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 시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발목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삽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해 탄성쿠션부재 내에 탄성부재를 인서트시켜 일체화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쿠션부재와 탄성부재를 분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라 충격흡수장치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하부패드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의 종래 충격흡수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he shock absorber is inserted into the heel of the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as a means for absorbing, dispersing and alleviating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hind paw of the pedestrian to the ankle or knee during walking. By inserting the elastic member into the elastic cushion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ice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or by forming the elastic cushion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into a divided structure, the applica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can be widely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and the use state.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ds formed with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and thus the productivity and assembly of the product are simple, and accordingly Shoe shocks that significantly lower the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costs of the product It relates to a number of devices.
일반적으로, 운동화, 구두, 등산화, 산업용 안전화 등 각종 신발을 신고 해당 신발에 맞는 운동이나 보행, 등산 및 작업을 할 때 신발을 통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게 되면서 발생되는 상당한 충격력이 발뒷굼치로부터 발목 및 무릎에 연속적으로 가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발뒷굼치로부터 발목이나 무릎으로 전달된 충격력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피로 및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when the user wears various shoes such as sneakers, shoes, hiking shoes, industrial safety shoes, and the like, the significant impact force that occurs when the entire sole of the foo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the exercise, walking, climbing, and working with the shoe is applied to the ankle and It is applied to the knee continuously,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ankle or knee from the back of the foot as described abov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causes fatigue and injur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176002호에 개시된 충격흡수용 신발과, 한국 특허출원 제2003-53584호에 개시된 충격완화 완충장치가 각각 제안되었는데,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용 신발(제0176002호)은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의 외주연 부분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상하단부가 걸림턱에 각각 걸려서 상하로 지지되도록 하여 발뒷굼치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토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제2003-53584호)는 상부패드 및 하부패드에 복수의 환형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환형플랜지에 코일스프링을 억지로 끼워 장착하여 발뒷굼치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shock absorbing shoe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76002 and th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3-53584 have been proposed, respectively, wherein the shock absorbing shoes (0176002) Ho)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in the upper pad and the lower pa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pring are caught on the locking jaw respectively to be supported up and down to absorb the impact force generated from the back of the foot Th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2003-53584) forms a plurality of annular flanges on the upper pad and the lower pad and forcibly inserts a coil spring into the annular flange to alleviate the impact force generated from the back of the foot. Consists of.
그러나, 상기 충격흡수용 신발(제0176002호)의 경우 스프링이 압축될 때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여 보호해 주는 보호장치가 없어 충격력에 의한 스프링이 압출될 때 상기 스프링 자체가 마찰되면서 상기 스프링 자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스프링이 걸림턱에서 이탈되어 신발의 밑바닥이나 발뒷꿈치 측으로 뚫고 나가는 천공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hock absorbing shoe (No. 0176002), there is no protection device that fixes and protects the spring when the spring is compressed, so that the spring itself is broken while the spring itself is rubbed when the spring by the impact force is extruded. Or there is a big problem such that the spring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to form a perforated state to pierce the bottom or heel side of the shoe.
또한,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제2003-53584호)의 경우 발뒷굼치의 가압력을 통한 충격완충장치에 장착된 코일스프링이 압축될 때 상기 코일스프링을 끼우는 환형플랜지가 강한 힘에 의하여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상부패드에 형성된 플랜지의 높이와 하부패드에 형성된 플랜지의 높이의 합이 코일스프링의 최 대 압축 시 코일스프링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부 및 하부의 플랜지가 코일스프링을 고정하여 보호하는 보호봉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발 바닥에 강력한 충격이 가해질 시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하부 플랜지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함께, 더 나아가 압축된 코일스프링 자체가 신발의 밑창을 뚫고 나가는 천공상태를 형성하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No. 2003-53584), when the coil spring mounted 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through the pressing force of the foot squeezing is compressed, the annular flange sandwiching the coil spring is damaged by a strong force. Furthermore, when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flange formed on the upper pad and the height of the flange formed on the lower pad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il spring during the maximum compression of the coil spr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fix the coil spring to protect it. Since the coil spring is separated or damaged from the upper and lower flanges whe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shoe, the compressed coil spring itself penetrates the sole of the shoe. There was a big problem, such as forming an outgoing perforation.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0661085호에 개시된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충격완화 완충장치(110)가 구비된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에 있어,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에 대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며, 상호 대응되는 내측면에 코일스프링(118)을 고정하는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116)가 상부 돌기의 높이(h1)와 하부 돌기의 높이(h2)의 합이 코일스프링(118)의 최대 압축시 스프링의 높이(x)보다 크고 코일스프링(118)의 이완시 스프링 변위(y)보다 작게 형성된 상부패드(112) 및 하부패드(114)와; 상기 상부패드(112) 및 하부패드(114)의 스프링고정돌기(116)에 고정된 코일스프링(118)으로 구성됨으로써, 신발의 밑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신발의 착용감이 향상되고 신발 착용자의 무릎이나 관절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가 장착된 신발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장착된 스프링이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종래와 같이 압축된 코일스프링 자체가 신발의 밑창을 뚫고 나가는 천공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shock-releasing functional well-being sho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61085 have been proposed, which is provided in the shock-releasing functional well-being shoes equipped with the shock-absorbing buffer 110. 1A and 1B,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relaxation buffer, and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11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프 링고정돌기(116)가 형성된 상,하부패드(112,114) 사이에 코일스프링(118)이 끼움 결합되는 등 전체 구조가 각 요소 즉, 상호 대응되는 스프링고정돌기(116)가 형성된 상부패드(112) 및 하부패드(114)와 코일스프링(118) 모두가 각기 제작되는 분리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스프링(118)을 내부에 인서트 고정시키면서 상,하부패드(112,114)를 사출 성형하는 등 일체화된 구조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 상기 상,하부패드(112,114)와 코일스프링(118)의 끼움 결합 역시 일일이 작업자에 의한 수동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매우 번거로움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상승할 수밖에 없으며,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통해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른 충격완화 완충장치(110)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hock-absorbing shock absorb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110)의 경우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의 가압력이 충격완화 완충장치(110)에 작용되어 상,하부패드(112,114) 사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118)이 압축될 때 상기 상,하부패드(112,114)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고정돌기(116)가 서로 맞부딪치면서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110)로부터 작은 소음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충격완화 완충장치(110)가 구비된 신발을 신경이 예민한 보행자가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작은 소음에 신경이 쓰게 되면서 해당 작업이나 운동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110, the pressing force of the back squeeze foot when the pedestrian walks is applied to the shock absorbing shock absorber 110 to compress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삽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해 탄성쿠션부재 내에 탄성부재를 인서트시켜 일체화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쿠션부재와 탄성부재를 분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라 충격흡수장치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elastic absorb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cushion member for the shock absorbing device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or elastic cushion By forming the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in a divided structure,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use a wid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and us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하부패드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충격흡수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ds formed with a spring fixing protrusion,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so the productivity and assembly of the product is simple.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is also has another purpose to significantly lower.
본 발명의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는, 보행 시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발목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기 위하여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삽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In the shock absorber for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ock absorber is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to absorb, dissipate and allevi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ankles or knees from the hind paw of the pedestrian when walking,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에 삽착되는 1차 충격흡수수단에 대한 제조 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 내에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이 내장되도록 인서트시켜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one or more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into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when manufacturing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inserted into the devic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It is characterized by injection molding as a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는, 보행 시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발목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 키기 위하여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삽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the shoe shock absorb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to form the sole of the shoe to absorb, dissipate and allevi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heel of the pedestrian to the ankle or knee when walking. In the shock absorber to be inserted,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에 삽착되도록 사출 성형된 1차 충격흡수수단으로부터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이 착탈 가능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ivided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injection-m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devic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one or more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여기서, 상기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로부터 충격흡수장치에 작용되는 가압력을 통해 2차 충격흡수수단이 1차 충격흡수수단을 뚫고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가압력 작용을 통해 2차 충격흡수수단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격흡수장치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protrudes through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through the pressing force acting 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from the back of the foot when the pedestrian walks or the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itself is broken through the pressing action. Reinforcing plate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top or bottom or the upper, lower ends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to prevent.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의 뒷굽부위 내에 삽착되는 충격흡수장치에 대해 탄성쿠션부재 내에 탄성부재를 인서트시켜 일체화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쿠션부재와 탄성부재를 분할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라 충격흡수장치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mpact absorbing device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to insert the elastic member in the elastic cushion member to form an integrated structure or to form the elastic cushion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in a divided 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such as to be able to use a wid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and us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하부패드 사이에 코일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충격흡수장치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il spring is fit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ds formed with a spring fixing protrusion,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so the productivity and assembly of the product is simple.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and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ccordingly can also be significantly lowered.
본 발명의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이하, 충격흡수장치라 함)를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hock absorber for a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는, 운동화, 구두, 등산화, 산업용 안전화 등 각종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라 충격흡수장치(1)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링고정돌기(116)가 형성된 상,하부패드(112,114) 사이에 코일스프링(118)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의 종래 충격흡수장치(충격완화 완충장치; 110)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 시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발목이나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기 위하여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삽착되도록 구성된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되는 1차 충격흡수수단(10)에 대한 제조 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 내에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내장되도록 인서트시켜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서 사출 성형된 것이다.The shock absorb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pply a wid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various shoes, such as sneakers, shoes, hiking boots, industrial safety shoes, spring fixing protrusions (116)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device (impact shock absorber; 110)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의 경우 내부에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인서트 됨과 동시에 상기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되어 보행 시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작용되는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기 위한 몸체 즉, 탄성쿠션부재(10)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재질로서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실리콘 또는 발포 PVC 등으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발포 우레탄을 주로 사용함과 아울러, 사출 성형을 통한 전체형상이 사각블록상태로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사각블록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1차 충격흡수수단(10)인 탄성쿠션부재(10)의 일단으로부터 그 내부로 인서트 고정되어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로부터 작용되는 가압력 즉, 1차 충격흡수수단(10)을 통해 1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킨 가압력에 대해 2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킬 수 있도록 탄성부재(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0)로서 스프링(20a)이나 또는 중공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볼(20b)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주로 스프링(20a)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로부터 충격흡수장치(1)에 작용되는 가압력을 통해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1차 충격흡수수단(10)을 뚫고 돌출되거나 또는 상기 가압력 작용을 통해 2차 충격흡수수단(2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장치(1)의 상단 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거나, 또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장치(1)의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거나, 또는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장치(1)의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상기 충격흡수장치(1)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Furth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인서트 고정되는 탄성쿠션부재(10)인 1차 충격흡수수단(10)에 대한 사출 성형 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으로 구분되면서 각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내측으로 충진되어 이격 형성된 충진기둥(12)과 서로 융착되어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a)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 중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재질 및 동일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등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econdary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a)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인 충격흡수장치(1)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a) 상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 도시)하거나, 또는 제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a)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a)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제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a)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인서트 고정되는 탄성쿠션부재(10)인 1차 충격흡수수단(10)에 대한 사출 성형 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으로 구분되면서 각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내,외측 모두를 감싸는 상태로 밀폐 충진되어 이격 형성된 충진기둥(12a)과 서로 융착되어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b)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b)의 경우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10a)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전술한 제 1, 2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 중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재질 및 동일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등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which is the secondary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b)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의 (b)에 도시된 제 1, 2 실시예인 충격흡수장치(1,1a)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b) 상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제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b)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b)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제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b)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 중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인서트 고정되는 탄성쿠션부재(10)인 1차 충격흡수수단(10)에 대한 사출 성형 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으로 구분되면서 각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내,외측 모두를 감싸되 중공상태로 충진되어 이격 형성된 도우넛형태의 중공충진기둥(12c)과 서로 융착되어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c)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c)의 경우 전술한 제 1 내지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전술한 제 1 내지 3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 중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재질 및 동일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등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econdary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c)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된 제 1 내지 3 실시예인 충격흡수장치(1,1a,1b)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 4 실시예의 충격흡수 장치(1c) 상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제 4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c)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c)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제 4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c)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hown in Figures 3, 4 (b) and 5 (b) Similarly to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4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1a,1b,1c) 즉,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10c)에 대한 사출 성형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10c) 내에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내장되도록 인서트시켜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 사출 성형된 충격흡수장치(1,1a,1b,1c)와는 달리,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되도록 사출 성형된 1차 충격흡수수단(10d)으로부터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착탈 가능한 분할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 및 그 상단에는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착될 수 있도록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형상의 탄성부재삽입홈(1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이탈 방지 및 접합이 용이할 수 있게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동일재질이면서 2차 충격흡수수단(20)을 지지하기 위한 각 지지돌기(18)가 탄성부재삽입홈(14)에 대응 위치되도록 돌출된 덮개부재(16)가 접착제(g)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hock absorbing device (1, 1a, 1b, for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c) That is, at least one secondary
여기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경우 전술한 제 1 내지 4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1c)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10c)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착되기 위한 탄성부재삽입홈(14)이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전술한 제 1 내지 4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1c) 중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마찬가지로 탄성부재(20)로서 스프링(20a)이나 또는 중공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볼(20b)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 1 내지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로 스프링(20a)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d) is the same as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 10a, 10b, 10c)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s (1, 1a, 1b, 1c)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또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접착제(g)를 이용해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는 덮개부재(16)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입된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탄성부재삽입홈(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탄성부재삽입홈(14)에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단에 지지돌기(18)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에 형성된 탄성부재삽입홈(14)에 상호 대응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한 지지돌기(18)의 경우 사용되는 2차 충격흡수수단(20) 즉, 스프링(20a)이나 또는 중공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볼(20b)을 사용함에 따라 그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는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탄성부재(20)로서 스프링(20a)이 적용됨에 따라 상기한 지지돌기(18)는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내부 중앙에 삽입 관통되도록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d)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도 4의 (b) 내지 도 6의 (b)에 도시된 제 1 내지 4 실시예인 충격흡수장치(1,1a,1b,1c)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 상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hown in Figures 3, 4 (b) to 6 (b) As in the case where the reinforcing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 역시 전술한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와 마찬가지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되도록 사출 성형된 1차 충격흡수수단(10d)으로부터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착탈 가능한 분할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e)를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 및 그 상단 역시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착될 수 있도록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형상의 탄성부재삽입홈(1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이탈 방지 및 접합이 용이할 수 있게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동일재질이면서 2차 충격흡수수단(20)을 지지하기 위한 각 지지돌기(18a)가 탄성부 재삽입홈(14)에 대응 위치되도록 돌출된 덮개부재(16)가 접착제(g)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which is the same as the shock absorbing device 1d of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20) from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d) injection-molded to be inserted into the
또한,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경우 전술한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착되기 위한 탄성부재삽입홈(14)이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경우 전술한 제 5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d) 중 2차 충격흡수수단(20)과 마찬가지로 탄성부재(20)로서 스프링(20a)이나 또는 중공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볼(20b)로 이루어지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는 주로 에어볼(20b)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d)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d) of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one end of the secondary shock The elastic
이와 더불어,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동일재질로 이루어져 접착제(g)를 이용해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과 상호 접합이 이루어지는 덮개부재(16) 역시 전술한 제 5 실시예의 덮개부재(16)와 마찬가지로,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삽입된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탄성부재삽입홈(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의 탄성부재삽입홈(14)에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단에 지지돌기(18a)가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d)에 형성된 탄성부재삽입홈(14)에 상호 대응 위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한 지지돌기(18a)의 경우 사용되는 2차 충격흡수수단(20) 즉, 스프링(20a)이나 또는 중공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볼(20b)을 사용함에 따라 그 길이가 짧거나 길게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는 2차 충격흡 수수단(20)이 탄성부재(20)로서 에어볼(20b)이 적용됨에 따라 상기한 지지돌기(18a)는 삽입된 2차 충격흡수수단(20)의 상단을 지지 고정하도록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충격흡수장치(1e)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도 4의 (b) 내지 도 7의 (b)에 도시된 제 1 내지 5 실시예인 충격흡수장치(1,1a,1b,1c,1d)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각기 선택적으로 설치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e) 상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제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e) 하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미도시)하거나, 또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e) 상,하 양단에 보강판부재(30)를 설치하는 등 제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e)에 대한 보강판부재(30)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e first to shown in Figures 3, 4 (b) to 7 (b) The shock absorbing device of the six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ase in which the reinforcing
마지막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는 전술한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1c,1d,1e)를 비롯하여 이와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1f)에 대해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에 의해 작용되는 가압력으로부터 2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덮개부재(42)를 구비한 보강함체(40)를 형성하여 상기 보강함체(40) 내에 충격흡수장치(1f)를 내장시킨 후 접착제(g)에 의해 덮개부재(42)와 보강함체(40)가 상호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inally,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hock absorbing device (1, 1a, 1b, 1c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Reinforcing
여기서, 상기 덮개부재(42) 및 보강함체(40)의 경우 접착제(g)에 의해 상호  접합이 원활하도록 동일재질로 이루어지되, 그 재질로서 본 발명에 대한 제 1 내지 6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1a,1b,1c,1d,1e)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10c10d)의 재질 보다 경질이면서 내구성이 좋은 PVC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또한, 상기 보강함체(40)에 내장되는 충격흡수장치(1f)의 1차 충격흡수수단(10e)의 경우 전술한 제 1 내지 6 실시예의 각 충격흡수장치(1,1a,1b,1c,1d,1e) 중 1차 충격흡수수단(10,10a,10b,10c,10d)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와는 별도로 탄성력 및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공의 공극(15)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10e)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1f) built in the reinforcing
한편,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가 적용되는 아웃솔(50) 즉,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50) 중 발뒷굼치가 위치되는 뒷굽(52)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이 위치되는 바닥면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삽착된 충격흡수장치(1)의 흡수, 분산 및 완화작용을 통한 충격력 해소와 함께 발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역시 더하여 부가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에어볼(20b)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다수의 에어볼(20b)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그 대응되는 위치에 에어볼삽입홀(5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충격흡수장치(1)에 대한 작동 및 충격력 해소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작동 상태도 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0 shows the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shock absorber for sho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보행자의 보행 시 발뒷굼치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이 발목이나 무릎으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를 도 2와 같이 1차 충격흡수수단(10) 내에 1개 이상의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내장되도록 인서트시켜 상호 일체화된 구조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 후 이를 신발 바닥을 형성하는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시킨 다음 신발 제조과정을 통해 완성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서 보행자가 보행을 수행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자의 발뒷굼치로부터 발바닥 중간 및 앞부분까지 지면(地面)을 딛게 되는 등 신발을 통한 보행자의 발바닥 전체가 지면(地面)을 딛는 보행과정 중 상기 발뒷굼치가 지면(地面)을 딛으면서 발생되는 가압력이 상기 아웃솔(50)의 뒷굽(52)부위 내에 형성된 장치삽입홈(54)에 삽착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에 작용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발뒷굼치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된 충격흡수장치(1)는 탄성쿠션부재(10)로 이루어진 1차 충격흡수수단(10)이 압축되면서 발뒷굼치로부터 작용된 가압력을 탄성적으로 1차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1차 충격흡수수단(10)의 탄성작용을 통해 1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킨 가압력에 대해 상기 1차 충격흡수수단(10) 내에 인서트 고정된 탄성부재(20)인 2차 충격흡수수단(20) 역시 연이어 압축되면서 2차적으로 흡수, 분산 및 완화시킴으로써, 발뒷굼치가 지면(地面)을 딛으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이 발목이나 무릎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First,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면에 딛었던 발을 다음 보행을 위해 상승시키게 되면  발뒷굼치에 의해 가압되었던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 즉, 탄성쿠션부재(10)인 1차 충격흡수수단(10)과 탄성부재(20)인 2차 충격흡수수단(20)이 탄성복원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를 통한 충격력 해소과정이 모두 종료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1)를 이용할 경우 운동화, 구두, 등산화, 산업용 안전화 등 각종 신발의 종류 및 사용상태에 따라 충격흡수장치(1)의 적용 폭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간편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품의 제조원가 및 생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When the foot on the ground is raised for the next walk, the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
도 1a는 종래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hock absorber for shoes.
도 1b는 종래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작동 상태도.Figure 1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for shoe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ock absorber for sho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for sho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for a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도.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신발용 충격흡수장치의 작동 상태도.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hock absorber for sho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a, 1b, 1c, 1d, 1e, 1f. 충격흡수장치1, 1a, 1b, 1c, 1d, 1e, 1f. Shock Absorber
10, 10a, 10b, 10c, 10d, 10e. 1차 충격흡수수단(탄성쿠션부재)10, 10a, 10b, 10c, 10d, 10e. Primary shock absorbing means (elastic cushion member)
12, 12a. 충진기둥12c. 중공충진기둥12, 12a. Filling
14. 탄성부재삽입홈15. 공극14. Elastic
16, 42. 덮개부재18, 18a. 지지돌기16, 42.
20. 2차 충격흡수수단(탄성부재)20a. 스프링20. Secondary shock absorbing means (elastic member) 20a. spring
20b. 에어볼30. 보강판부재20b.
40. 보강함체50. 아웃솔40.
52. 뒷굽54. 장치삽입홈52.
56. 에어볼삽입홀g. 접착제56. Air ball insertion hole g. glu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2701AKR101128295B1 (en) | 2009-04-15 | 2009-04-15 |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32701AKR101128295B1 (en) | 2009-04-15 | 2009-04-15 |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261A KR20100114261A (en) | 2010-10-25 | 
| KR101128295B1true KR101128295B1 (en) | 2012-03-2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32701AExpired - Fee RelatedKR101128295B1 (en) | 2009-04-15 | 2009-04-15 |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2829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5881B1 (en)* | 2012-12-07 | 2014-03-27 | 주식회사 신우트레이딩 | Ventillating shoe-sole using gell and spring | 
| KR20220165150A (en)* | 2021-06-07 | 2022-12-14 | 이경선 | Balance shoes sole for posture corre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8062782A1 (en)* | 2016-09-28 | 2018-04-05 | 홍정임 | Shock-absorbing pad for shoes, shock-absorbing tubular system for shoes, and functional shoes | 
| KR102421694B1 (en)* | 2022-02-16 | 2022-07-15 | 김기연 |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18789B1 (en) | 2007-06-04 | 2008-04-02 | 김영수 |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18789B1 (en) | 2007-06-04 | 2008-04-02 | 김영수 |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75881B1 (en)* | 2012-12-07 | 2014-03-27 | 주식회사 신우트레이딩 | Ventillating shoe-sole using gell and spring | 
| KR20220165150A (en)* | 2021-06-07 | 2022-12-14 | 이경선 | Balance shoes sole for posture correction | 
| KR102532285B1 (en)* | 2021-06-07 | 2023-05-12 | 이경선 | Balance shoes sole for posture correc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14261A (en) | 2010-10-25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91168B1 (en) | Shoes soles | |
| KR100758023B1 (en) | Insole having a buffering a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US5933983A (en) |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 |
| KR20120063287A (en) |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 |
| KR101128295B1 (en) |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 |
| KR101278647B1 (en) | Cushion outer soles | |
| US11926116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having resilient members embedded therein | |
| EP4140344B1 (en) | Sole and shoe | |
| KR19990069793A (en) | Shoe cushioning device | |
| WO2005120271A1 (en) | Shoes for absorbing sock | |
| KR101875777B1 (en) | Shock-absorbing unit and shoes having the same | |
| KR101429377B1 (en) | Outsole for running shoes | |
| KR100518307B1 (en) | Shoes | |
| KR101600973B1 (en) | Shoe sole | |
| KR101079709B1 (en) | Dress shoes for absorbing sock | |
| KR101217094B1 (en) | Shoes for shock absorbing | |
| KR20120063413A (en) |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 |
| KR100973724B1 (en) | Shoe sole cushion | |
| KR100996559B1 (en) | Joint protection health shoes with high elastic shock absorption | |
| KR200332205Y1 (en) | the outsole of a shoe for shock alleviation | |
| KR20120063417A (en) | 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 |
| KR20130117104A (en) | Structure of shock absorber type shoe | |
| KR200239041Y1 (en) | shoe having impact absorption power and pushing function | |
| KR20020050216A (en) | piston function system for footwear | |
| KR102233548B1 (en) | Noise-proof shoela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503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5031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