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충격흡수를 위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는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for shock absorp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le shock-absorbing shoe sole by heterogeneous hardness that is formed in a different hardness of the shoe sole to absorb multiple shocks from the ground when grounded.
일반적으로 신발에 있어서 지면과의 접지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비교적 저경도인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 하면에 상기 미드솔보다 고경도인 아웃솔로 형성된 신발 밑창이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when the ground with the ground in the shoe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relatively low hardness midsole, and a shoe sole formed of a harder outsole than the midso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idsole is formed.
상기 미드솔은 일반적으로 충격흡수를 위해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폼으로 형성되며, 아웃솔은 일반적으로 지면과의 마찰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고무(rubber)재로 형성되어 있다.The midsole is generally formed of polyurethane foam or EVA (ethylene vinyl acetate) foam for shock absorption, and the outsole is generally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friction and durability with the groun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밑창은 발과 지면과의 접지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분이 미드솔에 주로 의존하므로, 지면이 딱딱하거나 울퉁불퉁한 경우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아 발바닥 및 무릎으로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경향이 있어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oe, since the sole of the shoe solely absorbs the impact on the ground between the foot and the ground, the sole is mainly dependent on the midsole, so when the ground is hard or bumpy, the shock is not properly absorbed from the ground. The impact tends to be transmitted directly, straining the ankle or knee join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백이나 에어젤과 같은 충격흡수기능을 하는 부재를 상기 미드솔에 다양한 형상으로 삽입하여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미드솔에 다수의 중공부를 형성시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하고자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mber having a shock absorbing function, such as an air bag or an air gel, is inserted into the midsole in various shapes and integrally formed, or a plurality of hollows are formed in the midsole to absorb shock from the ground.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그 제조방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에어백이나 에어젤의 제조를 위한 별도의 제조과정 및 비용이 소요되고, 오랜 사용에 의해 상기 미드솔이나 에어백 및 에어젤이 그 형태가 변형되어 원래의 충격흡수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is not only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method,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for the manufacture of airbags or airgels, and the shape of the midsole or airbags and airgels is modified by long u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ock absorber does not function properly.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본 발명자가 출원(출원번호 10-2006-0001908호)한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0-7915호의 "운동화 충격완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 있다.In additio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th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double shock absorbing shoes outsole" filed by the inventor (Application No. 10-2006-0001908),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0-7915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sneaker impact relief device" of the call.
첫번째 기술은, 상부흡수창과 하부흡수창 사이에 고경도의 중간흡수창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는 지면에의 접지시 가장 충격을 많이 받게 되는 뒷꿈치 부위에의 충격 흡수 기능이 미흡하며, 돌출지면 등에 의해 강한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량을 적게 받는 앞꿈치 부위를 포함하여 밑창 전체에 중간흡수창을 형성하여 재료비를 증가시키며, 무거운 단점이 있다.The first technique is to form a high hardness intermediate absorption window between the upper absorption window and the lower absorption window, and this structure has a poor impact absorption function on the heel area which is most impacted when grounded 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fully absorb the strong impact force due to.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material cost by forming an intermediate absorption window in the entire outsole, including the heel portion receiving less impact, there is a heavy disadvantage.
그리고, 두번째 기술은, 외저와 연접되는 보강대의 뒷축부위에 단이 형성된 공간부에 개재되는 반원형 투명 P.V.C 내장판의 요입부에 고탄성 충격 흡수판(7)을 삽입하여서 되는 운동화의 충격흡수 장치로써, 밑창의 뒷굽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에 견고히 접착시켜 개제된 반원형의 투명 PVC 내장판의 요입부에 고탄성 충격흡수판이 삽입되어 있어 보행시나 운동 시 뒷꿈치에 보강대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켜 주는 구성이다. 이는 고탄성 충격흡수판이 뒷꿈치의 충격을 단순히 흡수하는 역할만 하는 것으로, 강한 충격력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름운동을 하게 하는 등의 탄성력을 제공하지는 못하여, 최근의 기능성 신발에 대한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And, the second technique, as a shock absorbing device of sneakers by inserting a high-elastic shock absorbing plate (7) in the recess of the semi-circular transparent PVC built-in plate interposed in the space portion where the end is formed on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to the outer bottom, The high elastic shock-absorbing plate is inserted in the recess of the semi-circular transparent PVC lining plate, which is firmly adhered to the space formed on the heel of the sole to absorb and mitigate the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reinforcement to the heel during walking or exercise. . This is because the high elastic shock absorbing plate merely absorbs the impact of the heel, and it does not completely absorb the strong impact force and does not provide elastic force such as rolling motion, thus failing to meet the demand for the latest functional shoes.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고, 뒷꿈치 부위에 고경도의 생크부를 형성하여 뒷꿈치 부위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생크부 및 힐스폰지부의 결합에 의해 구름 동작을 유발시키는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hoe sole is formed of a different hardness (흡수) to absorb multiple shocks from the ground when grounded, and to form a high-shank portion in the heel area to impact the heel area It is aimed at providing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with a heterogeneous hardness that minimizes and causes rolling mo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shank portion and the hill sponge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솔과, 상기 인솔 하측에 형성되고, 하측부에 발의 아치부위에서 뒷꿈치까지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의 수용공간부에 결합되고, 상기 미드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로 형성되며, 하측으로 굴곡되어 뒷꿈치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생크부와; 상기 미드솔의 수용공간부에 생크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미드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경도로 형성되며, 발의 뒷꿈치 부위에 형성되는 힐스폰지부와; 상기 힐스폰지부 하측에 결합되는 아웃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면에의 접지시 상기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형성된 생크부 및 힐스폰지부에 의해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ole and the mids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the midsole formed in the lower side to the receiving space from the arch of the foot to the heel; A shank portion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midsole and formed at a relatively high hardness relative to the midsole, and formed to be elastically bent downward to lift the heel upward; A hill sponge uni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hank portion of the midsole and formed at a lower hardness than the midsole and formed at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Outsol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eel sponge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by the heterogeneous hardn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multiple by the shank portion and the heel sponge portion formed between the midsole and the outsole when grounded to the ground Multiple impact-absorbing shoe soles are technically important.
여기에서, 상기 인솔은, 신발 갑피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안창과, 그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안창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ole is composed of an upper insole inserted into the shoe upper and a lower insole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또한 상기 미드솔은, 발의 앞꿈치 부위는 아웃솔에 접촉되어 결합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에 의해 발의 뒷꿈치 부위는 들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idsole, the front heel portion of the foot is coupled to the outsole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by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be heard.
또한, 상기 미드솔 상면에는 통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vent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또한, 상기 생크부는, 상기 미드솔의 수용공간부에 결합되고, 발의 아치부위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뒷꿈치 부위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nk portion is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of the midsole, the support plate formed on the arch portion of the foot, and formed continuously on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to bend downwards to elasticity to lift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by the walking operation to the upp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plate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힐스폰지부는, 중간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전후측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되, 전측은 접지되며 후측은 들리게 형성되어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구름 동작을 유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ll sponge portion,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thicker than the other portion is formed thinner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 the front side is grounded and the rear side is formed so as to cause the rolling motion of the foot by the walking motion.
또한, 상기 미드솔 및 힐스폰지부는,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idsole and heel sponge is preferably formed of one of a low hardness polyurethane foam or EVA foam.
또한, 상기 생크부는,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nk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f one of plastic or high hardness polyurethane foam.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이 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되어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충격량을 완전히 흡수하게 되며, 걷는 중에 자연스럽게 구름 동작이 유발되어 발목관절이나 무릎관절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보행을 보조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shoe sole is formed of a different hardness (완전히) completely absorbs the impact amount from the ground when grounded, the rolling motion is induced naturally while walking, the imp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ankle or knee joint It has the effect of assisting walking without.
또한, 신발 밑창의 다른 부분에 비해 고경도로 형성된 생크부 및 가장 저경도로 형성된 힐스폰지부에 의해 접지시 가장 많은 충격을 받는 뒷꿈치 부위에서의 충격 흡수 및 분산이 다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뒷꿈치 부위에서의 충격량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amount at the heel area is made to be a multi-shock absorption and dispersion in the heel area that is the most impacted when grounded by the shank portion formed with a high hardness and the heel sponge formed at the lowest hardness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shoe sole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또한, 보행 중 받는 충격량에 대응하여 충격량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밑창 전체에 흡수창이나 분산창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를 절감시키고 경량의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amount in response to the impact amount received during walking, there is no need to form an absorbent window or dispersion window in the entire outsole unnecessary, there is an effect of saving the material and providing a lightweight shoe sole.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한 측면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뒷꿈치 부위에서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를 나타낸 모식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구름 작용에 대한 모식도.1-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by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side perspective view of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by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heel portion of the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Schematic diagram of the rolling action of the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은 인솔 하측에 형성된 미드솔 및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해 서로 다른 경도(이종(異種) 경도)로 형성된 인솔과, 미드솔, 생크부, 힐스폰지부 그리고 아웃솔로 크게 구성된다.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dsole and an outsole formed under the insole, insoles formed of different hardnesses (heterogeneous hardness) to absorb impacts from the ground, and midsoles, shank portions, and heel. It is composed of sponge part and outsole.
이에 의해 본원발명의 신발밑창은 접지시 충격이 먼저 인솔 그리고 미드솔 및 아웃솔에 전달되어 흡수되고, 그 다음 생크부 및 힐스폰지부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장 고경도로 형성된 생크부에서 충격을 상하로 분산시키고, 가장 저경도로 형성된 힐스폰지부는 상하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다중 충격 흡수구조를 이루어, 지면으로부터 특히 뒷꿈치 부위로 전달되는 충격을 거의 흡수하여 발을 보호하고, 발목 관절이나 무릎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인체에 흡수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hock to be first transmitted to the insole and the midsole and the outsole when absorbed, and then absorbed to the shank portion and the hill sponge portion, and the impact is vertically dispersed in the shank portion formed at the highest hardness. The lowest heel sponge is formed of a multi-shock absorbing structure that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up and down, and almost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ground to the heel area, thereby protecting the foot and protecting the ankle or knee joint. It is to minimize the amount of shock absorbed by the human body so tha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에 대한 측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뒷꿈치 부위에서 작용하는 충격력의 크기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의 구름 작용에 대한 모식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gnitude of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heel portion of the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hardness,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loud action of the multi-shock absorbing shoe sole by the heterogeneous hard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솔(20), 미드솔(100), 생크(shank)부(200), 힐스폰지부(300) 그리고 아웃솔(40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상기 인솔(20)은 보통 신발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갑피(10) 내측에 단일창으로 삽입되어 형성되거나, 갑피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상부안창(21)과 그 하측에 갑피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하부안창(22)으로 이루어진 이중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솔 하측으로 갑피 외부에 미드솔(100)이 접착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상부안창(21)은 발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분리되어 세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고무재질과 그 상면에 땀흡수를 위한 천재질이 접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안창(22)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신발 갑피의 하측 모양을 잡아주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된다.The
상기 미드솔(100)은 상기 인솔(20) 하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신발 밑창의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중간경도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생크부(200)는 상기 미드솔(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경도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상기 미드솔(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경도의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생크부(200)가 신발 밑창의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고경도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신발 밑창의 다른 부위에 비해 가장 저경도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여기에서, 상기 미드솔(100) 및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생크부(200)는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 중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미드솔(100) 및 힐스폰지부(300)의 재료인 저경도 폴리우레탄폼 또는 EVA폼은, 미발포 폴리우레탄 또는 EVA 재료를 금형 내부에 삽입하고 일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발포하여 성형시킨다. 이러한 재료의 경도 조절은 상기 금형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켜 발포정도의 조절에 의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힐스폰지부(300)가 가장 저경도로 형성되므로, 금형 시 압력을 더 낮추는 것에 의해 경도를 더 낮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경도라 함은 Shore C Type 경도계에서 30이상 50미만 정도, 저경도라 함은 Shore C Type 경도계에서 10이상 30미만 정도되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드솔(100) 및 힐스폰지부(300)는 신발의 사용처 및 용도에 따라 적당한 경도로 형성되도록 한다.The low hardness polyurethane foam or EVA foam, which is a material of the
또한 상기 생크부(200)의 재료인 플라스틱 또는 고경도 폴리우레탄폼은, 플라스틱 재료는 사출성형하는 방법으로 소정 형상으로 성형시키며,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금형 내부에 삽입하고 일정 온도와 압력하에서 발포하여 성형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경도라 함은 Shore A Type 경도계 70~80 또는 Shore D Type 경도계 60~80 정도되는 것을 말한다.In addition, the plastic or high hardness polyurethane foam,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한편, 상기 미드솔(100)은 발의 굴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발의 아치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아치부위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100) 하측부에는 발의 아치부위에서 뒷꿈치까지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부(110)의 형성에 의해 미드솔(100)은 앞쪽은 두껍게 아치부위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상기 미드솔(100)은 발의 앞꿈치 부위는 아웃솔(400)에 접촉되어 결합되며, 발의 뒷꿈치 부위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들리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수용공간부(110)에 후술할 생크부 및 힐스폰지부(300)가 결합되게 되면 신발 밑창은 미드솔(100)의 앞쪽은 미드솔(100) 및 아웃솔(400)로 이루어지고, 발의 아치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 및 아웃솔(400) 그리고 발의 뒷꿈치 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 힐스폰지부(300) 및 아웃솔(400)로 이루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뒷쪽으로 갈수록 앞쪽에 비해 좀 더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신발 밑창에 있어서, 뒷굽이 약간 높은 형태를 띄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shank portion and the
또한, 상기 미드솔(100) 상면에는 하측으로 파인 격자무늬나 원형무늬 등의 통기부(120)가 더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상부안창(21)이나 하부안창(22)(인솔(20))으로부터 미드솔(100)까지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생크부(200)는 상기 미드솔(100) 하측에 상기 수용공간부(110)에 결합되므로, 상기 미드솔(100)의 저면의 형상(수용공간부)에 대응되게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고경도로 형성되어 뒷꿈치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And, the
상기 생크부(200)는 상기 미드솔(100)의 수용공간부(110)에 결합되고, 발의 아치부위에 형성된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뒷꿈치 부위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판(220)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생크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고경도의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미드솔(100)의 아치부위에 결합되므로 걷는 동작 중에 상기 지지판(210)(발의 아치부위)이 지면에 닿는 순간 이를 지지축으로 하여 상기 스프링판(220)에 의해 뒷꿈치 부위가 상측으로 들리게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후술할 힐스폰지부(300)와의 결합에 의해 발의 아치부위를 지지하고 지압하는 효과와 보행 중 구름 동작(발의 뒷꿈치에서 앞꿈치까지 구르듯이 보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고경도의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뒷꿈치에서의 충격의 분산이 상하로 신속하고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shank portion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f higher hardness than the other portion and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the
그리고,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상기 미드솔(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상기 생크부 하측에 결합되며, 발의 뒷꿈치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중간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전후측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되,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걷지 않고 서 있는 동작을 취할 시에 힐스폰지부(300)의 전측은 접지되며 후측은 들리게 형성되어 걷는 동작에 의해 발의 구름 동작을 유발시키게 되며, 상기 생크부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이러한 구름 동작을 보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힐스폰지부(300)의 하측에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아웃솔(400)이 결합되며, 상기 아웃솔(400)의 앞꿈치 부위는 미드솔(100)과 직접 접촉되어 결합되며, 아치부위는 생크부(200)와 직접 접촉되어 결합되며, 뒷꿈치 부위는 힐스폰지부(300)와 직접 접촉되어 결합된다. 상기 아웃솔(400)은 공지된 아웃솔(400) 제조방법 및 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치 요철이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마모에 강한 고무재질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된다.And, the low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인솔(20) 하측에 형성된 미드솔(100), 생크부(200), 힐스폰지부(300), 아웃솔(400)의 접착결합에 의해 신발 밑창이 완성되어 신발 갑피(10) 하부에 접착 결합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ole of the shoe is completed by the adhesive coupling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fo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걷는 동작 중에 신발(아웃솔)이 지면에 닿으면, 상기 미드솔(100)이 발바닥에 의해 충격력을 받는 동안 상기 아웃솔(400)은 지면으로부터 충격력을 받게 된다. 지면으로부터 아웃솔(400)을 통해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미드솔(100)이 받는 충격량은 미드솔(100)에 닿는 발 부위의 면적에 반비례하고 인체의 하중과 접지될 때의 충격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드솔(100)에 가해진 충격량은 1차적으로 발바닥과 직접 접하는 미드솔(100)에 의해 흡수되게 된다.First, when the shoe (outsole) touches the ground during the walking operation, the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에 뒷꿈치 부위가 가장 많이 충격량을 받게 되며, 아웃솔(400)로부터 전달된 충격량은 저경도의 힐스폰지부(300)에 흡수되어 현저히 감소되게 된다. 상기 힐스폰지부(300)에 의해 감소된 충격량은 다시 고경도의 생크부(200)에 전달되어 충격량을 상하로 즉 미드솔(100) 및 생크부(200)로 분산시키게 된다. 이렇게 분산되어 전달된 충격량은 다시 미드솔(100) 및 생크부(200)로 흡수하는, 상기 생크부(200)를 중심으로 충격량의 분산과 흡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heel portion receives the most impact amount when walking, and the impact amount transmitted from the
또한, 발의 앞꿈치 부위에서는 상기 아웃솔(400)과 미드솔(100)만 형성되고, 아치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200) 및 아웃솔(400)로 형성되며, 뒷꿈치 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200), 힐스폰지부(300) 및 아웃솔(400)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걷는 동작 중에 충격량을 가장 많이 받는 뒷꿈치 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200), 힐스폰지부(300), 아웃솔(400)로 이루어져 충격량의 흡수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충격량을 별로 받지 않는 앞꿈치 부위에서는 아웃솔(400)과 미드솔(100)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only the
즉, 뒷꿈치 부위에서는 미드솔(100), 생크부(200), 힐스폰지부(300) 및 아웃솔(400)로 형성되어, 보행시 아웃솔(400)로부터 전달된 충격량은 저경도의 힐스폰지부(300)에 흡수되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힐스폰지부(300)에 의해 감소된 충격량은 다시 고경도의 생크부(200)에 전달되어 충격량을 상하로 즉 미드솔(100) 및 생크부(200)로 분산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분산되어 전달된 충격량은 다시 미드솔(100) 및 생크부(200)로 흡수하는, 상기 생크부(200)를 중심으로 충격량의 분산과 흡수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지면으로부터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하게 된다.That is, the heel portion is formed of the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뒷꿈치 부위가 지면에 접촉되면 뒷꿈치 하중에 의해 생크부(200) 및 힐스폰지부(300)는 하방압력을 받게 되고, 하방압력에 의해 상기 생크부(200)의 후방부는 하측으로 일부 굴곡되고, 상기 힐스폰지부(300)는 찌그러지게 되어 뒷꿈치의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적인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뒷꿈치가 일부 들리게 되며, 이때 힐스폰지부(300)는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고경도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굴곡된 생크부는 판스프링 역할을 하게되어 뒷꿈치를 상측으로 들리게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되어 구름 동작과 같은 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4, when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contacts the ground, the
이와 같이 보행 중 받는 충격량을 미드솔(100), 생크부(200) 및 힐스폰지부(300)에 의해 흡수 및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체에 흡수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발목 관절이나 무릎 관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행 중 받는 충격량에 대응하여 충격량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밑창 전체에 흡수창이나 분산창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를 절감시키고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amount of impact received during walking is absorbed and dispersed by the
10 : 갑피20 : 인솔
21 : 상부안창22 : 하부안창
100 : 미드솔110 : 수용공간부
120 : 통기부200 : 생크부
210 : 지지판220 : 스프링판
300 : 힐스폰지부400 : 아웃솔10: upper 20: insole
21: upper insole 22: lower insole
100: midsole 110: receiving space
120: vent 200: shank
210: support plate 220: spring plate
300: hill sponge 400: outsol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16993AKR101067892B1 (en) | 2011-02-25 | 2011-02-25 | Multiple shock-absorbing shoe soles due to different hardness |
| PCT/KR2011/010163WO2012115343A1 (en) | 2011-02-25 | 2011-12-27 | Shoe sole for absorbing multiple types of shocks by means of the varying hardness thereof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016993AKR101067892B1 (en) | 2011-02-25 | 2011-02-25 | Multiple shock-absorbing shoe soles due to different hardnes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67892B1true KR101067892B1 (en) | 2011-09-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0016993AExpired - Fee RelatedKR101067892B1 (en) | 2011-02-25 | 2011-02-25 | Multiple shock-absorbing shoe soles due to different hardnes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67892B1 (en) |
| WO (1) | WO2012115343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32166B1 (en)* | 2012-05-18 | 2013-11-22 | 정재욱 | Sole with foot-pressure dispersingfunction |
| KR102024770B1 (en) | 2018-03-29 | 2019-09-24 |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
| KR20190114305A (en) | 2018-03-29 | 2019-10-10 |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942825A (en)* | 2017-05-09 | 2017-07-14 | 陈玉柱 | A kind of shoes |
| CN107495533A (en)* | 2017-10-18 | 2017-12-22 | 盛德友 | A kind of sneaker shock absorption midsole |
| IT201800006773A1 (en)* | 2018-06-28 | 2019-12-28 | FOOTWEAR, AND PROCEDURE FOR ITS REALIZATION | |
| CN112335980B (en)* | 2019-08-08 | 2022-05-24 | 索克尼公司 | Shoe with composite plate sole assembly |
| US11622602B2 (en) | 2020-08-18 | 2023-04-11 | Puma SE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plate |
| USD1011718S1 (en) | 2020-12-22 | 2024-01-23 | Puma SE | Shoe |
| USD969469S1 (en) | 2020-12-22 | 2022-11-15 | Puma SE | Shoe |
| CN113498910A (en)* | 2021-07-29 | 2021-10-15 | 安踏(中国)有限公司 | Sport shoe and insole system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76675B1 (en) | 2005-04-19 | 2007-02-01 | 오종세 | Compound function health oral |
| KR100825437B1 (en) | 2007-11-26 | 2008-04-25 | (주)알와이엔코리아 | Sole structure of professional shoes for masai walking with waist shape shank and soft sensing body |
| KR100959406B1 (en) | 2009-10-06 | 2010-05-24 | (주) 비더플러스 | Triple cushion shoe sole |
| JP2010246785A (en) | 2009-04-17 | 2010-11-04 | Achilles Corp | Sole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041520A (en)* | 1996-11-26 | 2000-03-28 | Aoki Safety Footwear Co., Ltd | Sho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 JP3207805B2 (en)* | 1998-06-25 | 2001-09-10 | 美津濃株式会社 | Midsole structure for sports shoes |
| US8196316B2 (en)* | 2009-01-26 | 2012-06-1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two part midsole assembl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76675B1 (en) | 2005-04-19 | 2007-02-01 | 오종세 | Compound function health oral |
| KR100825437B1 (en) | 2007-11-26 | 2008-04-25 | (주)알와이엔코리아 | Sole structure of professional shoes for masai walking with waist shape shank and soft sensing body |
| JP2010246785A (en) | 2009-04-17 | 2010-11-04 | Achilles Corp | Sole structure |
| KR100959406B1 (en) | 2009-10-06 | 2010-05-24 | (주) 비더플러스 | Triple cushion shoe so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32166B1 (en)* | 2012-05-18 | 2013-11-22 | 정재욱 | Sole with foot-pressure dispersingfunction |
| KR102024770B1 (en) | 2018-03-29 | 2019-09-24 |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
| KR20190114305A (en) | 2018-03-29 | 2019-10-10 | 주식회사 에프앤에프 | Bottom of shoe having trampoline structure and shoe hav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2115343A1 (en) | 2012-08-30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67892B1 (en) | Multiple shock-absorbing shoe soles due to different hardness | |
| US6964120B2 (en) | Footwear midsole with compressible element in lateral heel area | |
| KR102246212B1 (en) |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 |
| US6684532B2 (en) |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 |
| JP5107360B2 (en) | Footwear with a support assembly having a spring arm | |
| US7467484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multiple layers | |
| BRPI0710787A2 (en) | footwear article with bracket assembly having plate and indentations formed therein | |
| WO2011093928A1 (en) |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 |
| WO2010037258A1 (en) | Sole with shock-absorbing insole | |
| US20110314692A1 (en) | Open-toe footwear base member system | |
| JP6884777B2 (en) | Midsole or insole mainly for shoes | |
| KR102271497B1 (en) | Insole for shoes | |
| KR101251572B1 (en) |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 |
| KR20160141053A (en) | Insoles for high heels | |
| CN206252004U (en) | Sole for sports shoes and shock attenuation sports shoes | |
| KR100761897B1 (en) | Dual shock absorbing shoe sole | |
| CN102573554A (en) | Health shoe and method | |
| KR101105829B1 (en) | Impact reduction insole with dual structure | |
| KR200427366Y1 (en) | Shock-absorbing sandals with arched supports | |
| CN116439470A (en) | Sole and shoes | |
| KR200467738Y1 (en) | Soles for Absorbing Impact Force and Mitigating Apressure Concentration of a Foots and Diabetic Shoes Therefor | |
| KR20130113695A (en) | Shoe sole with cushion tunnel | |
| KR101241422B1 (en) | Mid-sole with round walking function by multiple hardness | |
| KR20130005561A (en) | Multi material shoes | |
| CN206822110U (en) | Shock-absorption sport shoe sol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912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824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729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914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6-nap-X000 | |
| P15-X000 | Request for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A-5-5-P10-P15-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809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