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228556B1 -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56B1
KR101228556B1KR1020100109178AKR20100109178AKR101228556B1KR 101228556 B1KR101228556 B1KR 101228556B1KR 1020100109178 AKR1020100109178 AKR 1020100109178AKR 20100109178 AKR20100109178 AKR 20100109178AKR 101228556 B1KR101228556 B1KR 10122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response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548A (ko
Inventor
정춘길
국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포스텍filedCritical주식회사 한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00109178ApriorityCriticalpatent/KR101228556B1/ko
Priority to US13/289,224prioritypatent/US8916994B2/en
Publication of KR20120047548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20047548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56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228556B1/ko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 대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 방법이 적용된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METHOD FOR CONTROLLING TO SELECT ONE IN PLURALITY OF COILS IN WIRELESEE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REOF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 통신에 있어서, 전력 전송 장치에 복수의 코일이 설치되는 경우, 그 복수의 코일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팩(Battery pack)은 외부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전기에너지)을 공급받아 충전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DA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의 충전 및 방전(휴대용 단말기로 전기에너지를 공급)을 위한 회로 등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에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기와 배터리팩의 전기적 연결방식에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팩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로 변환하여 해당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배터리팩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단자공급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충전기와 배터리팩을 접촉하거나 분리할 경우, 양측의 단자(배터리팩의 단자 및 충전기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 순간방전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순간방전현상 등으로 인하여 양측의 단자들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화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습기 등으로 인하여 배터리팩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배터리팩의 단자를 통해 외부로 자연방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하여 배터리팩의 수명 및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력전송방식을 이용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과 제어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전송 효율이 우수하고,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이동성을 보장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및 및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신호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은,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전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 대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응답신호 및 제 2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제 1 정류 전압 정보 및 제 2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복수의 코일이 포함된 전력 수신장치의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중첩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은 타원형 코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1초이하의 주기로 교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는 숏타임 임펄스 신호(short time impulse signa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제 1 전력 전송 코일; 제 2 전력 전송 코일; 및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해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코일을 통해 제 2 검출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출력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 대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제 1 응답신호 및 제 2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제 1 정류 전압 정보 및 제 2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코일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과 상기 제 2 전력 전송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는 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은 타원형 코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은 각각 원형 서브 코일과 원형 서브 코일을 외주에 배치된 사각 서브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는 숏타임 임펄스 신호(short time impulse signa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제 1 전송 코일과 제 2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해 제 1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코일을 통해 제 2 검출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출력하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 대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제 1 응답신호 및 제 2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 대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각각 포함되는 제 1 정류 전압 정보 및 제 2 정류 전압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 중 적합한 하나에 대해서만 전력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을 중접시키는 경우, 발생하는 중첩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정류 전압의 값을 비교하여 적합한 코일을 선택하여 이에 대해서만 전력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반복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불의의 상황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더라도 적절한 전송 코일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코일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사용되는 복수의 코일을 수용하는 차폐 코어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선택되는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및 및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즉,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가 무선 전력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되면, 이 전력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시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전송 코일(110)과 전송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송 코일(110)(1차측 코일)은 전력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 수신 장치(200)의 수신 코일(210)에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즉, 제 1 전송 코일(111) 및 제 2 전송 코일(112))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복수의 전송 코일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코일(112)이 이용된다. 이 제 1 전송 코일(111) 및 제 2 전송 코일(112)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 코일(112)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신호 확인부(121), 중앙제어부(122), 스위칭제어부(123), 구동드라이버(124) 및 직렬공진형컨버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신호 확인부(121)는 상기 1차측 코일인 전송 코일(110)의 부하변화를 감지하고, 해당 부하변화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즉 아이디 확인부로서의 기능을 가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를 필터링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응답신호는 후술하는 검출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2차측 코일인 수신 코일(210)을 통해 전송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정류부(220)에서 측정되는 정류 전압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122)는 상기 응답 신호 확인부(121)의 판단결과를 전송받아 확인하고, 제 1 전송 코일에서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1차측코어부(110)를 통해 무선전력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전력 신호를 상기 구동 드라이버(124)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응답 신호 확인부(121)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구동 드라이버(124)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검출 신호 생성하여 전송 코일(110)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123)는 직렬공진형컨버터(125)와 제1 전송 코일(111) 및 제2 전송 코일(112)의 사이에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 드라이버(124)는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25)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25)는 구동 드라이버(124)의 제어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전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송출전원을 생성하여 상기 전송 코일(110)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중앙 제어부(122)가 요구되는 전력값을 갖는 전력 신호의 송출을 위한 전력제어신호를 구동 드라이버(124)로 전송하면, 상기 구동 드라이버(124)는 전송된 전력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직렬공진형컨버터(125)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직렬공진형컨버터(125)는 구동 드라이버(124)의 제어에 의하여 요구되는 전력값에 대응하는 송출전원을 전송 코일(110)에 인가함으로써, 요구되는 세기의 무선전력신호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렬 공진형 컨버터(125)는 구동 드라이버(124)의 제어에 의해 제 1 전송 코일(111) 및 제 2 전송 코일(112)을 통해 발생되는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 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에 따라서 수신되는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는 상술한 응답신호 확인부(121)에서 처리된다.
그리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상기 송출된 전력 신호에 의해 유도전력을 생성하는 수신 코일(210)과, 유도된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부(220) 및 정류된 전력으로 배터리셀을 충전하는 배터리셀모듈(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셀모듈(230)에는 과전압 및 과전류방지회로, 온도감지회로 등의 보호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특히, 배터리셀의 충전상태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 충전관리모듈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로 송신한다(S1, S12). 여기서,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신호는 1초 이하의 주기로 교대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검출 신호는 숏타임 임펄스 신호(short time impulse signal)일 수 있다.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이에 대하여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로 송신한다(S21).이 응답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응답신호를 분석하여,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을 선택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한다(S13). 이 때,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는 제 1 정류 전압 정보와 제 2 정류 전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정류 전압 정보는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정류부(220)에서 측정되는 정보이다. 코일의 선택에 있어서,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제 1 정류 전압 정보 및 제 2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송코일이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전송 코일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에 대한 예를 도 3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의 코일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 코일(112)이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 코일(112)은 중첩 영역을 가진다.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송 코일(111)과 제 2 전송 코일(112)은 타원형 코일일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송 코일(111,112)은 각각은 원형 코일과 사각 코일(각각 제 1 서브 전송 코일(111-1, 112-1) 및 제 2 서브 전송 코일(111-2,112-2))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전송 코일(111-1,112-1)인 원형 코일이 내측에 형성되고, 제 2 전송 서브 코일(111-2, 112-2)인 사각 코일이 상기 원형 코일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도 3b와 같은 전송 코일은 원형 코일의 장점인 전력 전송 효율과, 사각 코일의 장점인 이동성을 모두 갖추기 때문에,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을 수신 받지 못하는 영역인 데드존(dead zone)을 줄임과 동시에 전력 전송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에 사용되는 타원형 코일이 삽입하기 위한 전송측 차폐 코어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의 코일을 수용하는 차폐 코어(130)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코어(130)는 직사각형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오목부(131)와 제 2 전송 코일(112)을 삽입하기 위한 제 2 오목부(132)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목부(131)와 제 2 오목부(13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오목부의 측면과 중앙에는 리드선을 삽입하기 위한 홀(131-1, 132-1)이 형성되며, 각 오목부(131,132)의 중앙에는 상기 전송 코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31-2, 132-2(돌출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코어는 비정질 계통의 페라이트 계열, Mn - Zn (50 중량부 : 50 중량부), Ni - Fe (80 중량부 : 20 중량부), 또는 파인메탈(Fine-metal)(Fe - Si- Cu - N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차폐 코어에 의하여, 제 1 전송 코일(111) 및 제 2 전송 코일(112)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송 코일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선택되는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송 코일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 위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A 위치에 놓이게 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제 1 검출신호에 따른 제 1 응답신호만 수신하고, 제 2 응답신호는 수신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제 2 전송 코일(112)에서 출력되는 제 2 검출신호에 따른 제 2 응답신호가 발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 스위칭 제어부는 제 1 전송 코일(111)에서만 전력 신호가 발신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2개의 전송 코일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 위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C 위치에 놓이게 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제 2 검출신호에 따른 제 2 응답신호만 수신하고, 제 2 응답신호는 수신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제 1 전송 코일(111)에서 출력되는 제 1 검출신호에 따른 제 1 응답신호가 발신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 스위칭 제어부는 제 2 전송 코일(112)에서만 전력 신호가 발신되도록 제어한다.
그런데, 2개의 전송 코일을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 위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B(B',B" 포함) 위치에 놓이게 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된다.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정류부(220)에서 측정되는 정류 전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중앙제어부는, 이러한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 제어부는 정류 전압이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B'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위치하게 되면 제 1 전송 코일(111)이 선택되고, B"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위치하게 되면, 제 2 전송 코일(112)이 선택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력 전송 코일 중 적합한 하나에 대해서만 전력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을 중첩시키는 경우, 발생하는 중첩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정류 전압의 값을 비교하여 적합한 코일을 선택하여 이에 대해서만 전력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반복적으로 전송함으로써, 불의의 상황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더라도 적절한 전송 코일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및 및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1 : 제 1 전송 코일
112 : 제 2 전송 코일
120 : 전송 제어부
121 : 아이디 확인부
122 : 전력 제어부
123 : 스위칭 제어부
124 : 구동 드라이버
125 : 직렬 공진형 컨버터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10 : 수신 코일
220 : 정류부
230 : 배터리셀 모듈

Claims (19)

  1. 제 1 전력 전송 코일 및 제 2 전력 전송 코일이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각각 제 1 검출 신호 및 제 2 검출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정류부에서 측정된,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2. 제 1 전력 전송 코일;
    제 2 전력 전송 코일; 및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한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해 제 2 검출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정류부에서 측정된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 1 전력 전송 코일과 제 2 전력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제 1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한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전력 전송 코일을 통한 제 2 검출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검출 신호 및 상기 제 2 검출 신호에 대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제 1 응답신호 및 제 2 응답신호 중 하나만 검출되면, 그 검출되는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코일이 선택되고,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신호가 모두 검출되면,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상기 제 2 응답 신호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정류 전압 정보를 비교하여 그 크기가 큰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코일을 선택하여 이 선택된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에 연결되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전력으로 충전되는 배터리 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측정되는 정류 전압 정보를 상기 제 1 응답 신호 및 제 2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100109178A2010-11-042010-11-04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ActiveKR10122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109178AKR101228556B1 (ko)2010-11-042010-11-04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US13/289,224US8916994B2 (en)2010-11-042011-11-04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multiple transmission coil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109178AKR101228556B1 (ko)2010-11-042010-11-04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20047548A KR20120047548A (ko)2012-05-14
KR101228556B1true KR101228556B1 (ko)2013-02-07

Family

ID=4626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109178AActiveKR101228556B1 (ko)2010-11-042010-11-04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US (1)US8916994B2 (ko)
KR (1)KR1012285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72779A1 (ko)*2014-11-072016-05-12주식회사 아모센스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KR102206468B1 (ko)*2019-08-062021-01-21엘지전자 주식회사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4892A (ko)2020-12-142022-06-21한국과학기술원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90181A (ko)2021-12-142023-06-21한국과학기술원자성체 포화현상을 이용하여 누설 자기장의 고조파 성분을 상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6067211B2 (ja)*2011-05-272017-01-25日産自動車株式会社非接触給電装置
KR101213090B1 (ko)*2011-07-142012-12-18유한회사 한림포스텍무선전력 전송장치용 코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CN104170210B (zh)*2012-03-282016-09-28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供电装置
JP5405694B1 (ja)*2012-03-302014-02-05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送電装置、電子機器およ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
US9275791B2 (en)2012-08-312016-03-01Qualcomm IncorporatedSystems and methods for decoupling multiple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s
US20160197494A1 (en)2012-09-052016-07-07Samsung Electronics Co., Ltd.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31780A (ko)*2012-09-052014-03-13삼성전자주식회사교차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기를 배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32631A (ko)*2012-09-072014-03-17삼성전자주식회사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CN103779970A (zh)*2012-10-242014-05-07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无线充电传输装置
TWI446680B (zh)*2012-10-302014-07-21Au Optronics Corp顯示裝置及無線電力傳輸系統
US10014104B2 (en)*2012-11-022018-07-03Qualcomm IncorporatedCoil arrangement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for low electromagnetic emissions
JP5985366B2 (ja)*2012-11-152016-09-06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複合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9819228B2 (en)*2013-03-012017-11-14Qualcomm IncorporatedActive and adaptive field cancellation for wireless power systems
KR20150107281A (ko)*2014-03-132015-09-23엘지이노텍 주식회사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9511674B2 (en)2014-04-182016-12-06Qualcomm IncorporatedBase distribution network for dynamic wireless charging
CN104037954B (zh)*2014-06-122017-05-10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无线能量传输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9739844B2 (en)*2014-07-252017-08-22Qualcomm IncorporatedGuidance and alignment system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s
FR3032312B1 (fr)*2015-01-302017-02-10Continental Automotive FranceDispositif de chargement par induction magnetique
KR102329582B1 (ko)2015-03-242021-11-23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KR20160133140A (ko)*2015-05-122016-11-22엘지이노텍 주식회사무선 전력 송신 방법, 무선 전력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710549B (zh)*2015-06-042021-07-16英特尔公司用于无线功率发射器中的线圈配置的装置、方法和系统
KR20170014879A (ko)*2015-07-312017-02-08삼성전기주식회사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2524098B1 (ko)*2015-11-052023-04-20엘지전자 주식회사차량용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US9837832B2 (en)2015-12-292017-12-05Motorola Solutions, Inc.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ethod
DE102016203937A1 (de)*2016-03-102017-09-14Robert Bosch GmbhVerfahren zu eine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US10356817B2 (en)*2016-07-122019-07-16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Listen before talk (LBT)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744586B1 (ko)*2016-07-142017-06-08(주)성진아이엘복수의 무선 충전 방식들을 지원하는 무선 충전 전력 수신 장치
WO2018034392A1 (ko)*2016-08-162018-02-22엘지전자(주)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WO2018048312A1 (en)2016-09-062018-03-15Powerbyproxi LimitedAn inductive power transmitter
CN106973128B (zh)*2017-03-272018-05-01江苏金智酷电子科技有限公司一种智能手机连接装置
GB2587281B (en)*2018-07-192022-11-23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Techniques to improve wireless communications for in-situ wellbore devices
US11159054B2 (en)2018-07-242021-10-26Apple Inc.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s
US11018530B2 (en)2018-08-312021-05-25Ge Hybrid Technologies, Llc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controllers
NL2021631B1 (en)*2018-09-142020-05-07Prodrive Tech BvElectric field reducing insulating layer for an inductive coil
US11916405B2 (en)2019-01-022024-02-27Ge Hybrid Technologies, Llc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controllers
KR102655186B1 (ko)*2021-12-132024-04-08한국과학기술원비활성화된 송신 코일의 결합 계수를 산출하는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3158490A (ja)*2022-04-182023-10-30オムロン株式会社送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078889A (ko)*2006-01-312007-08-03엘에스전선 주식회사코일 어레이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2010527226A (ja)*2007-05-082010-08-05モジョ モビリテ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ポータブルデバイスの誘導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4788693B2 (ja)*2007-09-262011-10-05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構造物
US8338990B2 (en)*2008-03-132012-12-25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coil primary
WO2010038297A1 (ja)*2008-10-022010-04-08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自己共振コイル、非接触電力伝達装置および車両
JP5381011B2 (ja)*2008-10-202014-01-08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給電システム
EP2367262B1 (en)*2008-12-122019-02-27GE Hybrid Technologies, LLC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KR101136532B1 (ko)*2009-09-152012-04-17주식회사 삼보컴퓨터무접점 충전 장치, 무접점 충전 배터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
US20120104999A1 (en)*2010-11-022012-05-03Triune Ip LlcMultiple Coi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078889A (ko)*2006-01-312007-08-03엘에스전선 주식회사코일 어레이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장치, 무접점 충전시스템 및 충전 방법
JP2010527226A (ja)*2007-05-082010-08-05モジョ モビリテ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ポータブルデバイスの誘導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6072779A1 (ko)*2014-11-072016-05-12주식회사 아모센스무선충전기용 송신장치
US10164471B2 (en)2014-11-072018-12-25Amosense Co., Ltd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er
KR102206468B1 (ko)*2019-08-062021-01-21엘지전자 주식회사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84892A (ko)2020-12-142022-06-21한국과학기술원복수의 송신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750039B2 (en)2020-12-142023-09-05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for selectively driving at least one transmitting coil among transmitting coil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90181A (ko)2021-12-142023-06-21한국과학기술원자성체 포화현상을 이용하여 누설 자기장의 고조파 성분을 상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8916994B2 (en)2014-12-23
US20120161535A1 (en)2012-06-28
KR20120047548A (ko)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228556B1 (ko)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전력 전송 코일 선택 제어 방법, 이를 적용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213086B1 (ko)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267076B1 (ko)무선 전력 전송 어셈블리에서의 전력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전송 어셈블리
US11095163B2 (en)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for non-contact charging and electronic settlement performed in a single portable terminal
EP2595162B1 (en)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EP2546998B1 (en)Core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46693B1 (ko)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100928439B1 (ko)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
KR100971714B1 (ko)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복층형으로구비된 멀티무접점충전스테이션
KR101254258B1 (ko)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0915842B1 (ko)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피티피에스 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충전스테이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1104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2031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AMNDAmendment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120924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120316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X091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Amendment
PX0901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120924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502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21030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121025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120924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120502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X701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3012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3012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104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60104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1230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61230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1218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71218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0102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90102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200102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0102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0108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1221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41224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