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remotely using a smart phone and a door lock device thereof.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키(key)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 없이 문을 개폐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설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 개폐 시스템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키의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ing a key operation, which is mainly used, has been designed to be so complicated and robust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the key.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key for setting and unlock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s also very complicated.
그러나, 종래의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를 복제하기가 용이하여 보안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를 복수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도어 개폐 장치들(예를 들어, 일반 출입문, 자동차, 책상 등)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을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키를 관리함에도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Howeve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by a conventional key operation is easy to duplicate the ke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the security is very low. In addition, for a user who uses a plurality of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by key operation,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ll the key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for example, a general door, a car, and a desk). In addition,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in managing a plurality of keys.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어 시스템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눌러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문을 개폐하는 버튼식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었지만, 버튼이 도어의 외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성이 컸다. 또한, 비밀번호 누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One of the door systems that are still widely used until now is a button-typ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ss by pressing a password. Through th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separate key has been eliminated, but since the button is located outside the door, there was a high risk of failure. It also had security problems due to password leaks.
그에 따라, 근래에는 도어의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개폐 방식에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사용자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has been technologically developed from a conventional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contact smart card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contactless smart card. Even in the case of us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using a non-contact smart card, the user must have a separate smart card,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terms of use and management.
이러한 사용 및 관리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10-0969594호에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어락 제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의 마스터 유심카드와 동일한 전화번호로 발급된 슬래이브 유심카드를 도어락에 발급하고, 두 장치 간 호 연결 또는 메세지 전송시 도어락 서버에 의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구분함으로써 두 단말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한 도어락 제어가 가능하고 제3자에게 전화번호가 노출되더라도 도어락 접근이 불가능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은 도어락 서버를 마련해야 하므로,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축에 많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inconvenience in use and management,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969594 discloses a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this door lock control system, the slave lock SIM card issued by the same phone number as the master SIM card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ssued to the door lock. By distinguishing between two terminal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oor lock by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and even if the phone number is exposed to a third party, the door lock is not accessible, thereby enhancing security.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mobile terminal has to provide a door lock ser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resources and time to build a door lock control system.
이러한 도어락 서버를 제외하여 구현된 도어락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148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도어락 장치가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도어락 장치가 구동되고 있다. 즉, 도어락 장치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입력받기 때문에, 도어락 장치의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한번에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system implemented by excluding such a door lock serv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4893. In this patent, the door lock device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button operation and the door lock device is driven. That is, since th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door lock device is input, anyone who knows the password of the door lock device can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at once.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한번의 인증절차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많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refore, the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inferior security because it performs only one authentication procedure.
국내 등록특허 제10-0969594호, 한국공개특허 10-2011-0014893Domestic Patent No. 10-0969594,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1-001489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remotely using a smart phone and its door lock device.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도어락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통신부; 키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키버튼 조작에 대응하여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영상을 캡쳐하는 카메라부;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도어락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 및 미리 결정된 조건이 발생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영상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 영상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도어락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올바른 비밀번호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보안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보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door lock device remotely controlled by a smartphon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phone; An input unit including a key button and receiving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key button operation;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A motor driver for driving the door lock mot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And capturing an image by driving the camera unit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occurs, and transmitting door lock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aptured image and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and the door does not open even if a correct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entering the security state and releasing the security state when receiving a command for releasing the security state from the smartphone.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a password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소정 횟수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passwor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does not match the password stored in the door lock devic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소정 횟수는 3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thre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도어락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when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is released, and transmit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when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smartph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기존 비밀번호 및 새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존 비밀번호가 정당한 경우, 상기 수신된 새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xisting password and a new password from the smartphone when a change of the password is requested from the smartphone, and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with the received new password if the received existing password is justified. It can be set as a password.
상기 통신부는 댁내 설치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상기 통신부는 RS23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댁내 설치된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home using an RS232c communica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도어락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이 발생되면 영상을 캡쳐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가 상기 캡쳐 영상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도어락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가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 보안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도어락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안 상태에 대한 해제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보안 상태의 해제를 위한 명령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보안 상태의 해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보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door lock device using a smart phone includes the steps of capturing an image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occurs by the door lock device; Transmitting, by the door lock devic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aptured image and related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Entering a security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t opened even if a correct password is input to the door lock device; Notifying the user when the smart phone receives door lock state information, and receiving a release for the security state from the user; Transmitting, by the smartphone, a command for releasing the security state to the door lock device; And releasing the security state when the door lock device receives a command for releasing the security state from the smartphone.
상기 도어락 장치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태 정보 및 상기 스마트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may store a password for releasing a locked stat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은 상기 도어락 장치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소정 횟수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password inputted to the door lock device does not match the password stored in the door lock devic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소정 횟수는 3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ay be three.
상기 도어락 장치 원격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도어락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may include: storing, by the door lock device,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when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is released; And transmitting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to the smart phone when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is requested through the smart phone.
상기 도어락 장치 원격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비밀번호의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기존 비밀번호 및 새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수신된 기존 비밀번호가 정당한 경우, 상기 수신된 새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the existing password and the new password from the smartphone, when the door lock device is requested to change the password from the smartphone; The door lock device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received new password as a password for releasing a lock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when the received existing password is justifi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도어락 장치에 따르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도어락 장치의 상태를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제공받으며 또한 별도의 도어락 서버를 구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안성 및 편리성이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device remotely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oor lock device, not only controls the door lock using the smart phone, but also receives the state of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smart phone and also separately Since there is no need to build a door lock server,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security and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ontrol flow for changing the unlock password of the door lock device i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ntrol flow whe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oor lock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Figure 4 shows the control flow whe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oor lock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100), 통신망(30) 및 스마트폰(40)을 포함한다. 도어락 장치(100)는 도어나 창문 등에 부착(또는 구비)되며, 당해 도어락 장치(100)에 상응하여 설정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 개폐, 상태 조회 또는/및 당해 도어락 장치(100)의 상태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도어락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집의 출입문에 부착(또는 구비)되므로 이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or lock system includes a
스마트폰(4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해당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이다. 스마트폰(40)은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100)와 연결되어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하거나 해당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도어락 상태 정보 또는 도어락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 정보를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40)은 도어락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다. 즉, 스마트폰(40)에는 도어락 장치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The
예컨대, 스마트폰(40)은 도어락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40)은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출입자를 촬상한 영상을 수신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100)는 당해 도어락 장치(100)에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도어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정보 또는 보고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어락 장치(110)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가입되어 있으며,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식별 정보를 부여 받아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락 장치(100)는 해당 통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어락 장치(100)는 댁내에 설치된 통신 장치를 통해 스마트폰(40)과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어락 장치(100)와 스마트폰(40)는 인터넷 기반 웹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댁내 설치된 통신 장치는 RS23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100)는 제어부(110), 카메라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32), 통신부(140), 모터 구동부(150), 도어락 모터(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카메라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입력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스마트폰(40)과 데이터 통신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당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복수의 키버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숫자 키버튼, 특수기호 키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방법에 따라 입력부(130)는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 등에 따른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카메라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방문자를 촬상하여 촬상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부(11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구동 종료된다. 모터 구동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도어락 모터(160)을 구동한다.The
저장부(170)는 도어락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인증 정보 즉, 비밀번호, 도어락 장치(10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알고리즘, 인증 정보, 도어락 장치(100)의 상태 정보, 구성원별 고유 식별 정보, 구성원별 스마트폰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제어부(11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이 발생되면 도어락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이 발생하면 카메라부(120)를 활성화하여 영상을 캡쳐한다. 이 경우, 도어락 상태 정보는 미리 결정된 조건의 발생시 카메라부(120)를 이용하여 캡쳐한 영상과 영상 캡쳐시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은 예컨대, 입력된 비밀번호가 도어락 장치(100)에 저장된 인증 정보 즉, 비밀번호가 소정 횟수 이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의 상태를 보안 상태로 변경한다. 보안 상태란 추후 도어락 장치(100)에서 잠금 해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가 보안 상태에 진입하면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스마트폰(40)으로 이를 통지하고, 스마트폰(40)으로부터 보안 해제를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보안 상태를 해제한다.In detail, the
또한, 제어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에서 미리 결정된 다른 조건이 발생하면,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스마트폰(40)을 통해 도어락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미리 결정된 다른 조건은 도어락 장치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어락 상태 정보는 미리 결정된 다른 조건의 발생시 카메라부(120)를 이용하여 캡쳐한 영상과 영상 캡쳐시의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어락 상태 정보는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저장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은 예컨대, 이전 도어락 상태 정보의 전송 후로부터 현재의 도어락 상태 정보가 요청될 때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미리 결정된 시간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리 결정된 시간은 다양한 조건 및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어서, 도어락 장치와 스마트폰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Next, the control flow made in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smartphon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control flow for changing the unlock password of the door lock device in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은 단계 201에서 사용자가 도어락 제어 메뉴를 선택하면, 단계 203에서 도어락 제어 항목들을 표시한다. 도어락 제어 항목들은 잠금 해제 비밀번호 변경, 도어락 상태 요청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폰은 단계 205에서 사용자에 의해 잠금 해제 비밀번호 변경이 선택되면, 단계 207에서 기존 비밀번호 및 새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이어서, 스마트폰은 단계 209에서 기존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 경우, 스마트폰은 도어락 장치와 연동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selects the door lock control menu in
따라서, 스마트폰 또는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장치의 기존 잠금 해제 비밀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존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스마트폰은 인증이 성공하면 단계 211에서 새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도어락 장치는 잠금 해제를 위한 기존 비밀번호를 삭제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한 새 비밀번호를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로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smart phone or the door lock device compares the existing unlock password of the door lock device with the existing password input by the user and determines that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f it matches.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mart phone transmits the new password to the door lock device i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Figure 3 shows the control flow whe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oor lock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301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도어락 장치(100)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비밀번호 인증이 성공하면,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305로 진행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Referring to FIG. 3, the
도어락 장치(100)는 비밀번호 인증이 성공하지 않으면 단계 307로 진행하여 오류값을 인크리먼트하고, 단계 309에서 오류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지를 판단한다. 만약 오류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단계 301로 되돌아가 다시 비밀번호 입력 상태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3보다 큰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s not successful, the
도어락 장치(100)는 오류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면 단계 311로 진행하여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영상을 갭쳐하고, 단계 313에서 도어락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다. 도어락 상태 정보는 캡쳐된 영상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315에서 보안 상태에 진입한다. 보안 상태란 추후 도어락 장치(100)에서 잠금 해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가 보안 상태에 진입하면 올바른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도어가 열리지 않는다.If the error valu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스마트폰(40)은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캡쳐된 영상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캡쳐된 영상 및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보안 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스마트폰(40)은 사용자에 의해 보안 해제가 선택되면, 단계 319에서 도어락 장치(100)로 보안 상태의 해제를 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는 보안 상태를 해제하여 잠금 해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만약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 및 관련 정보를 보고 보안 상태를 유지할 것을 결정하면, 도어락 장치(100)로 보안 해제를 위한 명령을 전송하지 않는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Figure 4 shows the control flow when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oor lock status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먼저,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401에서 도어락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지를 판단하고, 도어락 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면 단계 403에서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을 캡쳐한 후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도어락 장치(100)는 영상 캡쳐시의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First, the
그리고, 스마트폰(40)은 단계 405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 장치(100)의 상태가 요청되면 단계 407로 진행하여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비밀번호는 도어락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일 수 있다. 다르게는 비밀번호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비밀번호일 수 있다.Then, when the state of the
이어서, 스마트폰(40)은 단계 411에서 도어락 장치(100)의 상태를 요청하는 도어락 상태 요청 메시지를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413에서 도어락 상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 경우, 도어락 장치(100)는 스마트폰(40)이 도어락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된 스마트폰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40)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만약, 도어락 상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이 실패하면, 도어락 장치(100)는 단계 415에서 스마트폰으로 비밀번호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도어락 상태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40)은 단계 417로 진행하여 도어락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40)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도어락 상태 정보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저장된 영상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When the authentication for the door lock status request message is completed,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제어부120: 카메라부
130: 입력부 132: 표시부
140: 통신부150: 모터 구동부
160: 도어락 모터170: 저장부110: control unit 120: camera unit
 130: input unit 132: display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motor drive unit
 160: door lock motor 170: storage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12354AKR101242122B1 (en) | 2012-02-07 | 2012-02-07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lock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the doorlock appratu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12354AKR101242122B1 (en) | 2012-02-07 | 2012-02-07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lock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the doorlock appratu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242122B1true KR101242122B1 (en) | 2013-03-1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12354AActiveKR101242122B1 (en) | 2012-02-07 | 2012-02-07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lock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the doorlock appratu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4212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04992B1 (en) | 2014-02-26 | 2015-03-23 | 김기동 | Digital door-lock system used in furniture | 
| KR20160066878A (en) | 2014-12-03 | 2016-06-13 | 주식회사 토비스 |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60067537A (en)* | 2014-12-04 | 2016-06-1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ccess control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 
| KR101649346B1 (en)* | 2015-05-27 | 2016-08-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digital door lock system | 
| KR101739724B1 (en)* | 2015-05-18 | 2017-05-26 | (주)성광유니텍 | Intelligent Smart Security Door System | 
| KR101746750B1 (en)* | 2015-09-25 | 2017-06-13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55565B1 (en)* | 2016-02-22 | 2017-07-07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Internet of Things,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 
| KR101764170B1 (en)* | 2015-09-25 | 2017-08-0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Safe of concealed type | 
| CN107172041A (en)* | 2017-05-12 | 2017-09-15 | 刘兴丹 | One kind exempts from registration gate inhibition and smart lock registration, unlocking method, device, system | 
| KR101834337B1 (en)* | 2015-06-15 | 2018-03-05 | 김범수 |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of dual-authentication | 
| CN108198292A (en)* | 2017-12-21 | 2018-06-22 |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omestic monitoring method based on intelligent cloud lock, system | 
| KR101997673B1 (en) | 2018-12-06 | 2019-07-08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 
| CN110335378A (en)* | 2019-05-29 | 2019-10-15 |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 Unlocking mode distribu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KR102037848B1 (en) | 2019-03-27 | 2019-10-29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 
| KR20200093790A (en) | 2019-01-29 | 2020-08-06 |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Lock System | 
| KR20200113103A (en) | 2019-03-22 | 2020-10-06 | 주식회사 블록체인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220072657A (en) | 2020-11-25 | 2022-06-02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SECURITY CONSTRUCTION METHOD FOR IoT DEVICES PLATFORM AND SECURITY CONSTRUCTION SYSTEM FOR IoT DEVICES PLATFORM BASED ON DUAL BLOCKCHAIN COUPLED WITH VIRTUAL BLOCKCHAIN | 
| KR20220111864A (en) | 2021-02-03 | 2022-08-10 | (주)필리아테크놀러지 | Digital door lock,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using non-contact manner | 
| KR20230097339A (en) | 2021-12-24 | 2023-07-03 | (주)필리아테크놀러지 |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updating firmware installed therein, and firmware upda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3815A (en)* | 2009-02-17 | 2010-08-26 | 권선민 |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entrance door using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93815A (en)* | 2009-02-17 | 2010-08-26 | 권선민 | System and method for opening and shutting entrance door using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04992B1 (en) | 2014-02-26 | 2015-03-23 | 김기동 | Digital door-lock system used in furniture | 
| KR20160066878A (en) | 2014-12-03 | 2016-06-13 | 주식회사 토비스 |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881759B1 (en) | 2014-12-04 | 2018-07-25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ccess control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 
| KR20160067537A (en)* | 2014-12-04 | 2016-06-14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ccess control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 
| KR101739724B1 (en)* | 2015-05-18 | 2017-05-26 | (주)성광유니텍 | Intelligent Smart Security Door System | 
| KR101649346B1 (en)* | 2015-05-27 | 2016-08-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digital door lock system | 
| KR101834337B1 (en)* | 2015-06-15 | 2018-03-05 | 김범수 | Electronic key and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of dual-authentication | 
| KR101746750B1 (en)* | 2015-09-25 | 2017-06-13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Digital doorlo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764170B1 (en)* | 2015-09-25 | 2017-08-03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Safe of concealed type | 
| KR101755565B1 (en)* | 2016-02-22 | 2017-07-07 |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controlling door lock based on Internet of Things,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 
| CN107172041A (en)* | 2017-05-12 | 2017-09-15 | 刘兴丹 | One kind exempts from registration gate inhibition and smart lock registration, unlocking method, device, system | 
| CN108198292A (en)* | 2017-12-21 | 2018-06-22 |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domestic monitoring method based on intelligent cloud lock, system | 
| KR101997673B1 (en) | 2018-12-06 | 2019-07-08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 
| US11177943B2 (en) | 2018-12-06 | 2021-11-16 | Pushpull System Co., Ltd. | Digit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ual blockchain having virtual blockchai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200093790A (en) | 2019-01-29 | 2020-08-06 |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 Door Lock System | 
| KR20200113103A (en) | 2019-03-22 | 2020-10-06 | 주식회사 블록체인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2037848B1 (en) | 2019-03-27 | 2019-10-29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Digital electronic device operation method based on dual block chain comprising virtual blockchain | 
| CN110335378A (en)* | 2019-05-29 | 2019-10-15 |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 Unlocking mode distribu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KR20220072657A (en) | 2020-11-25 | 2022-06-02 |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 SECURITY CONSTRUCTION METHOD FOR IoT DEVICES PLATFORM AND SECURITY CONSTRUCTION SYSTEM FOR IoT DEVICES PLATFORM BASED ON DUAL BLOCKCHAIN COUPLED WITH VIRTUAL BLOCKCHAIN | 
| KR20220111864A (en) | 2021-02-03 | 2022-08-10 | (주)필리아테크놀러지 | Digital door lock,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door lock using non-contact manner | 
| KR20230097339A (en) | 2021-12-24 | 2023-07-03 | (주)필리아테크놀러지 |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updating firmware installed therein, and firmware updating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42122B1 (en)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oorlock apparatus using smart phone and the doorlock appratus | |
| US977956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 US10529160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of home network system | |
| US10171444B1 (en) |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 |
| CN109410410A (en) | Method, apparatus, system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of intelligent door lock Cipher Processing | |
| CN104157029A (en) | Access control system, mobile terminal base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 |
| KR101733453B1 (en) | A Locking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Smart Phone Mobile Key | |
| US1208135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entry system | |
| CN107067516A (en) | Method for unlocking and system and door-locking system | |
| CN104052817A (en) | Intelligent door and intelligent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 |
| CN109859350B (en) | Remote authorized fingerprint self-service entry method and hotel self-service check-in method | |
| CN111946163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opening door by visual intelligent lock | |
| RU2310233C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 |
| KR101138924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f door lock | |
| KR102019097B1 (en) |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rough code display | |
| CN113689607A (en) | Intelligent door lock code scanning unlock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application program | |
| CN113643459A (en) | Remote control unlocking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and Bluetooth intelligent lock | |
| KR20150035644A (en) | Digital Door-Lock and Door-Lock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2008057112A (en) |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 |
| KR101237830B1 (en) | The Method And Mobile Phone for Auto Change Of Control Mode in Home Network | |
| JP4200347B2 (en) | Lock control system | |
| KR20170115770A (en) | Door lock control system via PC and Smart Phone using coded serial number by EEDE system. | |
| CN112767576B (en) | Lockset author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lockset authorization management system | |
| KR20160098901A (en) | User authentication server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2442149B1 (en) | Electronic key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using an external terminal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202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12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302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3030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3030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102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102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103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103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1231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1231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1229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0310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405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308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