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317149B1 -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149B1
KR101317149B1KR1020120002063AKR20120002063AKR101317149B1KR 101317149 B1KR101317149 B1KR 101317149B1KR 1020120002063 AKR1020120002063 AKR 1020120002063AKR 20120002063 AKR20120002063 AKR 20120002063AKR 101317149 B1KR101317149 B1KR 10131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optical
guide groove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087A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filedCritical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20002063ApriorityCriticalpatent/KR10131714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69prioritypatent/WO2013103206A1/en
Publication of KR2013008108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30081087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14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317149B1/ko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여,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단자함{A fiber optic cable connecting terminal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분기 및 정리를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통상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며,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어 광케이블의 융착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접속과 같은 접속기능과 접속부 보호기능 및 인입/인출기능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함체(10) 측면에는 광케이블(C1)이 끼워지도록 광케이블 인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광케이블 인입구(11)의 맞은편에는 최종가입자와 접속되어 있는 광옥외선(C2)이 끼워지는 복수의 광옥외선 인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함체(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13)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커버(20)가 전면을 향하도록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함체(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3)의 체결공(14)으로 체결볼트를 결합시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설치된다. 이 광어댑터 패널(30)에는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와 출력단자(31b)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광어댑터(31)가 설치된다.
따라서, 함체(10)를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에 광케이블(C1)을 끼워 함체(10)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인입된 광케이블(C1)의 외부피복을 벗겨 다수의 광섬유 클러스터(이하 "광섬유"라 함)로 분기시키고 이를 다시 스플리터(S)를 이용하여 8가닥의 광섬유 단위로 재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를 커넥터(32a)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후, 함체(10)에 형성된 광옥외선 인입구(12)에 광옥외선(C2)을 각각 끼운 후 상기 광옥외선(C2)을 커넥터(32b)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출력단자(31b)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C1)이 광섬유들로 분기되어 상기 광섬유들이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연결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상기 광섬유들이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패널(30)의 일측에 분기된 광섬유들이 지지되는 정리부재(40)가 설치된다.
종래의 이러한 광케이블 단자함은 여러개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수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한정된 공간인 단자함 내부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 및 광 아답타등의 설치 및 광 분배 장치의 설치를 원활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여,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작업시 광어댑터 패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이 전봇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볼트 체결부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결합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작업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0)와,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형성되는 브라켓(200)과, 상기 브라켓(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3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본체(100)는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11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전방이 개방될 수 있다.
단자함 본체(100)는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0)는 일측부가 힌지부(160)를 통해 단자함 본체(100)에 연결된다.
또한, 도어(110)는 타측부에 로킹부(140)가 형성되어 도어(110)는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로킹부(140)를 통해 작업자가 필요시에만 단자함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로킹부(140)는 볼트 등으로 구비되어 도어(110)의 로킹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어(110)의 타측부에 로킹부(1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걸림돌기(15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5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단자함 본체(100)에 형성된 돌출턱(19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150) 및 돌출턱(190)이 구비되어, 도어(110)의 로킹 작업시 일차적으로 걸림돌기(150)를 돌출턱(190)에 걸리도록 해 놓으면 도어(110)가 전방으로 개방되지 않게 되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단자함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는 광케이블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출부(180)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부(120)를 포함한다.
고리부(120)는 양측의 수직부와 양측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회동축(12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평부는 수직부보다 전후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리부(120)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리부(120)의 강성되 향상시킬 수 있다.
고리부(120)가 접혀져 있을 때 고리부(120) 후방의 표면에는 원호형상으로 굴곡부(121)가 형성된다. 굴곡부(121)는 상기 수평부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123)이 여러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공(123)으로 인해 단자함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으며, 단자함을 벽에 설치할 경우 벽에 박혀진 못 등에 용이하게 걸어놓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에는 고정밴드(B)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돌출부(130)의 후방의 표면 중심부에는 제2굴곡부(132)가 형성된다. 제2굴곡부(132)는 굴곡부(121)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30) 양측의 전후두께는 고리부(120)의 수평부의 두께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하부 양측에는 고리부(120)의 회동축(122)이 삽입되는 축삽입홈(134)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삽입홈(134) 내부에 배치되도록 축걸림돌기(135)가 형성된다.
고리부(120)의 회동축(122)을 돌출부(130) 축삽입홈(134)에 끼워넣으면 돌출부(130) 하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축삽입홈(134)의 사이간격이 넓어져 회동축(122)이 축삽입홈(13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고리부(120)는 돌출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리부(120)가 설치된 후에는 회동축(122)이 걸림돌기(135)에 의해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리부(120) 및 돌출부(130)는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실시예의 단자함은 전봇대에 설치할 경우에는 고리부(120)를 접은 상태에서 밴드(B)를 관통공(131)에 삽입하고, 굴곡부(121) 및 제2굴곡부(132)가 전봇대의 굴곡진 표면가 맞닿도록 한다. 이로 인해 단자함은 굴곡진 표면을 가진 전봇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실시예의 단자함은 평평한 벽면(W)에 설치할 경우에는 고리부(120)를 회동시켜서 고리부(120)를 펼쳐서 벽면에 설치된 못 등에 걸어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자함은 평평한 표면을 가진 벽면(W)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함은 별다른 조치 없이도 굴곡진 전봇대나 벽면(W)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30) 및 고리부(120)로 인해 단자함이 전봇대에 설치될 경우 단자함 본체(100)와 전봇대와의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리부(130)의 설치도 용이해지고, 평평한 벽면(W)에 고리를 이용하여 설치될 경우에도 벽면(W)과 단자함과의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단자함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단자함 본체(100) 배면에는 보조돌기(170)가 형성된다. 보조돌기(170)는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는 볼트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돌기(170) 내부에는 너트(900)가 인서트 사출성형 될 수 있다.
너트(900)는 단자함 본체(1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둘러싸여서 부식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너트(9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9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 홈이 형성되어 쉽게 이탈되거나 헛돌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보조돌기(170)로 인해 단자함 본체(100)의 중량을 가볍게 유지하면서도 단자함 내부에 부품들을 볼트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자함을 벽면(W)이나 전봇대에 설치할 경우 보조돌기(170)로 인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은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브라켓(20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이와 다르게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함 본체(100) 내부 일측에는 광섬유 또는 광케이블 등을 정리하는 정리부재(5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브라켓(200)이 배치된다.
단자함 본체(100) 내부 타측 하부에는 광케이블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리(600)가 형성된다. 가이드고리(600)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광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200)은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판넬형상의 마운팅판넬(400)에 설치된다. 마운팅판넬(400)은 생략할 수도 있다.
브라켓(200)은 양측벽과 양측벽을 연결하는 상부벽과 마운팅판넬(400)과 맞닿는 배면을 포함한다.
브라켓(200)은 양측벽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21)과 제1가이드홈(221)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2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양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아래에 보조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가이드홈도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31)과 제1가이드부(221)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32)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가이드홈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벽(2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벽 양측에는 절개부(210)가 전방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광어댑터 패널(300)은 브라켓(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광어댑터 패널(300)도 양쪽에 배치되는 측벽과 측벽의 전방 상부를 연결하는전방연결부와 측벽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연결부를 포함한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양쪽의 측벽 내부에는 선반돌출부(34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전방에는 광어댑터(330)가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광어댑터(330)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측벽 외측 하부에는 타부품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성형될 수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0)가 형성된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외측에는 가이드돌기(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보조돌기(32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돌기(320)에는 볼트(70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삽입공(321) 내부에는 스프링(800)이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브라켓(200)을 놓고, 브라켓(200)의 보조가이드홈에 광어댑터 패널(300)의 보조돌기(320)를 삽입한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700)를 볼트삽입공(321)에 삽입한 후에 보조돌기(170)에 설치된 너트(900)에 체결하여 브라켓(200) 및 광어댑터 패널(3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 볼트(700)를 조금만 풀어주면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700)가 튀어 나와서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800)을 이용한 구조는 도어(110)의 로킹부(14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의 상기 상부벽 양측에는 절개부(210)가 형성되어, 브라켓(200)의 양측벽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넓게 할 수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보조가이드홈에 가이드돌기(310)와 보조돌기(320)를 각각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사용시에는 광어댑터 패널(300)에는 다수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에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는 작업을 위한 공간이 너무 협소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에는 광어댑터 패널(300)을 단자함 본체(100) 및 브라켓(20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330)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세하게는 볼트(700)를 풀어서 광어댑터 패널(300)이 슬라이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가이드돌기(310) 및 보조돌기(320)를 가이드홈 및 보조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후에 하부로 슬라이딩시켜서 광어댑터 패널(300)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작업시 광어댑터 패널(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본체110 : 도어
120 : 고리130 : 돌출부
140 : 로킹부150 : 걸림돌기
160 : 힌지부170 : 보조돌기
180 : 인입출부200 : 브라켓
300 : 광어댑터 패널400 : 마운팅판넬

Claims (2)

  1.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광어댑터 패널의 외측에는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공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된 보조돌기에 설치된 너트에 체결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20002063A2012-01-062012-01-06광케이블 단자함ActiveKR10131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02063AKR101317149B1 (ko)2012-01-062012-01-06광케이블 단자함
PCT/KR2012/011369WO2013103206A1 (en)2012-01-062012-12-24Optical cable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002063AKR101317149B1 (ko)2012-01-062012-01-06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30081087A KR20130081087A (ko)2013-07-16
KR101317149B1true KR101317149B1 (ko)2013-10-10

Family

ID=4874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20002063AActiveKR101317149B1 (ko)2012-01-062012-01-06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101317149B1 (ko)
WO (1)WO20131032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217677B1 (ko)*2020-04-102021-02-19(주)나이스에너지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81500Y1 (ko)*2014-12-242016-10-11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커넥터
JP6469154B2 (ja)*2017-03-212019-02-13株式会社フジクラ接続箱
US11300746B2 (en)2017-06-282022-04-12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port module inse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59577B2 (en)2017-06-282019-07-23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Multiports and optical connectors with rotationally discrete locking and keying features
CN111051945B (zh)2017-06-282023-12-29康宁研究与开发公司紧凑光纤连接器、电缆组件及其制造方法
US11668890B2 (en)2017-06-282023-06-06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ecuring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187859B2 (en)2017-06-282021-11-30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2271040B2 (en)2017-06-282025-04-08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extender po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641967B1 (en)2018-11-162020-05-05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 modular adapter support array
US10768382B2 (en)2018-11-292020-09-08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ccess apertures and a release tool
PT3903136T (pt)2018-12-282024-12-05Corning Res & Dev CorpConjuntos de múltiplas portas incluindo particularidades de montagem ou tampões de pó
WO2020242847A1 (en)2019-05-312020-12-03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liding actua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294133B2 (en)2019-07-312022-04-05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networks using multiports and cable assemblies with cable-to-connector orientation
US11487073B2 (en)2019-09-302022-11-01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Cable input devices having an integrated locking feature and assemblies using the cable input devices
EP3805827B1 (en)2019-10-072025-07-30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terminals and fiber optic networks having variable ratio couplers
US11650388B2 (en)2019-11-142023-05-16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networks having a self-supporting optical terminal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optical terminal
US11536921B2 (en)2020-02-112022-12-27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loopback assemblies
US11604320B2 (en)2020-09-302023-03-14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Connector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CN112327434B (zh)*2020-10-282023-04-07国网四川省电力公司南充供电公司一种光纤终端盒
AU2021368055A1 (en)2020-10-302023-06-08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emale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a rocker latch ar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496743Y1 (ko)2020-11-122023-04-13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단자함 미세 정렬장치
KR102255089B1 (ko)*2020-11-172021-05-21구진모광케이블용 광분배기
US11686913B2 (en)2020-11-302023-06-27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 crimp ring and crimp bod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1880076B2 (en)2020-11-302024-01-23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housing
US11994722B2 (en)2020-11-302024-05-28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n adapter housing and a locking housing
US11927810B2 (en)2020-11-302024-03-12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member
US11947167B2 (en)2021-05-262024-04-02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Fiber optic terminals and tool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plit ratio of a fiber optic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350839Y1 (ko)*2004-02-102004-05-17명성네트콤 (주)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의 슬라이딩 판넬 고정 구조
KR100584843B1 (ko)2004-02-102006-05-30명성네트콤 (주)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US20090148119A1 (en)*2007-02-282009-06-11Guy Castonguay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KR101214847B1 (ko)2011-04-132012-12-24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621975B2 (en)*2001-11-302003-09-16Corning Cable Systems LlcDistribution terminal for network access point
KR20090002595U (ko)*2007-09-112009-03-16명성네트콤 (주)광접속분배함
KR20100060138A (ko)*2008-11-272010-06-07(주)모던테크광분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350839Y1 (ko)*2004-02-102004-05-17명성네트콤 (주)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의 슬라이딩 판넬 고정 구조
KR100584843B1 (ko)2004-02-102006-05-30명성네트콤 (주)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US20090148119A1 (en)*2007-02-282009-06-11Guy Castonguay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KR101214847B1 (ko)2011-04-132012-12-24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217677B1 (ko)*2020-04-102021-02-19(주)나이스에너지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13103206A1 (en)2013-07-11
KR20130081087A (ko)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317149B1 (ko)광케이블 단자함
US20230387669A1 (en)Telecommunications enclosure with a separate mountable hinge
US11402589B2 (en)Mechanical connection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s component
KR101406662B1 (ko)아우트렛 장치
US8886005B2 (en)Adapter retaining systems
US12276842B2 (en)Optical termination and derivation box
US20200384870A1 (en)Vehicle charge/discharge device
RU2562958C2 (ru)Передняя панель для розетки
EP1438621A2 (en)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ocket and an optical fiber plug
KR101285334B1 (ko)광케이블 단자함
US20160313525A1 (en)Shelf for communications rack or cabinet
KR101837336B1 (ko)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210078064A (ko)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66810B1 (ko)광케이블 단자함
KR102328829B1 (ko)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JP4270255B2 (ja)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ZA200302335B (en)Plugboard.
KR101777272B1 (ko)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KR102217677B1 (ko)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CN210041170U (zh)新型面板理线结构
KR100356709B1 (ko)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US10274690B2 (en)Enclosure with removable frame
KR200322654Y1 (ko)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KR20160140081A (ko)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KR200191132Y1 (ko)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810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0925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7-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2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