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2는 종래의 출금 모듈에서 일시스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mporary stack unit in a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withdrawal apparatus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출금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chanism of the withdrawal devic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현금카세트110:현금카세트 수용부100: Cash cassette 110: Cash cassette storing part
120:카세트 하우징130:동력 전달부120: cassette housing 130: power transmission unit
131:연장 기어부138:구동축131 : extension gear part 138 : drive shaft
140:회전 센서부143:회전판140: rotation sensor part 143: rotation plate
144:홀145:광학 센서144 : Hole 145 : Optical Sensor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의 종이 매체를 저장하는 현금카세트의 인출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h Transaction Machi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thdrawal structure of a cash cassette for storing paper media such as banknotes, checks, gift certificates, tickets, etc. in a financial teller machine.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n automated device that can assis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with respect to financial service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an be divided into cash dispenser and cash dispenser according to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of money. Recently, it has been used for cash withdrawal, check deposit, withdrawal, bank account fee payment, ticket release.
현재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고객들도 점차 금융자동화기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회수도 증가하게 되면서, 매번 이용하는 금융거래의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액수 및 입금 액수의 오류 등과 같은 오작동도 늘어나게 되며, 입출금 되는 현금이나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부품 간의 이동 또는 위치 간섭에 의해서 금융자동화기기 내에 의도하지 일들이 자주 발생할 수가 있다.Currently,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gradually increasing in banks and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nd as the use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becomes more convenient, customers are increasingly using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increases, the amount of financial transactions used every time also increases, and accordingly, malfunctions such as the withdrawal amount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he error of the deposit amount increase, and the cash or finance of the deposit and withdrawal is increased. Unintentional things can occur frequently in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due to movement or positional interference between the internal parts of the automation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 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지폐 입출금 모듈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 듈이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utomated teller machine is a device for depositing and depositing cash or checks. In one housing, a plurality of financial units are classified into functional units such as a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a bankbook arranging module, a user interface module, and a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odule. The module is installed.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은 카드 투입부(10)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디플레이화면(20)이나 키입력부(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magnetic card reading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또한, 지폐 출금 모듈은 현금 방출부(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현금 방출부(30)는 직접 배출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지폐 출금 모듈 내에서 이미 요청된 금액의 현금이 준비된 후, 현금이 현금 방출부(30)에서 스택(stack) 단위로 제공된다. 하지만,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현금카세트(cash cassette)에서는 현금을 낱장 단위로 제공하며, 현금카세트에서 제공되는 현금 낱장의 장수, 회손여부 및 액면가를 감지하기 위한 현금 검지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ill withdrawal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sh discharge unit (30). The
도 2는 종래의 출금 모듈에서 현금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cash i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출금 모듈은 현금카세트(40), 이송부(50), 현금검지센서(60), 회수부(70) 및 일시스택부(80)를 포함한다. 현금은 현금카세트(4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부(50)를 따라 이동하며, 일시스택부(80)에서 소정의 금액만큼 적재된 후 정상 거래 인증에 따라 출금부(30)로 이송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includes a
현금카세트(40)로부터 현금이 1장씩 인출되며, 인출된 현금은 이송부(50)를 따라 일시스택부(80)로 이송된다. 일시스택부(80)로 이송되는 동안 현금은 현금검지센서(60)를 통과하게 되고, 현금검지센서(60)는 통과하는 현금의 이매(double sheet) 여부, 지폐의 훼손, 지폐의 권종 진위, 위조 여부 등을 검지할 수 있다. 이 와 같이 통과하는 매체가 정상적인 거래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회수편(72)이 작동하여 현금의 이송 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전환된 현금은 회수부(70)로 보관되어 일시스택부(80)로 진입할 수가 없다.Cash is withdrawn from the
고객(customer)이 요청한 금액의 현금이 일시스택부(80)에 적재되면, 이송부(50)는 반대로 동작하여 일시스택부(80)에 적재된 현금을 한번에 출금부(30)로 이송할 수가 있으며, 고객은 출금부(30)를 통해서 노출된 금액을 수령할 수가 있다.When the cash of the amount requested by the customer is loaded in the
하지만, 종래의 출금 모듈에서 검지센서(60)는 현금카세트(40)와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진 외부의 이송부(50)에 설치되어 그 사이에 일어나는 잼(jam) 등의 사고에 반응할 수 가 없으며, 이러한 시간 차는 출금 모듈의 메커니즘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thdrawal module,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의 지폐류 인출구조에서 현금과 같은 종이 매체를 현금카세트에서 인출할 때, 현금카세트에서 현금이 인출되는 동시에 현금의 인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금카세트의 오작동 시에도 지연되는 시간 없이 현금카세트의 오작동을 파악할 수 있는 지폐류 인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cash from a cash cassette when a paper medium such as cash is withdrawn from a cash cassette in a banknote withdrawal structure of a Cash Transaction Machin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withdraw the cash withdrawal, it is to provide a bill withdrawal structure that can detect the malfunction of the cash cassette without time delay even when the malfunction of the cash casset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지 센서와 현금카세트의 소정의 간격을 제거하여 그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폐류 인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knote withdrawal structure that can eliminate the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ash cassette to prevent problems that may occur in betwee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인출구조에 있어서, 금융자동화기기 내에는 현금카세트가 삽입되는 현금카세트 수용부가 제공된다. 현금카세트 수용부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현금카세트는 현금카세트의 외부를 이루며, 삽입구 및 현금 배출부를 포함하는 카세트 하우징과 삽입구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현금을 낱장 단위로 인출하는 픽업부 및 픽업부에 의해서 현금 배출구로 현금을 인출하는 현금카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부는 현금 배출구에 인접하게 픽업 롤러가 제공되고 픽업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현금카세트 내부에 놓이는 현금이나 수표 등과 같은 종이 매체를 현금 배출구로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knote withdrawal structur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 cash cassette accommodating portion into which a cash cassette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The cash cassette, which is mounted or separated on the cash cassette receiving unit, forms an exterior of the cash cassette,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cassette housing including the insertion hole and the cash discharging unit and the insertion hole. A cash cassette for withdrawing cash to the outlet. The pick-up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ick-up roller adjacent to the cash outlet and transfer paper media, such as cash or check, placed inside the cash cassette by the rotation of the pick-up roller to the cash outlet.
또한, 현금카세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축 및 구동축에 장착되며 삽입구를 통해 현금카세트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연장 기어부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연장 기어부는 카세트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픽업 롤러에 동력을 전달해 연동하는 전달롤러와 맞물리는 연장 기어에 의해서 외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mounted on a drive shaft for driving the cash cassette and an extension gear par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ash cassette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transmitting power. The extension gear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ssette housing to transmit external power by an extension gear engaged with a transfer roller which transmits power to the pickup roller and interlocks therewith.
또한, 구동축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센서부는 구동축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은 그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현금카세트의 동작 여부를 현금 인출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a plurality of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the 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ash cassette is operating at the same time as the cash withdrawal.
여기서 종이 매체라 함은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과 같이 일정한 가치를 갖는 시트 형상이 물건으로서, 그 재질은 종이 외에도 플라스틱 박막 등과 같이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재질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Here, the paper medium is a sheet shape having a certain value such as a bill, a check, a gift certificate, a ticket, etc., and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replace paper such as a plastic thin fil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인출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폐류 인출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bill payou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ill payout structure shown in FIG.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류 인출구조는 종이 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현금카세트(100)가 하나가 도시된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될 시에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지만2 개의 현금카세트(100)를 포함하며, 2개의 현금카세트 (1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필요한 만큼의 종이 매체를 인출할 수가 있다. 현금카세트(100)는 금융화자동화기기 내에 현금카세트(100)를 위한 수용부(11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현금카세트(100)는 그 외관을 이루는 카세트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카세트 하우징(120)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카세트 하우징(120)에는 삽입구(105)와 현금(190)이 배출되는 현금 배출구(102)가 형성되며, 현금 배출구(102)를 통해서 인출되는 현금은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3 and 4, the banknote withdraw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또한, 현금카세트(100) 내부에는 삽입구(105)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현금(190)을 낱장 단위로 인출하는 픽업부(160)가 제공된다. 픽업부(160)는 현금 배출구(102)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픽업 롤러(103)를 구비한다. 상기 픽업부(160)는 픽업 롤러(103)를 고정하는 프레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픽업 롤러 (103)는 그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의 소재가 부착되어 현금(190)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현금카세트(100)내부에 놓이는 현금(190)은 픽업 롤러(103)에 밀착하여 포개져 있으며, 따라서, 픽업 롤러(103)의 회전에 의해서 현금배출 롤러(161)들 사이로 현금이 안내되며, 현금(190)이 현금 배출구(102)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현금카세트(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130)는 구동축(138)과 구동축(138)에 장착되며 삽입구(105)를 통해 현금카세트(100)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연장 기어부(13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연장 기어부(131)는 현금카세트(100)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연장 기어(132)와 상기 연장 기어(132)를 고정할 수 있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하우징(120)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 기어부(131)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삽입구(105)의 크기가 결정되며, 연장 기어부(131)는 삽입구(105)에 삽입되어 전달 롤러(162)와 맞물린다. 따라서, 연장 기어(132)에 의해서 외부 동력을 현금카세트(100)안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38)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 받는 구동 기어(133)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133)는 외부 벨트(136)에 의해서 회전하여 구동축(138)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또한, 구동 기어(133)에 연결되는 전달 벨트(137)는 또 다른 현금카세트의 구동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기어(133)의 안쪽에 제공된 솔레노이드 클러치(18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클러치(180)에 의해서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제공된 2 개의 현금카세트(100)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가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회전 센서부(140)가 구동축(138)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동축(138)의 일측에 장착된다. 회전 센서부(140)는 구동축(138)과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143)과 회전판(143)의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 센서(145)를 포함한다. 회전판(143)에는 그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홀(143)이 형성되며, 감지 센서(145)는 레이져 또는 적외선과 같은 빛을 이용하여 상기 홀(143)을 통하여 구동축(138)의 회전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금카세트(100)의 동작 여부를 현금 인출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지폐류 인출구조는, 현금카세트에서 현금이 인출되는 동시에 현금의 인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현금카세트의 오작동 시에도 지연되는 시간 없이 파악할 수 있다.In the banknote withdraw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h can be withdrawn from the cash cassette and the cash can be withdrawn or not, and the malfunction of the cash cassette can be grasped without delay.
또한, 검지 센서와 현금카세트의 소정의 간격을 제거하여 그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cash cassette can be eliminated to prevent problems that may occur between the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0394AKR101177936B1 (en) | 2005-06-13 | 2005-06-13 | Structure for drawing a bill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50394AKR101177936B1 (en) | 2005-06-13 | 2005-06-13 | Structure for drawing a bill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29757A KR20060129757A (en) | 2006-12-18 | 
| KR101177936B1true KR101177936B1 (en) | 2012-08-2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50394AExpired - Fee RelatedKR101177936B1 (en) | 2005-06-13 | 2005-06-13 | Structure for drawing a bill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7793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53731B1 (en)* | 2014-02-20 | 2020-09-08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actuation part and transmission part for up and down movement of push plat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77112A (en) | 2003-03-17 | 2004-10-07 | Omron Corp | Paper feed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77112A (en) | 2003-03-17 | 2004-10-07 | Omron Corp | Paper feeding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129757A (en) | 2006-12-1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292761B2 (en) | Bill separation and accumulation mechanism | |
| EP2549448B1 (en) | BIll and cheque acceptor | |
| KR20140088946A (en) | Cassette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checks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 |
| WO2020241064A1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JP2014047073A (en) | Thickness detector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JP4887554B2 (en) |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 |
| JP6834248B2 (en) | Media processing equipment and media trading equipment | |
| KR101280658B1 (en) | Medium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 |
| JPS59102731A (en) | Paper sheet feeding mechanism | |
| KR101177936B1 (en) | Structure for drawing a bill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101016245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JP7647370B2 (en) | Media processing device and media transaction device | |
| JPS5943739A (en) | Magazine for paper sheets | |
| WO2016059824A1 (en) | Medium accumulation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WO2015040901A1 (en) | Medium dispen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KR200374271Y1 (en) | Dual shutter structure of an auto teller machine | |
| US10604364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 KR200411493Y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JPH0778279A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1099900B1 (en) | Withdrawal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100526580B1 (en) | temporary stacker of paper money | |
| KR100442496B1 (en) | Jam automation el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sh dispenser/automatic teller machine | |
| KR200389004Y1 (en) |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KR101123683B1 (en) | Apparatus of drawing bills in a cash transaction machine | |
| US20250308311A1 (en) |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728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801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801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724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23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