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기관 삽입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투입관과  이물질제거관을 가지고 있어 산소공급의 중지 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gine insertion tub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engine insertion tube having an oxygen injection tube and a foreign substance removal tube, which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without stopping oxygen supply.
일반적으로 기도의 유지 및 확보, 호흡계 치료, 폐 속의 이물질 제거 등을 위하여 기관 내로 삽입되는 기관 삽입용 튜브는 병원에서 응급환자 내지 위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위급한 환자를 구명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호흡기 내부에 발생한 이물질도 동시에 흡입하여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tracheal insertion tube that is inserted into the trachea to maintain and secure the airway, treat the respiratory system,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lung is used to rescue emergency patients by supplying oxygen to emergency or emergency patients in the hospital. In this cas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are often inhaled and removed at the same time.
종래의 산소공급용 기관 삽입용 튜브는 산소공급로 루트가 한 개의 튜브만을 구비하고 있어, 이물질을 제거하가 위해서는 산소공급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은 중환자일수록 산소공급이 중지되어 환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Conventional oxygen supply tube insertion tube has a problem that only one tube routed to the oxygen supply route, the oxygen supply must be stopped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The problem is that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s, the oxygen supply is often stopped, which results in fatal consequences for the patient's life.
또한,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 산소공급장치를 제거하고 이물질 제거호스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dure time is long because the oxygen supply device is removed to replace the foreign substance and the foreign substance removal hose needs to be replaced.
또한,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 이물질이 존재하는 기도내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내시경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endoscope must be used to check the situation in the airway in which the foreign matter exist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공급과 이물질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산소투입관과  이물질제거관을 구비하여 산소공급의 중지 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eign material without stopping the oxygen supply by providing an oxygen input pipe and a foreign material removal tube to simultaneously perform oxygen supply and foreign material removal.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that can be remo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에 산소투입 조인관(11)을 포함하는 산소투입관(12)과, 일단에 이물질제거 조인관(15)을 포함하는 이물질제거관(13)과, 상기 산소투입관(12) 및 이물질제거관(13)에 연결되는 결합관(14)과, 상기 결합관(14)의 일단에 연결관부착캡(17)을 구비하는 삽입튜브 상단부(10); 상기 연결관부착캡(17)의 일단에 압입으로 체결되는 연결관(21); 기도확보용 에어백(22)을 구비하는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 및 이물질제거 조인관(15)을 통해서 투입되며 상기 이물질제거관(13)과 결합관(14)을 관통하여 기도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호스(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 조인관(15)에는 마개부(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또한, 상기 산소투입관(12)과 이물질제거관(13)의 대향각은 80도 내지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posing angle of the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관(13)과 결합관(14)의 대향각은 110도 내지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posing angle of the
또한, 상기 연결관(21)은 보스(BOSS)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관부착캡(17)의 내원주상에 삽입되어 지고, 타측은 상기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의 내원주상에 삽입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호스(30)가 배치되는 공간에는 기관의 내시경을 위한 통로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pace in which the foreign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에 따르면 산소공급과 이물질제거를 동시에 행하게 되어 중환자의 산소공급의 차단이 없이 시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oxygen supply and foreign material removal at the same time it can be performed without blocking the oxygen supply of the intensive care.
또한, 기관의 내시경을 별도의 시술 없이도 상기 기관 삽입용 튜브의 이물질제거호스를 이용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한 시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doscope of the trachea can use a foreign substance removal hose of the tracheal insertion tube without a separate proced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impler procedure is possible.
또한, 내시경을 통해서 이물질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술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moved by identify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endoscop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procedure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물질제거호스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물질제거호스를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삽입튜브 상단부와 기관호흡용 삽입튜브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 foreign substance removal hose insert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foreign substance removal hose inserted.
 Figure 3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insertion tube for tracheal breathin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는 크게 삽입튜브 상단부(10)와,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 및 이물질제거호스(30)로 구성된다.1 to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n improved tracheal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2, the improved tracheal insertion tube is composed of an insertion tube
삽입튜브 상단부(10)는 산소공급기와 연결되는 산소투입 조인관(11)을 일단에 구비하는 산소투입관(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 조인관(15)을 일단에 구비하는 이물질제거관(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산소투입관(12)과 이물질제거관(13)은 결합관(13)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sertion tube
산소투입 조인관(11)에는 산소공급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인공호흡기, resuscitator bag(Ambu-bag), 비 캐뉼라 (nasal prong) 등을 선택적으로 장치할 수 있고, 상황이 된다면 아무것도 장치하지 않아도 된다.The oxygen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산소투입관 만을 구비하는 종래의 기관 삽입용 튜브와는 달리 산소투입관(12)의 일측에 이물질제거관(13)을 구비하여 이물질제거를 위해서 산소투입관(12)에서 산소공급기를 제거하고 이물질제거호스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졌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tube for inserting a tube having only one oxygen inlet tube provided with a foreign
이물질제거관(13)의 가장 큰 목적은 산소공급이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되면서 동시에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개부(16)를 이용하여 이물질제거 조인관(15)을 감싸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개부(16)는 이물질제거관(13)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이물질제거호스(30)가 삽관되었을 경우 이물질제거관(13)에 매달려 마개부(16)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foreign
평소 산소공급만 할 경우에는 이물질제거호스(30)를 삽관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개부(16)를 닫아 놓아야만 원활하게 산소가 기관내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oxygen can be smoothly supplied into the trachea only when the
 또한, 이물질제거호스(30)는 이물질도 제거하지만, 더불어 기관 내시경(bronchoscopy)의 삽입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산소투입관을 통하여 기관 내시경을 삽입하였으며, 시술 동안에는 산소공급을 중단하고, 기관 내시경을 잠시 시행하고, 잠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기관 내시경 시술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산소공급의 중단 없이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관 내시경을 통해서 이물질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물질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산소투입관(12)과 이물질제거관(13)의 대향각은 80도 내지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기류 흐름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90도일 때이다.The opposite angle of the
또한, 이물질제거관(13)과 결합관(14)의 대향각은 110도 내지 1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물질제거보다 원활한 산소공급을 해주기 위해서 결합관(14)과 산소투입관(12)의 각도를 원만하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이물질제거관(13)과 결합관(14)의 대향각은 120도이다.In addition, the opposing angle of the foreign
그리고, 가급적이면 결합관(14)의 길이를 짧게 배치하는 것이 기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데 유리한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arrange the length of the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는 연결관부착캡(14)의 일단에 압입으로 체결되는 연결관(21)과, 기도확보용 에어백(22) 및 에어백 산소투입부(23)로 구성된다. 연결관(21)은 보스(BOSS)로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관부착캡(17)의 내원주상에 삽입되어 지고, 타측은 상기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의 내원주상에 삽입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tracheal
기도확보용 에어백(22)은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도를 확보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도내 삽관시에는 수축된 상태로 삽관되었다가 에어백 공기투입부(23)로부터 공기를 주입받아서 팽창하여 기도를 확보해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에어백 공기투입부(23)를 통해서 적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기도확보용 에어백(22)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도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Airway secured
도 3은 삽입튜브 상단부(10)와 기관호흡용 삽입튜브(20)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합관계를 자세히 표현해주고 있다. 도 3에서는 산소투입관(12)과 이물질제거관(13)의 대향각이 90도이고, 이물질제거관(13)과 결합관(14)의 대향각은 120도인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경우가 환자에게 원만하게 산소를 공급해 줄 수 있는 각도가 된다.Figure 3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insertion tube
상기 이물질제거호스(30)를 대신하여 기관 내시경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In plac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기관 삽입용 튜브를 이용하면 산소공급과 이물질제거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중환자의 산소공급중단 없이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e improved tube insertion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oxygen supply and foreign material removal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rupting the oxygen supply of critical patien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삽입튜브 상단부
11: 산소투입 조인관
12: 산소투입관
13: 이물질제거관
14: 결합관
15: 이물질제거 조인관
16: 마개부
17: 연결관부착캡
20: 기관호흡용 삽입튜브
21: 연결관
22: 기도확보용 에어백
23: 에어백 산소투입부
30: 이물질제거호스10: upper part of insertion tube
 11: oxygen injection pipe
 12: oxygen injection tube
 13: Foreign substance removal pipe
 14: connecting pipe
 15: Foreign material removal joining tube
 16: stopper
 17: Connector cap
 20: tracheal breathing insertion tube
 21: connector
 22: Airway secured airbag
 23: air bag oxygen inlet
 30: Foreign substance removal hos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5654AKR101357264B1 (en) | 2012-10-17 | 2012-10-17 | The improved endotracheal for insertion tub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15654AKR101357264B1 (en) | 2012-10-17 | 2012-10-17 | The improved endotracheal for insertion tub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357264B1true KR101357264B1 (en) | 2014-01-2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15654AExpired - Fee RelatedKR101357264B1 (en) | 2012-10-17 | 2012-10-17 | The improved endotracheal for insertion tub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357264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07028A (en)* | 2014-07-15 | 2014-10-22 | 冯起校 | Combined type soft bronchoscope | 
| KR20160087097A (en)* | 2015-01-13 | 2016-07-2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oxygen supply device for tracheostomy tube | 
| CN113797420A (en)* | 2021-08-24 | 2021-12-17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Visual end-expiratory carbon dioxide guide tracheal intubation device and method | 
| KR20220059008A (en)* | 2020-11-02 | 2022-05-10 |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functional tracheal tube | 
| KR20230163686A (en) | 2022-05-24 | 2023-12-0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rol Apparatus of inspiration and expiration having an inner tub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79745A (en)* | 1996-12-24 | 1998-07-07 | Sumitomo Bakelite Co Ltd | Intra-esophagus airway for emergency resuscitation | 
| KR200179539Y1 (en)* | 1999-11-29 | 2000-04-15 | 이두연 | A tube for inserting an organ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KR20030003636A (en)* | 2001-07-28 | 2003-01-10 | (주) 리버스 | Intubation tube | 
| KR200434799Y1 (en)* | 2006-09-29 | 2006-12-2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Ventilation tracheal insertion tub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10179745A (en)* | 1996-12-24 | 1998-07-07 | Sumitomo Bakelite Co Ltd | Intra-esophagus airway for emergency resuscitation | 
| KR200179539Y1 (en)* | 1999-11-29 | 2000-04-15 | 이두연 | A tube for inserting an organ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KR20030003636A (en)* | 2001-07-28 | 2003-01-10 | (주) 리버스 | Intubation tube | 
| KR200434799Y1 (en)* | 2006-09-29 | 2006-12-2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Ventilation tracheal insertion tub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107028A (en)* | 2014-07-15 | 2014-10-22 | 冯起校 | Combined type soft bronchoscope | 
| KR20160087097A (en)* | 2015-01-13 | 2016-07-21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oxygen supply device for tracheostomy tube | 
| KR101668176B1 (en) | 2015-01-13 | 2016-10-28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oxygen supply device for tracheostomy tube | 
| KR20220059008A (en)* | 2020-11-02 | 2022-05-10 |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functional tracheal tube | 
| KR102479695B1 (en)* | 2020-11-02 | 2022-12-20 | 동남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functional tracheal tube | 
| CN113797420A (en)* | 2021-08-24 | 2021-12-17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Visual end-expiratory carbon dioxide guide tracheal intubation device and method | 
| CN113797420B (en)* | 2021-08-24 | 2024-04-09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Visual end-tidal carbon dioxide guide trachea cannula device | 
| KR20230163686A (en) | 2022-05-24 | 2023-12-0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trol Apparatus of inspiration and expiration having an inner tubing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355920B (en) | Jet ventilation catheter | |
| JP5503094B1 (en) | Acupuncture apparatus, artificial respi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cupuncture apparatus | |
| KR101357264B1 (en) | The improved endotracheal for insertion tube | |
| KR102204635B1 (en) | Laryngeal mask with multiple pipe cavities | |
| US20130284181A1 (en) | Endotracheal tube system | |
| CN104994899A (en) | Reversible airway device and related method for ventilating a subject | |
| US20240157079A1 (en) | Patient interface device and ventilation treatment apparatus | |
| US20170239431A1 (en) | Device for evacuating and/or monitoring gas leaking from a patient during surgery or anesthetization | |
| US10213568B2 (en) | Nasopharyngeal cannula for side-stream capnography | |
| US20090139524A1 (en) | Oxygenating device and method | |
| CN207520428U (en) | Laryngeal mask and assisted respirator | |
| CN203802911U (en) | Double-hole nasal tube oxygen uptake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PETCO2 partial pressure | |
| US20090229601A1 (en) | Intubating Airway Device | |
| JP2011030863A (en) | Endotracheal tube introducer | |
| KR102195241B1 (en) | Disposible Sheath having multiple tube structures for endoscope inserted to body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sheath | |
| CN203663204U (en) | Medical endotracheal intubation connection head | |
| JP2009072465A (en) | Upper airway airway | |
| KR101146144B1 (en) | Circuit for breathing having endotracheal tube reducing anatomical dead space | |
| CN209884954U (en) | Medical protection type breathing circuit | |
| CN203954408U (en) | A kind of medical breathing mask through mouth and nose dual pathways oxygen supply | |
| JP6944621B1 (en) | Leak test closing plug and anesthesia machine for leak test and leak test method for circulating breathing circuit | |
| US11413416B2 (en) | Endopharyngeal airway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device | |
| Lim et al. | Clinical experience of one lung ventilation using an endobronchial blocker in a patient with permanent tracheostomy after total laryngectomy | |
| CN209790557U (en) | a tracheal tube | |
| CN203183449U (en) | Multichannel joi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7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7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