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286281B1 - 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 Google Patents

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281B1
KR101286281B1KR1020110094669AKR20110094669AKR101286281B1KR 101286281 B1KR101286281 B1KR 101286281B1KR 1020110094669 AKR1020110094669 AKR 1020110094669AKR 20110094669 AKR20110094669 AKR 20110094669AKR 101286281 B1KR101286281 B1KR 10128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jaw
wire
jaw
pulley
w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1019A (en
Inventor
김철웅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filedCritical(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94669ApriorityCriticalpatent/KR101286281B1/en
Publication of KR2013003101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30031019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28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286281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하부죠(lower jaw); 상기 하부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죠(upper jaw);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s a lower jaw (lower jaw); An upper jaw disposed to face the lower jaw, the upper jaw being relatively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jaw; A connec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driven pulley fixed to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nd rotating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A drive pulle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riven pulley;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driving pulley to the driven pulley.

Figure R1020110094669
Figure R1020110094669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벨트 구동식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Belt Driven Surgical Stapling Device {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본 발명은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이용하여 상부죠 및 하부죠의 회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태플링이 가능한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pling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capable of stapling as well as the rotation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using a belt.

암조직 또는 병변이 장문합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대장 내의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 시술자는 암 조직 또는 병변의 어느 일측에 있는 대장을 절단하고, 이와 동시에 대장의 2개의 개방단부(항문을 향하고 있는 원위 단부(遠位 端部, distal end)와 하측 대장에 가장 가까이 있는 근위 단부(近位 端部, proximal end))를 폐쇄상태로 문합시킨다. 이와 같은 임시폐쇄는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행된다.
If the cancerous tissue or lesion is at any location within the large intestine accessible to the intestinal anastomosis, the surgeon cuts the large intestine on either side of the cancerous tissue or lesion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open ends of the large intestine The distal end and the proximal end closest to the lower colon are anastomated in a closed state. Such temporary closure is done to minimize contamination.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와 같은 임시 폐쇄는 대장이 선형 문합 및 절단 도구의 선단에 있는 복수의 가위식 절단요소 사이에 배치된 후, 시술자는 장치의 손잡이에 있는 트리거를 눌러서 절단 요소들이 모이도록 만든다. 이후, 다른 트리거(또는 동일한 트리거의 2차 작동)가 조작되어 일련의 스태플과 절단 블레이드를 구동시켜서 대장의 클램핑된 단부를 통과하며, 이를 통해 단부가 폐쇄 및 횡단 절단된다.
More specifically, this temporary closure allows the colon to be placed between the linear anastomosis and the plurality of scissors cutting elements at the tip of the cutting tool, whereby the operator presses the trigger on the handle of the device to collect the cutting elements. . Thereafter, another trigger (or secondary operation of the same trigger) is manipulated to drive a series of staples and cutting blades through the clamped ends of the colon, through which the ends are closed and cross cut.

이와 같은 가위식 절단요소는 환자의 복강 내에 삽입된 후 대장의 방향에 따라 회동하여 대장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문합 및 절단이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구동방식에 의해 회동각도가 제한되므로, 대장의 길이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문합 및 절단이 단번에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2-3회의 반복 작업이 요구되었다.Such a scissor cutting element is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of the patient and then rotat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large intestin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rge intestine. However, the convention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s limited in the rotational angle by the driving method, it is disposed obliquely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rge intest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astomosis and cutting can not be done at once, which requires 2-3 repetitive work It became.

한국등록특허공보 10-0778729호 2007. 11. 16. 14쪽 <57>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78729, Nov. 16, 2007 Page 57한국등록특허공보 10-0834807호 2008. 5. 28. 18쪽 <41>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34807 2008. 5. 28. 18 p.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죠 및 하부죠의 회동과 관계없이 스태플링 및 절단이 가능한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capable of stapling and cutting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죠 및 하부죠의 충분한 회동변위를 확보할 수 있는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capable of ensuring sufficient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Still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하부죠(lower jaw); 상기 하부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죠(upper jaw);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s a lower jaw (lower jaw); An upper jaw disposed to face the lower jaw, the upper jaw being relatively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jaw; A connec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driven pulley fixed to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nd rotating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A drive pulle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riven pulley;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driving pulley to the driven pulley.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며, 내주면에 제1 종동기어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종동체; 상기 제1 종동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and rotates with the drive pulley, the first follower of the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first driven gear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drive gear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follower; And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gear.

상기 구동기어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동작위치 및 상기 제1 종동기어로부터 분리되는 제1 해제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The drive gear may be switched to a first operat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and a first releas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driven gear by shanghaidong.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그리고 상기 핸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고정홀들을 가지는 조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풀리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And a control plat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pulley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disposed around a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pulley, wherein the driving pulley is rotated by the first pulley. The first stopper may be inserted into one of the first fixing holes.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초기에 상기 하부죠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상부죠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하부죠와 상기 상부죠 사이에 위치한 조직(tissue)을 스태플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태플; 상기 스태플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며, 상기 스태플을 구동하는 쐐기(wedge); 상기 쐐기에 연결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쐐기와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그리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s initially located in the lower jaw and is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and moves toward the upper £ so that tissue located between the lower jaw ™ € the upper jaw is located. One or more staples to staple; A wedge disposed below the staple and transl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to drive the staple; A wire connected to the wedge and moving with the wedge by an applied tension; And the wire is connected, it may further include a bobbin to which the wire is wound by rotation.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하며, 내주면에 제2 종동기어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 종동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2 동작위치 및 상기 제2 종동기어로부터 분리되는 제2 해제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s connected to the bobbin and rotates with the bobbin, and further includes a cylindrical second follower body having a second driven gea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drive gear is moved by a shanghai.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second driven gear and the second releas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driven gear can be switched.

상기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종동기어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driven gear and the second driven gear may have the same shape.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고정홀들을 가지는 조절판; 그리고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the hand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A control plat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obbin, the contro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disposed around a rotation center of the bobbin; And a rotation body connected to the bobbi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bobbin and having a second stopper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fixing holes by rotation.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쐐기에 연결되며 상기 장력에 의해 변형가능하고 상기 장력의 제거시 상기 쐐기와 함께 복원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the wedge and deformable by the tension and restored with the wedge upon removal of the tension.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쐐기를 관통하는 상부와이어 및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쐐기에 고정되는 하부와이어, 그리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상기 하부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풀리에 감겨진 연결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pulley that is rotated as the wire is wound and the wire is wound, wherein the wire is an upper wi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wire passing through the wed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dge. Located in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wedge, and connecting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wire wound on the guide pulley.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쐐기를 관통하는 상부와이어 및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쐐기에 고정되는 하부와이어, 그리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상기 하부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풀리에 감겨진 연결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쐐기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와이어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pulley that is rotated as the wire is wound and the wire is wound, wherein the wire is an upper wi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wire passing through the wed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dge. A lower wir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wedge, and a connecting wire wound between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nd wound around the guide pulley, wherein the elastic body is opposite to the lower wire with respect to the wedge. Can be located.

상기 가이드풀리는 상기 하부죠의 원위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guide pulley is located at the distal portion of the lower jaw, one end of the elastic body may be fixed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상기 상부와이어의 이동방향과 상기 쐐기의 이동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pper wire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edge may be opposite.

상기 상부죠의 근위부는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쐐기는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를 향하여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하부죠의 원위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The proximal portion of the upper jaw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and the wedge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and may move toward the distal portion of the lower jaw by the tension. .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죠 및 하부죠의 회동변위가 클 경우에도 스태플링 및 절단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죠 및 하부죠가 충분한 회동변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스태플링 및 절단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is large, stapling and cutting can proceed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can secure a sufficient rotational displacemen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stapling and cutting even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절단문합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부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 및 구동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제1 종동기어 및 구동풀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조절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종동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동력전달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를 통해 하부죠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제2 종동기어 및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anastomosis unit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jaw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lever and the drive gear shown in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driven gear and the driving pulley shown in FIG. 4.
FIG. 7 is a view showing a throttle plate shown in FIG. 4.
8 is a view showing a driven pulley shown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shown in FIG.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e lower jaw rotating through the operation lever shown in FIG. 4.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driven gear and the bobbin illustrated in FIG. 4.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ire moves through the operation lever shown in FIG. 4.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wedg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한편, 이하에서는 대장의 스태플링 및 절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hereinafter, the stapling and cutting of the large intestine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description. .

또한, 이하에서, "근위(近位, proximal)" 및 "원위(遠位, distal)"는 임상의가 장문합장치의 핸들을 잡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된 것이다.
Also, below, "proximal" and "distal" are used on the basis of the clinician grasping the handle of the intestinal anastomosis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절단문합유닛(10) 및 구동유닛(30), 그리고 절단문합유닛(10)과 구동유닛(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샤프트(20)를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includes acutting anastomosis unit 10 and adriving unit 30, and a connectingshaft 20 positioned between thecutting anastomosis unit 10 and thedriving unit 30.

절단문합유닛(10)은 상부죠(12) 및 하부죠(14)를 구비하며, 가위와 마찬가지로, 상부죠(12) 및 하부죠(14)는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상부죠(12)와 하부죠(14)의 사이에 위치한 조직(tubular tissue)(예를 들어, 내장과 같은)을 클램핑한다. 하부죠(14)의 내부에는 문합 및 절단을 위한 쐐기(18)가 설치되며, 쐐기(18)는 이동을 통해 조직을 문합 및 절단한다.
Thecutting anastomosis unit 10 has anupper jaw 12 and alower jaw 14, and like the scissors,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re rotated relatively to theupper jaw 12 and the lower jaw. Clamp tubular tissue (eg, intestines) located between 14. Thelower jaw 14 is provided with awedge 18 for anastomosis and cutting, and thewedge 18 anastomizes and cuts tissue through movement.

구동유닛(30)은 핸들(32) 및 작동레버(36)를 구비하며, 시술자는 권총 손잡이 형상의 핸들(32)을 움켜쥐고 작동레버(36)를 조작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레버(36)는 핸들(32)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작동레버(36)의 회전력은 제1 및 제2 종동체(52,62)에 전달된다. 제1 종동체(52)의 회전을 통해 종동풀리(44)가 회전가능하며, 제2 종동체(62)의 회전을 통해 와이어(31)에 장력(tension)이 인가될 수 있다. 종동풀리(44)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죠(12) 및 하부죠(14)는 회전할 수 있으며, 와이어(31)에 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쐐기(18)는 이동하여 조직을 문합 및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drive unit 30 is provided with ahandle 32 and theoperating lever 36, the operator grasps thehandle 32 of the pistol grip shape and manipulates theoperating lever 36 to complete the procedu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operating lever 3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handle 32 and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operating lever 36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second followers 52, 62. The drivenpulley 44 is rotatab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first follower 52, and a tension may be applied to thewire 31 through the rotation of thesecond follower 62. As the drivenpulley 44 rotates,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can rotate, and as tension is applied to thewire 31, thewedge 18 moves to anastomosis and cut tissue. can d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절단문합유닛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부죠의 단면도이다. 상부죠(12)의 근위부는 하부죠(14)의 근위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부죠(12)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에 의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전환되며, 개방위치에서 상부죠(12)는 하부죠(14)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폐쇄위치에서 상부죠(12)는 하부죠(14)의 상부에 하부죠(14)와 대체로 나란하게 놓여진다. 수술시, 시술자는 별도의 조작기구(도시안함)를 조작하여 상부죠(12)를 하부죠(14)에 대해 회동시키며, 상부죠(12)는 회동에 의해 하부죠(14)로부터 분리되어 초기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상부죠(12)가 개방위치로 전환되면, 시술자는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 내장의 개방 단부를 배치하며, 상부죠(12)를 하부죠(14)에 대해 반대로 회동시켜 상부죠(12)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과정에서 개방 단부는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anastomosis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jaw shown in FIG. The proximal portion of theupper jaw 12 is connected via a hinge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lower jaw 14. Theupper jaw 12 is switched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by the rotation about the hinge, theupper jaw 12 in the open posi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lower jaw 14, theupper jaw 12 in the closed position ) Is generally placed side by side with thelower jaw 14 at the top of the lower jaw (14). At the time of operation, the operator operates a separate operating mechanism (not shown) to rotate theupper jaw 12 with respect to thelower jaw 14, and theupper jaw 12 is separated from thelower jaw 14 by the rotation and is initially operated. The switch is made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upper jaw 12 is switched to the open position, the operator places the open end of the viscera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nd rotates theupper jaw 12 against thelower jaw 14 in reverse. To return theupper jaw 12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open end can be clamped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죠(14)는 상부채널(15) 및 연결슬롯(16), 그리고 하부채널(17)을 가지며, 이들은 하부죠(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트레이(142)는 상부채널(15)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죠(14)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초기에 복수의 스태플들(152)이 장전된다. 스태플들(152)은 상부채널(15)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wedge)(18)를 통해 작동하며, 작동시 폐쇄위치에 놓여진 상부죠(12)를 향해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2, thelower jaw 14 has anupper channel 15, a connectingslot 16, and alower channel 17, which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lower jaw 14. Thetray 142 is installed on theupper channel 15 and is detachable from thelower jaw 14, and a plurality ofstaples 152 are initially loaded. Thestaples 152 operate through awedge 18 that moves along theupper channel 15 and moves toward theupper jaw 12 which is placed in the closed position during operation.

상부죠(12)는 트레이(142) 내의 스태플(152)에 대응되는 스태플 가이드(13)를 가지며, 스태플 가이드(13)는 상부죠(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트레이(142) 내의 스태플(152)은 스태플 가이드(13)를 향해 이동한 후 스태플 가이드(13)에 의해 만곡 변형되어 상부죠(12)와 하부죠(14)의 사이에 놓여진 조직의 개방 단부를 폐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죠(12)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 경우 시술자는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을 통해 트레이(142)에 접근할 수 있으며, 트레이(142) 내에 장전된 스태플(152)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트레이(142)로 교체할 수 있다.
Theupper jaw 12 has astaple guide 13 corresponding to the staple 152 in thetray 142, thestaple guide 13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jaw (12). Thestaples 152 in thetray 142 move toward the staple guides 13 and are bent and deformed by the staple guides 13 so that thestaples 152 are placed between theupper jaws 12 and thelower jaws 14. Close the open e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upper jaw 12 is switched to the open state, the operator may access thetray 142 through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nd the tray ( Thestaples 152 loaded in the 142 may be checked or replaced with anew tray 142.

또한, 상부죠(12)는 상부슬롯(12a)을 가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슬롯(12a)은 가이드슬롯(112a)과 이동슬롯(112b)을 가진다. 후술하는 가이드(18c)는 가이드슬롯(112a)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18c)는 가이드슬롯(112a)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상부죠(12)가 하부죠(14)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직이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 클램핑된 경우, 조직의 두께로 인해 상부죠(12)가 하부죠(14)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특히, 상부죠(12)의 원위 단부로 갈수록 이격거리는 증가한다. 따라서, 가이드(18c)를 이용하여 상부죠(12)를 가압하여 상부죠(12)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슬롯(12a)은 근위부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며, 상부죠(12)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가이드(18c)는 개구를 통해 가이드슬롯(112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후술하는 블레이드(18b)는 이동슬롯(112b)을 따라 이동한다.
In addition, theupper jaw 12 has anupper slot 12a, and as shown in FIG. 3, theupper slot 12a has aguide slot 112a and a movingslot 112b. Theguide 18c to be described later moves along theguide slot 112a, and theguide 18c pre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guide slot 112a to prevent theupper jaw 12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lower jaw 14. . If the tissue is clamped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the thickness of the tissue may cause theupper jaw 12 to be spaced apart from thelower jaw 14, in particular the distal of theupper jaw 12. The distance increases towards the e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ss theupper jaw 12 by using theguide 18c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jaw (12). Theupper slot 12a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proximal portion, and as theupper jaw 12 is switch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guide 18c can be inserted into theguide slot 112a through the opening. Theblade 18b to be described later moves along themovement slot 112b.

쐐기(18)는 하부죠(14)의 내부에 설치되며, 쐐기(18)는 이동을 통해 조직을 스태플링 및 절단한다. 쐐기(18)는 상부채널(15)을 따라 이동하며, 경사면(18a) 및 블레이드(18b), 그리고 가이드(18c)를 구비한다. 경사면(18a)은 하부죠(14)의 근위 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블레이드(18b)는 경사면(18a)의 상단으로부터 상부죠(12)를 향해 연장된다. 가이드(18c)는 블레이드(18b)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쐐기(18)가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18c)는 상부죠(12)에 형성된 가이드슬롯(12a)을 따라 이동한다.
Thewedge 18 is installed inside thelower jaw 14, thewedge 18 stapling and cutting the tissue through the movement. Thewedge 18 moves along theupper channel 15 and has aninclined surface 18a, ablade 18b, and aguide 18c. Theinclined surface 18a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roximal end of thelower jaw 14, and theblade 18b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inclined surface 18a toward theupper jaw 12. Theguide 18c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blade 18b, and as thewedge 18 moves, theguide 18c moves along theguide slot 12a formed in theupper jaw 12.

스태플(152)은 트레이(142) 아래로 돌출된 기부와 트레이(142)의 상부를 향해 뻗어 있는 갈래를 구비한다. 쐐기(18)가 상부채널(1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18b)는 조직을 절단하며, 쐐기(18)의 경사면(18a)은 스태플(152)의 기부를 가압한다. 스태플(152)의 갈래는 조직의 개방 단부를 통과하여 스태플 가이드(13)에 접촉하며, 스태플 가이드(13)는 스태플(152)을 만곡 성형하여 개방 단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조직의 개방 단부는 절단과 함께 폐쇄되며, 쐐기(18)가 상부채널(15)의 원위 단부까지 이동한 경우, 스태플들(152)은 모두 밀려서 트레이(142)를 통과하여 폐쇄 상태로 되며, 이를 통해 개방 단부가 문합된다. 이후, 쐐기(18)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Thestaple 152 has a base protruding below thetray 142 and a fork that extends toward the top of thetray 142. As thewedge 18 moves along theupper channel 15, theblade 18b cuts the tissue, and theinclined surface 18a of thewedge 18 presses the base of thestaple 152. The forked of thestaples 152 passes through the open end of the tissue and contacts thestaple guide 13, and thestaple guide 13 curves thestaples 152 to close the open ends. Thus, the open end of the tissue is closed with the cut, and when thewedge 18 has moved to the distal end of theupper channel 15, thestaples 152 are all pushed through thetray 142 and closed. This results in the anastomosis of the open end. Thewedge 18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와이어(31) 및 탄성체(50)는 하부채널(17) 내에 설치된다. 와이어(31)는 하부채널(17)의 원위부에 설치된 가이드풀리(42)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며, 와이어(31)의 일단은 쐐기(18)의 하부에 연결된 고정바(19)에 연결된다. 와이어(31)의 타단은 하부채널(17)의 근위부를 통해 연결샤프트(20)의 내부로 연장되며, 별도의 구동기구(도시안함)에 연결된다. 구동기구는 와이어(31)를 당겨 와이어(31)에 장력(tension)을 인가하며, 이를 통해 와이어(31)는 이동할 수 있다.
Thewire 31 and theelastic body 50 are installed in thelower channel 17. Thewire 31 is wound around theguide pulley 42 installed in the distal portion of thelower channel 17, one end of thewire 31 is connected to the fixingbar 19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wedge 18. The other end of thewire 31 extends into theconnection shaft 20 through the proximal portion of thelower channel 17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mechanism (not shown). The driving mechanism pulls thewire 31 to apply a tension to thewire 31, through which thewire 31 can move.

한편, 와이어(31)는 가이드풀리(42)를 기준으로 상부와이어(31a) 및 하부와이어(31c), 그리고 연결와이어(31b)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와이어(31a)는 고정바(19)를 관통하며, 상부와이어(31a)의 좌측단은 연결와이어(31b)에 연결되고 상부와이어(31a)의 우측단은 하부채널(17)의 근위부를 통해 구동기구에 연결된다. 하부와이어(31c)의 좌측단은 연결와이어(31b)에 연결되며, 하부와이어(31c)의 우측단은 고정바(19)에 고정되어 고정바(19)와 함께 이동한다. 연결와이어(31b)는 가이드풀리(42)에 감겨진 부분을 의미하며, 상부와이어(31a) 및 하부와이어(31c)는 연결와이어(31b)를 통해 연결된다. 상부와이어(31a) 및 하부와이어(31c), 그리고 연결와이어(31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풀리(42)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에 따라 규정된 것이며, 와이어(31)가 이동함에 따라 와이어(31)의 특정 부분이 상부와이어(31a)나 하부와이어(31c) 또는 연결와이어(31b)가 될 수 있다.
Meanwhile, thewire 31 may be divided into anupper wire 31a, alower wire 31c, and aconnection wire 31b based on theguide pulley 42. Theupper wire 31a penetrates the fixingbar 19, the left end of theupper wire 31a is connected to theconnection wire 31b, and the right end of theupper wire 31a is proximal to thelower channel 17.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mechanism. The left end of thelower wire 31c is connected to theconnection wire 31b, and the right end of thelower wire 31c is fixed to the fixingbar 19 to move together with the fixingbar 19. Theconnection wire 31b means a portion wound around theguide pulley 42, and theupper wire 31a and thelower wire 31c are connected through theconnection wire 31b. Theupper wire 31a, thelower wire 31c, and the connectingwire 31b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guide pulley 4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s thewire 31 moves, the wire ( A specific portion of 31 may be theupper wire 31a, thelower wire 31c or the connectingwire 31b.

사이드풀리(41)는 하부채널(17)의 근위부에 설치되며, 와이어(31)의 측방향에 위치한다. 상부죠(12) 및 하부죠(14)가 연결샤프트(20)에 대하여 회동할 경우, 사이드풀리(41)는 와이어(31)의 측면을 지지하며, 와이어(31)가 이동함에 따라 사이드풀리(41)는 회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풀리(42)는 와이어(31)의 이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Theside pulley 41 is installed in the proximal portion of thelower channel 17 and is located laterally of thewire 31. Wh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rotate about the connectingshaft 20, theside pulley 41 supports the side of thewire 31, and as thewire 31 moves, the side pulley ( 41) can rotate. Similarly, theguide pulley 42 can rotate by the movement of thewire 31.

탄성체(50)의 일단은 고정바(19)에 연결되며, 탄성체(50)의 타단은 하부채널(17)의 근위부 측벽(17b)에 연결된다. 탄성체(50)는 고정바(19)를 기준으로 하부와이어(31c)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탄성체(50)는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일 수 있으며, 와이어(31)에 장력이 인가됨에 따라 인장변형되고 와이어(31)에 인가된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복원될 수 있다.
One end of theelastic body 50 is connected to the fixingbar 19, and the other end of theelastic body 50 is connected to theproximal side wall 17b of thelower channel 17. Theelastic body 5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lower wire 31c with respect to the fixingbar 19. Theelastic body 50 may be a tension spring, and may be deformed as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wire 31 and restored as the tension applied to thewire 31 is removed.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36) 및 구동기어(3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6)는 핸들(32)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6)는 구동축(38)을 통해 구동기어(39)에 연결된다. 구동축(38)은 핸들(32)의 상부면을 관통하며, 작동레버(36)의 회전시 구동축(38)은 제3 회전중심(R3)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lever 36 and thedrive gear 39 shown in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actuatinglever 36 is located above thehandle 3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nglever 36 is connected to thedrive gear 39 through thedrive shaft 38. The drivingshaft 38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handle 32, and when the operatinglever 36 rotates, the drivingshaft 38 may rotate based on the third rotation center R3.

제1 종동체(52)는 핸들(32)의 내부에 실장되며, 원통 형상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제1 종동기어(54) 및 구동풀리(5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종동체(52)의 내주면에는 제1 종동기어(54)가 형성되며, 제1 종동기어(54)는 구동기어(39)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기어(39)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기어(39)는 수기어 형상이며, 제1 종동기어(54)는 암기어 형상이다. 제1 종동체(52)는 구동풀리(56)에 연결되며, 구동풀리(56)는 제1 종동체(52)와 함께 회전한다.
Thefirst follower 52 is mounted inside thehandle 32 and has a cylindrical shap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drivengear 54 and the drivingpulley 56 shown in FIG. 4. A first drivengear 54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first follower 52, and the first drivengear 54 rotates together with thedrive gear 39 while being engaged with thedrive gear 39. Thedrive gear 39 has a male gear shape, and the first drivengear 54 has a female gear shape. Thefirst follower 52 is connected to the drivepulley 56, and thedrive pulley 56 rotates together with thefirst follower 52.

조절판(34)은 핸들(32)의 내부에 고정설치된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조절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절판(34)은 제1 및 제2 관통홀(136,132)과 제1 및 제2 고정홀들(138,134)을 가진다. 제1 관통홀(136)은 제3 회전중심(R3) 상에 위치하며, 제1 고정홀들(138)은 제1 관통홀(136)(또는 제3 회전중심(R3))의 둘레에 위치한다. 제1 고정홀들(138)은 등각(θ, 예를 들어, 30°)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2 관통홀(132)은 제2 회전중심(R2) 상에 위치하며, 제2 고정홀들(134)은 제2 관통홀(132)(또는 제2 회전중심(R2))의 둘레에 위치한다. 제2 고정홀들(134)은 등각(θ, 예를 들어, 30°)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The adjustingplate 34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handle 32. FIG. 7 is a view showing a throttle plate shown in FIG. 4. Thecontrol plate 34 has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136 and 132 and first and second fixing holes 138 and 134. The first throughhole 136 is positioned on the third rotation center R3, and the first fixingholes 138 are positioned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136 (or the third rotation center R3). do. The first fixing holes 138 are arranged to form an equiangular angle θ, for example, 30 °. The second throughhole 132 is positioned on the second rotation center R2, and the second fixing holes 134 are positioned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132 (or the second rotation center R2). do. The second fixing holes 134 are disposed to form a conformal angle θ, for example, 30 °.

제1 종동축(59)은 구동풀리(56)에 연결되며, 조절판(34)에 형성된 제1 관통홀(136)에 삽입되어 제1 관통홀(136) 내에서 구동풀리(56)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조절판(34)과 대향되는 구동풀리(56)의 일면에는 제1 스토퍼(58)가 형성되며, 제1 스토퍼(58)는 제1 고정홀들(13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구동풀리(56)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레버(36)의 회전시, 제1 스토퍼(58)는 구동풀리(56)와 함께 회전하여 제1 고정홀들(138)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시술자는 제1 스토퍼(58)가 이동한 제1 고정홀(138)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작동레버(36)의 회전각도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작동레버(36)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제1 스토퍼(58)는 제1 고정홀(138)에 삽입되어 현재 작동레버(36)의 회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동레버(36)를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력에 의해 구동풀리(56)가 회전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drivenshaft 59 is connected to the drivingpulley 56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136 formed in the adjustingplate 34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ingpulley 56 in the first throughhole 136. do. In this case, afirst stopper 58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rivingpulley 56 facing thecontrol plate 34, and thefirst stopper 58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fixing holes 138. The rotation of thedrive pulley 56 may be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lever 36 is rotated, thefirst stopper 58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pulley 56 to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holes 138, and the operator may use thefirst stopper 58. By grasping the number of the first fixing hole (138) is moved can be immediately known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ng lever (36).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does not operate the operatinglever 36, thefirst stopper 58 may be inserted into thefirst fixing hole 138 to maintain the rotation of thecurrent operating lever 36, thereby operating Although thelever 36 is not operated, the malfunction of the drivingpulley 56 being rotated by the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한편, 하부죠(14)의 근위부는 연결샤프트(20)의 원위부에 연결된다. 하부죠(14)는 상하에 연결된 회동축(45)을 통해 연결샤프트(20)에 연결되며, 회동축(45)은 제1 회전중심(R1)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부죠(14)는 제1 회전중심(R1)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lower jaw 14 is connected to the distal portion of the connectingshaft 20. Thelower jaw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shaft 20 through the rotatingshaft 45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the rotatingshaft 45 is located on the first center of rotation (R1). Therefore, thelower jaw 14 may rotate based on the first rotation center R1.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종동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동풀리(44)는 지지축(46)을 통해 하부죠(14)의 근위부에 고정설치되며, 종동풀리(44) 및 지지축(46)의 회전시 하부죠(14)는 함께 회동한다. 이때, 종동풀리(44) 및 지지축(46)은 제1 회전중심(R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하부죠(14)도 제1 회전중심(R1)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종동풀리(44)는 동력전달부재(예를 들어, 벨트와 같은)(B)를 통해 구동풀리(56)와 연결되며, 구동풀리(56)의 회전시 종동풀리(44)는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상부죠(12) 및 하부죠(14)는 회전할 수 있다.
8 is a view showing a driven pulley shown in FIG. The drivenpulley 44 is fixedly installed at the proximal portion of thelower jaw 14 through thesupport shaft 46, and thelower jaw 14 rotates together when the drivenpulley 44 and thesupport shaft 46 rotate. At this time, the drivenpulley 44 and thesupport shaft 46 rotates based on the first rotation center R1, and thelower jaw 14 also rotates based on the first rotation center R1. The drivenpulley 44 is connected to the drivepulley 56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mber (eg, a belt, for example) B, and the drivenpulley 44 rotates together when thedrive pulley 56 is rotated. As a result,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can rotate.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동력전달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B)는 내측의 길이(

Figure 112011073117252-pat00001
)가 외측의 길이(
Figure 112011073117252-pat00002
)보다 작은 V벨트일 수 있다. V벨트는 평벨트에 비하여 접촉면적이 넓으므로 미끄럼이 적다. 구동풀리(56) 및 종동풀리(44)의 외주면은 V벨트에 대응되는 V자홈을 가질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B)의 내측은 구동풀리(56) 및 종동풀리(44)의 외주면과 접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동력전달부재(B)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풀리(56) 및 종동풀리(44)의 외주면은 타이밍 벨트에 대응되는 기어를 가질 수 있다.
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B has an inner length (
Figure 112011073117252-pat00001
) Is the outside length (
Figure 112011073117252-pat00002
It can be a V-belt smaller than). V-belts have less sliding than wide belts because they have a larger contact area.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drivingpulley 56 and the drivenpulley 44 may have a V-shap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V belt. The inn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B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ivingpulley 56 and the drivenpulley 44.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B) can be replaced by a timing belt, in this ca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drive pulley 56 and the drivenpulley 44 are gears corresponding to the timing belt. It can have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를 통해 하부죠가 회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술자는 상부죠(12) 및 하부죠(14)를 회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작동레버(36)를 이용하여 구동기어(39)를 제1 종동체(52)의 제1 종동기어(54)에 맞물린다. 이를 통해, 구동기어(39)는 제1 종동기어(54)와 분리된 상태('제1 해제위치')에서 제1 종동기어(54)와 맞물린 상태('제1 동작위치')로 전환되며, 제1 종동체(52)와 구동풀리(56)는 제1 동작위치에서 작동레버(36)의 회전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풀리(56)의 회전력은 동력전달부재(B)를 통해 종동풀리(44)에 전달되며, 이를 통해 종동풀리(44)와 상부죠(12) 및 하부죠(14)는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작동레버(36)의 회전방향과 상부죠(12) 및 하부죠(14)의 회동방향은 일치한다.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e lower jaw rotating through the operation lever shown in FIG. 4. When the operator needs to rotate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s shown in FIG. 10, the operator uses the operatinglever 36 to drive thedrive gear 39 to the first follower (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gear 54 of 52). As a result, thedriving gear 39 is switch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driven gear 54 ('first release position') to the engaged state ('first operating position') with the first drivengear 54. In addition, thefirst follower 52 and the drivingpulley 56 may rotat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lever 36 in the first operating pos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pulley 56 is transmitted to the drivenpulley 44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B, through which the drivenpulley 44 and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can rotate. At this tim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peratinglever 36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is the sam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레버(36)의 회전시 제1 스토퍼(58)가 제1 고정홀들(138)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므로, 시술자는 제1 스토퍼(58)가 이동한 제1 고정홀(138)의 개수를 통해 작동레버(36)의 회전각도를 알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first stopper 58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holes 138 when the operatinglever 36 is rotated, the operator may fix thefirst stopper 58 to which thefirst stopper 58 is moved. The rotation angle of theoperation lever 36 can be known through the number ofholes 138.

도 11은 도 4에 도시한 제2 종동기어 및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종동체(62)는 핸들(32)의 내부에 실장되며, 원통 형상이다. 제2 종동체(62)의 내주면에는 제2 종동기어(63)가 형성되며, 제2 종동기어(63)는 구동기어(39)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기어(39)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기어(39)는 수기어 형상이며, 제2 종동기어(63)는 암기어 형상이다.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64)는 제2 종동체(62)의 하부에 연결되며, 보빈(68)은 회전체(64)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2 종동체(62)의 회전시 회전체(64) 및 보빈(68)은 함께 회전한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driven gear and the bobbin illustrated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second follower 62 is mounted inside thehandle 32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 second drivengear 63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econd follower 62, and the second drivengear 63 rotates together with thedrive gear 39 while being engaged with thedrive gear 39. Thedrive gear 39 has a male gear shape, and the second drivengear 63 has a female gear shape. Thecylindrical rotor 64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second follower 62, thebobbin 68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rotor 64. In the rotation of thesecond follower 62, therotor 64 and thebobbin 68 rotate together.

보빈(68)은 조절판(34)에 형성된 제2 관통홀(132)에 삽입되며, 제2 관통홀(132) 내에서 회전체(64)와 함께 회전한다. 보빈(68)은 와이어(31)가 고정되는 관통홀(68a)을 가지며, 와이어(31)는 관통홀(68a)에 삽입된 상태에서 매듭을 짓는 방법으로 보빈(68)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빈(68)이 회전할 경우, 와이어(31)는 보빈(68)에 감겨 보빈(68)을 향해 당겨지므로, 와이어(31)에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Thebobbin 6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hole 132 formed in the adjustingplate 34,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body 64 in the second throughhole 132. Thebobbin 68 has a throughhole 68a to which thewire 31 is fixed, and thewire 31 may be fixed to thebobbin 68 by knotting in a state where thewire 3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68a. Therefore, when thebobbin 68 rotates, thewire 31 is wound around thebobbin 68 and pulled toward thebobbin 68, so that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wire 31.

한편, 조절판(34)과 대향되는 회전체(64)의 일면에는 제2 스토퍼(66)가 형성되며, 제2 스토퍼(66)는 제2 고정홀들(134)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회전체(6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레버(36)의 회전시, 제2 스토퍼(66)는 회전체(64)와 함께 회전하여 제2 고정홀들(134)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시술자는 제2 스토퍼(66)가 이동한 제2 고정홀(134)의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작동레버(36)의 회전각도를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작동레버(36)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제2 스토퍼(66)는 제2 고정홀(134)에 삽입되어 현재 작동레버(36)의 회전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동레버(36)를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력에 의해 회전체(64)가 회전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econd stopper 66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rotating body 64 facing thecontrol plate 34, and thesecond stopper 66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econd fixing holes 134. The rotation of therotor 64 can be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lever 36 is rotated, thesecond stopper 66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body 64 to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s 134, and the operator may operate thesecond stopper 66. By grasping the number of the second fixing hole (134) is moved can be immediately known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ng lever (36).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does not operate the operatinglever 36, thesecond stopper 66 may be inserted into thesecond fixing hole 134 to maintain the rotation of thecurrent operating lever 36, thereby operating Even if thelever 36 has not been operated, a malfunction in which therotating body 64 rotates by an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도 12는 도 4에 도시한 작동레버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와이어 및 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moves through the operation lever shown in FIG. 4,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edge shown in FIG. 2.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ire and the wed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먼저, 시술자는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 내장의 개방 단부를 배치하며, 상부죠(12)를 하부죠(14)에 대해 반대로 회동시켜 상부죠(12)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과정에서 개방 단부는 상부죠(12)와 하부죠(14)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때, 쐐기(18)는 상부채널(15)의 근위부에 위치한다.
First, the operator places the open end of the viscera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nd rotates theupper jaw 12 against thelower jaw 14 by rotating theupper jaw 12 in the open position. Return to the closed position. In this process the open end can be clamped betwe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where thewedge 18 is located proximal to theupper channel 15.

이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작동레버(36)를 이용하여 구동기어(39)를 제1 종동체(52)의 제1 종동기어(54)로부터 분리하여 제2 종동체(62)의 상부로 이동한 후, 제2 종동체(62)의 제2 종동기어(63)에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기어(39)는 제2 종동기어(63)와 분리된 상태('제2 해제위치')에서 제2 종동기어(63)와 맞물린 상태('제2 동작위치')로 전환되며, 제2 종동체(62)와 보빈(68)은 제2 동작위치에서 작동레버(36)의 회전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보빈(68)이 회전시 와이어(31)는 보빈(68)에 감겨 보빈(68)을 향해 당겨지므로, 와이어(31)에 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12, the operator separates thedrive gear 39 from the first drivengear 54 of thefirst follower 52 using theoperation lever 36, and thesecond follower 62. After moving to the top of the), it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drivengear 63 of the second follower (62). As a result, thedriving gear 39 is switch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driven gear 63 ('second release position') to the engaged state ('second operation position') with the second drivengear 63. In addition, thesecond follower 62 and thebobbin 68 may rotat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lever 36 in the second operating position. When thebobbin 68 is rotated, thewire 31 is wound around thebobbin 68 and pulled toward thebobbin 68, so that tension may be applied to thewire 31.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와이어(31)를 당기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이어(31a)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풀리(42)는 회전하며, 고정바(19)는 쐐기(18)와 함께 좌측(또는 상부채널(15)의 원위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쐐기(18)가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18b)는 조직을 절단하며, 쐐기(18)의 경사면(18a)은 스태플(152)의 기부를 가압한다. 또한, 가이드(18c)는 가이드슬롯(112a)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18c)는 가이드슬롯(112a)의 바닥면을 가압하여 상부죠(12)가 하부죠(14)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이드풀리(42)는 하부채널(17)의 바닥면에 설치된 고정판(4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판(40)은 고정바(19)의 이동을 제한한다.
When thewire 31 is pulled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13, theguide pulley 42 rotates while theupper wire 31a moves to the right side, and the fixingbar 19 moves together with thewedge 18. Move to the left (or distal side of the upper channel 15). At this time, as thewedge 18 moves, theblade 18b cuts the tissue, and theinclined surface 18a of thewedge 18 presses the base of thestaple 152. In addition, theguide 18c moves along theguide slot 112a, and theguide 18c pre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guide slot 112a to prevent theupper jaw 12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lower jaw 14. . On the other hand, theguide pulley 42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plate 4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lower channel 17, the fixingplate 4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fixing bar (19).

상술한 바에 의하면, 작동레버(36)를 이용하여 와이어(31)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쐐기(18)를 구동하여 스태플링을 완료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31)는 상부죠(12) 및 하부죠(14)가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회동한 경우에도 동력전달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와이어(31)는 사이드풀리(4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쐐기(18)를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죠(12) 및 하부죠(14)의 회동과 관계 없이 스태플링 및 절단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상부죠(12) 및 하부죠(14)가 구동방식에 의해 회동각도가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부죠(12) 및 하부죠(14)가 충분한 회동변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스태플링 및 절단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wire 31 by using theoperation lever 36, through which thewedge 18 can be driven to complete the stapling. In particular, thewire 31 is not affected by power transmission even when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rotate about the connecting shaft, and thewire 31 is supported by theside pulley 41. In the state, thewedge 18 can be driven smoothly. Therefore, stapling and cutt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and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have limited rotation angles by the driving method. Do not receive. Therefore, theupper jaw 12 and thelower jaw 14 can secure sufficient rotational displacement, and can smoothly proceed stapling and cutting even in a narrow space.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바(19)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체(50)는 인장변형된다. 시술자는 쐐기(18)의 이동을 통해 스태플링이 완료된 후, 작동레버(36)를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31)에 인가된 장력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고정바(19)는 탄성체(5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도 2에 도시)로 복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3, as the fixingbar 19 moves to the left, theelastic body 50 is tensilely deformed. After the stapling is comple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wedge 18, the practitioner can remove the tension applied to thewire 31 by rotating the operatinglever 36 in reverse, and as the tension bar is removed, the fixingbar 19 i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elastic body 50, it can return to an original position (shown in FIG. 2).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other forms of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10 : 절단문합유닛12 : 상부죠
14 : 하부죠18 : 쐐기
19 : 연결바20 : 연결샤프트
30 : 구동유닛31 : 와이어
32 : 핸들34 : 조절판
36 : 작동레버39 : 구동기어
41 : 사이드풀리42 : 가이드풀리
44 : 종동풀리46 : 지지축
52 : 제1 종동체54 : 제1 종동기어
56 : 구동풀리58 : 제1 스토퍼
62 : 제2 종동체63 : 제2 종동기어
66 : 제2 스토퍼68 : 보빈
10: cutting anastomosis unit 12: upper jaw
14: lower jaw 18: wedge
19: connecting bar 20: connecting shaft
30: drive unit 31: wire
32: handle 34: throttle
36: operating lever 39: drive gear
41: side pulley 42: guide pulley
44: driven pulley 46: support shaft
52: first driven body 54: first driven gear
56: drive pulley 58: first stopper
62: second driven gear 63: second driven gear
66: second stopper 68: bobbin

Claims (14)

Translated fromKorean
삭제delete하부죠(lower jaw);
상기 하부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죠(upper jaw);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구동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며, 내주면에 제1 종동기어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종동체;
상기 제1 종동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종동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Lower jaw;
An upper jaw disposed to face the lower jaw, the upper jaw being relatively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jaw;
A connec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driven pulley fixed to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nd rotating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A drive pulle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riven pulley;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to transfer power of the driving pulley to the driven pulley;
A cylindrical first follower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ing pulley and having a first driven gear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drive gear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follower; And
And a working lever connected to the drive gear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ge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동작위치 및 상기 제1 종동기어로부터 분리되는 제1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drive gear is switched to a first operat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and a first releas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driven gear by a shanghaidong.
하부죠(lower jaw);
상기 하부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죠(upper jaw);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고정홀들을 가지는 조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풀리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Lower jaw;
An upper jaw disposed to face the lower jaw, the upper jaw being relatively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jaw;
A connec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driven pulley fixed to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nd rotating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A drive pulle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riven pulley;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to transfer power of the driving pulley to the driven pulley;
A hand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haft; And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rive pulley,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ixing holes disposed arou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has a first stopper inserted into one of the first fixing holes by rotation.
하부죠(lower jaw);
상기 하부죠와 마주보는 상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부죠에 대하여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죠(upper jaw);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하부죠 및 상기 상부죠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회동하는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풀리의 동력을 상기 종동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초기에 상기 하부죠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상부죠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하부죠와 상기 상부죠 사이에 위치한 조직(tissue)을 스태플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태플;
상기 스태플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며, 상기 스태플을 구동하는 쐐기(wedge);
상기 쐐기에 연결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쐐기와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Lower jaw;
An upper jaw disposed to face the lower jaw, the upper jaw being relatively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jaw;
A connecting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driven pulley fixed to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nd rotating together with any one of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haft;
A drive pulley for providing power to the driven pulley;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and the driving pulley to transfer power of the driving pulley to the driven pulley;
At least one staple initially positioned in the lower jaw and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moving toward the upper jaw to staple tissue located between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wedge disposed below the staple and transl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to drive the staple;
A wire connected to the wedge and moving with the wedge by an applied tension; And
The stapling enteric device for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further connected, further comprising a bobbin wound by the wire by ro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초기에 상기 하부죠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며, 상기 상부죠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하부죠와 상기 상부죠 사이에 위치한 조직(tissue)을 스태플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태플;
상기 스태플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죠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진이동하며, 상기 스태플을 구동하는 쐐기(wedge);
상기 쐐기에 연결되며, 인가된 장력에 의해 상기 쐐기와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하며, 내주면에 제2 종동기어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제2 종동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제2 종동기어와 맞물리는 제2 동작위치 및 상기 제2 종동기어로부터 분리되는 제2 해제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At least one staple initially positioned in the lower jaw and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moving toward the upper jaw to staple tissue located between the lower jaw and the upper jaw;
A wedge disposed below the staple and transl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jaw to drive the staple;
A wire connected to the wedge and moving with the wedge by an applied tension;
A bobbin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and to which the wire is wound by rotation;
And a cylindrical second follower connected to the bobbin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bobbin, the second driven gear being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drive gear is switched to a second operating position engaged with the second driven gear and a second release position separated from the second driven gear by the shanghaido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종동기어는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irst driven gear and the second driven gear have the same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빈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고정홀들을 가지는 조절판; 및
상기 보빈에 연결되어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홀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A hand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haft;
A control plat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andle and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obbin, the control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holes disposed around a rotation center of the bobbin; And
A stapling surgical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bobbin to rotate together with the bobbin and having a second stopper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fixing holes by rotation.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쐐기에 연결되며 상기 장력에 의해 변형가능하고 상기 장력의 제거시 상기 쐐기와 함께 복원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es a elastic body connected to the wedge and deformable by the tension and restored with the wedge upon removal of the tension.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쐐기를 관통하는 상부와이어 및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쐐기에 고정되는 하부와이어, 그리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상기 하부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풀리에 감겨진 연결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9,
The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pulley that is rotated as the wire is wound and the wir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dge, the upper wire passing through the wedge and the lower wire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wir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wedge, and connects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nd the guide pulley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wire wound 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는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 상기 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쐐기를 관통하는 상부와이어 및 상기 상부와이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쐐기에 고정되는 하부와이어, 그리고 상기 상부와이어와 상기 하부와이어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풀리에 감겨진 연결와이어를 구비하되,
상기 탄성체는 상기 쐐기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와이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pulley that is rotated as the wire is wound and the wire is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dge, the upper wire passing through the wedge and the lower wire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wir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wedge, and connects the upper wire and the lower wire and the guide pulley With a connecting wire wound on
And the elastic body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wire with respect to the wed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풀리는 상기 하부죠의 원위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guide pulley is located distal to the lower jaw,
One end of the elastic body is a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이어의 이동방향과 상기 쐐기의 이동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Surgical stapling enteric anastom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upper wire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edge is opposite.
제5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죠의 근위부는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쐐기는 상기 하부죠의 근위부를 향하여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하부죠의 원위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스태플링 장문합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9,
The proximal portion of the upper jaw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The wedge has a slope inclined upward towar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lower jaw,
Surgical stapling anastomo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toward the distal portion of the lower jaw by the tension.
KR1020110094669A2011-09-202011-09-20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Expired - Fee RelatedKR101286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10094669AKR101286281B1 (en)2011-09-202011-09-20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10094669AKR101286281B1 (en)2011-09-202011-09-20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30031019A KR20130031019A (en)2013-03-28
KR101286281B1true KR101286281B1 (en)2013-07-15

Family

ID=4818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10094669AExpired - Fee RelatedKR101286281B1 (en)2011-09-202011-09-20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2862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3243955B (en)*2021-06-182022-05-03苏州优脉瑞医疗科技有限公司Anastomat capable of accurately positioning angle of nail b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08289895A (en)*1995-04-211996-11-05Olympus Optical Co LtdSuture device
JP2005342267A (en)2004-06-032005-12-15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instrument
JP2010012264A (en)*2008-07-012010-01-21Tyco Healthcare Group LpRetraction mechanism with clutch-less drive for use with surgical apparatus
US7861907B2 (en)1991-10-182011-01-04Tyco Healthcare Group LpSurgical stap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7861907B2 (en)1991-10-182011-01-04Tyco Healthcare Group LpSurgical stapling apparatus
JPH08289895A (en)*1995-04-211996-11-05Olympus Optical Co LtdSuture device
JP2005342267A (en)2004-06-032005-12-15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instrument
JP2010012264A (en)*2008-07-012010-01-21Tyco Healthcare Group LpRetraction mechanism with clutch-less drive for use with surg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30031019A (en)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6389007B2 (en) Staple cartridge unit and medical stapler using the staple cartridge unit
CN100569190C (en) Surgical Suture Instruments
US5653374A (en)Self-contained powered surgical apparatus
EP2243433B1 (en)Self-contained powered surgical apparatus
US20160317172A1 (en)Tissue excision device
EP3087928A1 (en)Treatment tool handle and treatment tool
EP2286737A1 (en)One handed stapler
EP3165177A1 (en)Single-trigger clamping and firing of surgical stapler
EP1982657A2 (en)Flexible endoluminal surgical instrument
JPWO2013073523A1 (en) Medical equipment
EP2943133A1 (en)Low profile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12739274A (en) Articulating Blade Deployment
KR101286281B1 (en)Belt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US9320519B1 (en)Single-trigger clamping and firing of surgical stapler
KR102143102B1 (en)Linear Stapler
KR20250083814A (en)End tool and surgical instrument
KR101111213B1 (en) Gear and cam type anastomosis device
WO2016199258A1 (en)Medical stapler
KR101334203B1 (en)Wire drive type surgical stapling enteroanastomotic device
KR102729812B1 (en)End tool, cartridge, surgical instrument and operation method of surgical instrument
US20250160830A1 (en)Cartridge for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cartridge
KR101584064B1 (en)Anastomosis apparatus
EP1832237B1 (en)Ligature and suture device for medical application
KR20250038550A (en)End tool, cartridge, surgical instrument and operation method of surgical instrument
KR20070108134A (en) Surgical stapling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7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71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