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97322B1 -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22B1
KR101097322B1KR1020090125031AKR20090125031AKR101097322B1KR 101097322 B1KR101097322 B1KR 101097322B1KR 1020090125031 AKR1020090125031 AKR 1020090125031AKR 20090125031 AKR20090125031 AKR 20090125031AKR 101097322 B1KR101097322 B1KR 10109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xide semiconductor
semiconductor layer
thin film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181A (ko
Inventor
김광숙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filedCritical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031ApriorityCriticalpatent/KR101097322B1/ko
Priority to US12/873,206prioritypatent/US8431927B2/en
Priority to TW099134824Aprioritypatent/TWI481037B/zh
Priority to CN201010518645.6Aprioritypatent/CN102097486B/zh
Priority to JP2010278276Aprioritypatent/JP5400019B2/ja
Publication of KR2011006818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10068181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22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97322B1/ko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노출된 상기 기판 위의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면서, Hf의 농도가 9~15 at %의 범위에 있는 HfInZnO계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organic electroluminiscent device having the thin film transistor}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를 채널층으로 사용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는 절연성 지지 기판 위에 반도체 박막을 이용하여 만든 특별한 종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마찬가지로 게이트(gate), 드레인(drain), 소오스(source)의 세 단자를 가진 소자이며, 가장 주된 기능은 스위칭 동작이다. 게이트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절하여 소오스와 드레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만들어서 스위칭 동작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센서, 기억 소자, 광 소자 등에도 이용되지만, 평판 디스플레이의 화소 스위칭 소자로서 주로 이용된다.
현재 노트북, PC 모니터, TV, 모바일 기기 등 이미 상용화가 진행된 제품들은 대부분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a-Si TFT)를 사용하고 있다. 비정질 실리콘은 원자배열이 결정처럼 규칙적이지 않고 단거리 질서는 있지만 장거리 질서는 없는 실리콘이다. 비정질 실리콘은 대면적 증착이 잘 되고, 저온에서 유리 기판상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고화질화 추세에 따라 소자의 고성능이 요구되어, 전자 이동도가 0.5~1cm2/V·s 수준인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보다 높은 이동도를 갖는 고성능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조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poly-Si TFT)는 기존의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보다 월등히 높은 성능을 갖는다.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는 수십에서 수백 cm2/V·s의 이동도를 갖기 때문에 높은 이동도를 요구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나 주변 회로 등을 기판 내에 내장할 수 있도록 하며,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작게 만들 수 있으므로 화면의 개구율을 크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 회로의 내장으로 인하여 화소수의 증가에 따른 구동 회로 연결을 위한 배선 피치의 한계가 없으므로 고해상도가 가능하며, 구동전압과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고, 소자 특성 열화 문제가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결정화를 위한 공정이 복잡하고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조 장비의 한계나 균일도 불량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대형기판의 제조 공정이 실현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장점과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장점을 모두 지닌 새로운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산화물 반도체 소자가 있다.
산화물 반도체 소자는 ZnO 등이 속하는 결정형 산화물 반도체 소자와 GIZO(GaInZnO) 등이 속하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소자로 나눌 수 있다.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소자는 저온 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대면적화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고이동도의 물질로서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매우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므로, 산화물 반도체층을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영역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금속의 최외각 전자 중 방향에 따른 비등방성이 가장 작은 s-오비탈 파동함수의 오버랩이 전자의 밴드 전하 수송에 기여하기 때문에 비정질 박막인 경우에도 10cm2/V·s 이상의 높은 이동도를 가질 수 있다고 이해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InGaZnO 산화물 반도체는 소자가 플라즈마나 외부 환경(수분이나 산소 등)에 노출되는 경우, 소자의 특성이 열화됨이 보고되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식각 정지막(etch stop layer)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식각 정지막의 형성 공정 조건에 따라서도 소자의 특성이 심각하게 열화될 수도 있으며 소자 특성이 열화되지 않는 공정 조건의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산화물 반도체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기판, 상기 기판 상의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기판 위의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서 상기 게이트 전극과 마주보는 위치에 있으면서, Hf이 9~15 at %(원자 백분율; Hf, In, Zn의 at %의 합은 100)의 범위에 있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산화물 반도체층 및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Hf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의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위의 제2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층의 Hf 농도가 상기 제1 층의 Hf 농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Zn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의 제3 층 및 상기 제3 층 위의 제4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층의 Zn 농도가 상기 제3 층의 Zn 농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서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Hf이 9~15 at %(원자 백분율; Hf, In, Zn의 at %의 합은 100)의 범위에 있는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HfO2, In2O3, ZnO의 세 개의 타겟에 각각 파워를 인가하여 코스퍼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타겟들에 인가되는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의 Hf 또는 Zn의 농도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Hf의 농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Zn의 농도가 낮아지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Zn의 농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라 상기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제공된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안의 Hf 농도 또는 Zn의 농도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채널층의 전기적 특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여서 소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는 Hf, In, Zn 및 O의 조성비가 변할 수 있는 Hf, In, Zn 및 O를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Hf 및 Zn의 농도를 나타내는 at %는 원자 백분율로서 Hf, In, Zn의 at %의 합은 100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기판(1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3), 게이트 전극(13)와 노출된 기판(1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5), 게이트 절연막(15)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3)와 마주보는 산화물 반도체층(17), 산화물 반도체층(17)의 상면을 노출시키면서 산화물 반도체층(17)과 접촉하도록 산화물 반도체층(17)의 양측과 게이트 절연막(15) 위로 형성되어 있는 소스/드레인(19)을 포함한다. 산화물 반도체층(17)은 채널층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기판(11)과 게이트 전극(13) 및 게이트 절연막(15) 사이에 버퍼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산화물 반도체층(17) 위에 식각 정지층(미도시)이 위치 할 수 있다.
기판(11)은 실리콘(Si),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3)는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인듐 산화물(Ind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u 또는 Mo 단일 금속층, Mo층을 포함하는 다중 금속층, Ti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Cr을 포함하는 금속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5)은 SiO2, SiNx, SiON, HfO2, Al2O3-, Y2O3, Ta2O5 등과 같은 유전체 또는 고유전율 유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된다.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이 9~15 at %(원자 백분율; Hf, In, Zn의 at %의 합은 1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 절연막(15)과 인접할 수록 Hf의 농도가 낮아지고, 소스/드레인(19)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상부층으로 갈수록 Hf의 농도가 높아져서, Hf의 농도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내에서 점진적인 경사(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때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의 농도가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에서 Hf의 농도가 증가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 체의 구조를 강하게 하여 후속의 박막 형성 공정이나 플라즈마 공정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줄어들며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에서 Hf의 농도가 증가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전자의 이동도가 감소되어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층(17)에서 게이트 절연막(15)과 인접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전자의 이동도를 높여서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Hf의 농도를 낮추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상부층으로 갈수록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Hf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산화물 반도체층(17)은 게이트 절연막(15)과 인접할 수록 Zn의 농도가 낮아지고, 소스/드레인(19)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상부층으로 갈수록 Zn의 농도가 높아져서, Zn의 농도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7) 내에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때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의 농도가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Hf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에서 Zn의 농도가 증가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구조를 강하게 하여 후속의 박막 형성 공정이나 플라즈마 공정 등 외부 환경에 의하여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줄어들며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에서 Zn의 농도가 증가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전자의 이동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Hf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산화물 반도체층(17)에서 게이트 절연막(15) 과 인접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전자의 이동도를 높여서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Zn의 농도를 낮추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상부층으로 갈수록 소자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Zn의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19)은 게이트 전극과 마찬가지로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u 또는 Mo 단일 금속층, Mo층을 포함하는 다중 금속층, Ti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Cr을 포함하는 금속층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반도체층이 이중층(double layer)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도 2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기판(2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23), 게이트 전극(23)와 노출된 기판(21)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25), 게이트 절연막(25)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23)와 마주보는 산화물 반도체층(27), 산화물 반도체층(27)의 상면을 노출시키면서 산화물 반도체층(27)과 접촉하도록 산화물 반도체층(27)의 양측과 게이트 절연막(25) 위로 형성되어 있는 소스/드레인(29)을 포함한다.
산화물 반도체층(27)은 게이트 절연막(25) 위의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 및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 위의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기판(21)과 게이트 전극(23) 및 게이트 절연막(25) 사이에 버퍼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산화물 반도체층(27) 위에 식각 정지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기판(21)은 실리콘(Si),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3)는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인듐 산화물(Indium Oxide),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u 또는 Mo 단일 금속층, Mo층을 포함하는 다중 금속층, Ti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Cr을 포함하는 금속층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5)은 SiO2, SiNx, SiON, HfO2, Al2O3-, Y2O3, Ta2O5 등과 같은 유전체 또는 고유전율 유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HfInZnO계로 구성되며,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의 Hf의 농도가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보다 더 낮을 수 있다.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때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의 농도가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층(27)이 2개의 층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산화물 반도체층(27)이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게이트 절 연막(25) 바로 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가 가장 낮고, 가장 상부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가 가장 높으며, 중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는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은 채널층으로 작용하며,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채널층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의 보호층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HfInZnO계로 구성되며,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의 Zn의 농도가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때 산화물 반도체층(17)은 Hf의 농도가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층(27)이 3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게이트 절연막(25) 바로 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Zn의 농도가 가장 낮고, 가장 상부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Zn의 농도가 가장 높으며, 중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Zn의 농도는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소스/드레인(29)은 게이트 전극과 마찬가지로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u 또는 Mo 단일 금속층, Mo층을 포함하는 다중 금속 층, Ti를 포함하는 금속층 및 Cr을 포함하는 금속층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11) 위에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한다. 기판(11)은 실리콘,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1) 위에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층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13)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기판(11) 위에 버퍼층(미도시)를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13)가 형성된 기판(11) 위로 SiO2, SiNx, SiON, HfO2, Al2O3-, Y2O3, Ta2O5 등과 같은 유전체 또는 고유전율 유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게이트 절연막(15)를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15) 위로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7)을 형성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15)과 접하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Hf의 농도가 증가하는 농도 경사(concentration gradient)를 갖도록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한다.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은 스퍼터 챔버 내에서 HfO2, In2O3, ZnO의 3개 의 타겟에 각각 파워를 인가하여 코스퍼터링을 실시하여 형성할 수 있다.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이때 스퍼터 시간에 따라 타겟들의 파워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Hf의 농도가 증가하도록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점진적인 농도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Hf의 농도는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게이트 절연막(15)과 접하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Zn의 농도가 증가하는 농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Zn의 농도 경사 역시 스퍼터 시간에 따라 타겟들의 파워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Hf의 농도는 9~15 at %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Hf 또는 Zn의 농도 경사를 갖는 산화물 반도체층(27)으로 인하여 식각 저지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산화물 반도체층(17) 위에 절연막으로 식각 정지층(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산화물 반도체층(17) 및 게이트 절연막(15) 위로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층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전도성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17)의 양쪽으로부터 게이트 절연층(15)으로 연장 되는 소스/드레인(19)를 형성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중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a 내지 도 3d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21) 위에 게이트 전극(23)을 형성한다. 기판(21)은 실리콘,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21) 위에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층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23)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기판(11) 위에 버퍼층(미도시)를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23)가 형성된 기판(21) 위로 SiO2, SiNx, SiON, HfO2, Al2O3-, Y2O3, Ta2O5 등과 같은 유전체 또는 고유전율 유전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게이트 절연막(25)를 형성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25) 위로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27)을 형성한다. 이때, HfInZnO계의 산화물 반도체층(27)은 게이트 절연막(25) 바로 위의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1 산 화물 반도체층(27a) 위의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의 2층으로 형성한다.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의 Hf 농도가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의 Hf 농도보다 더 높도록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을 형성한다.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각각 별도의 조성을 갖는 타겟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은 Hf의 농도가 낮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제작용 타겟을 사용하고,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Hf의 농도가 높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제작용 타겟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으로 인하여 식각 저지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 형성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 위에 식각 정지층(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Hf 농도가 다른 3개의 타겟을 사용하여 산화물 반도체층(27)을 3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25) 바로 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를 가장 낮게, 가장 상부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가 가장 높게, 중간의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를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 사이의 값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의 Zn 농도가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의 Zn 농도보다 더 높도록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은 Zn의 농도가 낮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제작용 타겟을 사용하고,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은 Zn의 농도가 높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제작용 타겟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27)을 Zn의 농도가 다른 3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25)에 인접한 층의 Zn의 농도를 가장 낮게, 상부층의 Zn의 농도를 가장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산화물 반도체층(27a)과 제2 산화물 반도체층(27b)의 Hf의 농도는 9~15 at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산화물 반도체층(27) 및 게이트 절연막(25) 위로 Ti, Pt, Ru, Cu, Au, Ag, Mo, Cr, Al, Ta,W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층 또는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AZO(Aluminum Znic Oxid)와 같은 전도성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층 또는 상기 전도성 산화물층을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27)의 양쪽으로부터 게이트 절연층(25)으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29)를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기전계 발광소자(300)는 애노드 전극(131), 캐소드 전극(137) 및 애노드 전극(131)과 캐소드 전극(137)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박막층(135)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박막층(135)은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이 더 포함될 수 있 다.
유기전계 발광소자(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본 발명의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100)는 기판(111) 위의 게이트 전극(113), 게이트 절연막(115)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13) 위로 형성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 및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스/드레인(119)을 포함한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은 Hf의 농도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은 상부층의 Hf의 농도가 하부층의 Hf의 농도보다 더 높게 형성된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117)이 상부의 Zn의 농도가 하부의 Zn의 농도보다 더 큰 Zn의 농도 구배를 가지거나, 상부층의 Zn의 농도가 하부층의 Zn의 농도보다 더 높게 형성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스/드레인(119) 중 하나에 애노드 전극(1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TFT의 특성 및 안정성 측정
Glass 기판 위에 Mo으로 1000Å의 두께로 폭/길이가 150/1000nm인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뒤, 기판 및 게이트 전극 상에 SiNx/SiOx을 400/800Å의 두께로 형성하여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 위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을 300~5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은 스퍼터 챔버 내에서 HfO2, In2O3, ZnO의 세 개의 타겟에 각각 파워를 인가하여 코스퍼터링을 실시하여 형성하고 패터닝하였다.
이어서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위로 In2O3을 1000Å의 두께로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산화물 반도체층 양측에서 기판으로 연장되는 소스/드레인을 형성하였다.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형성시 타겟들에 인가하는 파워를 조절하여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안의 Zn 대 In 의 원자 비율 및 Hf의 농도(원자 백분율)을 변화시켰다. 다른 Zn 대 In 의 원자 비율 및 Hf의 농도를 갖는 산화물 반도체층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5 및 도 6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내의 Hf의 농도를 변화시켜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IDS) 대 게이트 전압(VGS)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Zn 대 In의 원자 비율이 1보다 작은 경우이고(Zn/In < 1), 도 6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의 Zn 대 In의 원자 비율이 1인 경우이다(Zn/In = 1).
도 5를 참조하면, Zn/In < 1인 경우에 Hf의 농도(원자 백분율).을 5.0 at %, 7.8 at %, 11.0 at % 및 12.3 at %로 다르게 하여 드레인 전류(IDS) 대 게이트 전압(VGS)을 측정하였다. 도 5의 그래프로부터 HfInZnO계 내의 Hf의 농도가 높을수록 같은 드레인 전류(IDS)에 대하여 게이트 전압(VGS)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는 Hf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내의 전자의 이동도가 감소함에 따라 같은 드레인 전류(IDS)를 위하여 더 큰 게이트 전압(VGS)이 요구되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Zn/In = 1인 경우에 Hf의 농도를 5.0%, 6.8%, 9.8% 및 10.0%로 다르게 하여 드레인 전류(IDS) 대 게이트 전압(VGS)을 측정하였다. 도 6의 그래프로부터 도 5의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Hf의 농도가 높을수록 같은 드레인 전류(IDS)에 대하여 게이트 전압(VGS)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은 Zn/In < 1인 경우에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안정성을 특정한 결과이고, 도 7은 표 1의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안정성 값들을 하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1
Zn:InHf(at %)VTH(V)이동도
(cm2/V·s)
S-팩터
(V/dec)
ΔV(V)
38:555.00.0816.960.2810.1
38:557.81.9111.940.359.4
35:5411.01.956.700.325.1
39:4812.34.562.590.813.7
표 1 및 도 7에서 Zn:In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내의 Zn 대 In의 원자비율을 나타낸다. Hf(at %)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내의 Hf의 농도(원자 백분율)을 나타낸다. VTH(문턱 전압)은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트랜지스터 내에 채널이 형성되기 위한 최소 전압이고, 이동도(mobility)는 산화물 반도체 내에서 케리어의 평균적인 속도이다. S-팩터(sub-threshold swing: S-factor)는 게이트 전압에 대한 드레이 전류 특성의 그래프에서 스위칭 소자로서 작동하는 구간에서의 기울기의 역수값을 나타낸다. ΔV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가 DC 스트레스를 받기 전 후의 문턱 전압(VTH)의 변화폭이다. DC 스트레스는 1시간 동안 ±5V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인가했을 때의 Vth 변화량(ΔVth)이다.
표 1 및 도 7를 참조하면,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가 커질수록 문턱 전압(VTH)이 커지고 이동도는 작아지며, S-팩터가 커지는 것으로부터,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층 내의 Hf의 농도가 커질수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이 나빠짐을 알 수 있다. 반면, Hf의 원자 백분율이 커질수록 ΔV의 값은 작아져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은 커짐을 알 수 있다.
표 2는 Zn/In = 1 인 경우에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특정한 결과이고, 도 8은 표 2의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안정성 값들을 하나의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2
Zn:InHf(at %)VTH(V)이동도
(cm2/V·s)
S-팩터
(V/dec)
ΔV(V)
49:465.00.8622.880.339.4
48:456.82.4310.780.306.2
44:469.81.485.010.543.7
46:4310.05.812.130.774.2
표 2 및 도 8을 참조하면, Zn:In <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Zn:In = 1의 경우 에도 Hf의 원자 백분율이 커질수록 문턱 전압(VTH)이 커지고 이동도는 작아지며, S-팩터가 커져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이 나빠지는 반면, Hf의 농도가 커질수록 ?V의 값은 작아져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은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Zn 대 In의 비율이 Zn>In 과 Zn=In 인 경우 모두 Hf의 농도가 커질수록 문턱 전압(VTH)이 커지고 이동도는 작아지며, S-팩터가 커져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이 나빠지고, ΔV의 값은 작아져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안정성은 커짐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1과 도 7 및 표 2와 도 8을 비교하면, 비슷한 Hf의 농도에 대하여 Zn 대 In의 원자 비율이 Zn>In 인 경우가 Zn=In 인 경우보다 문턱 전압이 낮아서, 문턱 전압이 Zn 대 In의 비율에 의존하는 반면, 이동도, S-팩터 및 ?V는 Zn 대 In의 원자 비율보다는 Hf의 원자 백분율에 더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를 갖는 역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외에도 바텀 게이트 구조를 갖는 역코플라나(coplanar)형 박막 트랜지스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Zn/In < 1) 내의 Hf의 농도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 대 게이트 전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Zn/In = 1) 내의 Hf의 농도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 대 게이트 전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Zn/In > 1인 경우에 Hf의 농도에 따른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안정성 값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Zn/In = 1인 경우에 Hf의 농도에 따른 HfInZnO계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및 안정성 값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22)

KR1020090125031A2009-12-152009-12-15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ActiveKR10109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125031AKR101097322B1 (ko)2009-12-152009-12-15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US12/873,206US8431927B2 (en)2009-12-152010-08-31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thin film transistor
TW099134824ATWI481037B (zh)2009-12-152010-10-13薄膜電晶體、製造其之方法及包含其之有機電致發光裝置
CN201010518645.6ACN102097486B (zh)2009-12-152010-10-20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以及有机电致发光设备
JP2010278276AJP5400019B2 (ja)2009-12-152010-12-14薄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具備した有機電界発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90125031AKR101097322B1 (ko)2009-12-152009-12-15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10068181A KR20110068181A (ko)2011-06-22
KR101097322B1true KR101097322B1 (ko)2011-12-23

Family

ID=4413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90125031AActiveKR101097322B1 (ko)2009-12-152009-12-15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8431927B2 (ko)
JP (1)JP5400019B2 (ko)
KR (1)KR101097322B1 (ko)
CN (1)CN102097486B (ko)
TW (1)TWI48103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01219B1 (ko)2011-12-262013-08-28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190137266A (ko)*2018-06-012019-12-11울산과학기술원Ta2O5/In2O3 적층구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적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165355A (ko)*2009-09-162023-12-05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표시 장치
KR20220127372A (ko)*2009-09-242022-09-19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산화물 반도체막 및 반도체 장치
TWI406415B (zh)*2010-05-122013-08-21Prime View Int Co Ltd薄膜電晶體陣列基板及其製造方法
TWI555205B (zh)2010-11-052016-10-21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半導體裝置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8680627B2 (en)*2011-01-142014-03-25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Stacked half-bridge package with a common conductive clip
US8426952B2 (en)2011-01-142013-04-23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Stacked half-bridge package with a common conductive leadframe
US8674497B2 (en)2011-01-142014-03-18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Stacked half-bridge package with a current carrying layer
KR20130043063A (ko)2011-10-192013-04-29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US9082861B2 (en)*2011-11-112015-07-14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Transistor with oxide semiconductor channel having protective layer
KR101942980B1 (ko)2012-01-172019-01-29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CN103378162A (zh)*2012-04-112013-10-30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
CN102637742A (zh)*2012-04-262012-08-15北京大学一种氧化物半导体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
CN104380473B (zh)*2012-05-312017-10-13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半导体装置
CN102723359B (zh)2012-06-132015-04-29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KR102113160B1 (ko)2012-06-152020-05-20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반도체 장치
WO2014061535A1 (en)2012-10-172014-04-24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Semiconductor device
JP6246549B2 (ja)*2012-10-172017-12-13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2720789B1 (ko)*2012-11-302024-10-22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반도체 장치
KR102537022B1 (ko)*2013-05-202023-05-30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반도체 장치
DE102014019794B4 (de)*2013-05-202024-10-24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Halbleitervorrichtung
JP6261125B2 (ja)*2014-01-312018-01-17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酸化物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40011A (zh)*2014-02-262014-06-04华中科技大学氧化锌基非晶氧化物半导体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102358289B1 (ko)2016-03-112022-02-03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복합체 및 트랜지스터
CN105870173B (zh)*2016-04-262018-04-06贵州民族大学一种柔性全透明非晶氧化物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
CN106252394B (zh)*2016-08-302019-10-11上海大学氧化物薄膜的场效应晶体管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914835B1 (ko)*2016-11-182018-11-02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금속산화물 이종 접합 구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KR102708746B1 (ko)2018-12-192024-09-20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725238B (zh)*2019-03-192023-08-15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具有晶体管元件的工作模块
CN113838801B (zh)*2020-06-242024-10-22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半导体基板的制造方法和半导体基板
CN113078112B (zh)*2021-03-292023-03-31电子科技大学一种氧化物基耗尽型负载反相器的制备方法
CN113437018B (zh)*2021-06-022023-02-24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阵列基板的制造方法、阵列基板以及显示面板
CN115832002B (zh)*2021-09-172025-09-09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16921B1 (ko)2008-06-262009-09-09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06267867A (ja)1993-03-151994-09-22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化合物半導体の結晶成長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オーミックコンタクトの形成法
US6846751B2 (en)2002-12-132005-01-25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Nitrogen implementation to minimize device variation
US20050280100A1 (en)2004-06-172005-12-22Michael ArtakiLaterally diffused MOS device
KR101312259B1 (ko)2007-02-092013-09-25삼성전자주식회사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09663B1 (ko)2007-02-162015-04-06삼성전자주식회사산화물 반도체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제조방법
JP4727684B2 (ja)2007-03-272011-07-20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935964B2 (en)*2007-06-192011-05-03Samsung Electronics Co., Ltd.Oxide semiconductors and thin film transistors comprising the same
KR101468590B1 (ko)2007-12-062014-12-04삼성전자주식회사산화물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KR20090002841A (ko)2007-07-042009-01-09삼성전자주식회사산화물 반도체,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688B1 (ko)2007-07-162009-03-19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반도체 활성층 제조 방법, 그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의제조 방법 및 반도체 활성층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US8461583B2 (en)*2007-12-252013-06-11Idemitsu Kosan Co., Ltd.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68591B1 (ko)*2008-05-292014-12-04삼성전자주식회사산화물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KR101468594B1 (ko)*2008-07-312014-12-04삼성전자주식회사산화물 반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US8378342B2 (en)*2009-03-232013-02-19Samsung Electronics Co., Ltd.Oxide semiconductor and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the same
KR101638977B1 (ko)*2009-11-132016-07-12삼성전자주식회사트랜지스터와 그 제조방법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16921B1 (ko)2008-06-262009-09-09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01219B1 (ko)2011-12-262013-08-28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190137266A (ko)*2018-06-012019-12-11울산과학기술원Ta2O5/In2O3 적층구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적층구조
KR102180014B1 (ko)2018-06-012020-11-17울산과학기술원Ta2O5/In2O3 적층구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적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N102097486A (zh)2011-06-15
KR20110068181A (ko)2011-06-22
TWI481037B (zh)2015-04-11
CN102097486B (zh)2013-06-19
US8431927B2 (en)2013-04-30
TW201123460A (en)2011-07-01
JP5400019B2 (ja)2014-01-29
JP2011129923A (ja)2011-06-30
US20110140096A1 (en)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097322B1 (ko)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1035357B1 (ko)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Fortunato et al.Recent advances in ZnO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s
JP5467728B2 (ja)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314421B2 (en)Thin film transistors and circuits with metal oxynitride active channel layers
JP2009231664A (ja)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29666A (ja)薄膜トランジスタ
JP5274165B2 (ja)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8481A (ja)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6875B1 (ja)ディスプレイ用酸化物半導体薄膜、ディスプレイ用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US8866141B2 (en)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201936951A (zh)氧化物半導體薄膜、薄膜電晶體及濺鍍靶材
TWI767186B (zh)氧化物半導體薄膜、薄膜電晶體及濺鍍靶
JP2011258804A (ja)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0118A (ko)다층의 식각 정지층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6372A (ko)산화물 반도체 박막
JP7625671B1 (ja)酸化物半導体薄膜、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JP5489429B2 (ja)薄膜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KR20140071491A (ko)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 장치
WangComposition Engineering for Solution-Processed Gallium-Rich Indium-Gallium-Zinc-Oxide Thin Film Transistor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91215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110421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11112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111215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111216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1128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41128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1129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71129

Start annual number:7

End annual number:7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1126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81126

Start annual number:8

End annual number:8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1202

Year of fee payment: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191202

Start annual number:9

End annual number: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01201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11125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20241125

Start annual number:14

End annual number:1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