단말기(P)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이어폰(10)이 권선되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권선부(200: 도 3 도시)를 포함한다.1 and 2, the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main body 10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P) is accommodated, theearphone 10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100 ), A winding portion 200 (shown in FIG. 3).

휴대단말기(P)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PC, PDA 등을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휴대단말기(P)는 충격에 약하므로, 휴대단말기(P)의 후면을 본체(100)에 삽입하여 보관 및 사용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P)에는 이어폰(10)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라디오나 TV 수신,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10)의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도 있다. 이어폰(10)은 사용자의 귀에 꽂아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4)와, 휴대단말기(P)의 단자에 연결되는 플러그(16)와, 스피커(14)와 플러그(16) 사이를 연결시키는 줄(12)을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P refers to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 PDA, and the like. Since the portable terminal P is weak to impact,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P is inserted into themain body 100. Keep and use. In addition, theearphone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P,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eive a radio or TV, watch a video, or listen to music. In addition, a phone call can be made using the hands-free function of theearphone 10. Theearphone 10 is aspeaker 14 that is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outputs a voice, aplug 16 connected to a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P, and a line connecting thespeaker 14 and the plug 16 ( 12).

본체(100)는 전방에 휴대단말기(P)가 삽입되도록 수용부(116)가 형성되고, 후방에 권선부(200)가 슬라이딩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실리콘, 가죽, 합성피혁 등으로 구성되어 고급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패턴을 추가하여 시각적으로 미려함을 느낄 수 있도록 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방커버(110)는 그 전면에 수용부(116)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P)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방커버(110)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P)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방커버(120)는 그 전면이 전방커버(110)의 후면에 결합되며, 그 후면에 권선부(2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후방커버(12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커버(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어폰(10) 등을 사용하지 않아 후방커버(120)가 필요 없을 시에는 후방커버(120)를 전방커버(110)에서 탈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후방커버(120)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색상을 가진 후방커버(120)를 전방커버(1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main body 100 has a receivingportion 116 is form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P) is inserted in the front, thewinding 20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rear. And the material of themain body 100 may be made of plastic, silicon, leather, synthetic leather, etc. to produce a luxury, and may be produced to add a variety of patterns to visually feel the beauty. Themain body 10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20,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Thefront cover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receiving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front thereof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P is inserted. Thefront cover 11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easily protect the mobile terminal P from external impact. Therear cover 12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rear of thefront cover 110, thewinding portion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Therear cover 12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front cover 110, and does not use theearphone 10, such that therear cover 120 is not required when therear cover 120 is not required. 120 may be removed from the front cover (110).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later. In addition, therear cover 120 is composed of a variety of colors, may be used by mounting therear cover 120 having a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o thefront cover 110.

그리고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는 휴대단말기(P)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기능키, 스피커, 이어폰 단자 등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부분과 대향되는 위치에 이와 동일한 사이즈로 개방공(112, 12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20 are opened in the same size at a position opposite to a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camera lens, a function key, a speaker, and an earphone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P. 112 and 122 may be 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wind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provided.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후방 즉,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는 권선부(200)의 내면이 안내되도록 오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24)는 후방커버(12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서 그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24)의 높이는 권선부(200)의 높이와 같거나, 권선부(200)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부(200)가 오목부(124)에 위치되면 권선부(200)의 외면이 후방커버(120)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recess 124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main body 100, that is, at the rear of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to guid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ingpart 200.Concave portion 124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of therear cover 120, the windingportion 20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upper portion in therecess 124. The height of therecess 124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indingpart 200 or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windingpart 200. When the windingpart 200 is positioned in therecess 124, the winding part The outer surface of the 200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rear cover 120.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오목부(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권선부(200)가 후방커버(120)의 후면에서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후, 이어폰(10)이 권선부(200)에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부(200)는 탄성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이어폰(10)이 용이하게 권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오목부(124)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The windingunit 200 is mounted to be slidable to therecess 124 formed on the rear of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the windingunit 200 is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of therear cover 120 After sliding so as to protrude, theearphone 10 is wound around the windingpart 200. The windingunit 2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earphone 10 is easily wound,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recess 124. have.

이처럼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에 오목부(124)가 형성되고, 오목부(124)에 권선부(200)가 장착되므로, 이어폰(10)을 휴대 또는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전방커버(110)에 후방커버(120)를 장착하고, 후방커버(120)에 장착되는 권선부(200)에 이어폰(10)을 권선하여 이어폰(10)을 용이하게 휴대 또는 보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폰(10)을 더 이상 휴대 또는 보관할 필요가 없는 경우, 후방커버(120)는 필요가 없으므로, 전방커버(110)에서 후방커버(120)를 탈거하여, 본체(100)의 전방커버(110)가 휴대단말기(P)를 수용하는 도중, 후방커버(120)가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고, 본체(100)의 전체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recessedportion 124 is formed in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and the windingportion 200 is mounted in the recessedportion 124, so that when theearphone 10 is to be carried or stored, the front cover is provided. Therear cover 120 is mounted on the 110, and theearphone 10 is wound around the windingpart 200 mounted on therear cover 120 to easily carry or store theearphone 10. In addition, when theearphone 10 no longer needs to be carried or stored, therear cover 120 is not necessary, and thus, therear cover 120 is removed from thefront cover 110 and the front cover of the main body 100 ( While the 110 receives the mobile terminal P, therear cover 120 is not cumbersome, and the entire thickness of themain body 100 is reduced.

그리고 권선부(200)에는 고정홈(210), 고정돌기(220) 및 가이드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권선부(200)의 외주연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어폰(10)의 일부가 고정홈(210)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돌기(220)는 권선부(200)의 외면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호 이격 되어, 그 사이에 고정홈(222)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홈(222)에 이어폰(10)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fixinggroove 210, a fixingprotrusion 220, and aguide hole 230 may be formed in the windingpart 200. Fixinggroove 210 is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formed concav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portion 200, is configured to be a part of theearphone 10 is fitted into the fixinggroove 210 is fixed. The fixingprotrus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ingpart 200, and is formed in a pai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fixinggroove 222 is provided therebetween. And a part of theear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fixinggroove 222 is configured to be fixed.

가이드홀(230)은 권선부(20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는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130)가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안내돌기(130)의 상세한 형상은 하기 도 5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후방에 오목부(1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본체(100)의 후방에 오목부(124)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00)의 후방에 안내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23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232), 제 2 홀(234) 및 제 3 홀(236)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232) 및 상기 제 3 홀(236)에서 상기 제 2 홀(234)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안내돌기(130)는 상기 제 2 홀(234)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2 홀(234)이 안내돌기(130)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진 후 이동된다. 즉, 권선부(200)가 상부로 이동되거나 하부로 이동될 때, 안내돌기(130)는 제 1 홀(232) 또는 제 3 홀(236)에서 제 2 홀(234)을 지나가야 하는데, 제 2 홀(234)의 폭이 안내돌기(130)보다 작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외부 압력이 권선부(200)에 가해져야 권선부(200)가 이동되며, 이렇게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 권선부(200)는 안내돌기(130)가 제 2 홀(234)에 걸려 있으므로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의 내주연에도 이어폰(10)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Theguide hole 230 is formed in a hol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part 200. In addition, a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in therecess 124 of therear cover 120 to be inserted into theguide hole 230, and the windingpart 200 is guided to theguide protrusion 130 to be slidably moved. The detailed shape of theguide protrusion 13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5.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cess 124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main body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recess 124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 May be omitted. In this case, theguide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main body 100. Theguide hole 230 is provided with afirst hole 232, asecond hole 234, and athird hole 236, one after an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first hole 232 and the third hole (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second hole 234 at 236. And theguide protrusion 130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second hole 234, when the windingportion 200 is guided to theguide protrusion 130 is moved upwardly or sliding downward, the second hole ( 234 is forcibly opened by the width of theguide protrusion 130 and then moved. That is, when the windingpart 200 is moved upward or downward, theguide protrusion 130 must pass through thesecond hole 234 in thefirst hole 232 or thethird hole 236. Since the width of the twoholes 234 is smaller than theguide protrusion 130, the windingpart 200 is moved only when an external pressure by the user is applied to the windingpart 200, and thus the windingpart 200 moved upward or downward. Since theguide protrusion 130 is caught in thesecond hole 234, the position thereof is fixed without being randomly moved. On the other hand, the fixinggroove 210 may be formed so as to fix a portion of theearphone 10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안내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various shapes of the guide projection of the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안내돌기(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안내돌기(130)에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이 삽입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된다.Referring to FIG. 5A, the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is inserted into theguide protrusion 130 so that the windingpart 200 is formed. Guided by theguide 130 is moved up and down.

도 5의 (b)를 참조하면, 안내돌기(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권선부(200)의 상기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132)와, 상기 제 1 돌출부(132)의 선단부에 상기 제 1 돌출부(132)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 2 돌출부(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이 안내돌기(130)의 제 2 돌출부(134)를 지나 제 1 돌출부(132)에 삽입될 때, 권선부(200)의 탄성에 의하여 가이드홀(230)의 폭이 제 2 돌출부(134)만큼 벌어진 후, 제 1 돌출부(132)에 삽입된다. 이렇게 안내돌기(130)에 삽입된 권선부(200)는 제 2 돌출부(134)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B, theguide protrusion 130 is protrud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first protrusion 132 inserted into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and the first protrusion. The tip of theprotrusion 132 includes asecond protrusion 134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first protrusion 132. In addition, when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is inserted into thefirst protrusion 132 after passing through thesecond protrusion 134 of theguide protrusion 130,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windingpart 200. After the width of 230 extends by thesecond protrusion 134, it is inserted into thefirst protrusion 132. The windingpart 200 inserted into theguide protrusion 130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second protrusion 134 so as not to be separated to the outside.

도 5의 (c)를 참조하면, 안내돌기(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선단부의 중앙에 이어폰(10)의 줄(12) 등이 끼워지도록 고정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c), theguide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in a cylindrical shape, the fixinggroove 135 may be formed so that thestring 12, etc. of theearphone 10 is fit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hav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안내돌기에 권선부가 끼워진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fitted to a guide protrusion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안내돌기(130)는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도록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돌출부(132)와, 제 2 돌출부(134)와, 고정홈(13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guide protrusion 130 protrudes from therecess 124 of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Theprotrusion 132, thesecond protrusion 134, and the fixinggroove 135 are included.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이때,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이 본체(100)의 안내돌기(130)에 삽입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30)에 삽입될 때,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은 권선부(200)의 탄성에 의하여 안내돌기(130)의 제 2 돌출부(134)의 폭만큼 벌어지기도 하지만, 안내돌기(130)의 제 2 돌출부(134)가 그 중앙에 형성된 고정홈(135)의 폭만큼 오므라들기도 한다. 이때, 후방커버(120)의 오목부(124)에는 안내돌기(130)의 외주연과 대향되는 위치에 이동안내홀(124a)이 형성되어, 안내돌기(130)의 제 2 돌출부(134)가 용이하게 오므라들도록 안내한다.
The windingpart 200 is positioned to be slidable in therecess 124 of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in which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is a guide protrusion of themain body 100. Inserted into the 130, the windingportion 200 is configured to be guided to theguide protrusion 130, the sliding movement. Meanwhile, when the windingpart 200 is inserted into theguide protrusion 130,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is thesecond protrusion 134 of theguide protrusion 130 by the elasticity of the windingpart 200. In some cases, thesecond protrusion 134 of theguide protrusion 130 is retracted by the width of the fixinggroove 135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t this time, theconcave portion 124 of therear cover 120 is formed with amovement guide hole 124a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guide protrusion 130, so that thesecond protrusion 134 of theguide protrusion 130 Guide them in and out easily.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가 이동안내부에 가이드 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and moved by a movement guide unit.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후방커버(120)의 후면과 대향되는 권선부(200)의 내면에는 권선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30)의 양측에 제 1 이동안내부(240)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후방커버(120)의 후면의 제 1 이동안내부(240)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1 이동안내부(240)에 삽입되도록 제 2 이동안내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상하 이동될 때, 권선부(200)의 제 1 이동안내부(240)가 본체(100)의 제 2 이동안내부(14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권선부(200)의 제 1 이동안내부(240)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100)의 제 2 이동안내부(140)가 권선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권선부(200)의 제 1 이동안내부(240)가 본체(100)의 제 2 이동안내부(14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ingpart 200 that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rear cover 120 of themain body 100 may move first to both sides of theguide hole 2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part 200. Theguide part 24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the secondmovement guide part 140 is inserted into the firstmovement guide part 24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movement guide part 240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120. )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when the windingpart 200 is moved up and down, the firstmovement guide part 240 of the windingpart 200 is guided to the secondmovement guide part 140 of themain body 100 and slides. It is configured to be. Meanwhile, in some cases, the firstmovement guide part 240 of the windingpart 200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secondmovement guide part 140 of themain body 100 is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ingpart 200. Is formed so that, thefirst movement guide 240 of the windingpart 200 is inserted into thesecond movement guide 140 of themain body 100,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에 이어폰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rphones are wound on a winding part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part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 즉, 후방커버(120)의 후면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권선부(200)의 상부가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이어폰(10)이 권선부(200)의 돌출된 상부에 권선되며, 이때, 이어폰(10)의 줄(12), 플러그(16) 등이 권선부(200)의 고정홈(210)에 끼워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8, the windingpart 200 slides upward from the rear of themain body 100, that is, from the rear of therear cover 12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indingpart 200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main body 100. do. In this state, theearphone 10 is wound on the protruding upper portion of the windingunit 200, and at this time, thestring 12, theplug 16, and the like of theearphone 10 are fixedgrooves 210 of the windingunit 200. It is fixed in the

이처럼 본 발명은 권선부(200)에 이어폰(10)이 감겨 보관되므로, 이어폰(10)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선부(200)는 본체(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므로, 권선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권선부(200)를 본체(100)의 오목부(124)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본체(100)를 휴대하는 도중 권선부(200)가 거치적거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earphone 10 is wound around the windingpart 200 and stored, theearphone 10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In addition, since the windingpart 200 is provided to slide in themain body 100, when the windingpart 200 is not used, the windingpart 200 is slid to theconcave part 124 of themain body 100 to move themain body 10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ndingunit 200 is not stuck while carrying the (100).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FIG. 10 is provided with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phone cas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는 본체(100) 및 권선부(200)를 포함하되, 권선부(200)가 본체(1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9 and 10,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body 100 and a windingunit 200, and the windingunit 200 is themain body 100. It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inserted into and slides in.

본체(100)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5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24: 도 2 도시)가 후방커버(120: 도 2 도시)에 구비되었으나,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오목부(116)가 전방커버(110)에 구비된다. 오목부(116)는 전방커버(110)의 후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권선부(200)가 오목부(116)에 삽입된 후, 그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16)의 높이는 권선부(200)의 높이와 같거나, 권선부(200)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전방커버(110)의 후면에 후방커버(150)가 결합될 때, 후방커버(150)가 권선부(200)를 누르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50)는 휴대단말기(P)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기능키, 스피커, 이어폰 단자 등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부분과 대향되는 위치에 이와 동일한 사이즈로 개방공(112, 122)이 형성될 수 있다.Themain body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50, or may be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50. In the first embodiment, a recess 124 (shown in FIG. 2) is provided in the rear cover 120 (FIG. 2),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arecess 116 is provided in thefront cover 110. .Concave portion 116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rear of thefront cover 110, after the winding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concave portion 116 is configured to slide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recess 116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windingportion 200, or is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windingportion 200, when therear cover 15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front cover 110, Therear cover 150 is configured not to press the windingunit 200. In addition,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50 are opened in the same size at a position opposite to a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a camera lens, a function key, a speaker, and an earphone terminal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P. 112 and 122 may be formed.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전방커버(110)에 형성되는 오목부(116)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권선부(200)가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후, 이어폰(10)이 권선부(200)에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부(200)는 탄성재질 등으로 형성되며, 이어폰(10)이 용이하게 권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오목부(116)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그리고 권선부(200)에는 이어폰(10)의 일부가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홈(210)이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안내돌기(160)에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가이드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windingpart 200 is mounted to be slidable to therecess 116 formed in thefront cover 110 of themain body 100, and after the windingpart 200 is slid to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main body 100. , Theearphone 10 is wound on the windingunit 200. The windingunit 2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earphone 10 is easily wound,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recess 116. have. In addition, the fixingpart 210 may be formed in the windingpart 200 so that a part of theearphone 10 may be inserted and fixed. Theguide hole 230 may be formed to be guided by theguide protrusion 160 to be described later. have.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에 권선부가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권선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nding unit is inserted into a body of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winding uni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nding unit sliding along a main body of a mobile phone case provid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전방커버(110)의 후면에 후방커버(150)의 전면이 결합된다. 이때, 전방커버(110)의 오목부(116)는 후방커버(150)에 의하여 그 상부를 제외한 부분이 폐쇄된다. 그리고 오목부(116)의 상부를 통하여 오목부(116)에 위치된 권선부(200)가 슬라이딩 이동된다.11 and 12, the front surface of therear cover 15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front cover 110 of the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recess 116 of thefront cover 110 is closed by therear cover 150 except for the upper portion. The winding 200 positioned in therecess 116 is sli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recess 116.

그리고 후방커버(150)의 전면에는 권선부(200)의 가이드홀(230)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160)가 돌출 형성된다. 안내돌기(160)는 가이드홀(230)의 제 1 홀(232)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 1 돌기(162)와, 가이드홀(230)의 제 1 홀(232)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 2 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권선부(200)가 오목부(116)의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안내돌기(160)는 가이드홀(230)의 제 2 홀(234)을 지나 제 3 홀(236)에 위치된다. 이때, 안내돌기(160)의 폭은 제 2 홀(234)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권선부(200)가 안내돌기(160)에 가이드되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2 홀(234)이 안내돌기(160)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진 후 이동되므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 권선부(200)는 임의로 이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In addition, aguide protrusion 160 protrudes from a front surface of therear cover 150 to be inserted into theguide hole 230 of the windingpart 200. Theguide protrusion 160 includes afirst protrusion 162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first hole 232 of theguide hole 230 and a second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first hole 232 of theguide hole 230. It may include aprotrusion 164. In addition, when the windingpart 200 is sli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recess 116, theguide protrusion 160 is positioned in thethird hole 236 after passing through thesecond hole 234 of theguide hole 230.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guide protrusion 160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second hole 234, when the windingpart 200 is guided to theguide protrusion 160 is moved upwardly or sliding downward, the second Since thehole 234 is forcibly opened after the width of theguide protrusion 160 and moved, the windingpart 200 moved to the upper or lower part is not moved arbitrarily and its position is fixed.

또한, 본체(100)의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50)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권선부(200)는 후방커버(150)의 안내돌기(160)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므로, 이어폰(10)을 더 이상 휴대 또는 보관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전방커버(110)에서 후방커버(150)를 탈거하여, 본체(100)의 전방커버(110)가 휴대단말기(P)를 수용하는 도중, 후방커버(150)가 거추장스럽지 않도록 하고, 본체(100)의 전체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front cover 110 and therear cover 150 of the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he windingunit 200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guide protrusion 160 of therear cover 150, earphones When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carry orstore 10, while removing therear cover 150 from thefront cover 110, while thefront cover 110 of themain body 100 accommodates the mobile terminal (P), Therear cover 150 is not cumbersome, and the entire thickness of themain body 100 is reduced.

또한, 후방커버(150)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색상을 가진 후방커버(150)를 전방커버(1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rear cover 150 is composed of a variety of colors, may be used by mounting therear cover 150 having a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o thefront cover 110.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권선부에 이어폰이 권선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rphones are wound on a winding part of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wind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권선부(200)는 본체(100)의 후방 즉, 전방커버(110)의 오목부(116)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권선부(200)의 상부가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이어폰(10)이 권선부(200)의 돌출된 상부에 권선되며, 이때, 이어폰(10)의 줄(12), 플러그(16) 등이 권선부(200)의 고정홈(210, 222)에 끼워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windingpart 200 is slid to the rear of themain body 100, that is, therecess 116 of thefront cover 110,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indingpart 200 is themain body 100. Protrudes to the top of the. In this state, theearphone 10 is wound on the protruding upper portion of the windingpart 200. In this case, thestring 12, theplug 16, and the like of theearphone 10 are fixedgrooves 210 of the windingpart 200. 222 is fixed.

이처럼 본 발명은 권선부(200)에 이어폰(10)이 감겨 보관되므로, 이어폰(10)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권선부(200)는 본체(100)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되므로, 권선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권선부(200)를 본체(100)의 오목부(116)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본체(100)를 휴대하는 도중 권선부(200)가 거치적거리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earphone 10 is wound around the windingpart 200 and stored, theearphone 10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In addition, since the windingpart 200 is provided to slide in themain body 100, when the windingpart 200 is not used, the windingpart 200 is slid to theconcave part 116 of themain body 100 to move themain body 10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ndingunit 200 is not stuck while carrying the (100).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110: 전방커버
112: 개방공114: 수용부
116: 오목부120: 후방커버
122: 개방공124: 오목부
124a: 이동안내홀130: 안내돌기
132: 제 1 돌출부134: 제 2 돌출부
135: 고정홈140: 제 2 이동안내부
150: 후방커버152: 개방공
160: 안내돌기162: 제 1 돌기
164: 제 2 돌기200: 권선부
210: 고정홈220: 고정돌기
222: 고정홈230: 가이드홀
232: 제 1 홀234: 제 2 홀
236: 제 3 홀240: 제 1 이동안내부
100: main body 110: front cover
112: opening hole 114: receiving portion
116: recess 120: rear cover
122: opening hole 124: recessed portion
124a: movement guide hole 130: guide projection
132: first protrusion 134: second protrusion
135: fixing groove 140: the second movement guide
150: rear cover 152: opening hole
160: guide protrusion 162: first protrusion
164: second projection 200: winding portion
210: fixing groove 220: fixing protrusion
222: fixing groove 230: guide hole
232: first hole 234: second hole
236: third hole 240: first movement guide

Claims (14)

Translated fromKorean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A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winding part mounted to be slidably behind the main body,
The wire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which is sli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part i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fix a part of the earphone.
삭제delete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안내돌기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A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winding part mounted to be slidably behind the main body,
The wire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which is slid to protrude outward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guide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Cell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is guided to the guide projection is configured to sli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 홀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2 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제 2 홀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제 1 홀에서 상기 제 3 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1 홀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홀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내돌기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have an elasticity,
The guide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a second hole and a third hole in o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is narrowed toward the second hole from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hole, so that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irst hole to the third hole or from the third hole to the first hole, the second hole is an external pressure. Cell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orcibly opened by the width of the guide projec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의 외면에는 상기 이어폰 줄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jection to be fixed by inserting a portion of the earphone st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권선부의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제 2 돌출부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winding part,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first protrusion.
The winding part i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sion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separated out.
전방에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과 대향되는 상기 권선부의 내면에는 제 1 이동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의 상기 제 1 이동안내부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제 2 이동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부 중 어느 한 안내부는 상기 권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다른 한 안내부는 상기 어느 한 안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제 1 이동안내부 및 상기 제 2 이동안내부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A main body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winding part mounted to be slidably behind the main body,
The wire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art which is sli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movement guide part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opposit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movement guide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movement guide part behind the main body.
Any one of the first movement guide part and the second movement guide part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winding part, and the other guide par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ne guide part, and the winding part is formed on the first guide part.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uide while being guided to the movement guide and the second movement guide.
제 1 항,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상기 권선부의 내면이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상기 권선부의 외면은 상호 동일 선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권선부의 외면이 상기 본체의 후면보다 안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A recess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ing part.
And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unit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each other, or an outer surface of the winding unit is located inside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제 1 항, 제 3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전방커버; 및
전방은 상기 전방커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은 상기 권선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7,
The main body is:
A front cov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The fron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over, the rear is a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r cover to be mounted so that the winding is slidable.
전방에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에는 상기 이어폰의 일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케이스.
A main body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bile phone is formed and a recess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winding part slidably mounted to the recess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ortion sliding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part i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wind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fix a part of the earphone.
삭제delete전방에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권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된 상기 권선부에 이어폰의 줄이 권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권선부는 슬라이딩 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권선부가 상기 안내돌기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A main body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obile phone is formed and a recess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winding part slidably mounted to the recess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of the earphone is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winding portion sliding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winding part is formed long in the sliding direction, the guide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Guide recesses are formed in the recesses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Cell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ing is guided to the guide projection is configured to sli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부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홀, 제 2 홀 및 제 3홀이 차례로 구비되되,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2 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제 2 홀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제 1 홀에서 상기 제 3 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 3 홀에서 상기 제 1 홀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홀이 외부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내돌기의 폭 만큼 억지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inding part is formed to have an elasticity,
The guide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hole, a second hole and a third hole in or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is narrowed toward the second hole from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The guid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hole, so that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moved from the first hole to the third hole or from the third hole to the first hole, the second hole is an external pressure. Cell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orcibly opened by the width of the guide projectio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상기 휴대폰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전방커버; 및
상기 전방커버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전방커버와 상기 후방커버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오목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ain body is:
A front cov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phone is accommodated; And
It includes a rea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over,
The winding unit, the mobile phone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reces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KR1020130098528A2013-08-202013-08-20Case with winding portionExpired - Fee RelatedKR101357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30098528AKR101357323B1 (en)2013-08-202013-08-20Case with winding portion
PCT/KR2014/007727WO2015026154A1 (en)2013-08-202014-08-20Mobile terminal case having wind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30098528AKR101357323B1 (en)2013-08-202013-08-20Case with winding po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1357323B1true KR101357323B1 (en)2014-02-05

Family

ID=5026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30098528AExpired - Fee RelatedKR101357323B1 (en)2013-08-202013-08-20Case with winding portio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3573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07343A1 (en)*2014-07-082016-01-14Diversified Products, Inc.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61147Y1 (en)2011-12-022012-06-22권무형Protection Case of Lenz-Mounted Type for Portable Terminals
KR101216318B1 (en)2012-05-242012-12-27전복집Mobile phone having funcion of winding wire of earphone
KR200465348Y1 (en)2012-11-302013-02-14이성철Mobile phone case
KR200465394Y1 (en)2010-11-182013-02-15김대완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65394Y1 (en)2010-11-182013-02-15김대완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0461147Y1 (en)2011-12-022012-06-22권무형Protection Case of Lenz-Mounted Type for Portable Terminals
KR101216318B1 (en)2012-05-242012-12-27전복집Mobile phone having funcion of winding wire of earphone
KR200465348Y1 (en)2012-11-302013-02-14이성철Mobile phone 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07343A1 (en)*2014-07-082016-01-14Diversified Products, Inc.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421220B1 (en)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KR102044470B1 (en)Electronic device with structure for inserting card type external device
KR20110027951A (en) Bar-type Cell Phone Cases
KR200465394Y1 (en)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130007175U (en)Holder ring for mobile phone
KR200465348Y1 (en)Mobile phone case
KR101357323B1 (en)Case with winding portion
KR20150003818U (en)The mobile Phone Cover
KR200473012Y1 (en)Cellular phone case
KR200464932Y1 (en)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40037405A (en)Protective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68689Y1 (en)Mobile phone case
KR200481246Y1 (en)Sliding type phone case
KR101793374B1 (en)Cradle and case for smartphones with window
CN204906644U (en)Choker bluetooth headset
KR101585923B1 (en)Protctive case for mobile phone
KR20110109668A (en) Cell phone case with connector cover
KR20130002185U (en)A mobile phone case
KR200478502Y1 (en)Hand phone protection case for camera protection
CN204145555U (en)A kind of can the mobile phone shell of accommodating earphones
CN204013676U (en)Earphone portable hand mantle
KR101303345B1 (en)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CN203466862U (en)Mobile-phone housing capable of winding earphone cord
KR200469634Y1 (en)Case with Detachable Supporting Member for Mobile Device
KR101201923B1 (en)A Protect cover for electronic devicd with touch input function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A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124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124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0116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0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00124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