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곡면을 포함하는 성형물에 있어서,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a molded article including a curved surface.
가전제품, 가구 또는 건물 내외장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내는 장식 패널은 일반적으로 도안이 인쇄되어 있는 장식층과 상기 장식층 위에 판유리가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decorative panel installed on the surface of home appliances, furniture 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of the building to produce an interior effect is generally composed of a decorative layer on which a pattern is printed and a structure in which plate glass is laminated on the decorative layer.
판유리를 구비하는 장식 패널은 장식 패널이 설치될 제품의 크기에 맞도록 판유리를 절단한 다음, 절단된 판유리의 일면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판유리에 잉크로 도안을 직접 인쇄하는 방법, 전사지를 이용하여 판유리에 도안을 열전사하는 방법 및 도안이 인쇄된 장식 필름을 판유리에 접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The decorative panel having the pane i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pane to fit the size of the product on which the pane is to be installed, and then forming a decorative layer on one side of the cut pane. The method of forming the decorative layer may include a method of directly printing a pattern on the plate glass with ink, a method of thermal transfer of the pattern on the plate glass using a transfer paper, and a method of adhering the decorative film on which the pattern is printed on the plate glass.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조 방법은 각각의 판유리에 장식층을 하나씩 형성하게 되므로, 연속으로 진행할 수 없고 공정이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is to form a decorative layer in each of the glass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ceed continuously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to produce.
한편 최근에는 냉장고,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의 외장재가 금속 재질에서 ABS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그런데 판유리로 구성된 종래의 장식 패널은 플라스틱 소재의 외장재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Recently, exterior materials fo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have been rapidly replaced by metals such as ABS resins. However, the conventional decorative panel composed of plate glass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plastic material.
구체적으로, 플라스틱은 유리에 비해 선팽창계수가 약 10배 정도 크기 때문에 판유리로 구성된 장식 패널과 플라스틱 외장재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률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판유리로 구성된 장식 패널이 부착된 플라스틱 소재의 제품이 고온과 저온 환경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장식 패널과 플라스틱의 수축률 차이로 인하여 장식 패널이 외장재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가전제품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열 사이클 테스트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하며,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Specifically, since the plastic has a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of about 10 times larger than that of glass,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plastic exterior material made of plate glass have a large difference in shrinkag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Therefore, when a product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decorative panel made of plate glass is repeatedly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nd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decorative panel is lifted from the exterior material due to the difference in shrinkage between the decorative panel and the plastic occurs.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rmal cycle tests for durability evaluation of home appliances, which is a cause of failu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 패널의 판유리를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유리에 비해 충격강도와 내스크래치성이 불량하며 쉽게 오염된다는 단점이 있어, 장식 패널의 외부 소재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place the pane of the decorative panel with a plastic material. However, plastics have disadvantages such as poor impact strength and scratch resistance compared to glass and are easily contaminated, and thus are not applied as exterior materials of decorative panel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 패널의 판유리를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하고, 상기 플라스틱 시트 상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연필경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며, 방오성 등이 뛰어난 장식 패널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hanging the plate glass of the decorative panel to a plastic sheet, and forming a hard coating layer on the plastic sheet,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pencil hardness, and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The panel was developed.
그러나 곡면을 가지는 성형품의 경우 진공 성형후 하드코팅을 할 경우 롤코팅이 불가능하거나 플로우 코팅시 코팅성이 불량하다. 또한 곡면을 가지는성형품 의 경우 원판에 미리 하드코팅을 할 경우 성형가공시 굴곡부위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곡면 부위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성형시에는 무코팅 원판 성형가공 후 스프레이 공법 또는 디핑 공법으로 하드코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용이 고가이며 평판 하드코팅에 비하여 코팅면의 평활도가 떨어져 도장의 고광택 질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프레이형 도료의 레벨링성을 개선한 도료가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스프레이 도장의 한계로 비용과 불량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 필름 등을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일부 사출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일정한 강도를 얻기 어려워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지며 평판용 진공성형 기술에는 적용하기 힘든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lded product having a curved surface, if a hard coating is performed after vacuum forming, roll coating is impossible or coating property is poor during flow coating. Also having a curved surface In the case of molded products,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in the bent portion occur during molding when hard coating is performed on the original plate. Due to the above problems, when molding a molded article including a curved portion, hard coating is performed by a spray method or a dipping method after a non-coated disc molding process. However, in this case, the cost is high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igh gloss texture of the coating falls off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surface compared to the flat hard coating. Recently, paints having improved leveling properties of spray paints have been used, but also have disadvantages of high cost and defective rate due to the limitation of spray coating. In addition, a technique using an insert film or the like is known, but it is limitedly applied only to some injection molding products,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ertain strength, so that scratch resistance is poo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vacuum forming technology for flat plates.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 제품을 진공 성형하여 곡면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평판에 하드코팅을 하고 1차 경화후, 성형공정을 거친 후 2차 경화를 통해 불량율이 적고 고광택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곡면 장식 패널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molded article comprising a curved surface by vacuum-forming a flat product, hard coating on the flat plate and after the first curing, after the forming process, a low defect rate and high gloss texture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second curing.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rved decorative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은 a) 장식필름(10)의 일면에 플라스틱시트층(2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30)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곡면이 포함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메인큐어링(main-curing)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anufactur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은 장식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플라스틱시트층(20); 및 상기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30)로 이루어진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코팅층의 표면 경도는 4H이상이고, 광택도는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igh-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발명에 의한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 제조 방법에 의한 장식 패널은 불량율이 낮고, 코팅표면의 평활도가 높으며 우수한 고광택 질감이 표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the high-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defect rate, high smoothness of the coating surface and has an excellent high gloss text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은 기본 소재가 플라스틱 시트로 구성되고, 하드코팅층을 구비하여,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및 경도의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며, 오염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플라스틱 소재의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terial is composed of a plastic sheet, and has a hard coating layer,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impact strength, scratch resistance and hardness, excellent anti-pollution performance, plastic products There is a widely applicable effect.
본 발명의 도면들에 있어서, 각 장치 또는 층, 필름 및 시트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각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부가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있어서, 층, 필름, 또는 시트가 다른 층, 필름 또는 시트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다른 층, 필름 또는 시트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그들 사이에 추가적인 층, 필름 또는 시트가 개재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each device or layer, film and sheet has been exaggerated for clarity of the invention, and each device may have various additional devices not described herein. 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here a layer, film, or sheet is referred to as being located on another layer, film or sheet, an additional layer, film or The sheet may be interposed.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brief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은,Method for producing a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장식필름(10)의 일면에 플라스틱시트층(2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마련하는 단계;a) preparing a
b) 상기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30)을 도포하는 단계;b) applying the
c)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을 형성하는 단계;c) irradiating the
d)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곡면이 포함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d) molding the
e)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메인큐어링(main-curing)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 irradiating the hard coat pre-curing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A detailed proces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 단계는 장식필름(10)의 일면에 플라스틱시트층(2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마련하는 단계이다.Step a) is to prepare a
라미네이팅 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장식필름(10)의 일면에 플라스틱시트층(20)을 합지하여 평판 복합 시트(10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형성 방법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It is preferable to prepare the
플라스틱시트층(20)은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 또는 사출하여 제작된다. 상기 플라스틱 수지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수지, 폴리스티렌(P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 투명도와 평활성이 뛰어나고, 내후성 및 내노화성이 우수한 PMMA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기재필름(13)상에 인쇄층(14)이 형성되어 장식필름(10)이 제조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b) 단계는 상기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드코팅 조성물(30)을 도포하는 단계이다.Step b) is a step of applying a
상기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하드코팅 조성물(30)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딥 코팅, 플로우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또는 그라비어 코팅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하드코팅 조성물(30)은 불소계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한다.The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3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골격(Backborn)에 불소계 화합물이 치환기로 도입된 공중합체이다.The fluorine-based acrylate copolymer is a copolymer in which a fluorine-based compound is introduced as a substituent into the backbone of an acrylate resin having at least three functional groups.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D-201MC(상품명, 대일본잉크화학社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fluorine-based acrylate copolymer, D-201MC (trade name, product of Nippon Ink Chemical Co., Ltd.) may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7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불소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원하는 방오성이 구현되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스크래치성과 내마모성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fluorine-based acrylate copolymer is preferably included in 5 to 5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10 to 47% by weight, most preferably 15 to 45%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fluorine-based acrylate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desired antifouling property, when it exceeds 50% by weight, scratch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may be inferior, which is not preferable.
상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는 지방족 환형구조가 없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는 1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2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3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meth) acrylic-type monomer is a (meth) acrylic-type monomer without an aliphatic cyclic structure. As said (meth) acrylic-type monomer, a monofunctional (meth) acrylic-type monomer, a bifunctional (meth) acrylic-type monomer, a trifunctional or more than polyfunctional (meth) acrylic-type monomer,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상기 1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로는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GDMA),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PGD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관능기 이상의 다관능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서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s include butyl acrylate, allyl methacrylate, 2-methoxyeth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the bi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1,3-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BGDMA),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etc. may be used. May b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or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may be exemplified as examples of the trifunctional or higher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It is not limited.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 외에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거나 방오성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불소계 (메타)아크릴  모노머나 우레탄 (메타)아크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meth) acrylic monomer, the
상기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5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 중량%이다.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하드코팅층의 경도가 약해질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하드코팅층의 경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is preferably 5 to 40%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more preferably 5 to 35% by weight, most preferably 7 to 30%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weakened. When the content of the (meth) acrylic monomer is more than 40% by weight,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too high, which is not preferable.
하드코팅층의 경도는 최종 경화 과정이 이루어진 후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e) 단계까지 거친, 즉 2차 경화 과정인 메인큐어링(main-curing)을 통해 형성된 메인큐어링(main-curing)층(50)의 경도를 말한다.The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refers to the state after the final cu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main curing layer (50) formed through the roughing, that is, the secondary curing process (main-curing) to step e) Says the hardness of.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을 받아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고, 이러한 자유 라디칼의 작용으로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논(Irgacure 184), α, α-디메톡시-α-히드록시 아세토페논(Darocure 1173),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의 블렌드 등의 벤조페논계 물질이나, 2-히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receives ultraviolet rays to generate free radicals, and acts to cause a crosslinking reaction by the action of these free radicals.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a general UV curable composition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1-hydroxycyclohexyl-phenylkenone (Irgacure 184), α, α-dimethoxy-α-hydroxy acetophenone (Darocure 1173),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benzophene Benzophenone series materials, such as a rice cake blend, 2-hydroxy-2-methyl-1- phenyl propane, etc. can be used,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하드코팅층의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불순물로 남아 하드코팅층의 경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0.1 to 5%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sufficient hardening of the hard coat layer may not be achieved, and if it exceeds 5% by weight, it may remain as an impurity to lower the hardness of the hard coat layer.
상기 유기용매는 하드코팅 조성물(30)의 코팅성, 건조 속도, 제품의 외관이나 생산 수율 등을 고려하여 사용되며, 약 3 ~ 5 가지 정도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노말-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에틸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부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디아세톤알콜, 메틸에틸케톤,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rganic solvent i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property of the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은 선명도와 코팅얼룩 개선을 위하여 비스페놀계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굴절률이 1.50 이상인 비스페놀계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스페놀계 수지의 굴절률은 1.50 ~ 3.00이다. 상기 비스페놀계 수지의 예로는 에틸렌옥사이드 변형 비스페놀A의 디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비스페놀계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1 ~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비스페놀계 수지를 사용함에 따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하드코팅층의 표면 경도가 약해 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content of the bisphenol-based resin is preferably 1 to 15%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effect of using the bisphenol-based resin may be insignificant,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15% by weight, the surface hardness of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weak,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은 광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안정제는 하드코팅층의 광안정성을 향상시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드코팅층의 특성이 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광안정제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것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중합 개시제가 α, α-디메톡시-α-히드록시 아세토페논(Darocure 1173) 등과 같은 벤조페논계 물질인 경우, 상기 광안정제로는 비스-(1-옥틸록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Tinubin 123)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 0.01 내지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stabilizer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when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benzophenone-based material such as α, α-dimethoxy-α-hydroxy acetophenone (Darocure 1173), the light stabilizer is bis- (1-octyloxy-2,2 , 6,6-tetramethyl-4-piperidinyl) (Tinubin 123)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ntent of the light stabilizer is preferably 0.01 to 1%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나아가,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은 상술한 각 구성 성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로서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계면 활성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의 점도는 25℃에서의 1 ~ 300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 범위 내에서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의 흐름성이 좋게 되어, 하드코팅층 형성시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viscosity of the
하드코팅층은 상술한 하드코팅 조성물(30)로부터 형성됨으로써,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때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오염 방지 기능,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하다.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from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하드코팅 조성물(30)을 도포하기 전에 플라스틱시트층(20)을 세척하고, 선택적으로 자외선 조사기로 예열하여 남아있는 유분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 단계는 상기 하드코팅 조성물(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In step c), the
b) 단계를 통해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도포된 하드코팅 조성물(30)은 구체적으로는 c) 단계에서 1차 경화인 프리큐어링(pre-curing)이 이루어지고, 후술할 e) 단계에서 2차 경화인 메인큐어링(main-curing)이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조사하고자 하는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따라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경화 과정을 실시한다. c) 단계에서의 자외선 조사 에너지는 200 ~ 300mJ/cm2의 광량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wavelength range of the ultraviolet ray to be irradiated,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n ultraviolet lamp such as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or a metal halide lamp. UV irradiation energy in step c) preferably has a light amount range of 200 ~ 300mJ / cm2 .
상기 자외선 조사 에너지가 200 mJ/cm2미만인 경우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과 플라스틱시트층(20)과의 부착력이 충분하지 못해 2차 가공시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의 박리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 에너지가 300mJ/cm2를 초과하는 경우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의 경화가 많이 진행이 되어 신율이 떨어지게 되며, 2차 가공시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의 크랙현상이 발생한다.When the ultraviolet irradiation energy is less than 200 mJ / cm2 , the adhesion between the
 프리큐어링(pre-curing)이란, e) 단계에서의 메인큐어링(main-curing) 전에 이루어지는 1차적인 가경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1차 경화인 프리큐어링(pre-curing)을 통해 형성된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의 경화도는 대략 1B ~ 1H 의 표면 경도를 가지며, 신율은 300% 이상이 된다. Pre-curing means the primary temporary curing process before the main-curing in step e), and the pre-curing formed through the pre-curing, which is the first curing. The degree of cure of the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하드코팅 조성물(30)을 경화시키기 전에 약 40 ~ 80℃의 온도에서 하드코팅 조성물(30)이 도포된 플라스틱 시트층을 건조하거나, 적외선 가열하여 하드코팅 조성물(30) 내에 잔존하는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uring the
d) 단계는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곡면이 포함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In step d), the flat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를 곡면이 포함된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진공성형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성형은 금형에 가공된 조그마한 구멍 혹은 가느다란 홈을 통하여 시트(sheet)와 금형(mold)면에 둘러싸인 공간을 진공으로 하고, 시트를 금형에 흡착시켜서 성형하는 방법이다. 진공성형을 통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형상은 금형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진공성형을 통해 얻어지는 성형품은 평면의 형상이 아니라 소정의 입체적인 굴곡 형상을 가진, 즉 곡면의 형상을 포함하게 된다. d) 단계의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이 형성된 평판 복합 시트(100)의 곡면 형상은 하나의 구체예로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vacuum molding method for molding the flat
e) 단계는 상기 하드코팅 프리큐어링(pre-curing)층(4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코팅 메인큐어링(main-curing)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tep e) is a step of forming a hard coat main-curing
전술한 바와 같이 b) 단계를 통해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도포된 하드코팅 조성물(30)은 c) 단계에서 1차 경화인 프리큐어링(pre-curing)이 이루어지고, 본 단계인 e) 단계에서 2차 경화인 메인큐어링(main-curing)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조사하고자 하는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따라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과 같은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경화 과정을 실시한다. e) 단계에서의 자외선 조사 에너지는 500mJ/cm2이상의 광량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wavelength range of the ultraviolet ray to be irradiated,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n ultraviolet lamp such as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or a metal halide lamp. The ultraviolet irradiation energy in step e) preferably has a light quantity range of 500 mJ / cm2 or more.
상기 자외선 조사 에너지가 500 mJ/cm2미만인 경우 조사 에너지가 충분하지 못해 표면 경도가 떨어지거나 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ultraviolet radiation energy is less than 500 mJ / cm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e hardness is lowered or the adhesion strength is insufficient due to insufficient irradiation energy.
메인큐어링(main-curing)이란, c) 단계에서의 1차 경화인 프리큐어링(pre-curing) 후에 이루어지는 2차적인 본경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2차 경화인 메인큐어링(main-curing)을 통해 형성된 메인큐어링(main-curing)층(50)의 경화도는 표면 경도 4H 이상을 가지게 된다. Main-curing means a secondary main curing process after pre-curing, which is the primary curing in step c), and main-curing, which is secondary curing. Curing degree of the main-curing layer (50) formed through) will have a surface hardness of 4H or more.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곡면 장식 패널은 기존의 스프레이 공법이나 딥 코팅 공법으로 제조된 장식 패널에 비해 불량율이 낮고, 코팅 표면의 평활도가 높으며 우수한 고광택 질감이 표현이 가능하다.The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has a lower defect rate than the conventional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the spraying method or the dip coating method,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surface, and the excellent high gloss texture can be expressed.
구체적으로는, 코팅 표면의 평활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광택도의 차이로 확인 할 수 있다. 기존의 스프레이나 딥 코팅 공법으로 가공된 장식 패널의 경우 표면의 광택이 60도 광택기로 측정시 95%를 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장식 패널의 경우 광택도가 95%를 상회하는 고광택 질감의 표현이 가능하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surface can generally be confirmed by the difference in glossiness. For decorative panels processed with conventional spray or dip coating methods, the surface gloss does not exceed 95% when measured with a 60 degree gloss. However, in the case of the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a high gloss texture of more than 95% glos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필름(10)의 제조방법에 대한 하나의 구체예이다.Figure 3 is one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칼렌더(calendar) 공법으로 제조된 기재필름(13) 상에 잉크를 이용해서 각종 꽃무늬와 같은 도안을 인쇄하여 인쇄층(14)을 형성한다. 상기 칼렌더 공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인쇄층(14)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접착제층(15)을 형성한다.The
제2접착제층(15) 상에 제2투명필름(16)을 위치시키고, 합지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기재필름(13), 인쇄층(14), 제2접착제층(15) 및 제2투명필름(16)을 합지하여 하나의 시트(10a)를 만든다.The second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기재필름(13), 인쇄층(14), 제2접착제층(15), 및 제2투명필름(16)이 완전히 합지되도록, 시트(10a)를 숙성실에서 약 60 내지 80 시간동안 보관하여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는 숙성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계속해서, 시트(10a)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시트(10a)에 열을 가하여 적당한 온도로 예열하고, 엠보싱기(500)를 사용하여 예열된 시트(10a)에 각종 문자나 도형을 양각 또는 음각하여 엠보싱 무늬를 형성한다.Subsequently, in order to form an embossed pattern on the
한편, 제1투명필름(11)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접착제층(12)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재필름(13)이 제1접착제층(12)을 향하도록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시트(10b)를 제1접착제층(12) 상에 위치시키고, 합지기를 이용하여 제1투명필름(11), 제1접착제층(12) 및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시트(10b)를 합지하여 예비 장식필름(10c)을 만든다. 이때, 제1접착제층(12)은 제1투명필름(11) 대신 기재필름(13)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n adhesive is applied on the first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제1투명필름(11), 제1접착제층(12) 및 엠보싱 무늬가 형성된 시트(10b)가 완전히 합지되도록, 예비 장식필름(10c)을 숙성실(90)에서 약 20 내지 30 시간동안 보관하여 접착제를 충분히 경화시키는 숙성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liminary
이어서 예비 장식필름(10)의 제2투명필름(16)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17)을 형성한다. 이때, 점착제층(17)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제층(17) 상에 이형필름(18)을 부착할 수 있다.Subsequently, an adhesive is applied onto the second
도 4 내지 도 6은 상기에서 설명한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곡면 장식 패널의 일 실시예들이다.4 to 6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described abov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곡면 장식패널은 장식필름(10), 장식필름(10) 상에 형성된 플라스틱시트층(20) 및 플라스틱시트층(20) 상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urved decorative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장식필름(10)은 기재필름(13) 상에 잉크를 이용해서 각종 무늬를 인쇄하여 인쇄층(14)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The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장식필름(10)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인쇄층(14)에 형성된 점착제층(1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시트층(20)은 점착제층(17)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점착제층(17)은 인쇄층(14) 상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기재필름(13)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PV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 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인쇄층(14)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각종 인쇄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실크인쇄 또는 그라비아인쇄를 이용하는 것이 다양한 도안 및 색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바람직하다.Various printing methods may be used as the method for forming the
점착제층(17)은 (메타)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인쇄층(14)이 잘 보이도록 투명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
장식 필름은 다양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는 각종 구조의 장식 필름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The decorative film may have various multilayer structures, and the decorative film of various structure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imita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장식 필름은 제1투명필름(11), 제1투명필름(11) 상에 형성된 제1접착제층(12), 제1접착제층(12) 상에 부착된 기재필름(13), 기재필름(13) 상에 형성된 인쇄층(14), 인쇄층(14) 상에 형성된 제2접착제층(15), 제2접착제층(15) 상에 부착된 제2투명필름(16) 및 제2투명필름(16)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1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film may include the first
제1투명필름(11) 및 제2투명필름(16)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올레핀 재질, 아크릴 재질, PVC 재질 등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first
제1접착제층(12) 및 제2접착제층(15)은 제1투명필름(11) 및 제2투명필름(16)과 기재필름(13)을 긴밀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접착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기재필름(13)으로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필름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빛을 차단하여 인쇄층(14)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검정색 등으로 착색된 불투명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인쇄층(14)은 통상적으로 기재필름(13)의 상면에 형성되지만, 배면 인쇄를 통해 기재필름(13)의 하면에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장식필름(10)의 표면 조도를 안정화시키고, 인테리어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재필름(13), 인쇄층(14), 제2접착제층(15) 및 제2투명필름(16)에는 엠보싱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tabiliz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한편, 장식필름(10)의 점착제층(17) 상에는 이형필름(18)이 부착될 수 있다. 이형필름(18)은 점착제층(1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점착제층(17) 위에 약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쉽게 박리된다. 장식필름(10)이 점착제층(17)과 이형필름(18)을 포함할 경우, 장식필름(10)을 플라스틱시트층(20)과 합지하기 전에 이형필름(18)을 벗겨서 제거하고, 장식필름(10)의 점착제층(17) 상에 플라스틱시트층(20)을 부착하여 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inten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Examples>
미리 제작한 장식 필름에서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라미네이팅 롤러에 연속으로 공급하여, 약 0.3 mm의 두께를 가진 PMMA 시트(세화 정공社)와 장식 필름을 라미네이팅 롤러에 함께 통과시켜 합지하였다. 이때, 상기 장식 필름은 실크 인쇄기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에 꽃무늬를 인쇄하고, 인쇄층 위에 아크릴계 투명점착제를 도포한 후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The release film was removed from the decorative film prepared in advance, and wa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aminating roller, and the PMMA shee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3 mm and the decorative film were passed through the laminating roller together and laminated. At this time, the decorative film was used to print a floral pattern on the polyethylene film using a silk printing machine, after applying an acrylic transparent adhesive on the printing layer and attaching a polyester release film was used.
상기 장식 필름과 합지된 PMMA 시트 위에 하드코팅 조성물(Dow Chemical AR-58)을 플로우 코팅 방법으로 도포하고, 약 60℃ 내지 75℃의 건조기에 통과시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건조된 상태의 하드코팅 조성물에 의해 생기는 도막의 두께는 약 5 ㎛가 되도록 하였다. 고압 수은 램프(High pressure mercury lamp)를 이용하여 약 300 mJ/cm2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리큐어링(pre-curing)을 실시하였다. 이 후 진공 성형기(V.F. Korea社 제)를 이용하여 곡면이 포함된 성형품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곡면이 포함된 성형품의 프리큐어링(pre-curing)층을 약 700 mJ/cm2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메인큐어링(main-curing)을 실시하여 최종 곡면 장식 패널을 마련하였다.The hard coating composition (Dow Chemical AR-58) was applied on the PMMA sheet laminated with the decorative film by a flow coating method, and then passed through a dryer at about 60 ° C to 75 ° C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produced by the hard coat composition in the dried state was about 5 μm. Pre-curing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of about 300 mJ / cm2 with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Thereafter, a vacuum molded machine (manufactured by VF Korea, Inc.) was used to manufacture a molded article including a curved surface. The pre-curing layer of the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curved surface wa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f about 700 mJ / cm2 to perform main-curing to prepare a final curved decorative panel.
<비교예1>≪ Comparative Example 1 &
상기 실시예의 과정 중 건조된 상태의 하드코팅 조성물에 의해 생기는 도막의 두께는 약 12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되었다.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produced by the hard coating composition in the dry state of the embodiment proceed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the thickness was about 12 μm.
<비교예2>≪ Comparative Example 2 &
상기 실시예의 과정 중 약 100 mJ/cm2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리큐어링(pre-curing)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되었다.The procedure was the same except that pre-curing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of about 100 mJ / cm2 in the course of the above embodiment.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의 과정 중 약 700 mJ/cm2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리큐어링(pre-curing)을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진행되었다.The procedure was the same except that pre-curing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of about 700 mJ / cm2 in the course of the above embodiment.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 의해 제조된 곡면 장식 패널의 물성 평가 방법 및 사용 설비에 대해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Table 1 summarizes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the equipment used.
[표 1][Table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 의해 제조된 곡면 장식 패널의 물성 평가 결과에 대해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results of the curved decorative panel manufactured by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2].
[표 2]TABLE 2
(상기 표 2의 부착력에 있어서 Cross Cut 100 % 부착시 ○로 표시하며, 95 % 이상시 △로 표시하였다.)(In the adhesive force of Table 2, when 100% of Cross Cut is attached, it is indicated as ○, and when it is 95% or more, it is indicated as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큐어링 후 측정된 실시예의 표면 경도는 1H로 측정되고, 신율 200% 성형시 Crack의 발생 유무를 관찰한 결과 Crack이 발생되지 않아 우수한 성형 작업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광택도의 경우 96% 정도로 측정이 되어 기존의 스프레이 코팅이나 디핑 코팅에 비해 우수한 광택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surface hardness of the embodiment measured after precure was measured at 1H, and when cracking was observed when 200% elongation was formed, cracks did not occur and thus had excellent molding workability. Able to know. In addition, the glossiness is measured as about 96%, it can be seen that it has an excellent glossi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pray coating or dipping coating.
이에 비해, 비교예 1의 경우 표면 경도가 B로 측정되었지만 Crack이 발생되어 성형작업성이 떨어지며, 광택도도 86%로 측정이 되었다. 이는 도막 두께가 12 ㎛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surface hardness was measured as B, but cracking occurred, resulting in poor molding workability, and the glossiness was measured as 86%.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coating film thickness was 12 μm, which was thicker than in the examples.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착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프리큐어링 자외선 조사를 약 100 mJ/cm2광량으로 한 것에 기인한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on is inferior to the Example. This is due to the amount of precure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being about 100 mJ / cm2 .
비교예 3의 경우 표면 경도가 2H로 측정되고 Crack이 발생되어 성형작업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프리큐어링 자외선 조사를 약 700 mJ/cm2광량으로 한 것에 기인한다.In Comparative Example 3, the surface hardness was measured as 2H, and cracks were generated, resulting in poor molding workability. This is due to the amount of precure ultraviolet radiation of about 700 mJ / cm2 .
즉,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곡면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실시예에 비해 성형작업성이 확실히 떨어지며, 비교에 2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부착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in forming the curved decorative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ing workability is certainly inferior to th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Comparative 2 in the adhesive force compared to the Example have.
10 : 장식필름11 : 제1투명필름10: decorative film 11: the first transparent film
12 : 제1접착제층13 : 기재필름12: first adhesive layer 13: base film
14: 인쇄층15 : 제2접착제층14: printed layer 15: second adhesive layer
16 : 제2투명필름17 : 점착제층16: second transparent film 17: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8 : 이형필름20 : 플라스틱시트층18: release film 20: plastic sheet layer
30: 하드코팅조성물40 : 프리큐어링층30: hard coating composition 40: precure layer
50 : 메인큐어링층100 : 평판 복합 시트50: main curing layer 100: flat composite sheet
200: 최종 곡면 장식 패널200: final surface decoration pane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4809AKR101103409B1 (en) | 2009-03-24 | 2009-03-24 |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2009801583480ACN102365179A (en) | 2009-03-24 | 2009-12-28 | Hard coating composition, multi-layered sheet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2012501919AJP2012521476A (en) | 2009-03-24 | 2009-12-28 | Hard coating composition, multilayer shee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PCT/KR2009/007836WO2010110528A1 (en) | 2009-03-24 | 2009-12-28 | Hard coating composition, multi-layered sheet using the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24809AKR101103409B1 (en) | 2009-03-24 | 2009-03-24 |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06714A KR20100106714A (en) | 2010-10-04 | 
| KR101103409B1true KR101103409B1 (en) | 2012-01-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24809AExpired - Fee RelatedKR101103409B1 (en) | 2009-03-24 | 2009-03-24 |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Country | Link | 
|---|---|
| JP (1) | JP2012521476A (en) | 
| KR (1) | KR101103409B1 (en) | 
| CN (1) | CN102365179A (en) | 
| WO (1) | WO2010110528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01134B1 (en)* | 2012-06-01 | 2019-07-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oor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coration pan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e panel | 
| CN102964915B (en)* | 2012-11-23 | 2014-07-09 | 东莞市佳烨化工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UV screen printing plastic in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3607683B (en)* | 2013-08-30 | 2017-12-15 | 歌尔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iaphragm of loudspeake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KR101601563B1 (en)* | 2014-12-30 | 2016-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urface roughness improved high gloss ABS shee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 
| SI3274174T1 (en)* | 2015-03-23 | 2022-09-30 |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film | 
| WO2021140874A1 (en)* | 2020-01-08 | 2021-07-15 |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 B-stage coating film, laminate film and three-dimensional molded article, and methods respectively for production thereof | 
| CN116034019A (en)* | 2020-08-19 | 2023-04-28 | 日本瑞翁株式会社 | Transfer medium laminate,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102289115B1 (en)* | 2021-01-06 | 2021-08-24 | 주식회사 티케이 | High gloss exterior panel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bending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16524A1 (en) | 2005-03-23 | 2006-09-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erfluoropolyether urethane additives having (meth)acryl groups and hard coats | 
| KR20070015163A (en)* | 2004-03-30 | 2007-02-01 |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 Low reflection member | 
| US20070087119A1 (en) | 2002-12-17 | 2007-04-19 | Moravec Thomas J | Rapid, Thermally Cured, Back Side Mar Resistant And Antireflective Coating For Ophthalmic Lenses | 
| US20070275171A1 (en) | 2006-05-29 | 2007-11-29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Process for Obtaining a Hard Coated Article Having Anti-Fouling Properti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A2593694A1 (en)* | 2004-12-30 | 2006-07-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Articles comprising a fluorochemical surface layer and related method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70087119A1 (en) | 2002-12-17 | 2007-04-19 | Moravec Thomas J | Rapid, Thermally Cured, Back Side Mar Resistant And Antireflective Coating For Ophthalmic Lenses | 
| KR20070015163A (en)* | 2004-03-30 | 2007-02-01 |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 Low reflection member | 
| US20060216524A1 (en) | 2005-03-23 | 2006-09-2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Perfluoropolyether urethane additives having (meth)acryl groups and hard coats | 
| US20070275171A1 (en) | 2006-05-29 | 2007-11-29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Process for Obtaining a Hard Coated Article Having Anti-Fouling Properti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106714A (en) | 2010-10-04 | 
| CN102365179A (en) | 2012-02-29 | 
| WO2010110528A1 (en) | 2010-09-30 | 
| JP2012521476A (en) | 2012-09-13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103409B1 (en) | High gloss curved decorativ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 KR101045282B1 (en) | Decorative panel having a hard coating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5071332B2 (en) | Decorative sheet for insert molding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KR101798683B1 (en) | Process for producing decorative sheet,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olded article obtained using same | |
| CN103476587B (en) | Cosmetic sheet and use the decorated resin molded article of this cosmetic sheet | |
| JP5158989B2 (en) | Method for forming decorative film on molded product using transfer sheet | |
| JP4985288B2 (en) | Decorative sheet for 3D processing | |
| TWI435811B (en) | Decorated product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 WO2009113168A1 (en) | Decorative sheet for three-dimensional work | |
| JP5332258B2 (en) | Resin composition and decorative sheet using the resin composition | |
| JP2009234159A (en) | Decorative film for molding | |
| JP6398261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KR101213258B1 (en) | Plastic film for lamination having three-dimensional emboss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CN110815995A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 |
| JP6398260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KR102063599B1 (en) | Coating composition for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sheet | |
| JP6438590B2 (en) | Decorative sheet for vacuum thermoforming, article forme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sheet for vacuum thermoforming | |
| JP6503628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 |
| JP6398259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JP6232879B2 (en) | Transfer sheet and covering member using the same | |
| KR2023003814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hard coat film for insert molding and insert molded product | |
| JP5527373B2 (en) | Decorative sheet for insert molding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JP6809317B2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product | |
| WO2015046549A1 (en) |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 |
| JP2014159128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 transf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product using the sam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917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512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5123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