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197630B1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630B1
KR101197630B1KR1020100088054AKR20100088054AKR101197630B1KR 101197630 B1KR101197630 B1KR 101197630B1KR 1020100088054 AKR1020100088054 AKR 1020100088054AKR 20100088054 AKR20100088054 AKR 20100088054AKR 101197630 B1KR101197630 B1KR 10119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gmented
common
augmented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5881A (en
Inventor
박승훈
Original Assignee
(주)더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힘스filedCritical(주)더힘스
Priority to KR1020100088054ApriorityCriticalpatent/KR101197630B1/en
Publication of KR2012002588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2002588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63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197630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제공된다.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단말기(common terminal)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common contents)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 및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personal terminal)로 제공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개인용 단말기는 제공된 증강 콘텐츠를 표시한다. 특히,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방송망 및 데이터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하여 공통 콘텐츠를 공통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통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공통 콘텐츠 제공부는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공통 단말기로 제공될 공통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수정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시청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게임에 참여하거나 원하는 상품의 결제까지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Provided i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includes an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ommon contents currently provided through a common terminal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and generation. And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augmented content to a personal terminal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personal terminal displays the provided augmented content. In particular,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mmon content to a common terminal through one of a broadcasting network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receives a user response to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through a personal terminal. Create or modify common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mmo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user respons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ceive various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viewing, and thereby participate in various games or easily settle payment of desired products.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를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본 발명은 재생 중인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개인용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인별로 상이한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고,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들에 대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상품들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variety of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common content being played to a personal terminal in real tim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different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for each individual, and to provide payment information for products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ncouraging a user to easily purchase desired products.

전자 공학의 발달에 힘입어 TV 방송, 라디오 방송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된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의 해상도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단순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초고속 네트워크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실시간 VOD(Video On Demand) 서비스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각 가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 뿐만 아니라 게임을 즐기거나 증권 정보, 날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various contents such as TV broadcasting and radio broadcasting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resolution of the video content is increased and various video contents can be enjoyed in various ways. Furthermor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exchang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instead of simply receiving information. In particular, as the high-speed network is widely spread, real-time VOD (Video On Demand) services are enabled, so that a user can watch his / her desired video content at any time.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uses set-top boxes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to enable users to watch their favorite content in each home. In addition, the user may use the set-top box to monitor not only video content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tock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 real time.

그런데, 사용자는 단순히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감상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해당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원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기 있는 드라마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경우 사용자들이 동호회를 만들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의견을 피력할 수도 있다. 또한, 야구 경기가 방송되는 경우 사용자들은 현재 화면에 등장하는 타자 및 투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원한다. 이러한 정보는 소위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의 경우 프리킥 상황에서 수비 선수의 접근 거리를 원으로 표현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정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를 중계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 외에도 양 팀의 최근 5경기 승률이나 양 팀의 공격 및 수비 포메이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정보를 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팀이 경기를 할 경우 서로 선호하는 팀이 다른 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다.By the way, the user wants a variety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stead of simply enjoying the desired content. For example, when a popular drama program is broadcast, users may create a group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as well as express various opinions. In addition, when a baseball game is broadcast, users wan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batter and the pitcher currently appearing on the screen.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using a so-called augmented reality techniqu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occer game,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defensive player in a free kick situation is represented by a circl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However, th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s is not limited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laying a soccer game, a user may wan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recent five games win rate of both teams or the attack and defense formation of both teams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different users may want different information. For example, if two teams are playing, two different users may want different information.

그러나, 종래의 증강 현실 기술에 의하면 방송국과 같은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 외에 다른 정보를 얻는 것이 힘들다. 종래에는 스포츠 중계가 계속 되는 동안에 별도의 경로를 통해서 동호회 등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거나 질문하여 응답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 별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은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를 시청하는 방식과 다른 경로를 통하여 수행되어야 하므로 즉시성(instancy) 및 직접성(directness)이 떨어진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other than information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such as a broadcasting station. In the related art, while the sports relay continue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o a group through a separate path and search f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or to wait for a response. Therefore, since the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desired by each user must be performed through a path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watching the content currently being played, instability and directness are inferior.

더 나아가, 종래의 양방향 통신 기술은 콘텐츠 제공자가 미리 준비한 부가 정보만을 일방적이며 추가적으로 제공하는데 그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제공되는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생성하는 진정한 의미의 양방향 통신이 구현된다고 볼 수 없다.Furthermore, the conventional two-way communication technology only provides one-sided and additionally additional information prepared in advance by the content provider. Therefore, it cannot be seen that a true two-way communication is implemented that changes or generates the provided content by immediately reflecting the user input of the user.

그리고, 종래의 양방향 통신 기술은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현재 구현된 기술로는 TV 상거래(TV commerce)가 있는데, 이 기술은 방송 중인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TV 상거래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직접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wo-way communication technology allows a user to purchase a desired product. Currently implemented technology is TV commerce (TV commerce), which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purchase a desired product while watching the content on the air. Using TV commerce technology, a user can easily purchase a desired product directly while watching content.

그런데, 이러한 TV 상거래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한다. 우선, 사용자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에 동일한 스크린 상에 TV 상거래 콘텐츠가 표시된다. 흔히 시청중인 화면을 축소시키고, 스크린의 여백에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시청중인 화면을 축소시키지 않은 채 상품 정보를 투명하게 처리하여 동시에 표시하기도 한다. 따라서,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에 TV 상거래를 하게 되면 시청이 방해받게 된다. 특히, 가정용 TV의 경우 반드시 상품의 구매자만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온 가족이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에 어느 사용자가 TV 상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가족들에게 원망을 듣게 될 것이다.However, the following disadvantages exist in such TV commerce. First, TV commerc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ame screen while the user is watching a TV program. Often, the screen being viewed is reduced, and the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margin of the screen, or the product information is transparently processed without displaying the screen being view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f you do TV commerce while watching a fun program, then viewing will be interrup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ome TV, not only the buyer of the product is watching the program. If a user wants to do TV commerce while the whole family is watching the program, they will be resentful of other family members.

뿐만 아니라, TV 상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결제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의 TV 상거래 기술로는 결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흔히 TV 상거래 화면에는 상품 정보나 구입처 등의 정보만을 표시하고, 구매자는 직접 구입처에 전화 연락을 하거나 판매자의 홈페이지를 별도로 방문하여 상품을 구입하여야 한다. 또는, TV 상거래를 위하여 구매자의 정보를 사전 등록하여 결제가 용이하도록 도울 수 있으나, 이는 필연적으로 보안의 문제를 동반한다. 더 나아가, 구매자가 사전 등록되어야 한다는 것은 그만큼 불편함을 야기한다.In addition, payment must be made in order to perform TV commerce, but payment cannot be easily performed with current TV commerce technology. Therefore, the TV commerce screen often displays only information such as product information or the place of purchase, and the buyer should directly contact the place of purchase or visit the seller's homepage to purchase the product. Alternatively, the purchaser's information may be pre-registered for TV commerce to facilitate payment, but this inevitably involves security issues. Furthermore, the purchaser's pre-registration causes such inconvenience.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시청중인 콘텐츠에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시청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원하는 상품의 구매까지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user to easily check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currently being viewed without being disturbed, and furthermore, to easily purchase a desired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사람에게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에 해당 공통 콘텐츠에 관련되는 다양한 개인별 증강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시청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provide various individual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to individual users in real time without being interrupted in viewing while the common content provided to several people is play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에 해당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시청자가 용이하게 결제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신개념의 전자 상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concept of e-commerce method that enables the viewer to easily perform payment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in real time while the common content is playing. It i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공통 콘텐츠를 수정하거나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modify or generate and provide common content by immediately reflecting a user's input to augmented content.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단말기(common terminal)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common contents)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 및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personal terminal)로 제공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방송망 및 데이터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하여 공통 콘텐츠를 공통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통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공통 콘텐츠 제공부는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공통 단말기로 제공될 공통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사용자의 개성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static situation information)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dynamic situation information)를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정적 및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인화 증강 콘텐츠(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하며, 증강 콘텐츠 제공부는 생성된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증강 콘텐츠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한다. 특히, 공통 콘텐츠가 질의 관련성이 있는(query-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질의에 대한 상세 정보, 사용자별 응답 결과, 및 전체 사용자들의 응답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한다. 또는, 공통 콘텐츠가 경쟁 관련성이 있는(competition-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경쟁 상대들에 대한 정보, 사용자들의 현재 승부 예측 정보 및 승부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공통 콘텐츠가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story-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공통 콘텐츠의 줄거리(story),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인물 정보(character information), 촬영 장소(shooting site), 콘텐츠 관련 부대 정보(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및 상품 판매 정보(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한다. 더 나아가,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면,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결제 프로시져(transaction procedure)를 수행하는 결제부(transaction server)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이며, 결제부는 스마트 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공통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공통 콘텐츠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공통 콘텐츠 식별부로부터 공통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reate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s currently provided through a common terminal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It relates to an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n augmented content generating unit, and an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generated augmented content to a personal terminal through a network. In particular,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mmon content to a common terminal through one of a broadcasting network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receives a user response to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through a personal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reating or modifying common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mmo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user response. In addition,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receives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ersonality and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from the personal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the static and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Creat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above, and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generated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s augmented content. In particular, when the common content is query-rela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generates at least one of detailed information on a query, a user-specific response result, and a response result of all users as augmented content. Alternatively, when the common content is contention-rela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mpetition partners, current game predic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game result information as augmented content. It features. Alternatively, when the common content is story-rela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ng unit may include a story of the common content, character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and a shooting site. And at least one of 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and 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as augmented content. Further,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to purchase from the augmented content using a personal terminal,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may identify a user, obtain pay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erform a transaction procedure. Further comprising,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phone, the pay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payment procedure us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In additio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ommon conten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common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content ID of the common content from the common content identification unit, and uses the received content ID to generate the augmented content.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 단계,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개인용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증강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공통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강 콘텐츠 생성 단계는 사용자의 개성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적 및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증강 콘텐츠 제공 단계는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증강 콘텐츠로서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면,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결제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through a common terminal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the generated augmented content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comprising providing a personal terminal through a network, receiving the augmented content through a network by the personal terminal, and displaying the received augmented content to a user.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user response to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and creating or modifying common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user response. Further,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step may include receiving at least one of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on a user's personality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on a user's current situ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static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Generating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tep includes providing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s augmented content to the personal terminal. In addition, the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 may further include a payment step of identifying a user, obtaining paymen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erforming a payment procedure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to purchase from the augmented content using a personal terminal. .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시청중인 공통 콘텐츠에 관련되는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시청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being viewed without being disturbed in real tim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특히, 사용자의 개성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맞춤형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된다.In particular, by generating and providing customized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with reference to the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personality of the user and the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augmented content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시청중인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상품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eing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 product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being view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imply and quickly purchase the desired product.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여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공통 콘텐츠를 수정하거나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승부 예측 게임이나 실시간 설문 조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rrect or generate and provide common content by immediately reflecting a user's input to the augmented content, so that a game of predicting a game or a real-time questionnaire for a sports game can b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 및 해당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되어 본 발명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증강 콘텐츠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와 해당 공통 콘텐츠와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정적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공통 증강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적응적인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태그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and augmented content provided by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mmon content.
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tags used to select user adaptiv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mong common augmented content using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5 is a flowchart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제1 내지 제3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 제1 내지 제3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 동영상 콘텐츠 식별부(140),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 결제부(160),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 공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5),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95), 및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includes first to third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first to third common terminals 120, 122, and 124, and a video content identification unit ( 140, an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apayment unit 160, a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acommon content database 185, anaugmented content database 195, and an augmentedcontent generating unit 190. . Each component is interconnected via anetwork 170.

공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5)에는 다양한 공통 콘텐츠들이 저장된다. 공통 콘텐츠들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VOD 서비스에 의하여 제공될 공통 콘텐츠들일 수도 있다.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95)에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들이 저장된다.Thecommon content database 185 stores various common contents. The common contents may be real time broadcast programs or common contents to be provided by a VOD service. Theaugmented content database 195 stores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common content.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는 공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5)로부터 공통 콘텐츠를 독출하여 방송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 또는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통 단말기'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고, '개인용 단말기'란 오직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1에서, 작은 원은 각각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개념화한 것이다. 도 1을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 각각은 오직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반면에,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은 각각 세 명의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은 가정용 텔레비전이고,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은 스마트 폰,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점선은 네트워크(170) 또는 방송망을 통한 콘텐츠 제공부 및 단말기 간의 가상 연결(virtual connection)을 나타낸다. 즉,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과 가상으로 연결되고,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는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과 가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에 의하여 제공된 공통 콘텐츠는 공통 단말기들(120, 122, 124)에 표시되고,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에 의하여 제공된 증강 콘텐츠는 개인용 단말기들(110, 112, 114)에 표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 콘텐츠와 증강 콘텐츠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공통 콘텐츠의 시청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동시에 용이하게 증강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common content provider 180 reads out common content from thecommon content database 185 and provides the common content to the common terminals 120, 122, and 124 or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through a broadcasting network or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ommon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and the term 'personal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be used only by one user. In Fig. 1, the small circles conceptualize users who can use the terminals. 1, each of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114 may be used by only one user, while the common terminals 120, 122, 124 may each be used by three users. It can be seen that. For example, common terminals 120, 122, 124 may be home televisions, and personal terminals 110, 112, 114 may b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personal computers. In addition, the dotted line in FIG. 1 represents a virtu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provider and the terminal through thenetwork 170 or the broadcasting network. That is,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is virtually connected to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through thenetwork 170, and the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s through thenetwork 170. 120, 122, and 124 are virtually connected. Therefore, the common content provided by the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is displayed on the common terminals 120, 122, and 124, and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by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is displayed on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the like. 114). Since the common content and the augmented content are displayed on different display devic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gmented content can be easily identified at the same time without being disturbed from watching the common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증강 콘텐츠란 공통 콘텐츠와 관련된 해당 공통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정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증강 콘텐츠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ugmented content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ommon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For example,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the following items.

증강 콘텐츠의 항목들Items in augmented content

1.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story-related contents)의 경우1. In the case of story-related contents

- 공통 콘텐츠의 콘텐츠 ID(contents ID, CID)-Content ID (CID) of common content

- 공통 콘텐츠의 줄거리 : 현재까지의 줄거리를 요약한 것으로서, 공통 콘텐츠의 처음부터 시청하지 못한 시청자들이 용이하게 남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Plot of common content: This is a summary of the plot to date, so that viewers who have not watched from the beginning of common content can easily enjoy the remaining content.

- 등장 인물 또는 배우에 대한 정보 : 공통 콘텐츠의 각 등장 인물(character)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해당 등장 인물을 연기하는 배우들에 대한 정보-Information about characters or actors: Various information about each character of common content and about actors who play the characters.

- 콘텐츠 관련 부대 정보(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 해당 공통 콘텐츠의 촬영 장소(shooting site), 촬영 시기, 촬영 비용, 촬영 스태프(staff) 등에 대한 정보이다. 학습에 관련된 공통 콘텐츠인 경우에는 관련된 학습 자료, 학습 이론 등이 포함될 수 있다.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a shooting site, a shooting time, a shooting cost, a shooting staff, etc. of the common content. In the case of common content related to learning, related learning materials and learning theories may be included.

- 상품 판매 정보(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상품의 명칭, 속성, 가격 등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상품을 구입하기 위한 결제 정보 등이 포함된다.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name, attribute, price, etc. of the product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and payment information for purchasing the product.

- 시청자 의견 : 공통 콘텐츠를 시청했거나 지금 시청하고 있는 다양한 시청자들의 의견이 증강 콘텐츠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청자들은 해당 공통 콘텐츠에 대한 의견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Viewers' Opinions: The opinions of various viewers who have watched or are now watching common content may be provided as augmented content. In this case, viewers can share their opinions on the common content in real time.

본 명세서에서,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란 영화, 드라마, 및 다큐멘터리와 같이 줄거리 및 내용이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인 것으로 이해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tory is understood to be content in which the story and the content have meaning, such as a movie, a drama, and a documentary.

이 경우, 증강 콘텐츠란 재생 중인 공통 콘텐츠와 관련되는 모든 부대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공통 콘텐츠가 사극일 경우, 드라마의 역사적 배경, 등장 인물에 대한 연대기, 드라마가 전개되는 시대적 배경, 및 촬영 장소 등이 증강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콘텐츠가 광고인 경우에는, 광고에 등장하는 배우에 대한 정보, 상품 명칭, 상품 가격, 가격 비교 결과, 해당 상품에 대한 사용기, 결제 수단 등이 증강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공통 콘텐츠가 고등학교 수학에 대한 방송 수업일 경우에는, 수업 교재, 현재 수업하는 내용에 대한 수학 공식, 기본이 되는 수학 이론, 연습 문제 및 유사 문제가 증강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gmented content is understood to represent all incident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being played back. When the common content is a historical drama,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a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rama, a chronology of the characters, a background of the era in which the drama is developed, and a shooting location. In addition, when the common content is an advertisement,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ctor appearing in the advertisement, a product name, a product price, a price comparison result, a use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a payment method, and the like. If the common content is a broadcasting class for high school mathematics,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a class textbook, a mathematical formula for a current class, basic mathematical theory, a practice problem, and a similar problem.

2. 경쟁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competition-related contents)의 경우2. In case of competition-related contents

- 경쟁에 참여하는 경쟁자 또는 팀의 승률 : 누적 승률, 상대별 승률 또는 최근 승률이 포함된다.-The odds of competitors or teams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cumulative wins, opponent wins or recent wins.

- 경쟁자 또는 팀의 최근 기록 : 승마와 같은 경기의 경우 최근 컨디션이 중요하다.-Recent records of competitors or teams: For games such as horse riding, recent conditions are important.

- 경쟁자 또는 팀의 순위 : 통산 순위 또는 최근 순위 변동 등이 포함된다.-Competitor's or team's rankings, including currency rankings or recent ranking changes.

본 명세서에서, 경쟁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란 경마, 경륜, 야구, 축구와 같이 참여자들의 경쟁이 주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승마 경기가 공통 콘텐츠로서 제공될 경우, 사용자는 기수 또는 출전마의 최근 승률, 호흡 정도 및 통산 승률들을 절실히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이 선호하는 기수 또는 출전마에 대한 정보를 집중적으로 원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공통 콘텐츠가 야구 경기인 경우 양 팀의 선수들의 통산 기록, 개인 기록, 현재 진행 상황, 각팀별 득점 상황, 노출된 광고판 등이 증강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tent related to competition means content in which competition of participants is mainly meaningful, such as horse racing, racing, baseball, and soccer. For example, if an equestrian race is provided as common content, the user may desperately want the latest win rate, breathing rate and total win rates of the jockey or running horse. In this case, of course, you want to concentrate on information about his favorite rider or horse. In addition, when the common content is a baseball game,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a total record, individual records, current progress, scores of each team, and exposed billboards of players of both teams.

3. 질의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query-related contents)의 경우3. In case of query-related contents

- 현재 질의의 평균 정답률 : 고등학교 수학 문제의 경우 현재 풀이하는 문제에 대한 평균 정답률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시청자는 현재 문제의 난이도를 가장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Average Correct Rate of Current Question: In the case of high school math problems, the average correct rate of the current problem can be provided. The viewer can then most accurately assess the difficulty of the current problem.

- 현재 문제에 대한 관련 공식이나 정보 : 수학 공식이나 관련 정보가 제공된다면, 사용자는 현재 문제에 대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Relevant Formulas or Information on the Current Problem If a mathematical formula or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the user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current problem.

- 누적 응답률에 따른 순위 : 시청자의 현재까지의 응답률에 비추어 시청자의 석차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수준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Ranking based on cumulative response rate: If a viewer's ranking is provided in view of the viewer's current response rate, the user can easily judge his or her level.

본 명세서에서 질의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란 여론 조사 또는 설문 조사와 같이 질의와 응답이 주로 의미를 가지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통 콘텐츠가 시사 토론 프로그램의 경우, 시청자들은 현재 발언하는 패널에 대한 선호도 및 공감 여부를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응답 결과가 실시간으로 연산되어 공통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내장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응답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호도 및 공감 여부의 지역별 결과 및 실시간 변화 추이가 공통 콘텐츠에 반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a query means a content in which a question and a response mainly have meaning, such as a poll or a survey. For example, if the common content is a topical discussion program, viewers can respond in real time to their preferences and empathy for the panel they are currently speaking. Then, the response result of the user may be calculated in real time and reflected in the common content. In addition, when the user responds using a smartphone with a built-in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easily identified. In this case, regional results and real-time change of preference and empathy may be reflected in common content.

본 발명에서 증강 콘텐츠는 공통 콘텐츠의 제작자가 직접 작성할 수도 있고, 다른 이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의 제작국에서 공통 콘텐츠를 제작하면서 해당 공통 콘텐츠에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를 제작할 경우, 공통 콘텐츠를 방송하면서 동시에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도 방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처음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도 해당 프로그램에 관련된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증강 콘텐츠는 VOD 사업자에 의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통 콘텐츠가 방송된 이후에도 VOD 사업자가 VOD 서비스를 개시하기 이전에 증강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VOD 콘텐츠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해당 공통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gmented content may be directly written by the creator of the common content or produced by another person. For example, when producing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while producing a common content in the production station of the broadcasting st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lso broadcast the augment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mmon content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user may receive various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program in real time while watching the first broadcast program. Alternatively, the augmented content may be produced by the VOD operator. In this case, even after the common content is broadcast, the VOD provider may directly produce the augmented content before starting the VOD service. Then, the user can simultaneously receive the augmen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VOD content while watching the corresponding common content.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는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를 식별하여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로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현재 제공되는(being currently provided)'이라는 것은 반드시 현재 '방송중(on air)'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VOD 서비스를 통하여 현재 선택하여 시청중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공통 콘텐츠란 반드시 동영상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라디오 콘텐츠와 같은 청각용 콘텐츠도 포함한다. 이 경우, 방송 중인 음악의 곡명, 연주자, 앨범 제조 회사 등의 정보, 및 이 음악에 대한 선호도가 증강 콘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identifies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on unit 19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eing currently provided' does not necessarily mean 'on air', but is also understood to include those currently selected and viewed through a VOD service. In addition, common content does not necessarily mean moving picture content, but also includes hearing content such as radio content.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name of the song on the air, the performer, the album manufacturer, and the like, and the preference for the music may be provided as augmented content.

만일 공통 콘텐츠가 현재 방송중이라면, 채널만 알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이용하여 해당 공통 콘텐츠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시청중인 채널 번호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지만,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가 자동으로 식별할 수도 있다.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가 현재 시청중인 공통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If the common content is currently being broadcasted, once the channel is known, the common content can be easily identified using th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At this time, the channel number being viewed may be input by the user, but may be automatically identified by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The following method may be used to identify common content that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is currently watching.

공통 콘텐츠 식별 방법들Common Content Identification Methods

- 공통 콘텐츠의 특정 정지 화면을 식별하는 방법 :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중인 공통 콘텐츠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가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로 전달된다. 그러면, 결제부(160)는 공통 콘텐츠에 포함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인식하여 인식된 이미지 프레임에 기초하여 해당 공통 콘텐츠의 CID 및 현재 재생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Method of identifying a specific still image of the common content: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photographed using a smart phone, and the captured image is transferred to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Then, thepayment unit 160 may recognize the image frame included in the common content and find out the CID of the common content and the current playback time based on the recognized image frame.

- 공통 콘텐츠의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을 식별하는 방법 : 유사한 이미지 프레임이 반복될 경우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는 수신된 동영상을 식별하여 식별률을 높일 수도 있다.-Method of identifying a video for a certain time of the common content: If a similar image frame is repeated, a video for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a smart phon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Then,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may identify the received video to increase the identification rate.

- 공통 콘텐츠의 특정 오디오 신호를 식별하는 방법 :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음악 콘텐츠의 일부분을 식별하는 것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대화 또는 특정 음향 효과를 식별하여 공통 콘텐츠의 CID 및 현재 재생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How to identify specific audio signal of common content: By using technology such as identifying part of music content using smart phone, you can identify specific dialogue or specific sound effect to find out CID and current playback time of common content. have.

- 공통 콘텐츠에 포함된 식별 기호(Identification symbol)를 식별하는 방법 : 공통 콘텐츠의 제작자가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통 콘텐츠에 2차원 바코드를 삽입하거나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면,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는 해당 바코드 또는 워터마크를 식별함으로써 공통 콘텐츠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공통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에 식별 기호가 변경된다면, 공통 콘텐츠의 현재 재생 시점까지도 식별할 수 있다.-How to identify the identification symbol included in the common content: The creator of the common content can insert a two-dimensional barcode or watermark in the common content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viewing. Then,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can easily identify the common content by identifying the corresponding barcode or watermark. If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changed while the common content is being played back, it is possible to identify up to the current playback time of the common content.

현재 제공중인 공통 콘텐츠가 식별되면,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가 식별된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 경우,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는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95)로부터 식별된 공통 콘텐츠에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를 독출할 수도 있다. 증강 콘텐츠는 공통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에 의하여 생성된 증강 콘텐츠는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로 전달되고,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증강 콘텐츠를 요청한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에 증강 콘텐츠를 제공한다. 네트워크(170)에는 공중파 방송망, 인터넷 통신망, 2G/3G/4G 이동 통신망, WiFi 통신망과 같은 광역 통신망은 물론, LAN(Local Area Network), ZigBee, 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itous) 통신망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도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도 1에는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가 공통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가 증강 콘텐츠를 제공하는 네트워크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가 공중파 통신망 또는 3G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공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반면에,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being provided is identified,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on unit 190 generates various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identified common content. In this case,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on unit 190 may read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identified from theaugmented content database 195. Of course, the augmented content may change while the common content is playing. Augmented content generated by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ng unit 190 is delivered to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is a personal terminal 110, 112, requesting augmented content through thenetwork 170, And augmented content. Thenetwork 170 may include a wide area network such as an over-the-air broadcast network,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 2G / 3G /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ZigBee, a Bluetooth, and a ubiquitous network. It is obvious. In addition, although FIG. 1 illustrates that the network in which the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provides common content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provides augmented content are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ile the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provides common content using an over-the-air communication network or a 3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may provide augmented content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증강 콘텐츠가 제공되면, 사용자들은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를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중인 공통 콘텐츠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스크린을 통하여 표시되고, 증강 콘텐츠는 스마트 폰 및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동일한 공통 단말기를 이용하여 같은 공통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동안에도, 시청자 각각은 자신의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augmented content is provided, users may check in real time the augmen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using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In this case, the common content being played is displayed through screens such as televisions and computer monitors, and the augmented content is displayed on personal terminals 110, 112, 114 such as smart phones and personal computers. Therefore, while several people are watching the same common content using the same common terminal at the same time, each viewer can check the augmented content by using his personal terminal.

본 명세서에서,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는 다양한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나, 스마트 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가 스마트 폰인 경우, 사용자는 증강 콘텐츠를 스마트 폰의 스크린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은 물론, 특정 정보를 클릭함으로써 링크된 하부 정보 또는 상세 정보를 더욱 검색할 수도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스마트 폰을 이용할 경우, 증강 콘텐츠에서 원하는 상품이 있을 경우 즉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스마트 폰은 이미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자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결제가 즉시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스마트 폰에 보안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결제 프로시저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may be various personal display devices, but are preferably smart phones. When the personal terminal 110, 112, 114 is a smart phone, the user can check the augmented content through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as well as search for linked sub information or detailed information by clicking specific information. Have In addition, when using a smart phone, if there is a desired product in the augmented content, you can proceed to payment immediately. In this case, since each smart phone already contains user information, the payment can be immediately performed by executing the electronic payment application. If a security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the security of the payment procedure may be improved.

또한,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는 스마트 폰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 증강 콘텐츠(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95)에는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공통 증강 콘텐츠(common augmented contents)가 저장되고,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공통 증강 콘텐츠로부터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개인화 증강 콘텐츠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In addition,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on unit 190 may generat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 by using the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of the smart phone and the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common augmented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to all users are stored in theaugmented content database 195, and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ng unit 190 uses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from the common augmented content by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결제 프로시저는 결제부(16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결제부는 종래에 구현된 모든 전자 결제 기법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단말기(110, 112, 114)로부터 구매할 상품 및 사용자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부(160)는 해당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시저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결제부(160)는 전자 인증 시스템과 같은 별도의 보안 장치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시저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payment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thepayment unit 160. The payment unit may perform a payment procedure using all conventional electronic payment techniques. For example, when a product to be purchased and user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personal terminals 110, 112, and 114, thepayment unit 160 may perform a payment procedure using accou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If necessary, thepayment unit 160 may safely perform a payment procedure by using a separate securit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즉, 본 발명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공통 콘텐츠의 시청 중에 다양한 증강 콘텐츠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상품이 있을 경우 해당 상품 정보를 검색하고 즉시 용이하게 구매할 수도 있다.That is, using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obtain various augmented contents during viewing of the common content, and if there is a desired product, the corresponding product information can be searched immediately and easily. You can also buy it.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나리오에 대해서 상세히 후술한다.Hereinafter, a scenario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using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a 및 도 2b는 각각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 및 해당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되어 본 발명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되는 증강 콘텐츠를 예시하는 도면들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and augmented content provided by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mmon content.

도 2a는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인 사극의 한 장면을 나타낸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a에 표시된 공통 콘텐츠는 공통 단말기인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 등에 표시된다.2A illustrates a scene of a historical drama that is content related to plot. As described above, the common content shown in Fig. 2A is displayed on a television or computer monitor or the like which is a common terminal.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를 나타낸다. 증강 콘텐츠에는 드라마 제목, 재생 시간, 드라마 줄거리, 배우, 촬영 장소, 및 상품 정보가 포함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2b에 예시된 증강 콘텐츠는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시청자 각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된 증강 콘텐츠의 특정 아이템을 클릭함으로써 더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품 아이템을 클릭한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구매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공통 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표시되는 증강 콘텐츠 역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증강 콘텐츠는 드라마의 신(scene)이 달라짐에 따라 달라지거나, 등장하는 배우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될 수 있다. 배우가 바뀔 때마다 증강 콘텐츠가 변경되면, 사용자는 시청 중 어느 시점에서도 현재 시점에 등장하는 배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FIG. 2B illustrates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shown in FIG. 2A. The augmented content includes the drama title, play time, drama plot, actor, shooting loc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ugmented content illustrated in FIG. 2B is provided to each viewer through a personal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user may als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by clicking on a particular item of displayed augmented cont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licks on a product item,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product and purchase re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Note that as the common content is played, the augmented content displayed may also change. For example, the augmented content may change as the scene of the drama changes, or change whenever the actors appearing change. When the augmented content is changed each time the actor changes,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obtain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actor appearing at the present time at any point in the viewin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와 해당 공통 콘텐츠와 관련되는 증강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thod of synchronizing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the common content.

공통 콘텐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공통 콘텐츠의 현재 재생 시간에 따라 증강 콘텐츠 역시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a는 재생 시간을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즉, 도 3a는 AAA00라는 CID를 가지는 공통 콘텐츠의 전체 타임 라인을 표시하고, A, B, C, D, E는 해당 타임 라인 상의 임의의 시점을 각각 나타낸다.Since the common content changes over time, the augmented content also needs to change according to the current playback time of the common content. 3A illustrates a method of synchronizing augmented content with common content using playback time. That is, FIG. 3A shows an entire timeline of common content having a CID of AAA00, and A, B, C, D, and E represent arbitrary time points on the corresponding timeline, respectively.

도 3a에서, 증강 콘텐츠들(310, 320, 330, 340, 350)은 각각 시점 A, B, C, D, E에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A 시점에서 공통 콘텐츠에 상품 1이 등장한다면, 증강 콘텐츠에는 상품 1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시점 B에서 촬영 장소가 변경되었다면, 증강 콘텐츠에는 변경된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점 C에서는 상품 2에 대한 정보가 증강 콘텐츠에 포함되고, 시점 D에서는 시점 D에 발생한 사건에 대한 역사적 배경이 증강 콘텐츠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시점 E에서는 상품 3에 대한 정보가 증강 콘텐츠에 포함된다.In FIG. 3A, the augmented contents 310, 320, 330, 340, 350 ar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viewpoints A, B, C, D, and E, respectively. For example, if product 1 appears in common content at time A, the augmented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product 1. If the shooting location is changed at the time point B, the augmented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hooting location. Similarly, at time point C, information about the merchandise 2 is included in the augmented content, and at time point 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vent occurring at the time point D is included in the augmented content. Finally, at time E, information about product 3 is included in the augmented content.

도 3b는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의 특정 이미지를 이용하여 증강 콘텐츠를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즉, 도 3b는 AAA00라는 CID를 가지는 공통 콘텐츠의 전체 장면 시퀀스를 표시하고, A, B, C, D, E는 해당 타임 라인 상의 임의의 장면들을 각각 나타낸다.3B illustrates a method of synchronizing augmented content with common content using a particular image of common content that is currently provided. That is, FIG. 3B shows an entire scene sequence of common content having a CID of AAA00, and A, B, C, D, and E each represent arbitrary scenes on the corresponding timeline.

도 3b에서, 증강 콘텐츠들(410, 420, 430, 440, 450)은 각각 장면 A, B, C, D, E에 동기화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공통 콘텐츠의 장면 A에 상품 1이 등장한다면, 증강 콘텐츠에는 상품 1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장면 B에서 촬영 장소가 변경되었다면, 증강 콘텐츠에는 변경된 촬영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In FIG. 3B, the augmented contents 410, 420, 430, 440, 450 ar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scenes A, B, C, D, and E, respectively. For example, if product 1 appears in scene A of common content, augmented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product 1. In a similar manner, if the shooting location is changed in scene B, the augmented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shooting location.

이와 같이, 증강 콘텐츠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As such, the augmented content may b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urrently provided common content using various methods.

예를 들어, 공통 콘텐츠가 광고 프로그램들일 경우에는, 광고되는 상품이 변경됨에 따라 증강 콘텐츠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광고 프로그램에 대한 상품 정보가 실시간으로 개인용 단말기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해당 상품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on content is advertising programs, the augmented content may change as the product to be advertised changes. Then, since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advertisement program currently view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personal terminal in real time,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도 4a 및 도 4b는 정적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공통 증강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 적응적인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태그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tags used to generate user adaptiv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mong common augmented content using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도 4a는 각각 '귀걸이' 및 '골프채'라는 명칭을 가진 증강 콘텐츠의 태그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각각의 증강 콘텐츠는 증강 콘텐츠의 명칭 및 다양한 태그들을 포함한다. '태그'란 증강 콘텐츠를 구성하는 항목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증강 콘텐츠들은 '명칭' 태그 외에 '성별', '연령', '가격', 및 '구입처'라는 태그들을 포함한다. 각 태그들은 해당 증강 콘텐츠와 높은 관련성(relevance)을 가지는 사용자들을 나타낸다. 즉, '귀걸이'라는 명칭을 가지는 증강 콘텐츠에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사용자들은 20대 및 30대 여성들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가격' 태그는 '귀걸이'를 구입할 수 있는 시청자들의 구매력과 관련되고, 구입처는 사용자들의 거주지와 관련된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및 동적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증강 콘텐츠들이 개인화 증강 콘텐츠로서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공통 증강 콘텐츠란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증강 콘텐츠를 나타내고, 개인화 증강 콘텐츠란 각 개인별로 제공되는 증강 콘텐츠를 나타낸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tags of augmented content, named 'earrings' and 'golf clubs', respectively. Each augmented content includes a name and various tags of the augmented content. 'Tag' indicates items constituting augmented content. For example, the augmented content shown in FIG. 4A includes tags 'gender', 'age', 'price', and 'purchase' in addition to the 'name' tag. Each tag represents a user who has a high relevance with the corresponding augmented content. In other words, users who are highly related to augmented content named 'earrings' are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price' tag is related to the purchasing power of viewers who can purchase 'earrings', and the place of purchase is related to the user's residence. As such, augmented contents having a high relevance to the current user are selected as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 by using the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and the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current us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mon augmented content refers to augmented content provided to all users in common, and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refers to augmented content provided to each individual.

일반적으로, 상황 정보란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시스템, 혹은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사물, 개체, 시간 등 상황(situation)의 특징을 규정하는 정보를 가리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 통신 대역폭과 같은 컴퓨팅 상황(computing situation), 사용자의 프로파일, 위치, 주변의 사람들을 비롯한 사용자 상황(user situation), 조명, 소음 레벨, 교통 상태, 온도 등 물리적 상황(physical situation), 시간, 주, 달, 계절 등 시간적 상황(time situation) 등이 모두 상황 정보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 정보들은 다양한 감지 장치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되고 모아져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거나, 다른 상황 정보와 묶여 제3의 결론을 얻는 추론에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황 정보란 사용자의 건강 상태, 신원 정보, 취미, 취향 등과 같은 개인적인 정적 상황 정보 및 현재 사용자가 제공되는 콘텐츠를 얼마나 잘 따라하는지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즉, 정적 상황 정보는 개인의 개성과 특성에 관련되며, 동적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정보에 관련된다.In general, contex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situation such as a person, a place, an object, an object, and a time that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other user, system, or application in relation to ubiquitous computing. More specifically, a physical situation such as a network situation, a computing situation such as a communication bandwidth, a user's profile, a location, a user situation including a surrounding person, a lighting level, a noise level, time situation such as physical situation, time, week, month, and season are all included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Such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to provide a variety of application services through various sensing devices and applications and to be used for inference to obtain a third conclusion bound to other situ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extual information herein includes personal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such as a user's health status, identity information, hobbies, tastes, and the like,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on how well a user currently follows contents provided. That is, the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relates to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relates to information obtained in real time from the user's state.

도 4b는 '팀 이름' 및 '선수 이름'이라는 명칭을 가진 증강 콘텐츠의 태그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이러한 증강 콘텐츠들은 공통 콘텐츠가 야구 경기인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팀 이름' 증강 콘텐츠는 '순위', '승를', 및 '최근 5경기 결과'라는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정적 상황 정보를 검색한 결과 사용자가 선호하는 야구 팀이 기아 타이거즈인 경우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수 이름'이라는 명칭을 가지는 증강 콘텐츠는 기아 타이거즈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타율이 3할 이상인 선수들에 대한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tags of augmented content with the names 'team name' and 'player name'. Such augmented content may be selected when the common content is a baseball game. The 'team nam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tags such as 'rank,' 'win,' and 'last five matches'. Therefore, if the user's favorite baseball team is Kia Tigers as a result of retrieving the user's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it may be selectively provided. In addition, the augmented content named 'player name' may be provided to a user who prefers Kia Tigers, or may be provided as a response to a query for players with a batting average of more than 30%.

전술된 바와 같이, 동적 상황 정보에는 스마트 폰에 연결된 측정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심박수, 뇌파, 체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동적 상황 정보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기분 상태(mood)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기분 상태에 따라 제공되는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고가의 상품에 대한 구매 의욕이 높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품 명칭 중저가의 상품 보다는 고가의 상품을 먼저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heart rate, brain wave, and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a measurement devic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Then, the mood of the current user may be detected through the dynamic context information, and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provided according to the detected mood may be change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mood is good, the purchase motivation for the expensive product may be hig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expensive goods first rather than goods of low and medium price goods.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별 입력이 증강 콘텐츠 생성부로 전달되면,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개인별 입력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를 생성 및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TV 방송 수업이 공통 단말기를 통하여 재생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영어 독해 문제에 대한 해설이 진행 중일 수 있다. 그러면, 영어 독해에 대한 해설이 공통 콘텐츠로서 모든 공통 단말기에 표시된다. 그리고, 각각의 개인용 단말기에는 현재의 독해 문제에 대한 답이 무엇인지 묻는 증강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각하는 답을 입력한다. 개별 사용자가 입력한 답은 증강 콘텐츠 생성부로 제공되고,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이를 집계하여 현재 시청자들 전체의 정답률 및 오답률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한 정답률 및 오답률은 공통 콘텐츠로서 공통 단말기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산한 정답률 및 오답률이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더라도 이는 공통 콘텐츠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정답률 및 오답률이 공통 증강 콘텐츠로서 각각의 개인용 단말기에 전달될 수도 있고, 특히, 개인별 입력에 따라 개인별로 오답 또는 정답 여부가 개인화 증강 콘텐츠로서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personal input is transferred to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using a personal terminal,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nd change common content provided by using the personal input. For example, suppose that a current TV broadcast class is played through a common terminal. In this case, commentary on the English reading problem may be in progress. The commentary on English reading is then displayed on all common terminals as common content. Each personal terminal may display augmented content asking what the answer to the current reading problem is. At this time, each user inputs an answer he thinks using his personal terminal. The answer input by the individual user is provided to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and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may calculate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incorrect answer rate for all current viewers. In addition, the calculated correct answer rate and incorrect answer rate may be displayed on the common terminal as common content. In this case, even if the calculated correct answer rate and wrong answer rate are provided in text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constitute part of the common content. Of course,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incorrect answer rate may be delivered to each personal terminal as common augmented content, and in particular, whether an incorrect answer or a correct answer may be delivered as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ccording to an individual input.

본 발명을 이용하면, 어떠한 사안에 대한 설문 조사(survey)도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사 토론 프로그램이 공통 콘텐츠로서 공통 단말기에 표시되는 동안에, 시청자 각각은 자신의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논의되는 현안에 대한 찬반 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찬반 의견이 실시예으로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 또는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로 전달되면, 이들은 수신된 찬반 의견을 반영하여 증강 콘텐츠 및 공통 콘텐츠를 각각 생성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생성된 증강 콘텐츠 또는 공통 콘텐츠는 각각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 및 공통 콘텐츠 제공부(180)에 의하여 개인용 단말기 또는 공통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surveys on any issu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in real time. For example, while the current affairs debate program is displayed on a common terminal as common content, each viewer can enter a pros and cons of an issue discussed using his personal terminal. When the pros and cons are delivered to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on unit 190 or thecommon content provider 180 in an embodiment, they may generate or modify the augmented content and the common content, respectively, by reflecting the received pros and cons. The generated augmented content or common content may be delivered to the personal terminal or the common terminal by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and the commoncontent providing unit 180,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전국의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스포츠 경기의 승부 맞히기 게임에 참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0미터 결승 경기가 중계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경기가 시작되기 이전에 각각의 선수의 연령, 최고 기록, 및 최근 기록 등의 정보를 증강 콘텐츠로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예측하는 승률을 증강 콘텐츠 생성부로 전달한다. 이 때, 공통 콘텐츠 제공부는 수신된 사용자 응답을 집계하여 각 선수별 예측 승률 및 배당 점수를 공통 콘텐츠로서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경기가 끝나면, 경기 결과에 따른 배당 결과가 공통 콘텐츠 또는 증강 콘텐츠로서 공통 단말기 및 개인용 단말기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콘텐츠 제공부 및 공통 콘텐츠 제공부는 각자의 콘텐츠를 서로 교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경기 결과를 포함하는 공통 콘텐츠가 증강 콘텐츠 제공부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될 수도 있고, 증강 콘텐츠가 공통 콘텐츠 제공부를 통하여 공통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users of the nation can simultaneously participate in the game of match-matching sports. For example, suppose a 100-meter final is relayed. The user can then receive information such as the age, the best record, and the latest record of each player as augmented content before the match begins. Then, the user transmits the odds predicted by the user to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using the personal terminal. At this time,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aggregates the received user response and provides the prediction winning rate and the dividend score for each player as common content in real time. After the game, the dividend result according to the game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ommon terminal and the personal terminal as common content or augmented content, respectively. In this case, of course,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and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may exchange their respective contents. For example, common content including game results may be provided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and augmented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common terminal through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에 포함된 상품 정보를 증강 콘텐츠로서 수신하고, 해당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하는 시나리오를 예시한다.5 illustrates a scenario in which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content related to a plot is received as augmented content, and a corresponding product is selected and settled.

우선,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공통 콘텐츠를 선택한다(S510). 사용자는 현재 방송중인 콘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고, VOD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선택한다면, EPG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중인 콘텐츠를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음도 전술된 바와 같다.First, the user selects common content that the user wants to watch (S51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lect content that is currently being broadcast or may select desired content by using a VOD servic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selects a broadcast channel, the EPG can automatically search for the content currently being broadcast.

사용자가 공통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공통 콘텐츠를 재생한다(S5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드라마의 VOD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드라마의 회차가 VOD로 제공된다.If the user selects the common content, the selected common content is played (S520).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VOD service of a specific drama, the turn of the selected drama is provided as a VOD.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증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를 식별한다(S530). 그러면,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된 공통 콘텐츠에 상응하는 증강 콘텐츠가 독출된다(S540). 예를 들어, 전술된 예의 경우, 증강 콘텐츠에는 해당 드라마에 등장하는 배우에 대한 정보 및 배우가 착용한 장신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정적 및 동적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공통 증강 콘텐츠로부터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선택한다. 이 경우 개인의 개성이나 현재 상황이 반영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If there is a request for augmented content from the personal terminal, the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is identified (S530). Then, the augmen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mmon content identified from the augmented content database is read (S540).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ctor appearing in the drama and information about jewelry worn by the actor.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is then selected from the common augmented content based on the static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ersonality 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dividual may be reflected as described above.

개인화 증강 콘텐츠가 결정되면, 이를 공통 콘텐츠와 동기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60). 예를 들어, 드라마를 시청하는 동안에 배우가 착용한 장신구가 마음에 든다면 사용자는 증강 콘텐츠에 포함된 장신구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is determined, it is provided to the us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mmon content (S560). For example, if a user likes ornaments worn by an actor while watching a drama,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ornaments included in the augmented content.

증강 콘텐츠가 제공되면, 사용자로부터 구매 요청이 있는지 판단한다(S570). 구매 요청이 있다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해서 결제 프로시저를 수행한다(S580). 이 경우, 스마트 폰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When the augmented content is provid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purchas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S570). If there is a purchase request, the user performs a payment procedure on the selected product (S580). In this case, the payment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the payment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과정은 공통 콘텐츠가 종료될 때가지 반복하여 수행된다(S590).This process is performed repeatedly until the common content ends (S59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는 공통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85), 증강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95), 공통 콘텐츠 식별부(140), 증강 콘텐츠 제공부(150), 증강 콘텐츠 생성부(190), 및 결제부(160)가 각각 독립한 장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각각의 장치들은 서로 통합되거나 융합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n FIG. 1, thecommon content database 185, theaugmented content database 195, the commoncontent identification unit 140, the augmentedcontent providing unit 150, the augmentedcontent generating unit 190, and thepayment unit 160 are illustrated. Are each shown to be independent devic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respective devices may be integrated or fused together.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 및 결제와 같은 온라인 상거래 분야, 교육 분야, 건강 관리 분야, 및 오락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online commerce, education, health care, and entertainment, such as online shopping and payment.

Claims (16)

Translated fromKorean
삭제delete삭제delete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단말기(common terminal)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common contents)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부; 및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용 단말기(personal terminal)로 제공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용 단말기는 스마트 휴대 장치이며,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는 수신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방송망 및 데이터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공통 콘텐츠를 상기 공통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통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상기 공통 단말기로 제공될 공통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수정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개성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static situation information)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dynamic situation information)를 상기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적 및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인화 증강 콘텐츠(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를 생성하며,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부는 생성된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상기 증강 콘텐츠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ommon contents currently provided through a common terminal that can be simultaneously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It includes an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generated augmented content to a personal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personal terminal is a smart portable device,
The smart portable device displays the received augmented content on a display included in the smart portable device,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common content to the common terminal through one of a broadcasting network and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on content providing unit receives a user response to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creates or modifies common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commo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user response,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receives static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ty of the user and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from the personal terminal,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tatic and dynamic situation information. Generat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one;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the generated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s the augmented content to the personal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통 콘텐츠가 질의 관련성이 있는(query-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질의에 대한 상세 정보, 사용자별 응답 결과, 및 전체 사용자들의 응답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When the common content is query-related content, at least one of detailed information on a query, a response result for each user, and a response result of all users is generated as the augmented content. Content Delivery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통 콘텐츠가 경쟁 관련성이 있는(competition-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경쟁 상대들에 대한 정보, 사용자들의 현재 승부 예측 정보 및 승부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When the common content is contention-related content,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competitors, current game prediction information and game result information of the users is generated as the augmented content. Content Delivery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통 콘텐츠가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story-related) 콘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공통 콘텐츠의 줄거리(story), 상기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인물 정보(character information), 촬영 장소(shooting site), 콘텐츠 관련 부대 정보(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및 상품 판매 정보(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When the common content is story-related content, the story of the common content, character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a shooting site, and content related content And at least one of contents-related auxiliary information and product marketing information as the augmented cont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결제 프로시져(transaction procedure)를 수행하는 결제부(transaction ser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는 스마트 폰이며,
상기 결제부는 상기 스마트 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to purchase from the augmented content using the personal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transaction server for identifying the user, obtaining payment information of the user to perform a transaction procedure (transaction procedure) The smart mobile device is a smart phone,
The payment unit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payment procedure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pho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공통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공통 콘텐츠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통 콘텐츠 식별부로부터 상기 공통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mmon conten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common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unit receives the content ID of the common content from the common content identification unit, and generates the augmented content using the received content ID.
삭제delete삭제delete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하여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는 공통 콘텐츠에 관련된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콘텐츠 생성 단계;
생성된 증강 콘텐츠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마트 휴대 장치인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가 수신된 증강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개인용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된 상기 증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응답에 기반하여 상기 공통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 콘텐츠 생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개성에 대한 정적 상황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적 및 동적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개인화 증강 콘텐츠를 상기 증강 콘텐츠로서 상기 개인용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An augmented conte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ugmented content related to common content currently provided through a common terminal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Providing the generated augmented content to a personal terminal which is a smart portable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mart portable device receiving the augmented conten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ing, by the smart portable device, the received augmented content on a display included in the smart portable device;
The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content further includes receiving a user response to the augmented content provided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and creating or modifying the common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user response,
The generating of the augmented content may include receiving at least one of static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ty of the user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ser from the personal terminal; Generating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to be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static and dynamic contextual information,
The step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 includes providing the personalized augmented content as the augmented content to the personal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콘텐츠가 질의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증강 콘텐츠는 질의에 대한 상세 정보, 사용자별 응답 결과, 및 전체 사용자들의 응답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mon content is query rela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includes at least one of detailed information on a query, a response result for each user, and a response result of all use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콘텐츠가 경쟁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증강 콘텐츠는 경쟁 상대들에 대한 정보, 사용자들의 현재 승부 예측 정보 및 승부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mon content is content that is contention-related,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augment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etition, the user's current game prediction information and the game result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콘텐츠가 줄거리 관련성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증강 콘텐츠는, 상기 공통 콘텐츠의 줄거리, 상기 공통 콘텐츠에 등장하는 등장 인물 정보, 촬영 장소, 콘텐츠 관련 부대 정보, 및 상품 판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common content is story-related content,
The augmented content is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plot of the common content, character information appearing in the common content, shooting location, content-related incident information,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증강 콘텐츠로부터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하여 결제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결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is
When the user selects a product to purchase from the augmented content using the personal terminal, providing augmented con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ayment step of identifying the user and obtaining the payment information of the user to perform a payment procedure Way.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휴대 장치는 스마트 폰이고,
상기 결제 프로시져는 상기 스마트 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콘텐츠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mart portable device is a smart phone,
The payment procedure is augmented content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us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phone.
KR1020100088054A2010-09-082010-09-08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Expired - Fee RelatedKR101197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88054AKR101197630B1 (en)2010-09-082010-09-08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88054AKR101197630B1 (en)2010-09-082010-09-08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20025881A KR20120025881A (en)2012-03-16
KR101197630B1true KR101197630B1 (en)2012-11-07

Family

ID=4613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088054AExpired - Fee RelatedKR101197630B1 (en)2010-09-082010-09-08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19763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3312801A1 (en)2016-10-182018-04-25DS Global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user-edited image
KR20200031460A (en)2018-09-142020-03-24김준현AR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recogn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9240075B2 (en)2013-03-152016-01-19Daqri, LlcCampaign optimization for experience content dataset
KR101909461B1 (en)*2017-12-152018-10-22코디소프트 주식회사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 argument reality
US11462011B2 (en)2019-03-222022-10-04Dumas Holdings, LlcSystem and method for augmenting casted content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28717B1 (en)*2009-07-282009-11-27주식회사 콤텍시스템 Advertising Method Associated with IPTV Broadcasting Program
KR100948691B1 (en)*2008-11-042010-03-18한국전자통신연구원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personal advertisement broadcasting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48691B1 (en)*2008-11-042010-03-18한국전자통신연구원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personal advertisement broadcasting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KR100928717B1 (en)*2009-07-282009-11-27주식회사 콤텍시스템 Advertising Method Associated with IPTV Broadcasting Progra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3312801A1 (en)2016-10-182018-04-25DS Global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using user-edited image
US10339383B2 (en)2016-10-182019-07-02Ds Global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KR20200031460A (en)2018-09-142020-03-24김준현AR content providing system through imag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20025881A (en)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405664B2 (en)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items in media data and delivery of information related thereto
US11416918B2 (en)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enabling seamless purchasing of such identified products by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US8645991B2 (en)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media streams
JP5987227B2 (en) Social network-based TV broadcast content sharing method, TV broadcast content sharing server, method for receiving social network-based TV broadcast content sharing service, and TV device
US20090313324A1 (en)Interactive viewing of media content
US20140068665A1 (en)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on packages to users based on metadata associated with content
WO2012125673A1 (en)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WO2014142301A1 (en)Information supply system, server device, video display device, information supply method, and program
WO2019183061A1 (en)Object identification in social media post
KR101197630B1 (en)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contents related to currently-provided common contents to personal terminals
EnnisUnderstanding fans and their consumption of sport
KotlerKellogg on Advertising and Media: The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US20250061509A1 (en)Media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037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ome shopping broadcasting using personal broadcasting
ΣΙΔΗΡΟΠΟΥΛΟΣThe effectiveness of digital platforms: A survey analysis
CalderKellogg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AMNDAmendment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AMNDAmendment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X0901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PE0801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2-nap-PE0801

P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X701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1027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P14-X000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1130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811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810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8103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