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모듈을 보호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고 확장모듈의 장착 시 휴대단말이 확장모듈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외관을 보호 및 장식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완하는 확장모듈을 용이하게 장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module,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expansion module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in a protective case form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when the expansion module is installed. An extension module and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n extension module for easily installing and using an extension module for providing or supplementing various func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while protecting and dec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by automatically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module control. It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최근 들어 휴대 단말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게 되어,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In recent years, the mobile terminal can support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 video or video,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playing a game, receiving a broadcast, or wireless Internet, and has been implemented as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공간을 차지하는 기능을 부가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외장 스피커, 외장 배터리 등의 확장 유닛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확장 유닛은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 후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와 함께 휴대하여 사용하는 데엔 어려움이 있다.Such a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limitation in adding a function that occupies a space becaus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limited to facilitate portability. Thus, a technology for connecting expansion units such as an external speaker and an external battery has been developed. However, the conventional expansion unit is intended to be used afte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difficult to carry with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하는 특성상 외부로부터 접촉이나 충격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손상을 입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를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만을 증가시킬 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 확장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portable terminals often have scratches or damage due to contact or impact from the outside, they are often used with a separate protective case. When installing and using a protective ca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elps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help to increase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only to expand the function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모듈을 보호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고 확장모듈의 장착 시 휴대단말이 확장모듈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외관을 보호 및 장식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완하는 확장모듈을 용이하게 장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expansion module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protective case and when the expansion module is installe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installs th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pansion module,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install and use an expansion module that provides or supplements various func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while protecting and dec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부를 포함하는 확장 기기부; 및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치정보를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확장기기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한다.Expans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storage unit to store install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to be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 expansion devi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device unit to provide an extended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transmits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It includes a modu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expansion device unit.
여기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전원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USB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ower signal and a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설치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인터넷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n internet address to download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xpansion module, and the module controller may request registr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
한편, 상기 확장 기기부는, 보조 배터리, 마이크, 스피커,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pansion devic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battery,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light emitting unit.
여기서, 상기 확장모듈은 스마트폰의 보호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pansion module may include a protective case of the smartphon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확장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감싸지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확장모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상태인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부가 형성된 제1영역;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 제어부가 내장된 제2영역; 및 상기 모듈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 기기부가 탑재된 제3영역을 포함한다.Expans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expansion module mount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wrapped, when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first area having a connection interfac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 second area in which a module control unit for proces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is embedded; And a third area in which an expansion device unit is mount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odule controll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하나 이상의 기기부를 포함하는 확장 기기부, 및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치정보를 송신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여 확장모듈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에 대응되는 모듈 인터페이스부와; 통신망 접속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모듈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상기 설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설치정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확장 기기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 expansion device unit including one or more device unit, and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to the storage unit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used with an expansion module, including a modul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red installation informatio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odule interfac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When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odule interface unit is received, download and install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 generate the module interface And a terminal controller output through the unit.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모듈 인터페이스부로 수신된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다른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unit; The memory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received by the module interface unit and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 terminal control unit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of another expansion modul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단말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확장모듈의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may transmit a message or connect a telephone call to a user of the other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모듈의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감싸지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확장모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장모듈 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할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접속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설치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expans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method of an expansion modul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wrapped, the extension of the application to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expansion module; Storing install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ing an extended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서,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전원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USB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ower signal and a control signal.
그리고, 상기 설치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인터넷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ternet address to download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xpansion module, and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보조 배터리, 마이크, 스피커, 발광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viding of the extended func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auxiliary battery,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light emitting unit to expand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include providing a fun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접속 인터페이스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하나 이상의 기기부를 포함하는 확장 기기부, 및 상기 접속 인터페이스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치정보를 송신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여 확장모듈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장모듈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정보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확장 기기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 storage unit storing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 expansion device unit including one or more device unit, and the connection interface unit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be used with an expansion module, including a modul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uni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from the expansion module;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device uni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여기서, 상기 확장모듈로부터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외부로부터 다른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receiving and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from the expansion module; Storing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to the outside; And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another expansion module are received from the outside,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른 확장모듈의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message or connecting a telephone call to a user of the other exte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모듈을 보호 케이스 형태로 구성하고 확장모듈의 장착 시 휴대단말이 확장모듈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외관을 보호 및 장식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완하는 확장모듈을 용이하게 장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clude an expansion module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 protective case, and when the expansion module is mounted,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s the expansion module. By automatically installing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and decorate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install and use an expansion module that grants or supplements various func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과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xpansion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expansion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expansion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200)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블럭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확장모듈(200)은 상호 인터페이스부(110, 210)를 통해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확장모듈(200)의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휴대용 단말기(100)는, 통신부(180), 사용자 입력부(170), 디스플레이부(160), 오디오 입출력부(150), 주 배터리부(130), 메모리부(140), 모듈 인터페이스부(110) 및 단말 제어부(120)를 포함한다.The
통신부(18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80)는 이동통신망, 무선 인터넷,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네트워크 등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며,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80)는 단말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혹은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확장모듈(200)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사용자 간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사용자 입력부(170)는 사용자 입력을 단말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70)로는 터치패널, 키패드, 버튼 등을 적용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60)는 단말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70)의 입력을 표시한다.The
오디오 입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234),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36)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출력부(15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나,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음성통화에 따른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오디오 데이터 처리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input /
주 배터리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주 배터리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 내에 내장되거나, 혹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부(140)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 데이터, 환경설정 데이터 등의 구동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40)에는 사용자가 설치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 등의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모듈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장치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단말 제어부(120)에 접속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단말 제어부(120)와 확장모듈(2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한다. 모듈 인터페이스부(1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시리얼 등의 유선방식과 블루투스, IEEE1394 등의 무선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확장모듈(200)과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The
단말 제어부(120)는 모듈 인터페이스부(110)가 출력하는 접속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확장모듈(200)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20)는 확장모듈(2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통신부(180)를 통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와 확장모듈(200)은 상호 연동할 수 있다.The
확장모듈(200)은, 접속 인터페이스부(210), 저장부(240), 확장 기기부(230) 및 모듈 제어부(220)를 포함한다.The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모듈 제어부(220)에 접속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모듈 제어부(220)와 휴대용 단말기(10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10)의 송수신 방식에 대응되는 방식으로 신호 송수신을 중계한다.The
확장 기기부(230)는 모듈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기기들을 포함한다. 확장 기기부(230)는 주 배터리부(130)의 전원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부(232), 음성입력을 위한 마이크(234), 오디오 출력을 위한 스피커(236) 및 휴대용 단말기(100) 측의 제어에 따라 점멸 동작하는 발광부(2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보조 배터리부(232)는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로 입력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 잔량을 모듈 제어부(220)에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보조 배터리부(232)의 배터리 잔량과 충전 상태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된다.The
마이크(234)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오디오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스피커(236)는 오디오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마이크(234) 및 스피커(236)는 각각 오디오 입출력부(150)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The
발광부(238)는 LED 등의 발광장치를 포함하여 따라 점멸동작을 수행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238)는 확장모듈(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혹은, 메시지가 도착하거나 전화가 걸려오는 등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이상의 확장 기기부(230)의 구성요소들은 확장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 components of the
저장부(240)에는 확장모듈(200)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된 식별정보와, 확장모듈(200)의 제어를 위함 설치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확장모듈(2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링크 주소 등의 설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모듈(200)의 제조 시 부여된 제조번호, 시리얼번호, 등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모듈 제어부(220)는 접속 인터페이스부(210)가 출력하는 접속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다. 모듈 제어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확장모듈(200)의 설치 및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을 휴대용 단말기(100) 측에 제공한다. 이 후, 모듈 제어부(220)는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확장 기기부(23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200)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흐름도이다.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휴대용 단말기(100)와 확장모듈(200)은 상호 접속시 각 인터페이스부(110, 21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접속 상태를 감지한다(S100, S110).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10)는 확장모듈(200)의 접속을 감지하여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단말 제어부(120)에 접속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확장모듈(200)의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속을 감지하여 모듈 제어부(220)에 접속 감지신호를 출력한다.The
확장모듈(200)을 휴대용 단말기(100)에 접속시키면, 확장모듈(200)은 휴대단말 측에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확장모듈(200)은 저장부(240)에 저장된 설치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설치정보에는 다운로드 받아야 할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링크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설치정보에 따라 통신부(180)를 통해 확장모듈(200)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다(S130).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20)는 다운로드 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S140). 이에, 단말 제어부(12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확장모듈(200)의 기능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확장모듈(200)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확장 기기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타, 확장모듈(200)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The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된 후, 휴대용 단말기(100)는 확장모듈(200) 측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확장모듈(200)의 구성을 확인한다(S150).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확장모듈(200)과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거나, 확장 기기부(230)의 동작상태, 설정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is completed, the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확장모듈(200)은 저장부(24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 등록한다(S160). 휴대용 단말기(100)는 확장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정보를 요청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이에, 확장모듈(200)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등록된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확장모듈(200)이 장착된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와 그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is completed, the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와 확장모듈(200)은 상호 연동하는 상태로 진입한다(S170). 이에, 단말 제어부(120)와 모듈 제어부(220)는 상호 인터페이스(110, 210)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가 확장모듈(200)에 탑재된 보조 배터리부(232), 마이크(234), 스피커(236), 발광부(238) 등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is completed, th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확장모듈(200)의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S180). 여기서, 확장모듈(200)을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장 기기부(230)의 동작에 대한 사항을 설정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확장모듈(2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S190).In addition,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확장모듈(200)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확장 기기부(230)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S200).The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휴대용 단말기(100)에 등록된 식별정보는 다른 확장모듈(200)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100)를 검색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등록된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는 통신부(180)를 통해 송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180)를 통해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가 송신하는 확장모듈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다른 확장모듈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식별정보 및 해당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수신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확장모듈을 사용중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200)과 휴대용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모듈(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을 제외한 다른 영역들을 커버 하는 보호 케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보호 케이스 형태의 확장모듈(200)에는 그 내부 공간에 모듈 제어부(220)와 저장부(240)가 내장되며,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10)와 접속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신호를 모듈 제어부(220)로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 인터페이스부(210)가 형성된다.The
도 3의 확장모듈(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에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2)으로 구성하고 확장 기기부(230)의 구성을 탑재하기 위한 제3부분(203)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제1부분(201)에는 접속 인터페이스부(210)가 형성되고, 제2부분(202)에는 모듈 제어부(220)와 저장부(240)가 내장되며, 제3부분(203)에는 발광부(238), 스피커(236) 등의 확장 기기부(230)의 구성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2)의 결합 영역에는 보조 배터리부(232) 탑재공간(205)을 형성할 수 있다.A
이러한, 제1부분(201)과 제2부분(202) 및 제3부분(203)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부분(201)의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신호는 제2부분(202)에 내장된 모듈 제어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제어부(2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3부분(203)에 탑재된 확장 기기부(230)로 전달되거나, 혹은, 제1부분(201)으로 전달되어 접속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듈 인터페이스부(110)로 입력될 수 있다.The
이러한 확장모듈(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재료의 특성과 확장 기기부(230)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복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확장모듈(200)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구성하는 경우, 확장모듈(200)을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각 구성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듈 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When divid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200)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 상태도로서, 제3부분(203)을 토끼 귀 모양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확장모듈(20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호 및 장식할 수 있다. 또한, 확장모듈(200)과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은 상호 연동되어 확장모듈(200)에 구비된 확장 기기부(230)의 기능을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등록한 확장모듈의 식별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180)를 통해 송신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송신하는 확장모듈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휴대용 단말기(100)는 확장모듈(200)을 장착한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하는 한편, 대화하기 메뉴와 통화하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확장모듈을 사용중인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전화통화를 연결함으로써, 유사한 형태의 확장모듈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확장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방법은, 휴대단말의 외관을 보호 및 장식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보완하는 확장모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The expans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ay be used to protect and decorat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o easily use the expansion module that provides or supplements various functions to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100  :  휴대용 단말기110  :  모듈 인터페이스부
120  :  단말 제어부130  :  주 배터리부
140  :  메모리150  :  오디오 입출력부
160  :  디스플레이부170  :  사용자 입력부
180  :  통신부200  :  확장모듈
210  :  접속 인터페이스부220  :  모듈 제어부
230  :  확장 기기부232  :  보조 배터리부
234  :  마이크236  :  스피커
238  :  발광부240  :  저장부
242  :  확장모듈 고유정보100: portable terminal 110: module interface unit
 120: terminal control unit 130: main battery unit
 140: memory 150: audio input / output unit
 160: display unit 170: user input unit
 180: communication unit 200: expansion module
 210: connection interface unit 220: module control unit
 230: expansion unit 232: auxiliary battery unit
 234: microphone 236: speaker
 238: light emitting unit 240: storage unit
 242: Unique information of the expansion modul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4795AKR101169322B1 (en) | 2011-04-14 | 2011-04-14 |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34795AKR101169322B1 (en) | 2011-04-14 | 2011-04-14 |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69322B1true KR101169322B1 (en) | 2012-07-3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34795AExpired - Fee RelatedKR101169322B1 (en) | 2011-04-14 | 2011-04-14 |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69322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5016447A1 (en)* | 2013-07-31 | 2015-02-05 | Kim Mi Won | Smartphone case | 
| KR101748805B1 (en)* | 2015-04-10 | 2017-06-20 | 주식회사 리코시스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US9766092B2 (en) | 2014-11-04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using sensor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ame | 
| KR20180011833A (en)* | 2018-01-23 | 2018-02-02 | 주식회사 리코시스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WO2020171248A1 (en)* | 2019-02-19 | 2020-08-27 | 모비케이 주식회사 |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wireless authentication-based accessory and smartphone case used therei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5016447A1 (en)* | 2013-07-31 | 2015-02-05 | Kim Mi Won | Smartphone case | 
| US9766092B2 (en) | 2014-11-04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using sensor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ame | 
| US10393544B2 (en) | 2014-11-04 | 2019-08-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using sensor data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same | 
| KR101748805B1 (en)* | 2015-04-10 | 2017-06-20 | 주식회사 리코시스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KR20180011833A (en)* | 2018-01-23 | 2018-02-02 | 주식회사 리코시스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KR101881050B1 (en) | 2018-01-23 | 2018-07-23 | 주식회사 리코시스 |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restricting ability and function restrict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WO2020171248A1 (en)* | 2019-02-19 | 2020-08-27 | 모비케이 주식회사 | Online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wireless authentication-based accessory and smartphone case used therei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52754B1 (en) |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for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 |
| CN105531941B (en) | A kind of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equipment | |
| CN110430562B (en) |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 |
| KR101169322B1 (en) | Module for expand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CN110809243B (en) | Wireless earphone, wireless earphone pairing method, terminal and system | |
| US20130226401A1 (en) |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ar system | |
| KR20200045367A (en) | Electronic device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 KR20210050403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multipl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CN102883037B (en) |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 |
| KR101438462B1 (en) | Expandable auxiliary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with device holder | |
| US20150149994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 KR20180033185A (en) | Earset and its control method | |
| CN114143906A (en) | Electronic equipment conne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20220035698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of the same | |
| CN108924911B (en) | A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 wifi hotspot sharing network | |
| JP2014155030A (en) | Light emitting module for specific radio signal | |
| CN110266885B (en) | Terminal binding method and terminal | |
| KR101677919B1 (en) | Portable wireless speaker device | |
| CN111541804A (en) |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 |
| JP2008028721A (en) | Radio intercom system | |
| KR101792516B1 (en) | Io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with vibration pairing | |
| JP5573809B2 (en) | Control device | |
| KR20210039818A (en) |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 |
| KR20210062279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btain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 |
| JP5871022B2 (en) |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control progra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723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7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72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