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풍환경이나 소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통화하고, 외부기기와 통신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hone capable of communicating effectively in a storm environment or a noise environment and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일반적으로 음향의 청취와 음성신호의 통신을 위해 마이크로폰은 음향기기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for listening to sound and communication of a voice signal, the microphone is worn on the user's ear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udio device or a mobile phone by wire or wirelessly.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폰은 모두 마이크가 외부에 노출되어있어 마이크로 외부 잡음이 유입 되어 시끄러운 환경에서나 폭풍 환경에서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없었고 발진 현상을 막기 위하여 스피커와 마이크를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 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l of the conventional microphon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phone, so th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so it is impossible to talk to the other party in a noisy environment or a storm environment, and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must be kept at a constant distance to prevent the oscillation phenomen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변 소음이 심한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마이크로폰 사용자가 상대방과 좋은 음질로 통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provide an efficient microphone that allows the microphone user to talk to the other party with good sound quality even in a noisy environment with high ambient noise. .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제1 마이크와 제1 스피커가 구비된 제1 이어폰부와, 제2 마이크가 구비된 제2 이어폰부를 포함하는 이어폰부, 수신한 음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제1 마이크와 상기 제2 마이크를 제어하고,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변화하는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earphone unit provided with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earphone unit provided with a second microphon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for converting sound into a voice signal and controlling the speaker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sound.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제1 마이크와 제1 스피커가 구비된 제1 이어폰부와, 제2 마이크가 구비된 제2 이어폰부를 포함하는 이어폰부, 상기 이어폰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3 마이크,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이어폰부 내부의 상기 제1, 제2 마이크와 상기 제3 마이크 중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earphone unit provided with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earphone unit provided with a second microphon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o select among the first and second microphones and the third microphone in the earphone unit according to a level of a third microphone located outside the earphone unit and a preset voice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신호가 상기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2 마이크를 선택하고, 상기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3 마이크를 선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the first and second microphones when the voice signal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oice signal level, and selects the third microphone when the voice signal is lower than the preset voice signal level.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지향성 마이크를 양쪽 이어폰부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한쪽 귀로부터 나오는 낮은 음량신호를 양쪽 귀에서 동시에 집음하기 때문에 외부에 별도의 증폭기 없이 간단하게 음성신호를 키울 수 있어 상대방과 통화 시 낮은 음량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al microphones are arranged in both earphones, a low volume signal from one ear can be simultaneously picked up from both ears, so that a voice signal can be easily raised without a separate amplifier externally. Discomfort due to low volume can be reduced.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에서 밀폐식 자기 평형형 스피커와 지향성 마이크의 배치를 일체화 시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시 소음환경 및 폭풍 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이 착용되어 사용자의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여 상대방과 깨끗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음성인식 장치에 적용할 경우 음성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sealed self-balancing speaker and the directional microphone in the microphone, the user can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a noise environment and a storm environment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In other words, in a place with high ambient noise, a microphone is worn o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s ear canal to provide a voice signal that blocks the user's ambient noise to an external device, allowing a clear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It can be effective.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마이크에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함으로써, 귀에 착용하는 이어폰부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생길 수 있는 코맹맹이 소리와 낮은 음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mouth to an external device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weak, the blindness that may occur when a call is made using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part worn on the ear. And low volume problem can be solved.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1,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3,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회로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A to 1B show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b show a third, fourth embodiment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one embodiment of a microphone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to be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lso,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1,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A to 1B show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이어폰부(100),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150)와 마이크로폰의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도 3,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 first embodiment of 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어폰부(100)는 제1 마이크(111)와 제1 스피커(112)가 구비된 제1 이어폰부(110)와, 제2 마이크(121)가 구비된 제2 이어폰부(120)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제1 스피커(112는 밀폐식 자기 평형형 스피커(Balanced Armature Receiver)이고, 임피던스가 200Ω 이상이 되는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화이트 노이즈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Here, the
또한, 제1 마이크(111)와 제2 마이크(112)는 잡음에 강한 특성을 지닌 후면에 홀이 있는 지향성 마이크 부품을 사용할 수 있고, 이어폰부(100)가 착용되는 양쪽 귀의 제1 마이크(111)와 제2 마이크(112)에서 생성하는 음성신호는 동 위상으로 외부기기에 전달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이어폰부(100) 외부는 바람소리가 이어폰부(100)에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고, 이어폰부(100)의 방수 위하여 이어폰부(100) 외부를 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폰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 수신한 음향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1 마이크(111)와 제2 마이크(112)를 제어하고,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변화하는 제1 스피커(112)와 제2 스피커(122)를 제어한다.The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1b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이어폰부(120)가 제2 스피커(122)를 더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가 양쪽 귀를 통해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부분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B,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122). This allows the user to hear sound through both ears. Other par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3,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2a to 2b show a third, fourth embodiment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이어폰부(100), 제어부(120), 제3 마이크(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터(150)와 마이크로폰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 third embodiment of a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3실시예는 이어폰부(100) 외부에 제3 마이크(14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20)가 마이크 스위치(131)를 더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3 실시예의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제3 마이크(140)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하여 마이크로폰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을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 무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The
제어부(130)는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에 따라 이어폰부(100) 내부의 제1 마이크(111), 제2 마이크(121)와 제3 마이크(140) 중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에 따라 이어폰부(100) 내부의 제1 마이크(111), 제2 마이크(121)와 제3 마이크(140) 중 선택하도록 마이크 스위치(131)를 제어 한다. 이때,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은 설계자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마이크 스위치(131)는 설정에 따라 수동으로 이어폰부(100) 내부의 제1 마이크(111), 제2 마이크(121)와 제3 마이크(140) 중 특정 부분을 선택하게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선택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외부 소음인 음성신호가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예를 들어, 70dB) 이상인 경우 제1 마이크(111), 제2 마이크(121)를 선택하고,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 미만인 경우 제3 마이크(140)를 선택하도록 마이크 스위치(131)를 제어한다.For example, the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이어폰부(10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양쪽 귀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이어폰부(100)의 제1 마이크(111)와 제2 마이크(121)를 통해서 외부기기로 제공하고,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제3 마이크(14)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bient noise is severe, the
다시 말해, 사용자는 주변 소음이 심하지 않는 곳에서는 자신의 입에서 나온 음성신호를 상대방에게 제공함으로써, 통화 상대방이 사용자의 코맹맹이 소리를 듣게 되는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주고, 사용자가 장시간 차폐된 이어폰부(100)를 사용함으로써 느끼는 답답함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귀로부터 나오는 음성신호는 미약하지만, 양쪽 귀로부터 나오는 음성을 동 위상으로 집음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함으로써 외부에 증폭기 없이도 상대방과 효율적으로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user by providing a voice signal from his mouth to the other party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not severe, thereby allowing the other party to minimize the discomfort of hearing the user's nose blind, the earphone part shielded for a long time Using (100) is a way to solve the feeling of frust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voice signal from the ear is weak,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talk to the other party without an amplifier externally by collecting the voice from both ears in the same phas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other party.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2b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이어폰부(120)가 제2 스피커(122)를 더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가 양쪽 귀를 통해서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부분은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B,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122). This allows the user to hear sound through both ears. Other par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회로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one embodiment of a microphone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스피커(S1, S2)의 출력부는 볼륨조절부(160)와 결합되고 입력부는 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150)는 제1, 제2, 제3 마이크(M1, M2, M3)의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결합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output parts of the speakers S1 and S2 are coupled to the
마이크 스위치(131)는 주변 소음 등의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주변 소음이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제1 마이크(M1)와 제 2마이크(M2)를 동시에 선택하고, 주변 소음이 기 설정된 음성신호의 레벨 미만인 경우에는 제3 마이크(M3)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선택된 음성신호를 커넥터(150)에 제공한다.The
마이크 스위치(131)와 결합된 마이크의 출력부는 커넥터(15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output of the microphone coupled wit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부의 마이크가 동작하여 귀로부터 제공되는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여 소음환경이나 폭풍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마이크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도록 하여 상대방과 깨끗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주변 소음이 심하지 않는 곳에서는 자신의 입에서 나온 음성신호를 상대방으로 제공함으로써, 통화상대자가 통화자의 코맹맹이 소리를 듣게 되는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unit worn on the ear is operated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severe, so that the external device can provide a voice signal in which the ambient noise provided from the ear is cut off to an external device to talk to the other party in a noise environment or a storm environment. And,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weak, the microphone exposed to the outside operates to provide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mouth to an external device so that a clean call can be made with the other party. That is, the user provides a voice signal from his or her mouth to the other party in a place where the ambient noise is not severe, so that the call partner can minimize the discomfort of the caller's nose bli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0: 이어폰부110: 제1 이어폰부
111: 제1 마이크112: 제2 스피커
120: 제2 이어폰부121: 제2 마이크
122: 제2 스피커130: 제어부
131: 마이크 스위치140: 제3 마이크
150: 커넥터100: earphone unit 110: first earphone unit
 111: first microphone 112: second speaker
 120: second earphone unit 121: second microphone
 122: second speaker 130: control unit
 131: microphone switch 140: third microphone
 150: connecto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09538AKR101109748B1 (en) | 2010-11-05 | 2010-11-05 | micropho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109538AKR101109748B1 (en) | 2010-11-05 | 2010-11-05 | micropho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109748B1true KR101109748B1 (en) | 2012-02-2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09538AExpired - Fee RelatedKR101109748B1 (en) | 2010-11-05 | 2010-11-05 | micropho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109748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147384A1 (en) | 2012-03-29 | 2013-10-03 | Shin Doo Sik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 KR101319983B1 (en)* | 2012-03-21 | 2013-10-18 |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 Sound collector having plural microphon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69471A (en)* | 2002-02-20 | 2003-08-2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 KR200426390Y1 (en)* | 2006-06-15 | 2006-09-18 | 허명선 | Earphone with microphone | 
| KR20080072324A (en)* | 2007-02-02 | 2008-08-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Ear microphone | 
| JP2008283326A (en)* | 2007-05-09 | 2008-11-20 | Nappu Enterprise Kk | Earphone micro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0069471A (en)* | 2002-02-20 | 2003-08-27 | 삼성물산 주식회사 | Sound input/output device and microphone-integrated earphone employing the same | 
| KR200426390Y1 (en)* | 2006-06-15 | 2006-09-18 | 허명선 | Earphone with microphone | 
| KR20080072324A (en)* | 2007-02-02 | 2008-08-0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Ear microphone | 
| JP2008283326A (en)* | 2007-05-09 | 2008-11-20 | Nappu Enterprise Kk | Earphone micro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19983B1 (en)* | 2012-03-21 | 2013-10-18 |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 Sound collector having plural microphones | 
| WO2013147384A1 (en) | 2012-03-29 | 2013-10-03 | Shin Doo Sik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 US9654858B2 (en) | 2012-03-29 | 2017-05-16 | Haebora |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 US9743172B2 (en) | 2012-03-29 | 2017-08-22 | Haebora |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080080B2 (en) | Balanced armature based valve | |
| US9491542B2 (en) | Automatic sound pass-through method and system for earphones | |
| CN104396275B (en) | Wired Wireless Headphones Using In-Ear Insert Microphones | |
| TWI508056B (en) | Portable audio device | |
| US11457319B2 (en) | Hearing device incorporating dynamic microphone attenuation during streaming | |
| KR101381289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 |
| US20110261965A1 (en) | Talk-Through Listening Device Channel Switching | |
| JP2010527541A (en) | Communication device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function | |
| CN102972043B (en) | Headset | |
| US9542957B2 (en) | Procedure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nd using voice communication | |
| KR101744503B1 (en)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 US7317805B2 (en) |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ring aid | |
| CN110915238A (en) | Speech intelligibility enhancement system | |
| JP2010147982A (en) | Stereo earphone microphone with remote control | |
| KR101744507B1 (en) | Bluetooth earset with ear canal microphone | |
| US20080240477A1 (en) |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 |
| CN116208879A (en) | Headphone with active noise reduction function and active noise reduction method | |
| KR101092957B1 (en) | microphone | |
| US10719292B2 (en) | Sound enhancement adapter | |
| EP3072314B1 (en) |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 |
| KR101595270B1 (en) | Wire and wireless earset | |
| KR101109748B1 (en) | microphone | |
| KR101022312B1 (en) | Ear microphone | |
| US8824668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telephone and a listen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 |
| US20250301251A1 (en) | Hearing device and a method of adjusting a sidetone gain in a hearing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1002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216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111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1222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901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