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device for intravenous drug solution injection.
병원의 신경외과에서 주로 행해지는 신경융해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에 체내로 통하는 구멍을 확보하고 상기 구멍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상기 카테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카테터의 선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중추신경과 신경가지의 신경조직을 괴사시키거나 염증유발 물질 및 유착들을 제거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신경융해술은 가령 허리디스크나 목디스크는 물론 만성 요통환자와 신경병증성 통증을 동반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In neurosurgical surgery, which is mainly performed in the neurosurgery of a hospital, a hole through the body is secured to the tailbone of the spine, a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medicine is injected through the catheter, where the tip of the catheter is located. Necrosi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nerve branches necrosis or remove the provoking agents and adhesions. Such neurofusion is known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neuropathic pain, as well as lumbar discs and neck discs.
상기한 신경융해술에 사용되는 카테터장치는, 카테터가 체내의 목적하는 지점을 원활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카테터를 적절히 구부리거나 펴는 등의 제어를 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카테터로 유도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catheter device used in the neurofusion procedure controls the bend or straightening of the catheter so that the catheter can find the desired point in the body smoothly, as well as inducing the cathe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atheter. It is to play a role.
상기한 카테터장치는 대략, 손으로 감싸 잡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전방부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카테터와, 상기 케이싱 외측에 설치되며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카테터를 구부리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된다.The catheter device is roughly composed of a casing wrapped with a hand, a catheter fixed to a front portion of the casing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trol part installed outside the casing and operated by an operator to bend the catheter. .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던 카테터장치는, 카테터를 구부리는 것에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한다는 의미는, 이를테면 카테터가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으로 뻗어있다고 할 경우, 직선으로 뻗어있는 상태에서의 카테터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삼은, 축회전방향의 방위조절을 의미한다.However, the catheter device used in the related art has no difficulty in bending the catheter, but it is very inconvenient to adjust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means, for example, that when the catheter extends in a straight line without bending, it refers to the direction adjustment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axis of the catheter in a straight line.
즉 종래의 카테터장치는, 카테터가 구부러진 상태이건 직선으로 뻗어있는 상태이건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케이싱 자체를 상기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보통 상기한 신경융해술에 있어서 체내에 카테터를 삽입하는 과정에는, 체내의 통로가 그만큼 복잡하므로, 카테터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는 것은 물론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등의 과정이 빈번히 요구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catheter device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catheter itself needs to be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to adjust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whether the catheter is bent or in a straight line. Usually, in the above-described neurofusion procedure, the catheter is inserted into the body. As such, the passage in the body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frequently required to bend the catheter repeatedly and adjust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시술자가 모니터를 통해 체내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손으로 (손의 감각만으로) 케이싱을 이리 저리 돌리는 작업은, 매우 불안정하고 불편한 일이며 카테터의 정밀한 경로선택이나 진입을 어렵게 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 카테터의 체내의 중요한 조직에 상처를 입힐 수 도 있다.It is very unstable and in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rotate the casing back and forth by hand (with just the sense of the hand) while constantl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ody through the monitor, making it difficult to precisely select or enter the catheter, This may injure important tissue in the catheter's body.
더 나아가, 케이싱을 돌리다가 실수로 케이싱을 놓칠 경우에는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터가 외부로 빠져나와 카테터의 삽입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Furthermore, if the casing is accidentally missed while turning the casing,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will come out and the catheter should be inserted again from the beginning.
한편, 상기 카테터장치에는 보조와이어가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보조와이어는, 시술 중 모니터에 그 모습이 나타나 현재 카테터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잘 보이게 하는 목적의 것으로서, 카테터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주입통로의 내부에 끼워져 사용된다.Meanwhile, an auxiliary wire is additionally used for the catheter device. The auxiliary wire is us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catheter appear visually well on the monitor during the procedur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passage formed inside the catheter.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보조와이어는, 가급적 모니터에 잘 보일 수 있도록 굵게 제작되므로 뻣뻣하여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보조와이어가 잘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시술 중 카테터를 구부려야 할 경우 보조와이어가 카테터가 휘어지는 것을 방해하여 오히려 시술을 불편하게 한다. 또한 특히 보조와이어의 선단부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될 수 도 있는데, 금속성의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면 체내의 조직에 상처를 주고 구멍을 형성할 수 도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uxiliary wi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tiff and hard to be bent because it is made thick so that it can be easily seen on a monitor. Since the auxiliary wire does not bend well, when the catheter needs to be bent during the procedure, the auxiliary wire prevents the catheter from bending and rather makes the procedure uncomfortable. In addition, in particular, the tip of the auxiliary wir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theter, when the metallic auxiliary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theter may damage the tissue in the body and form a ho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별도로 가져 카테터의 삽입이 편리하고 정확하며, 또한 보조와이어의 휨성이 뛰어나 카테터가 구부러지는 것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보조와이어를 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 중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전방으로 돌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고, 케이싱 후단부에 주사기를 결합시킬 수 있어 약액의 주입시 카테터가 흔들리지 않아 시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카테터를 구부리기 위한 트리거와 이에 종동하는 요소가 기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효율이 좋은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ving a separate catheter orient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is convenient and accurate insertion of the catheter, and also excellent bending of the auxiliary wir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ending of the catheter Since the auxiliary wire can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casing, it is safe because the auxiliary wire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catheter during the procedure, and it is safe enough. The syringe can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asing so that the catheter does not shake when the chemical is injec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theter device for injecting a drug solution having a high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ecause the coupling of the trigger and a follower element for bending the catheter can be further enhanc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일부는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케이싱 외부에 위치하는 트리거와;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며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는 종동부와; 상기 케이싱에 걸쳐진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그 선단부가 체내의 목표지점에 도달하도록 체내에 삽입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액을 상기 목표지점으로 유도하는 내부통로를 갖는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의 후단부에 결합하며 카테터 방위조절부에 고정되어, 축회전부의 축회전에 따라 축회전하는 카테터홀더와; 상기 카테터에 내장되되 카테터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고,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카테터홀더와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통과해 케이싱 내부의 종동부에 고정되어 종동부의 직선운동시 카테터의 후방으로 당겨져 카테터를 휘게 하는 인장와이어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약액을 상기 카테터홀더를 통해 카테터의 내부통로로 공급하는 약액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atheter device for intracorporeal drug solution inj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ing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on the outside; A trigger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ing, a part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casing and the other part of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casing; A driven part embedded in the casing and linearly moving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trigger; A catheter azimuth adjusting unit which connect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sing in the state spanned by the casing and is axially rotated by an operator; A catheter inserted into the body so that its tip reaches the target point in the body, the catheter having an internal passage for guiding the chemical liquid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target point; A catheter holde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atheter and fixed to the catheter orientation control unit, the catheter holder being axi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axial rotation of the axial rotation unit; It is embedded in the catheter but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atheter, the front end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catheter, the rear end is passed through the catheter holder and the catheter orientation control unit is fixed to the follower inside the casing, the catheter dur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follower A tension wire that is pulled backward to bend the catheter; It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emical liquid injection pipe for supplying the chemical liquid provided from the outside to the inner passage of the catheter through the catheter holder.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내에서 상기 약액주입관과 연결되고 그 일부가 케이싱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싱 외부에서 약액주입용 주사기와 결합하는 어뎁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n adapter connected to the chemical injection tube in the casing and a part of the casing protruding out of the casing to be coupled to the chemical injection syringe outside the casing.
아울러, 상기 카테터 장치에는, 상기 어뎁터와 약액주입관과 카테터 방위조절부와 커테터홀더를 차례로 통과해 그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 도달하고 후단부는 상기 어뎁터에 결합한 상태로, 카테터의 체내 삽입시 그 모습이 의료용 영상촬영장치의 화면에 나타남으로써, 체내 카테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하는 보조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heter device passes through the adapter, the chemical injection tube, the catheter orientation control unit, and the catheter holder in turn, and the front end portion reaches the tip portion of the catheter, and the rea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adapter. The appearan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edical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wir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atheter in the body.
또한, 상기 보조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선단부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를 취하는 와이어본체와, 상기 와이어본체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본체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어뎁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ire; A wir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part, a spring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wire main body, a rear end of the wire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dapt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cap.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는 일정직경의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테터 방위조절부는; 상기 장착구멍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는 수용구멍을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직선상 선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케이싱의 외부에 위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 카테터홀더를 일부 수용 고정하며 시술자에 의해 축회전하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 open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to the outside, the catheter orientation control unit; It is fitted to the mounting hole so as to be axially rotated therein, the shaft having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part of the catheter holder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integrally with the linear front end of the shaft, the catheter holder there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and the operation dial for rotating the axis by the operator.
아울러, 상기 종동부는;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상태로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상기 인장와이어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종동실린더와, 상기 종동실린더와 트리거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트리거의 회동운동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상기 종동실린더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종동실린더를 카테터홀더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와이어를 인장하는 트랙션바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llower; The driven cylinder is linear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haft, and the driven cylinder is fixed between the driven cylinder and the trigger in a state positioned between the driven cylinder and the trigger, the linear cylinder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driven cylinder and the trigger. As a linear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ion body to pull the driven cylind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atheter holder to tension the wire.
또한, 상기 트리거의 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부분에는 구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랙션바디는; 상기 트리거의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종동실린더측으로 연장되어 종동실린더와 연결되는 한 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rive gear is formed in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asing of the trigger, the traction body is; And a pair of arm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ack gear part to be engaged with the drive gear of the trigger and extending toward the driven cylinder and connected to the driven cylinder.
또한, 상기 종동실린더는 일정직경을 갖는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그 외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져 종동실린더에 아암을 연결하는 견인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n cylinder takes the form of a pipe having a constant diamet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is provided with a traction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o connect the arm to the driven cylinder.
아울러, 상기 종동실린더에는, 상기 와이어의 후단부를 종동실린더에 고정시키는 와이어고정볼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n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fixing bolt for fixing the rear end of the wire to the driven cylinder is further provid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는 카테터 방위조절부를 별도로 가져 체내 카테터의 삽입이 편리하고 정확하며, 또한 보조와이어의 휨성이 뛰어나 카테터가 구부러지는 것에 방해되지 않음은 물론 보조와이어를 케이싱의 후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 중 보조와이어가 카테터의 전방으로 돌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하고, 케이싱 후단부에 주사기를 결합시킬 수 있어 약액의 주입시 카테터가 흔들리지 않아 시술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또한 카테터를 구부리기 위한 트리거와 이에 종동하는 요소가 기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효율이 좋다.Intracavitary catheter device for intraocular drug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eparate catheter azimuth adjuster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catheter, convenient and accurate insertion of the catheter in the body, and excellent bending of the auxiliary wire, preventing the catheter from bending Of course, the auxiliary wire can b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casing, so it is safe because the auxiliary wire does not protrude forward of the catheter during the procedure. It does not shake, so the effect of the procedure can be further enhanc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is good because the trigger for bending the catheter and the following elements are geared toge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카테터의 내부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카테터홀더 및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보조와이어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주사기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theter device for injecting drug solu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catheter shown in FIG. 3 separate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theter holder and the catheter shown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wire applied to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1.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connected to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장치(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는, 그 일측에 손잡이부(15)를 가지며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싱(13)과, 상기 케이싱(1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17)와, 상기 케이싱(13)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테터방위조절부(21)와,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에 장착되는 카테터홀더(23)와, 상기 카테터홀더(23)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시술시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25)와, 상기 케이싱(13)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싱(13)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는 어뎁터(19)를 포함한다.As shown, the
상기 케이싱(13)은 두 개의 케이싱편(13a,13b)을 조립 구성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길쭉한 형태를 취하여 한 손으로 감아 잡을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의 형상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상기 트리거(17)는 케이싱편(13a,13b)의 사이에 위치한 회동축(도 3의 13c)에 지지되어 화살표 F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 운동하는 것으로서,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카테터(25)를 구부리는 역할을 한다. 즉 트리거(17)를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시킨 각도에 비례하여 카테터(25)가 구부러지는 것이다.The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케이싱(13)의 전방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부재로서 조작다이얼(21a)을 갖는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카테터방위조절부(21)의 일부분으로서 케이싱(13) 전방에 위치한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원통형 부재이다. 시술자가 상기 조작다이얼(21a)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카테터홀더(23)와 카테터(23)가 같은 방향으로 축회전되고, 카테터(25)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라면 카테터는 도 2의 화살표 z방향으로 회동한다.The catheter
도면부호 27은 캡이다. 상기 캡(27)은 중심의 관통구멍(27a)을 통해 카테터홀더(23)를 통과시킨 상태로 조작다이얼(21a)에 고정된다.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캡(27)에 지지되어 조작다아얼(21a)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에 대한 캡(27)의 고정은 접착식 또는 나사 결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3)의 후방단부에 위치한 어뎁터(19)는 관통로(19b)를 갖는 일정직경의 튜브로서, 케이싱(13)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로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킨다. 상기 어뎁터(19)는 케이싱(13)의 내부에서 약액주입관(도 3의 35)과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어뎁터(19)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두 개의 걸림턱(19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9a)은 어뎁터(19)에, 후술할 고정캡(도 9의 41d)이나 주사기(도 10의 43)의 결합부(43a)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캡(41d)이나 결합부(43a)에 상기 걸림턱(19a)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wo
상기 어뎁터(19)가 있음으로 해서, 후술할 보조와이어(41)의 장착시 카테터(25) 내부에서의 보조와이어(41)의 움직임이 없어, 시술 중 가령 보조와이어(41)의 선단부가 카테터(25)의 선단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케이싱(13)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에서의 케이싱(13) 내부에는,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와, 카테터방위조절부(21)가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는 상호 링크된 상태로 트리거(17)에 의해 화살표 b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종동부(31)를 이룬다.As shown, in the
또한 상기 트리거(17)는 일측 케이싱편(13a)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축(13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3c)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돌출부로서 그 중심부에 암나사구(13d)를 갖는다. 상기 암나사구(13d)는, 반대편 케이싱편(13b)의 볼트구멍(13e)에 일직선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편(13a,13b)을 상호 맞춘 상태로, 볼트구멍(13e)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암사사구(13d)에 체결함으로써 케이싱(13)에 대한 트리거(17)의 장착이 이루어진다.Moreover, the said
상기 트리거(17)의 케이싱(13) 내부에 삽입된 부분에는 구동기어부(1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부(17a)는 트랙션바디(31k)의 랙기어부(31a)에 치합하며 트리거(17)가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할 때 종동부(31)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또한, 상기 각 케이싱편(13a,13b)의 전방부에는 장착구멍(13m)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멍(13m)은 케이싱편(13a,13b)을 조립했을 때 일정직경을 갖는 구멍을 이루며, 그 내부에 카테터방위조절부의 걸림홈(21b)을 수용한다.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상기 장착구멍(13m)의 테두리부인 지지턱(13k)에 지지된 상태로 그 자리에서 축회전 가능하다.Further, a mounting
아울러 상기 케이싱편(13a,13b)의 후방부에는 어뎁터장착구(13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어뎁터장착구(13f)도, 케이싱편(13a,13b)이 상호 조립됨에 따라 일정직경의 구멍을 이루며 그 내부에 상기 어뎁터(19)의 지지홈(19c)을 수용 고정한다. 상기 지지홈(19c)은 어뎁터의 주연부에 형성된 홈으로서 어뎁터장착구(13f)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In addition, 13 f of adapter mounting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back part of the said
상기 어뎁터(19)에는 삽입부(19d)도 포함된다. 상기 삽입부(19d)는 케이싱(13)의 내부에서 약액주입관(35)과 결합하는 결합부위로서, 약액주입관(35)의 단부 내부로 끼워진다.The
아울러 상기 약액주입관(35)은 일정직경을 갖는 플렉시블한 튜브로서, 그 일단부는 상기 어뎁터(19)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테터홀더(23)의 주입관삽입구(23d)에 결합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싱편(13a,13b)의 내향면에는 다수의 가이드돌기(13g,13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3g,13h)는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선형돌기로서, 그 사이에 트랙션바디(31k)의 날부(31c)와 아암부(31b)를 수용 지지하여 트랙션바디(31k)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A plurality of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카테터의 내부 구성요소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mponent of the catheter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트랙션바디(31k)는, 랙기어부(31a)와, 상기 랙기어부(31a)에 일체를 이루며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 사이에 상기 종동실린더(33)를 수용하는 아암부(31b)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the
상기 랙기어부(31a)는 일정폭을 가지는 평기어로서 상기 트리거(17)의 구동기어부(17a)와 치합한다. 이와같이 트리거(17)와 트랙션바디(31k)가 기어를 통해 결합하므로 동력전달이 확실하여 카테터(25)의 제어를 매우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상기 랙기어부(31a)의 하부에는 공간부(31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31e)에는 약액주입관(35)이 통과한다. 또한 상기 랙기어부(31a)의 양측부에는 일정두께의 날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부(31c)는 상기한 가이드돌기(13g)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부분이다.A
상기 아암부(31b)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종동실린더(33)를 수용한다. 상기 아암부(31b)의 대향면에는 두 개의 견인돌기(31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견인돌기(31d)는 상호 나란하며 그 사이에 수용홈(31f)을 갖는다.The
상기 견인돌기(31d)는 종동실린더(3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2돌출부(33a,33b)를 걸어, 트리거가 도 3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할 때, 종동실린더(33)를 화살표 b방향으로 견인한다.The
아울러 상기 아암부(31b)는 일정한 폭(w)을 가져 상기 가이드돌기(13h)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된다. 결국 상기 트랙션바디(31k)는 상기한 가이드돌기(13g,13h)에 가이드 되며 트리거에 연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종동실린더(33)는, 일단부가 막힌 원통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제 1,2돌출부(33a,33b)를 갖는다. 상기 제 1,2돌출부(33a,33b)의 사이에는 홈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2돌출부(33a,33b)는 링형 돌기로서 상호 평행하며, 상기한 견인돌기(31d)에 걸린 상태로 견인돌기가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할 때 딸려간다.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중 제 2돌출부(33b)는, 아암부(31b)의 수용홈(31f)에 끼워진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n
또한 상기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에는 선형돌출부(33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형돌출부(33f)는 종동실린더(3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갖는 선형돌기로서, 샤프트(21c)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크전달홈(21e)에 끼워진다. 상기 선형돌출부(33f)가 토크전달홈(21e)에 끼워짐으로서, 샤프트(21c)의 축회전시 종동실린더(33)도 같이 축회전한다.In addition, a
아울러 상기 종동실린더(33)의 후단부는 막혀있으며, 이 부위에 관통구멍(33e)과 와이어고정볼트(34)가 위치한다. 상기 관통구멍(33e)은 약액주입관(35)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상기 약액주입관(35)은 관통구멍(33e)을 통과해 종동실린더(33)의 내부공간(33d)과 샤프트(21c)의 수용구멍(21d)을 거쳐 카테터홀더(23)의 주입관삽입구(23d)에 끼워진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driven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볼트(34)는 상기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로서,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를 종동실린더(3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를 그 외주면에 감은 상태로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인장와이어(37)를 종동실린더(33)에 링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랙션바디(31k)가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인장와이어(37)가 후방으로 당겨진다. 인장와이어(37)가 후방으로 당겨짐에 의해 카테터(25)가 구부러짐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를 종동실린더(33)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와이어고정볼트(34)를 사용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고정방식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케이싱(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21c)와, 상기 샤프트(21c)와 일체를 이루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조작다이얼(21a)과, 상기 조작다이얼(21a)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커버(27)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atheter
상기 샤프트(21c)는 일정 외경을 가지며 상기 종동실린더(33)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21c)의 외주면과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은 상호 면접하며, 종동실린더(33)는 샤프트(21c)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The
상기 샤프트(21c)의 외주면에는 두 개의 토크전달홈(21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크전달홈(21e)은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폭 및 깊이의 홈으로서, 종동실린더(33)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선형돌출부(33f)를 수용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다이얼(21a)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종동실린더(33)가 케이싱(13)의 내부에서 동시에 축회전하게 된다.Two
또한 상기 샤프트(21c)의 내부에는 수용구멍(2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멍(21d)은 샤프트(21c)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멍으로서, 카테터홀더(23)에서의 삽입고정부(23b)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특히 상기 수용구멍(21d)의 내주면에는 평면부(21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21m)는 삽입고정부(23b)의 지지면(23c)와 접하여, 샤프트(21c)의 회전력을 카테터홀더(23)로 전달한다.In addition, a receiving
상기 샤프트(21c)의 선단부에는 걸림홈(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21b)은 케이싱(13)의 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멍(도 3의 13m)의 지지턱(13k)을 수용하는 홈이다. 상기 걸림홈(21b)에 지지턱(13k)이 끼워짐으로서,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그 자리에서 축회전은 가능하고 길이방향 이동은 불가능하다.A locking
아울러 상기 걸림홈(21b)의 전방에는 조작다이얼(2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캡설치구(21f)를 갖는 원통형부재이다. 상기 캡설치구(21f)는 속이 빈 공간으로서 캡(27)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한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은 케이싱(13)의 전방부에 위치하며, 시술자가 카테터의 방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마치 라디오의 다이얼을 돌리듯이) 조작하는 조작부위이다. 상기 조작다이얼(21a)을 가령 우측손으로 조작할 때 케이싱(13)은 왼쪽손으로 잡고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작다이얼(21a)의 바닥면(21g) 중앙부에는 고정홈부(도 7의 21k)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부(21k)는 육각형의 홈으로서 카테터홀더(23)의 평판부(23a)를 수용한다.A fixing groove (21k in Fig. 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한편,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카테터(25)의 후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3)에 고정된다. 상기 카테터홀더(23)는, 상기 수용구멍(21d)에 끼워지는 삽입고정부(23b)와, 고정홈부(21k)에 끼워지는 평판부(23a)와, 상기 평판부(23a)에 일체를 이루며 카테터(25)의 후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홀딩부(23e)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23e)는 캡(27)의 관통구멍(27a)을 통과해 캡(27)의 전방으로 얼마간 돌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카테터홀더(23)의 내부에는 주입관삽입구(23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관삽입부(23d)는 약액주입관(35)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주입관삽입부(23d)는 카테터(2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유동로(도 5의 25a)와 연통한다.An injection
아울러 상기 카테터(25)에 내장되어 있는 인장와이어(37)는, 카테터홀더(23)의 와이어통로(도 5의 23f)를 통해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고정볼트(34)에 의해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카테터홀더 및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theter holder and the catheter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먼저, 카테터(25)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플렉시블한 도관으로서, 그 내부에 약액유동로(25a)를 갖는 카테터본체(25c)와, 상기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장와이어(37)를 포함하나. 상기 약액유동로(25a)는 약액주입관(35)을 통해 공급된 약액이 내부 유동하는 통로로서 약액을 카테터(25)의 선단부로 주사한다.First, the
또한 상기 인장와이어(37)는 약액유동로(25a)와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그 후단부가 상기 케이싱(13) 내부의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트리거(17)의 조작에 의해 종동실린더(33)가 당겨질 때 인장되어 카테터본체(25)를 구부러뜨린다.In addition, the
상기 카테터본체(25c) 내에 인장와이어(37)를 설치할 수 있도록,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는 와이어수용구(2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수용구(25b)는 인장와이어(37)를 수용하는 통로로서 특히 인장와이어(37)의 선단부와 결합한다. 상기 인장와이어(37) 선단부와 카테터본체(25c)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인장와이어(37)의 단부에 고정부(37a)를 추가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고정부(37a)는 인장와이어(37) 단부를 뭉뚝하게 변형시킨 부분이다.A
상기 인장와이어(3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테터본체(25c)의 내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카테터본체(25c)의 중심축선으로부터 한쪽으로 편심된 상태로 연장된다. 이와같이 인장와이어를 편심 위치시킴으로써, 인장와이어를 당길 때 카테터(25)가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가 카테터홀더(23)를 통해 케이싱(13)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홀더(23)의 내부에는 와이어통로(23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통로(23f)는 와이어수용구(25b)와 연결되는 통로이다. 상기 인장와이어(37)는 와이어통로(23f)를 통해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진다.A
도 7 및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장와이어(37)의 후단부가 와이어고정볼트(34)에 의해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부호 33m은 인장와이어(37)가 통과하는 와이어구멍이다. 여하튼 상기 인장와이어(37)를 와이어고정볼트(34)에 감은 상태로 와이어고정볼트(34)를 종동실린더(33)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종동실린더(33)에 대한 와이어 후단부의 고정이 유지된다.Referring to Figure 7,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end of the
상기 상태에서 트리거(17)를 도 1의 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트랙션바디(31k)와 종동실린더(33)가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도 3의 13g,13h)가 트랙션바디(31k)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 아울러 상기 카테터방위조절부(21)는 그 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여하튼, 상기 트랙션바디(31k)에 의해 종동실린더(33)가 후방(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종동실린더(33)에 고정되어 있는 인장와이어(37)는 화살표 f방향으로 당겨진다. 인장와이어(37)가 당겨짐에 따라 카테터(25)가 화살표 z 방향으로 구부러짐은 상기한 바와같다. 상기 카테터(25)의 구부러진 정도는 트리거(17)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결정한다.In any case, as the driven
상기와 같이 카테터(25)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조작다이얼(21a)을 좌우로 적절히 회전시켜 카테터(25)의 선단부가 체내의 경로를 올바로 찾아 들어갈 수 있게 조작한다.In the state where the
상기 트리거(17)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카테터(25)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펼쳐져 대략 직선의 형태로 복귀한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보조와이어(41)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상기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장치(11)를 이용한 시술에는 보조와이어(41)가 같이 사용된다. 상기 보조와이어(41)는 시술시 의료용 영상 촬영장치(가령 엑스레이 촬영기)의 모니터상에 그 모습이 나타남으로써, 현재 체내의 카테터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보조와이어(41)는, 어뎁터(19)와, 약액주입관(35)과, 카테터본체(25c) 내부의 약액유동로(25a)의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본체(41a)와,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어뎁터(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캡(41d)과,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스프링(41c)으로 이루어진다.The
특히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 스프링장착부(41b)로서, 매우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다른 부분보다 그 직경이 작게 제작되어 있고 스프링(41c)으로 커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1c)은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에 융착 과정을 통해 완벽히 고정되며 와이어본체(41) 선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In particular, as the front end spring mounting portion 41b of the
상기 와이어본체(41a)의 길이는, 상기 고정캡(41d)을 어뎁터(19)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카테터본체(25c)의 선단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길이이다.The length of the
상기 고정캡(41d)은, 상기 어뎁터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41f)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주면에 나선걸림부(41e)를 갖는다. 상기 나선걸림부(41e)는 어뎁터(19)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9)에 지지되는 암나사산형 돌출부이다. 따라서 상기 어뎁터(19)에 고정캡(41d)을 끼운 상태로 고정캡(41d)을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턱(19)이 나선걸림부(41e)에 걸려 어뎁터(19)에 대한 고정캡(41d)의 결합이 유지된다.The fixing
상기 고정캡(41d)이 어뎁터(19)에 결합함으로써, 와이어본체(41a)의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없다.Since the fixing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카테터 장치에 주사기를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yringe is connected to the catheter device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어뎁터(19)에 주사기(43)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주사기(43)는 실린더에 결합부(43a)가 마련되어 있는 공지의 주사기로서, 어뎁터(19)에 결합된 상태로 약액주입관(35) 내부로 약액을 주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the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약액 주입용 카테터장치(11)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How to use the
먼저, 체내의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지점을 국소마취한 후, 해당 지점에 체내로 통하는 통로를 확보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천공기구가 사용된다.First, local anesthesia for injecting the drug solution into the body, and then secure a passage through the body to the point. A separate drilling tool is used for this.
상기 통로가 확보되었다면, 상기 보조와이어(41)를 장착한 상태의 카테터(25)를 상기 통로로 삽입하여 카테터(25)의 선단부를 약액 투입 지점으로 근접시킨다. 이 때 모니터를 통해 카테터(25)의 구부러짐 정도와 방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카테터(25)가 최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테터(25)의 구부러짐은 트리거(17)를 통해 조절되고, 방향은 카테터방위조절부(21)를 통해 제어됨은 물론이다.If the passage is secured, the
상기 과정을 통해 카테터(25)의 선단부가 목표지점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어뎁터(19)로부터 고정캡(41d)을 분리한 후 보조와이어(41)를 완전히 빼내고, 어뎁터(19)에 주사기(43)를 결합한다. 이 때 주사기(43)에 주입할 약액이 수용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When the tip portion of the
상기 주사기(43)의 장착이 완료되었다면, 주사기의 피스톤을 서서히 가압하여 약액을 주입한다. 상기 약액이 필요한 정도로 주입되었다면, 트리거(17)를 놓고 카테터를 서서히 빼낸 후 시술을 마무리한다.When the mounting of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카테터장치 13:케이싱 13a,13b:케이싱편
13c:회동축 13d:암나사구 13e:볼트구멍
13f:어뎁터장착구 13g,13h:가이드돌기 13k:지지턱
13m:장착구멍 15:손잡이부 17:트리거
17a:구동기어부 19:어뎁터 19a:걸림턱
19b:관통로 19c:지지홈 19d:삽입부
21:카테터 방위조절부 21a:조작다이얼 21b:걸림홈
21c:샤프트 21d:수용구멍 21e:토크전달홈
21f:캡설치구 21g:바닥면 21k:고정홈부
21m:평면부 23:카테터홀더 23a:평판부
23b:삽입고정부 23c:지지면 23d:주입관삽입구
23e:홀딩부 23f:와이어통로 25:카테터
25a:약액유동로 25b:와이어수용구 25c:카테터본체
27:캡 27a:관통구멍 31:종동부
31a:랙기어부 31b:아암부 31c:날부
31d:견인돌기 31e:공간부 31f:수용홈
31k:트랙션바디 33:종동실린더 33a:제 1돌출부
33b:제 2돌출부 33c:홈부 33d:내부공간
33e:관통구멍 33f:선형돌출부 33m:와이어구멍
34:와이어고정볼트 35:약액주입관 37:인장와이어
37a:고정부 41:보조와이어 41a:와이어본체
41b:스프링장착부 41c:스프링 41d:고정캡
41e:나선걸림부 41f:수용공간 43:주사기
43a:결합부11: Catheter device 13:
13c: rotating
13f:
13m: Mounting hole 15: Handle part 17: Trigger
17a: drive gear 19:
19b:
21: catheter
21c:
21f:
21m: flat part 23:
23b: Insertion and
23e: Holding
25a: chemical
27:
31a:
31d: towing 31e:
31k: Traction body 33:
33b:
33e: Through
34: wire fixing bolt 35: chemical injection tube 37: tensile wire
37a: Fixed part 41:
41b:
41e: Spiral locking
43a: coupling par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8485AKR101116873B1 (en) | 2010-08-13 | 2010-08-13 |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78485AKR101116873B1 (en) | 2010-08-13 | 2010-08-13 |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5939A KR20120015939A (en) | 2012-02-22 |
| KR101116873B1true KR101116873B1 (en) | 2012-03-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78485AActiveKR101116873B1 (en) | 2010-08-13 | 2010-08-13 |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1687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90769B1 (en) | 2015-07-21 | 2016-02-03 | 주식회사 에스엠허스 | Multi-cap for connecting to catheter |
| KR20200048692A (en) | 2018-10-30 | 2020-05-08 | 한빛바이오 주식회사 | Disposable-epidural surgery device intergrated with endoscope |
| KR20200127385A (en)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 Epidural Catheter Having a Soft Type Tip |
| KR102182074B1 (en) | 2019-12-24 | 2020-11-23 | 김남배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osable-epidural surgery tool intergrated with endoscope and disposable-epidural surgery tool intergrated with endoscope manufactured by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60330B1 (en)* | 2016-12-27 | 2018-05-23 | 주식회사 메드릭스 | Catheter apparatus which can be retracted and moved by spring |
| KR102573392B1 (en)* | 2021-04-01 | 2023-08-31 | 드림팩 주식회사 | Position adjustable injector for drug delivery |
| KR102696032B1 (en) | 2021-11-08 | 2024-08-16 |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 catheter for drug injection with locking fun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11777A (en) | 1993-05-14 | 1997-03-18 | C.R. Bard, Inc. | Steerable electrode catheter |
| US20050096590A1 (en) | 2003-10-30 | 2005-05-05 | Medtronic Inc. | Steerable catheter |
| US20050288664A1 (en) | 2004-06-21 | 2005-12-29 | Curon Medic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regions of the body |
| KR100926432B1 (en) | 2008-05-21 | 2009-11-12 |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Catheter hand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11777A (en) | 1993-05-14 | 1997-03-18 | C.R. Bard, Inc. | Steerable electrode catheter |
| US20050096590A1 (en) | 2003-10-30 | 2005-05-05 | Medtronic Inc. | Steerable catheter |
| US20050288664A1 (en) | 2004-06-21 | 2005-12-29 | Curon Medic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issue regions of the body |
| KR100926432B1 (en) | 2008-05-21 | 2009-11-12 |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Catheter hand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90769B1 (en) | 2015-07-21 | 2016-02-03 | 주식회사 에스엠허스 | Multi-cap for connecting to catheter |
| WO2017014405A1 (en)* | 2015-07-21 | 2017-01-26 | (주)에스엠허스 | Multi-cap for connecting catheter |
| US10994117B2 (en) | 2015-07-21 | 2021-05-04 | Smhers | Multi-cap for connecting catheter |
| KR20200048692A (en) | 2018-10-30 | 2020-05-08 | 한빛바이오 주식회사 | Disposable-epidural surgery device intergrated with endoscope |
| KR20200127385A (en) | 2019-05-02 | 2020-11-11 | 주식회사 지에스메디칼 | Epidural Catheter Having a Soft Type Tip |
| KR102182074B1 (en) | 2019-12-24 | 2020-11-23 | 김남배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osable-epidural surgery tool intergrated with endoscope and disposable-epidural surgery tool intergrated with endoscope manufactured by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5939A (en) | 2012-02-22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16873B1 (en) |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al fluid in body | |
| CA2826569C (en) | Continuous single wire steerable catheter | |
| US7947034B2 (en) | Flexible shaft extender and method of using same | |
| CN102883770B (en) | catheter handle | |
| CN105050518B (en) | Bone screw and automatic holding screwdriver | |
| US20140343406A1 (en) | Needle positioning device for ultrasound-guided treatments and examinations | |
| US20150025310A1 (en) | Medical applicator | |
| CA2926021C (en) | Catheter advancement device | |
| CA2774469C (en) |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 |
| WO2015076154A1 (en) | Endoscopic treatment device | |
| CN211723274U (en) | Bending-adjusting sheath tube handle | |
| KR20140099713A (en) | Video guided Catheter | |
| US20130237753A1 (en) |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 |
| US20120265210A1 (en) | Vertebroplasty Curved Needle | |
| CN210871923U (en) | Catheter system, and puncture surgical instrument and endoscope device using same | |
| WO2014126757A2 (en) | Surgical interface for use with endoscope | |
| KR20180111001A (en) | Catheter for injecting medicine in spinal angioplasty care | |
| US20240108200A1 (en) | Elongated body sheath assemblies, imaging element cleaning apparatuses comprising same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using same | |
| CN110051318B (en) | A combined soft fiber ureteronephroscope | |
| RU182494U1 (en) | Semi-automatic manipulation device for an optical fiber for laser proctology | |
| KR101693216B1 (en) | Video catheter | |
| JP2016083270A (en) | Medical endoscope apparatus | |
| AU2013206785A1 (en) | Surgical adapter for use with an endoscop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0081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2013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2020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20209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1120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41120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1117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1117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103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103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1126 Year of fee payment: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1126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1125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1125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1109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30209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1114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