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공기필터용 복합여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내연기관 등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기필터용 복합여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ilter for an air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filter for an air filter that can be used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n automobile.
자동차 내연기관 등에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필터용 여재로 다양한 형태 및 소재를 갖는 여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필터는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내연기관 등이 고장이 없이 장시간 사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필터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될 수 있는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As media for air filters for purifying air supplied to automobil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media having various forms and materials are used. The air filter serves to help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failure by purifying the air. Accordingly, the air filter is required to efficiently collect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to be used for a long time.
종래 이러한 공기필터용으로 사용되는 여재로는 여과지 또는 부직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과지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효율 및 가공성은 우수하나, 섬유 구조가 치밀하여 기공이 쉽게 막히기 때문에 여과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또한, 부직포는 통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효율이 떨어지고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Filter media or nonwoven fabrics are mainly used as media used for such an air filter. However, the filter paper has excellent efficiency and processability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but has a problem of short filtration life because the fiber structure is dense and pores are easily blocked.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is excellent in breathability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filtering foreign matters is poor and workability is inferior.
이러한, 여과지 또는 부직포만을 사용할 경우 떨어지는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여과지와 부직포를 결합시킨 복합여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여재에 사용되는 부직포로는 멜트블로운, 에어레이드, 니들펀칭, 케미컬본딩, 또는 써멀본딩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건식 부직포가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 부직포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 사용이 곤란한 실정이다.
In the case of using only filter paper or nonwoven fabric, a composite material combining a filter paper and a nonwoven fabric is used to compensate for falling physical properties. As the nonwoven fabric used in the composite material, a dry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a process such as melt blown, airlaid, needle punching, chemical bonding, or thermal bonding has been applied. However, such a dry nonwoven fabric is difficult to use because of its high price becaus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manufactured using expensive equip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기성 및 여과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습식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장시간 우수한 여과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공기필터용 복합여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filter composite filter which can maintain excellent filtration efficiency for a long time by using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breathabil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as well as low cost. .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도가 100 내지 2000 cfm을 갖는 습식 부직포 형태의 제 1층; 및 상기 제 1층과 접착되고, 통기도가 10 내지 130 cfm을 갖으며 펄프 형태를 갖는 제 2층을 포함하는 공기필터용 복합여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layer of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breathability of 100 to 2000 cfm; And a second layer adhered to the first layer and having a permeability of 10 to 130 cfm and a second layer having a pulp form.
본 발명에 따른 공기필터용 복합여재는, 습식 부직포와 셀룰로오스 펄프 여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 수명이 길고 여과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낮은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Composite filter medium for ai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et nonwoven fabric and the cellulose pulp filter media are laminated, it has a long service life and excellent filtration efficiency, and can be produced at a low price has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필터용 복합여재는 자동차 엔진 필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Therefore, the composite filter material for an ai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n automobile engine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필터용 복합여재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posite filter for an ai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공기필터용 복합여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공기필터용 복합여재는 통기도가 100 내지 2000 cfm을 갖는 습식 부직포 형태의 제 1층(10) 및 상기 제 1층(10)과 접착되고, 통기도가 10 내지 130 cfm을 갖으며 펄프 형태를 갖는 제 2층(20)을 포함한다.The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nded to the
상기 제 1층(10)은 통기도가 100 내지 2000 cfm인 부직포 형태를 가짐에 따라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여과효율이 떨어지고 가공성이 떨어지지만, 통기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여과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As the
반면, 상기 제 2층(20)은 통기도가 10 내지 130 cfm인 펄프 형태를 가짐에 따라 구조가 치밀하여 쉽게 기공이 막혀 사용 수명이 짧지만,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은 우수한 특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펄프형태의 여재와 부직포 형태의 여재를 서로 적층시켜 복합화함에 따라 상기 펄프 여재와 부직포 여재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함에 따라 사용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ervice life greatly and improves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foreign matters by supplementing the disadvantages of the pulp and nonwoven media and maximizing the advantages by stacking and compounding the pulp and the nonwoven media. You have an advantage.
상기 제 1층(10)에는 상기 제 2층(20)과 상기 제 1층(10)을 접착시키기 위해 수지가 함침되어 있다. 상기 함침 수지는 제 1층(10)과 제 2층(20)을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할 때 원활한 접착에 필요한 인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상기 제 1층(10)에 함침된 수지는 상기 제 1층(10) 중량 대비 10 내지 30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침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복합여재의 강성이 떨어짐에 따라 접착 공정시에 필요한 인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함침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복합여재의 조직이 치밀해져 여과효율은 우수하나 통기성이 떨어짐에 따라 사용 수명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The resin impregnated in the
상기 제 1층(10)을 이루는 습식 부직포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상기 습식 부직포의 형태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t nonwoven fabric of the
상기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전체 제 1층(10)의 중량 대비 50 내지 90%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여재가 이와 같은 함량의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가짐에 따라 통기성 조절이 용이하고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olyvinyl alcohol, or polyester short fibers may have a content of 50 to 90%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entire
상기 폴리비닐알콜,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0.4 내지 20 데니어의 굵기, 2 내지 15 ㎜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 or polyester-based short fibers may have a thickness of 0.4 to 20 deniers and a length of 2 to 15 mm.
만일 상기 단섬유의 굵기가 0.4 데니어 미만일 경우 조직이 치밀해져 여과효율은 우수하나 통기성이 좋지 않아 사용 수명이 떨어지고 생산 비용이 높아져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섬유의 굵기가 20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조직이 엉성해져 여과효율이 떨어지고 접착 공정시 인장력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short fiber is less than 0.4 denier, the structure is dense,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excellent, but the breathability is poor, the service life is low, the production cost is high, economic efficiency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hort fibers exceeds 20 denier, the tissue is slumpe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tensile strength may be lower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또한, 상기 단섬유의 길이가 15 ㎜를 초과하면 단섬유의 분산성이 떨어져 여재의 균제도가 나빠지고 제조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short fiber exceeds 15 mm, the dispersibility of the short fiber may be reduced, and the uniformity of the media may be deterior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may be deteriorated.
상기 제 1층(10)을 이루는 습식 부직포는 올레핀계,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제 2층(20)과 적층시켜 접착시킬 때 2 개의 층을 원활하게 접착시키고 여재의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의 융점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의 융점 대비 10 ℃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것이 여과효율 및 사용 수명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The wet nonwoven fabric of the
상기 올레핀계,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1 내지 6 데니어의 굵기, 2 내지 15 ㎜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는 전체 제 1층(10)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올레핀계,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구조가 너무 엉성해져 접착 공정시 필요한 인장력을 얻을 수 없고, 반면 상기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조직이 치밀해져 여과효율은 좋으나 통기성이 좋지 않아 사용 수명이 떨어질 수 있다.The olefin-based, or low melting point polyester short fibers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6 deniers and a length of 2 to 15 mm. The olefin-based, or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s may have a content of 10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layer (10). If the content of the olefin-based or low-melting polyester short fibers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structure is too loose to obtain the necessary tensile force during the bonding process, whereas if the content exceeds 50% by weight, the tissue becomes dense.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good, but the breathability is poor, so the service life may be reduced.
상기 제 2층(20)은 셀룰로오스 펄프 또는 셀룰로오스 펄프와 단섬유 형태의 합성섬유가 혼합된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셀룰로오스 펄프와 단섬유 형태의 합성섬유가 혼합된 여재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The media in which the cellulose pulp and the synthetic fibers in the form of short fibers are mixed has excellent morphological stability.
상기 제 1층(10)을 이루는 습식 부직포와 상기 제 2층(20)을 이루는 펄프 여재를 핫멜트 또는 초음파 공정을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켜 복합여재를 제조할 수 있다.The wet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여기서, 상기 제 1층(10)을 이루는 습식 부직포는 20 내지 100 g/㎡의 중량, 0.2 내지 1.0 ㎜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상기 물성을 갖는 복합여재는 습식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1층(10)에서 이물질이 1차로 여과되고 셀룰로오스 펄프로 이루어진 제 2층(20)에서 다시 여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 수명이 우수하여 자동차 또는 각종 산업용 설비의 공기필터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wet nonwoven fabric forming the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공기필터용 복합여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mposite media for an ai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 실시예 1 >≪ Example 1 >
일반제지 공정을 적용하여 3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의 융점보다 12℃ 낮은 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여, 중량 35 g/㎡, 두께 0.20 ㎜, 및 통기도 8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50 g/㎡, 두께는 0.20 ㎜, 및 통기도 6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Polyester-based short fibers having a thickness of 3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by applying a general papermaking process and having a melting point of 12 ° 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short fibers Was mixed at 60 to 40% by weight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35 g / m 2, a thickness of 0.20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800 cfm.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30 wt% thermoplastic resin to produce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20 mm, and a breathability of 600 cfm.
상기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중량 123 g/㎡, 두께는 0.50 ㎜, 통기도 70 cfm인 펄프 여재에 적층한 후, 핫멜트 접착 방법에 의해 상기 2개의 적층을 접착시켜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The resin-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was laminated on a pulp mediator having a weight of 123 g / m 2, a thickness of 0.50 mm, and a breathability of 70 cfm made of cellulose fibers, and then the two laminates were bonded by a hot melt adhesive method to prepare a composite media. .
< 실시예 2 >≪ Example 2 >
전술한 실시예 1에서, 3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50 g/㎡, 두께 0.25 ㎜, 및 통기도 6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70 g/㎡, 두께는 0.25 ㎜, 및 통기도 4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3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low melting polyester based short fiber having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were mixed at 60 to 40 wt% Was changed to produc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25 mm, and a breathability of 6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70 g / m 2, a thickness of 0.25 mm, and a breathability of 4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3 ><Example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3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65 g/㎡, 두께 0.30 ㎜, 및 통기도 4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90 g/㎡, 두께는 0.30 ㎜, 및 통기도 3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3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low melting polyester based short fiber having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were mixed at 60 to 40 wt% The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65 g / m 2, a thickness of 0.30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400 cfm was prepared. The composite material was impregnated with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90 g / m 2, a thickness of 0.30 mm, and a breathability of 3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4 ><Example 4>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35 g/㎡, 두께 0.25 ㎜, 및 통기도 10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50 g/㎡, 두께는 0.25 ㎜, 및 통기도 8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 having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were mixed at 60 to 40 wt%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35 g / m 2, a thickness of 0.25 mm, and a breathability of 10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25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8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5 ><Example 5>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50 g/㎡, 두께 0.30 ㎜, 및 통기도 8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70 g/㎡, 두께는 0.30 ㎜, 및 통기도 6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 having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were mixed at 60 to 40 wt%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30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8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70 g / m 2, a thickness of 0.30 mm, and a breathability of 6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6 ><Example 6>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60 대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65 g/㎡, 두께 0.35 ㎜, 및 통기도 6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90 g/㎡, 두께는 0.35 ㎜, 및 통기도 4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 having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length of 5 mm were mixed at 60 to 40 wt%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65 g / m 2, thickness of 0.35 mm, and breathability of 6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90 g / m 2, a thickness of 0.35 mm, and a breathability of 4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7 ><Example 7>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15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각각 30 중량%로 혼합시키고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35 g/㎡, 두께 0.35 ㎜, 및 통기도 12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50 g/㎡, 두께는 0.35 ㎜, 및 통기도 10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15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were mixed at 30% by weight, respectively, and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thickness of 5 mm. The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s having a length of 40% by weight were mix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35 g / m 2, a thickness of 0.35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12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using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35 mm, and a breathability of 1000 cfm. Was prepared.
< 실시예 8 ><Example 8>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15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각각 30 중량%로 혼합시키고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50 g/㎡, 두께 0.40 ㎜, 및 통기도 10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70 g/㎡, 두께는 0.40 ㎜, 및 통기도 8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15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were mixed at 30% by weight, respectively, and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thickness of 5 mm. The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s having a length of 40% by weight were mix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50 g / m 2, a thickness of 0.40 mm, and a breathability of 10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70 g / m 2, a thickness of 0.40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8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실시예 9 ><Example 9>
전술한 실시예 1에서, 7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15 데니어의 굵기 및 12 ㎜의 길이를 갖는 폴리에스테르가 각각 30 중량%로 혼합시키고 2 데니어의 굵기 및 5 ㎜의 길이를 갖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단섬유를 40 중량%로 혼합하고 제조공정을 변경하여 중량 65 g/㎡, 두께 0.45 ㎜, 및 통기도 800 cfm인 습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습식 부직포에 30 중량%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중량 90 g/㎡, 두께는 0.45 ㎜, 및 통기도 600 cfm인 수지 함침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
In Example 1 described above,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7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and a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15 deniers and a length of 12 mm were mixed at 30% by weight, respectively, and a thickness of 2 deniers and a thickness of 5 mm. The low melting polyester short fibers having a length of 40% by weight were mix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was changed to prepare a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65 g / m 2, a thickness of 0.45 mm, and an air permeability of 800 cfm. The composite material was fabricat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t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30 wt% thermoplastic resin, and a resin impregnated wet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90 g / m 2, a thickness of 0.45 mm, and a breathability of 600 cfm was used. Was prepared.
<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전술한 실시예 1의 펄프 여재로 이루어진 것을 공기필터 여재로 사용하였다.
The pulp filter media of Example 1 described above was used as the air filter filter media.
<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폴리에스테르/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 수지를 방사 장치에 충진 후 용융시켜 용융물을 형성하여, 이러한 용융물을 방사하여 고압 열풍 하에서 멜트블로운 성형하여 직경 10 ㎛이상, 중량 40 g/㎡, 두께 0.45 ㎜, 및 통기도 1,150 cfm의 멜트블로운 건식 부직포를 제조하였다.The polyester /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resin is filled into a spinning device and then melted to form a melt. The melt is spun and melt blown under high pressure hot air to form a diameter of 10 µm or more, weight 40 g / m 2, thickness 0.45 mm , And ventilated meltblown dry nonwoven fabric of 1,150 cfm.
상기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중량 123 g/㎡, 두께 0.50 ㎜, 및 통기도 70 cfm인 펄프 여재에 적층시켜 초음파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접착시켜 복합여재를 제조하였다.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was laminated on a pulp filter paper having a weight of 123 g / m 2, a thickness of 0.50 mm, and a breathability of 70 cfm made of cellulose fibers, and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ultrasonic method to prepare a composite filter.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공기필터용 여재는 아래의 실험예에 의해 사용 수명 및 여과효율을 측정하였다.
The filter medium for air filters prepared by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measured the service life and filtration efficiency by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
< 실험예 >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제조된 공기필터용 여재는 폭 179 ㎜, 산높이 48 ㎜, 산수 65 산 및 여과면적이 1.12 ㎡ 가 되도록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샘플들의 사용 수명 및 여과효율은 KS R 1041, 및 ISO 5011에 입각하여 정격유량 6.4 ㎥/min, AC-FINE 먼지 투입량 6.4 g/min, 종료조건은 초기압력 + 300 ㎜Aq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사용 수명은 포집량(g)을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The air filter medium prepared by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prepared so that the width 179 mm, acid height 48 mm, acid number 65 acid and filtration area of 1.12 m 2. The service life and filtration efficiency of these sampl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KS R 1041, ISO 5011, rated flow rate of 6.4 m 3 / min, AC-FINE dust input of 6.4 g / min, and termination conditions at initial pressure + 300 mmAq. The service life was indirectly measured through the collection amount (g).
이와 같이 측정된 사용 수명 및 여과효율은 아래 표 1과 같다.
The service life and filtration efficiency measured in this way are shown in Table 1 below.
통기도(cfm) : 단위 면적당 통과되는 공기량.Aeration rate (cfm): The amount of air passed per unit area.
폭(㎜) : 공기필터 여재의 절곡 폭.Width (mm): Bending width of the air filter media.
산높이(㎜) : 공기필터 여재 절곡시 산의 높이.Mountain height (mm): The height of the mountain when bending the air filter media.
산수 : 공기필터 여재의 산의 수.Arithmetic number: The number of acids in the air filter media.
여과수명(포집량(g)) : 필터에 투입된 총 먼지량 - 필터를 통과한 먼지량.Filtration life (capacity (g)): Total amount of dust put into the filter-the amount of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초기 여과효율(%) : 필터 성능 테스트 시작 6분 후에 절대필터에 걸린 먼지량으로 측정하며, 투입량 대비 통과량으로 계산.Initial filtration efficiency (%): 6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filter performance test, measured by the amount of dust caught in the absolute filter, and calculated as the passage amount compared to the input amount.
종료 여과효율(%) : 초기저항 압력에서 300 ㎜Aq 증가시 종료하며, 그때까지의 먼지 투입량 대비 통과량으로 계산.
End Filtration Efficiency (%): It ends when the initial resistance pressure increases by 300 mmAq, and it is calculated as the passage amount compared to the dust input amount up to that time.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습식 부직포와 펄프 여재로 이루어진 공기필터용 복합여재가 펄프 여재로만 이루어진 공기필터용 여재보다 사용 수명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air filter composite filter composed of a wet nonwoven fabric and a pulp filter media has a longer service life than the filter media composed of a pulp filter media.
또한, 습식 부직포가 포함된 복합여재는 건식 부직포가 포함된 복합여재 보다 더 우수한 여과 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고 50% 이하의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우수한 경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media including the wet nonwoven fabric has better filtration efficiency than the composite media including the dry nonwoven fabric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cost of 50% or less, thereby having better economic efficiency.
10 : 제 1층
20 : 제 2층10: the first floor
20: the second lay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5599AKR101099377B1 (en) | 2011-07-29 | 2011-07-29 |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75599AKR101099377B1 (en) | 2011-07-29 | 2011-07-29 |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99377B1true KR101099377B1 (en) | 2011-12-2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75599AActiveKR101099377B1 (en) | 2011-07-29 | 2011-07-29 |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9937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69387B1 (en)* | 2013-03-14 | 2016-10-25 | 알스트롬 코포레이션 | Method of making a thin filtration media |
| US9492775B2 (en) | 2013-03-15 | 2016-11-15 | Donaldson Company, Inc. | Air filtration media, media constructions and methods |
| US10195555B2 (en) | 2013-03-14 | 2019-02-05 | Ahlstrom-Munksjo Oyj | Filtration media |
| KR20210119063A (en)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Combination Filter media for air cleaning and Combination filter for air cleaning |
| KR20220051706A (en)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Support for muti-functional purifie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20001124A (en)* | 2024-12-27 | 2025-05-16 | 中材科技膜材料(山东)有限公司 | A polyester film-coated filter material for pleated filter cartridg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00195A (en) | 1998-06-17 | 2000-01-07 | Kuraray Co Ltd | Dust collection bag for vacuum cleaner |
| JP2000061223A (en) | 1998-08-24 | 2000-02-29 | Toray Ind Inc | Air filter memb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00195A (en) | 1998-06-17 | 2000-01-07 | Kuraray Co Ltd | Dust collection bag for vacuum cleaner |
| JP2000061223A (en) | 1998-08-24 | 2000-02-29 | Toray Ind Inc | Air filter memb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69387B1 (en)* | 2013-03-14 | 2016-10-25 | 알스트롬 코포레이션 | Method of making a thin filtration media |
| US10195555B2 (en) | 2013-03-14 | 2019-02-05 | Ahlstrom-Munksjo Oyj | Filtration media |
| US10471377B2 (en) | 2013-03-14 | 2019-11-12 | Ahlstrom-Munksjö Oyj | Method of making a thin filtration media |
| US11123669B2 (en) | 2013-03-14 | 2021-09-21 | Ahlstrom-Munksjö Oyj | Method of making a thin filtration media |
| US11185806B2 (en) | 2013-03-14 | 2021-11-30 | Ahlstrom-Munksjö Oyj | Filtration media |
| US12023612B2 (en) | 2013-03-14 | 2024-07-02 | Ahlstrom Oyj | Filtration media |
| US9492775B2 (en) | 2013-03-15 | 2016-11-15 | Donaldson Company, Inc. | Air filtration media, media constructions and methods |
| KR20210119063A (en)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Combination Filter media for air cleaning and Combination filter for air cleaning |
| KR20220051706A (en) | 2020-10-19 | 2022-04-26 |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 Support for muti-functional purifie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20001124A (en)* | 2024-12-27 | 2025-05-16 | 中材科技膜材料(山东)有限公司 | A polyester film-coated filter material for pleated filter cartridg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40662B1 (en) | Multilayer filtration material f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air filter | |
| US11684880B2 (en) | Self supporting pleatable web and an oil filter including the same | |
| KR101099377B1 (en) | Composite filter for air filter | |
| EP2259860B1 (en) | Air filtration medium with improved dust loading capacity and improved resistance to high humidity environment | |
| KR100952421B1 (en) | Filter material for purifying inlet ai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CN108136302B (en) | Fuel water separation filter media for removal of water from water-hydrocarbon emulsions with improved efficiency | |
| JP3802839B2 (en) | Nonwoven fabric for filters and filters for engines | |
| CN1073459C (en) | High-precision filter | |
| JP6138812B2 (en) | Filter material | |
| JP2009521305A (en) | Air purification filter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13710344A (en) | Filter media comprising a polyamide nanofiber layer | |
| KR100946981B1 (en) | Filter material for air cleaning | |
| JP4737039B2 (en) | Filter nonwoven fabric for air intake | |
| KR100678338B1 (en) | Filter material for air purific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CN201942955U (en) | Automotive fuel filter paper suitable for national standard IV | |
| CN115666757A (en) | Glass fiber-free filter media with dense layers made of synthetic fibers | |
| KR102583894B1 (en) | Thermal bonding biodegradable filter substrates for air filter media and air filter complex media | |
| KR102541477B1 (en) | Biodegradable complex media for ai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2011251249A (en) | Filter material for liquid | |
| JP2009195845A (en) | Nonwoven fabric for filter | |
| KR20110131666A (en) | Filter media using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KR20080060830A (en) | Filter for purifying inlet ai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EP3078407A1 (en) | High efficiency filter medium with no binding age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107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110809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110729 Patent event code:PA03021R01I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10916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112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1122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111221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618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061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1221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51221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302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0302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1220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71220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1210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21214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1216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