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용 센서보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의 센서모듈의 보정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하고 시간을 단축하는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용 센서보정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calibration for an LCD touch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or calibration aid for an LCD touch display to improve convenience and shorten time in calibration of a sensor module of an LCD touch display.
근래 들어 학교의 강의실이나 기업의 회의실 등에 U-Class를 구현하기 위해 PC, 노트북, 구즈넥마이크, 전동스크린, 빔프로젝트, 전자칠판 등을 포함하는 학습/발표 시스템이 경쟁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특히 판서하는 펜이나 손의 위치를 카메라로 검출하여 좌표인식 판독기술로 판서 내용을 출력하는 전자칠판의 선호도가 급증하고 있다. 다만 전자칠판의 이동시 진동에 의하여 센서모듈의 자세가 변동되면 좌표인식에 에러가 발생하므로 수시로 신속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특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13758호의 "터치 패널의 터치 위치 검출 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52335호의 "전자칠판용 광이미지 카메라 센서 모듈" 등이 알려져 있다.Recently, learning / presentation systems including PCs, laptops, goosenecks, electric screens, beam projects, and electronic blackboards have been introduced to implement U-Class in school classrooms and conference rooms of companies. In particular, the popularity of the copyboard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writing pens or hands with a camera and outputs the writing contents by coordinate recognition technology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if the posture of the sensor module is changed by vibr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pyboard, an error occurs in the coordinate recognition. As related prior art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913758, "Touch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Touch Panel",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526335, "Photographic Camera Sensor Module for Electronic Chalkboard" and the like are known.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13758호는 터치 패널의 주변부에 설치되는 재귀 반사 테이프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제2 광선에 대한 입사각이 90ㅀ가 되도록 제2 발광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과, 제1 광선에 대한 입사각이 90ㅀ가 되도록 제1 발광부를 향하여 경사지고 제1 경사면과 교번하여 설치되어 톱니 형태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되, 터치 패널의 주변부 중 제1 광선 및 제2 광선이 입사되는 부위에 양측 광선용 톱니 반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반사효율을 증대하여 터치 패널의 장단변의 길이 비율과 크기에 대한 제한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913758 relates to a retroreflective tape provided at a periphery of a touch panel, and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inclined toward a second light emitting part such that an incident angle with respect to a second light beam is 90 °, and a first light beam. A second inclined surface which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light emitting part so as to have an angle of incidence of 90 ° and is alternately installed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 form a sawtooth shap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rays are incident on the periphery of the touch panel;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awtooth reflector for both light beams is propose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removing the restriction on the length ratio and size of the long and short sides of the touch panel by increasing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expect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452335호는 전자칠판에 결합되고, 노출 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노출 홀에 대응되게 장착되는 렌즈;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렌즈의 광학적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이미지 센서;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상기 광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 블록; 및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켜, 상기 렌즈에 대한 상기 광이미지 센서의 거리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광이미지 센서가 전방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와 상기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렌즈와 광이미지 센서를 정렬하는 과정이 손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전자칠판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로 적용 가능한 효과를 기대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0452335 is coupled to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has an exposure hole formed therein; A lens mounted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hole in the case; An optical image sensor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converting an optical image of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 support block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supporting the optical image sensor; And fixing to the case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optical image sensor with respect to the lens, and to adjus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optical image sensor about the front axis and the angle of rotation about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It propose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means. Accordingly, the process of aligning the lens and the optical image sensor is made easily and quickly, and the effec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the same form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pyboard.
그러나, 전자의 선행특허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반사효율이 향상되더라도 패널의 크기가 증대하면 렌즈모듈의 조정이 여전히 필요하게 되고, 후자의 선행특허에 의하면 비록 전문가라도 렌즈모듈을 조정하는 과정에 불편이 초래되거나 장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even if the ref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same method as the former patent, it is still necessary to adjust the lens module when the size of the panel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latter prior patent, even an expert is inconvenient in adjusting the lens modu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caused or takes a long tim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센서모듈의 자세를 보정함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하고 시간을 단축하는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용 센서보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correction aid for an LCD touch display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shortens time in correcting a posture of a sensor module mounted on an LCD touch display.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센서모듈의 지향각을 보정하는 기구에 있어서: 케이싱의 적어도 3면에 형성되는 반사판과, 지우개의 무선송신부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 코너점을 향한 지향각을 보정하는 중앙볼트와, 좌변과 우변의 반사판 중 어느 하나와 중앙반사판을 향한 지향각을 보정하는 측방볼트를 구비하는 센서모듈; 및 다각형의 변부에 반사광의 산란을 방지하는 오목면이 형성된 반사판과, 판서 지우기 동작의 입력을 조작하는 지움버튼과, 센서모듈의 지향각 보정의 입력을 조작하는 조정버튼과, 상기 지움버튼과 조정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설정된 신호를 무선수신부에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우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correc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sensor module mounted on the LCD touch displa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transmitter of the reflector and the eraser formed on at least three sides of the casing LCD touch display having a wireless receiver; A sensor module having a central bolt for correcting a directing angle toward a corner point, and a side bolt for correcting a directing angle toward a central reflector and any one of a reflecting plate on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a reflection plate having a concave surface formed at the edge of the polygon to prevent scattering of reflected light, an erase button for operating an input of a writing erase operation, an adjustment button for operating an input of a correction angle correc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an adjustment with the erase button. And an eraser including a driver for generating a signal in response to a button operation and a radio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set by the driver to the radio receive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우개는 다각형의 변부에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raser is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at the edge of the polygon.
이때, 상기 반사판은 반사광의 산란을 방지하도록 오목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ef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concave surface to prevent scattering of the reflected light.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지우개는 판서 지우기 동작의 입력을 조작하는 지움버튼과, 센서모듈의 지향각 보정의 입력을 조작하는 조정버튼과, 상기 지움버튼과 조정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raser includes an erase button for operating an input of a writing erase operation, an adjustment button for operating an input of a correction angle of the sensor module, an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rase button and the adjustment button. And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signal.
이때, 상기 지우개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는 각각 조작용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와 무선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eraser and the LCD touch displa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transmitter and a wireless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peration signal,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용 센서보정 보조기구에 의하면,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센서모듈의 자세를 변동하여 지향각을 보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nsor correction aid for LCD touch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sensor module mounted on the LCD touch display to improve convenience and shorten working time in correcting the orientation angl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를 정면과 측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에서 감지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LCD touch display as a w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auxiliar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ront and side view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 waveform of a detection signal in the use state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특히 전자칠판)에 탑재된 센서모듈(32)의 지향각을 보정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센서모듈(32)은 광(적외선)을 송출하고 반사된 광을 렌즈와 카메라로 수신하는 모듈이며, 센서모듈(32)의 중앙볼트(34)와 측방볼트(36)로 지향각을 보정하는 세부적인 구성은 후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correcting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는 케이싱(21)의 적어도 3면에 반사판(24~26)을 구비한다. 케이싱(21)은 LCD패널과 유리판(22)을 지지하는 전면의 개구에서 유리판(22)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턱을 구비한다. 적어도 3면의 단턱에는 각각 좌변반사판(24), 중앙반사판(25), 우변반사판(26)이 부착된다. 좌변반사판(24)의 상측으로 좌측의 센서모듈(32)이 위치하고, 우변반사판(26)의 상측으로 우측의 센서모듈(32)이 위치한다. 중앙반사판(25)이 좌변반사판(24) 및 우변반사판(26)과 교차하는 부분을 코너점(28)이라 칭한다.The
통상적으로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의 크기가 증대할수록 작은 충격에도 케이싱(21)과 유리판(22)에 뒤틀림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센서모듈(32)의 자세와 함께 광과 반사판(24~26)의 지향 각도가 변동되어 좌표인식에 오류가 초래된다. 센서모듈(32)의 중앙볼트(34)는 코너점(28)을 지향하도록 보정하는 용도이고, 중앙볼트(3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방볼트(36)는 좌변과 우변의 반사판(24)(26) 중 어느 하나와 중앙반사판(25)을 지향하도록 보정하는 용도이다. 볼트(32)(34)를 조이고 푸는 정도에 따라 센서모듈(32)의 자세와 지향각이 변동된다.In general, as the size of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모듈(32)의 광경로를 단축하는 지우개(40)가 상기 케이싱(21)에 부착과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센서모듈(32)에서 코너점(28)은 가장 멀리 이격되는 위치로서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의 대형화에 따라 보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지우개(40)는 유리판(22)을 화이트보드로 사용시 지우는 역할은 물론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의 지우개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지우개(40)를 유리판(22) 상에 두면 센서모듈(32)에 의한 광경로를 단축할 수 있어 보정이 편리하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우개(40)는 저면에 복수의 자석(42)을 설치하고 자성 금속제의 케이싱(21)에 부착한 상태로 보관한다. 지우개(40)의 상면에는 손가락으로 쥐기 편하도록 고리(48)를 설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지우개(40)는 다각형의 변부에 반사판(44, 45)을 구비하는 특징을 지닌다. 지우개(40)는 삼각형이 바람직하지만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삼각형으로 하는 경우 3변부에 2개의 단변반사판(44)과 1개의 장변반사판(45)을 부착한다. 반사판(44, 45)은 센서모듈(32)의 광을 반사하는 기능에 있어서 전술한 반사판(24~26)과 동일하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반사판(44, 45)은 반사광의 산란을 방지하도록 오목면(47)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반사판(44, 45)에서 반사광이 산란되면 센서모듈(32)의 보정에 따른 시간소요가 증가될 수 있다. 반사판(44, 45)의 오목면(47)은 곡률 반경은 센서모듈(32)의 분해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Meanwhile, the reflecting
작동에 있어서, PC(10)를 온하여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의 작동을 개시한 후에 메뉴를 통하여 보정을 선택하면, 도 3(a)처럼 PC(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LCD패널과 유리판(22)으로 지우개 마크를 표시한다. 작업자가 해당 마크에 지우개(40)를 그대로 위치시키면 도 4와 같은 신호 파형이 표시되므로 센서모듈(32)의 중앙볼트(34)를 조절하여 (B)의 비정상 파형을 (A)의 정상 파형으로 일치시킨다. 이어서 도 3(b)처럼 지우개(40)를 상측의 센서모듈(32) 근처에 위치시키면서 센서모듈(32)의 측방볼트(36)를 조절하여 같은 방식으로 정상 파형으로 일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3(c)처럼 지우개(40)를 하측의 코너점(28)에 위치시킨 후 보정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판(22) 상에 지우개(40)를 설정된 마크 위치로 두기만 하면 센서모듈(32)의 보정이 정확하고 신속하다. 물론 상기한 마크의 위치와 이에 따른 정상 신호는 PC(15) 상에 기입력되는 것으로 변경도 가능하다.In operation, when the PC 10 is turned on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지우개(40)는 판서 지우기 동작의 입력을 조작하는 지움버튼(52)과, 센서모듈(32)의 지향각 보정의 입력을 조작하는 조정버튼(54)과, 상기 지움버튼(52)과 조정버튼(54)의 조작에 대응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구동부(50)를 구비한다. 지움버튼(52)은 LCD패널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하지 않더라도 지우개(40)의 지움 기능을 원터치로 수행한다. 조정버튼(54)도 LCD패널에 표시되는 메뉴를 통하지 않더라도 지우개(40)의 보정 기능을 원터치로 수행한다. 물론 지움버튼(52)과 조정버튼(54)의 입력신호는 구동부(50)에서 설정된 신호로 변환되어 PC(15)로 전달된다. PC(15)는 지움버튼(52)의 입력시 지우개(40)를 즉시 지움 모드로 작동하고, 조정버튼(54)의 입력시 LCD패널에 지우개(40)용 마크를 표시하고 입력된 파형을 주기적으로 출력한다.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지우개(40)와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은 각각 조작용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신부(56)와 무선수신부(58)를 더 구비한다. 무선송신부(56)는 지우개(40)의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고 구동부(50)에 의하여 설정된 신호를 송출한다. 무선수신부(58)는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20)의 케이싱(21) 상에 설치되고 입력된 신호를 PC(15)로 보내어 처리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PC20: 엘시디 터치디스플레이
21: 케이싱22: 유리판
24~26: 반사판28: 코너점
32: 센서모듈34, 36: 볼트
40: 지우개42: 자석
44, 45: 반사판47: 오목면
50: 구동부52: 지움버튼
54: 조정버튼56: 무선송신부
58: 무선수신부10: PC 20: LCD Touch Display
 21: casing 22: glass plate
 24-26: reflector 28: corner point
 32:
 40: eraser 42: magnet
 44, 45: reflector 47: concave
 50: drive unit 52: erase button
 54: control button 56: wireless transmitter
 58: wireless receiv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1765AKR101235926B1 (en) | 2011-04-06 | 2011-04-06 | Sensor calibration support device for LCD touch displa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1765AKR101235926B1 (en) | 2011-04-06 | 2011-04-06 | Sensor calibration support device for LCD touch displa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14029A KR20120114029A (en) | 2012-10-16 | 
| KR101235926B1true KR101235926B1 (en) | 2013-02-2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31765AActiveKR101235926B1 (en) | 2011-04-06 | 2011-04-06 | Sensor calibration support device for LCD touch display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23592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43003A (en)* | 2000-02-25 | 2001-09-07 | Ricoh Elemex Corp | Coordinate inputting device | 
| JP2001265516A (en) | 2000-03-16 | 2001-09-28 | Ricoh Co Ltd | Coordinate input device | 
| JP2003114755A (en) | 2001-10-09 | 2003-04-18 | Eit:Kk | Coordinate input device | 
| JP2005165830A (en) | 2003-12-04 | 2005-06-23 | Canon Inc | Optical coordinate inpu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243003A (en)* | 2000-02-25 | 2001-09-07 | Ricoh Elemex Corp | Coordinate inputting device | 
| JP2001265516A (en) | 2000-03-16 | 2001-09-28 | Ricoh Co Ltd | Coordinate input device | 
| JP2003114755A (en) | 2001-10-09 | 2003-04-18 | Eit:Kk | Coordinate input device | 
| JP2005165830A (en) | 2003-12-04 | 2005-06-23 | Canon Inc | Optical coordinate input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114029A (en) | 2012-10-16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1132804A1 (en) | Optical scanning type touch panel | |
| US8982102B2 (en) | Coordinate input apparatus | |
| US9140540B2 (en) | Coordinate detector and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system | |
| US8838410B2 (en) | Coordinate input apparatus | |
| EP2435893A1 (en) | Optical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 |
| US7303289B2 (en) |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 |
| US20120218225A1 (en) | Optical scanning type touch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US8599171B2 (en) |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 |
| US6616283B1 (en) | Projector | |
| CN104137041A (en) |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ading apparatus | |
| US8890851B2 (en) | Optical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system with input function | |
| KR101955257B1 (en) | Light curtain installation method and bidirectional display device | |
| KR101235926B1 (en) | Sensor calibration support device for LCD touch display | |
| JP2014170136A (en) | Project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or function | |
| JP5335923B2 (en) | Position recognition sensor,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 |
| WO2013140594A1 (en) | Projector system and focus adjustment method | |
| US8167435B2 (en) |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or | |
| JP4952726B2 (en) | POSITION DETECTION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266011B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ensor module on LCD touch display | |
| US20060109248A1 (en) | Pseudo trackball optical pointing apparatus | |
| KR20120137050A (en) | Method of image calibration for mobile projector | |
| KR200452335Y1 (en) | Optical Image Camera Sensor Module for Copyboard | |
| KR101219916B1 (en) | Display system for mobile device | |
| JP5799627B2 (en) |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system with input function | |
| JP3091811U (en) | Image display projector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040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08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3011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3021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30215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209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209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129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129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200130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130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1116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217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