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63429B1 -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 Google Patents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29B1
KR101063429B1KR20090037988AKR20090037988AKR101063429B1KR 101063429 B1KR101063429 B1KR 101063429B1KR 20090037988 AKR20090037988 AKR 20090037988AKR 20090037988 AKR20090037988 AKR 20090037988AKR 101063429 B1KR101063429 B1KR 10106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string
cylindrical body
pull
longitudinal
s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90037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19067A (en
Inventor
신경민
명병철
김성민
원용현
Original Assignee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filedCritical신경민
Priority to KR20090037988ApriorityCriticalpatent/KR101063429B1/en
Priority to JP2010092285Aprioritypatent/JP5395727B2/en
Priority to US12/770,491prioritypatent/US8398699B2/en
Priority to CN2010101608711Aprioritypatent/CN101874753B/en
Publication of KR2010011906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00119067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2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63429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인체의 장기 내에 시술된 스텐트의 제거나 재 시술의 필요성이 있어 제거할 때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당기면 길이방향으로 신장 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 내벽과 침착되어진 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몸체의 절곡단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다른 공간부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텐트 제거 시술시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침착된 부위의 2차적인 상처 유발방지와 고통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necessity of removing or re-stenting the stent in the organs of the human body, when removed by using the removal device to remove th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well as to reduce the diame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rgan wall and the deposited portion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removing stents to remove the stent to facilitate removal. More specifically, a hook is formed by tying both ends of the end pull string formed by weaving a circular band in a jig-zag at the bent end of the cylindrical body. One end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and passing through the other space portio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integrally extending or tied to the end pull string, and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dy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strip shape zigzag weaved in the space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ulling string which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pulling strings and connected or extend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pulling strings; Pulling the end pull line during the stent removal procedure reduces the diame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i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lows it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rgan, thereby reducing secondary wound induction and pain in the deposited area. It has an effect.

스텐트, 병변부위, 당김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걸고리Stent, lesion area, pull string, shape memory alloy, wire, hook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Stent removal halliard structure}Stent removal halliard structure

본 발명은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장기 내에 시술된 스텐트의 제거나 재 시술의 필요성이 있어 제거할 때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당기면 길이방향으로 신장 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 내벽과 침착되어진 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ulling stents for removing stent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necessity for the removal or re-operation of the stents performed in the organs of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pulling line structure for reducing the length of the organ wall and the deposited portion so as to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일반적으로, 의료용 스텐트인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주로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확장된 내장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the medical stent lumen expanding stent is mainly used to expand the narrowed lumen or to prevent the expanded viscera from narrowing again.

이러한, 의료용 스텐트는 주로 암과 같은 종양의 발생에 의하여 협착된 내강을 넓혀주기 위하거나 협착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Such a medical stent is mainly used to widen the narrowed lumen or prevent the progression of the narrowing by the occurrence of a tumor such as cancer.

그리고, 의료용 스텐트는 췌관, 급성취장염에 의한 협착, 만성 담관염에 의한 협착, 수술 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내강의 협착 담도의 협착등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일시적으로 내강에 발생하는 협착증상을 방지하거나 이를 넓여 준 다음 그 내강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후에는 즉시 제거하거나, 스텐트가 원하 는 위치에 정확하게 이식되지 않아 제대로 작용을 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를 제거하여야만 재 시술이 가능하므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cal stent is intended to be applied to the stenosis of the pancreatic duct, acute encephalitis, stenosis due to chronic cholangitis, and stenosis of the temporal stenosis of the temporary lumen occurring after surgery. If the lumen has been widened and then the lumen ha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it may be removed immediately, or if the stent is not implanted correctly in the desired position and cannot function properly or is unnecessary, the reoperation may only be performed after removing the stent. It is possible and can be removed.

이러한, 제거가능한 스텐트는 삽입시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카데터에 의하여 내강에 삽입하여 협착증상을 방지 또는 내강을 넓혀 준 다음, 이를 내강에서 제거하여야 하므로 빠져나오는 쪽의 스텐트가 안쪽으로 오무려 져야만 용이하게 내강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Such a removable stent should be inserted into the lumen by a generally known catheter to prevent or widen the stenosis, and then remove it from the lumen. Can come out of the lumen.

이때, 제거용 스텐트는 스텐트 제거장치용 후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거용 스텐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스텐트 본체의 내외 측면에 감싸진 커버부재 및 스텐트 본체에 다수개의 고리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고리에 적어도 하나의 끈의 양단이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removal sten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emoved by using a hook for removing the stent.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removal stent, the cover member and the stent main body wrapped around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tent main body a plurality of rings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both ends of at least one string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rings.

따라서, 스텐트를 내강에서 제거하려면 후크를 스텐트 본체의 내측으로 밀어넣고 빼고 하면서 고리에 연결된 끈에 걸리게 한 후 이 후크를 당겨주면 스텐트가 내주 중심방향으로 오무려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o remove the stent from the lumen, the hook is pushed into and out of the stent body, and the hook is connected to the hook while pulling the hook.

이때, 상기한 후크를 더욱 당겨주면 스텐트의 본체가 도관으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도관과 후크를 동시에 내강으로부터 제거하므로써 스텐트를 내강에서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hook is pulled further, the main body of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conduit, and in this state, the stent is removed from the lumen by simultaneously removing the conduit and the hook from the lume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거용 스텐트는 후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고리 중 하나의 고리에 걸어서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당김력이 스텐트의 원주상에서 일측으로 집중되어 스텐트가 신장은 되지만 직경의 축소률이 적 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emoval stent is drawn out by hooking one of the plurality of hooks using a hook, wherein the pulling force is concentrated on one side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tent to extend the stent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rawing ratio is not easy due to the small diameter reduction ratio.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스텐트가 시술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스텐트에 병변부위나 인체조직이 끼임 또는 침착되어 인출방향으로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고 함께 당겨지면서 병변 재발 위험성이나 환자에게 고통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sten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lesion site or human tissue is pinched or deposited on the stent, and is not easily detached by the pulling force in the extraction direction, but is pulled together, causing a risk of lesion recurrence or pain in the patient.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amplified.

더불어, 병변부위의 면적에 관계없이 고리가 끝단에 형성되어 고리를 당겼을 때 당김력이 끝단부분에만 집중됨으로 병변부위와 스텐트가 침착된 부분에는 당김력이 전달되지 못해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area of the lesion, the ring is formed at the end and the pulling force is concentrated only at the end when the ring is pulled, so the pulling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portion where the lesion site and the stent are deposited.

이로 인하여, 고리를 당겼을 때 당김력이 스텐트 전체적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스텐트의 직경이 원주방향 중심으로 축소되어 침착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가능한 개선된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pulling the ring, the pulling force is transferred to the entire stent, and at the same time, the diameter of the stent is reduced to the circumferential center, and thus an urgent need for an improved stent removal string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even in a deposited stat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기의 내벽면이 공간부로 침투하여 침착되더라도 환자에게 고통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경을 수축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rgan penetrates into the space and is deposited,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shrinking the diameter so that no pain is applied to the pati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당김줄과 원주방향 당김줄을 형성하여 제거 시술시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는 데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longitudinal pull line and a circumferential pull line as a whole to reduce the diame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pulled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ulling the end pull line using the removal device during the removal procedure It is to allow easy separation from the inner wall of the organ.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김줄을 여러 형태로 제작하여 스텐트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versatility to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r characteristics of the stent by making the pull string in various forms.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방향 당김줄의 길이나 원주방향 당김줄이 위치되는 간격을 장기 내의 병변부위 면적크기나 스텐트의 전체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제거를 위한 당겼을 때 수축률이 골고루 작용되도록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pull line or the circumferential pull li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sion area in the organ or the overall length of the stent, even when the shrinkage for pulling evenly removed To make it wor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절곡단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다른 공간부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 by weaving or strand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s of one or more strands with each other and a cylindrical body formed at both ends with a plurality of bent ends along the circumference. In the pulling line for removing the stent, to form a hook by tying both ends of the end pull string formed by weaving to form a circular band in a jig zag to the bent end of the cylindrical body, the spac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One end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passing through the portion and passing through the other space portion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is extended or tied to the end pull string integrally and connected, and zigzag in the circumferentially spaced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By forming one or more circumferential pull strings Provides a stent pulling 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lling line connected to extend or tied integrally to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pull lin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장기의 내벽면이 공간부로 침투하여 침착되더라도 환자에게 고통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경을 수축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y shrinking the diameter so that pain is not applied to the patient even wh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rgan penetrates into the space part.

그리고, 스텐트에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당김줄과 원주방향 당김줄을 형성하여 제거 시술시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침착된 부위의 2차적인 상처 유발방지와 고통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pull line and the circumferential pull line are formed on the stent as a whole, and the end pull line is pulled out by using the removal device during the removal procedure. It can be easily released from the secondary wound prevention of the deposited sit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pain.

더불어, 당김줄을 여러 형태로 제작하여 스텐트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 용되는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by pulling the string in various forms to increase the versatility applied according to the shape or characteristics of the stent.

아울러, 길이방향 당김줄의 길이나 원주방향 당김줄이 위치되는 간격을 장기 내의 병변부위 면적크기나 스텐트의 전체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제거를 위한 당겼을 때 수축률이 골고루 작용되도록 하여 침착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당김력이 작용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pull lin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pull lin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sion area in the organ or the overall length of the stent, the contraction rate is removed evenly when the pull is removed for removal. Therefore, the pulling force is effectively acted.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는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로 이루어진 스텐트(10) 제거를 위한 당김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eave thespace portion 12 by weaving or cross-zigzag the shapememory alloy wire 11 of one strand or more strands together And a pull line for removing thestent 10 having a plurality ofbent ends 13 formed in acylindrical body 14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nd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n thespace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Zig zag is formed by hooking both ends of theend pull string 20 formed by weaving to form a circular band to form ahook 21.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pull lin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passing through theinner space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One end of the 30) to the end pull string (20)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 connect.

이후,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지그재그 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이 적용된 스텐트(10)가 구성된다.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circumferential pull strings 40 having a zigzag-woven circular band shape in thespace 12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stent 10 is applied to thepulling string 50 is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 the connection.

즉, 상기 스텐트(10)는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stent 10 is pulled by thehook 21, theend pull line 20, thelongitudinal pull line 30 and 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pulled in sequence, the end pull line 20 ) Is pulled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a cylindrical body ( It is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rgan is pull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14) to facilitate removal.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1. As shown in Figure 4, in one embodiment thepull string 50 is a first end pull string (20a),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a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and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are configured to be integral.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end pull string 20a is zigzag in one end of thestent 10 in thespace portion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is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여 형성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has an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through one end of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is formed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in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be in the shape of a semi-circular band or circular band Form one or more.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한다.The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to face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After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is sequentially formed, both ends are tied to form ahook 20c.

즉,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pull string 50 is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the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first 2 end pull string (20b) is configured to extend in one line.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2. As shown in FIG. 5, in one embodiment, thepulling line 50 includes a firstend pulling line 20a, a firstlongitudinal pulling line 30a, and acircumferential pulling line 40;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are configured to be integral.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apull line 50 is one end of thestent 1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by weaving a zig zag in thespace portion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는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도록 형성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has an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through one end of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Pass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has one or more ends formed with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o be woven in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have a circular band shape. Form.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 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formed to form a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to cross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After forming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facing each other in order to form ahook 20c is formed by tying both ends.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로 구성된다.3. As shown in FIG. 6, as another embodiment, thepulling line 50 may include a firstend pulling line 20a, a firstlongitudinal pulling line 30a, and acircumferential pulling line 40. And a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a secondend pull string 20b.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The firstend pull string 20a is zigzag in one end of thestent 10 in thespace portion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여 형성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has a firstend pull string 20a formed at one end of thecylindrical body 14 by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diagonal length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is formed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diameter.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in a plurality ofspace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s a circular band shape and one or more Is formed.

상기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은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된다.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is formed by zigzag stitching in thespace 12 so that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ntersects with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상기 제2 끝단 당김줄(20b)는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된다.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so as to face each other, thereby forming ahook 20c.

즉,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 Is a single line.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4. 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zigzag woven in thespace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Both ends of thepull line 20 to form ahook 21.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한다.And one or more longitudinal pulls passing through the spaced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dportion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string 30 is formed, one end is tied to thehook 21 of theend pull string 20 and connected.

더불어,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by forming one or more circular band-shaped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by being woven to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each of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Tied to the other end to form a connection.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5. As shown in FIG. 8, in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a circular band-shaped end formed by being zigzag-woven into thespace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Both ends of thepull line 20 to form ahook 21.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a circumferential pull line is formed by tying both ends after forming 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circumferential pull line 40 formed by being woven in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Hook hook 41 is configured to tie thehook 21 of the end pull string (20).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다.6. As shown in FIG. 9, in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zigzagly woven into thespace 12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to form a semi-circular band first. To form the end pull string (20a).

그리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다.Then, one end forming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es through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is formed.

더불어, 상기 제1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direction pulling string 30a is woven in a plurality ofspaces 12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form acircumferential pulling string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Form one or more.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zigzag in thespace portion 12 so as to intersect on the circumference with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o form a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fter forming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by binding both ends to form a hook (20c).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에 따른 예로써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의 내부로 의료용 피막(15)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2, as an example according to another form, the shapememory alloy wires 11 of one strand or more strands are woven together or intersected with a jig to form aspace portion 12, and a plurality of ends It relates to a stent formed by bonding themedical film 15 to the inside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bent end 13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한다.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 both ends of theend pull string 20 is formed by weaving to form a circular band in a zig-zag to form ahook 21.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이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한다.And, the longitudinal pull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 neighboringspace portion 12 exposed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while passing through thelongitudinal 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string 30 is connected to extend or tied to theend pull string 20 integrally.

이후,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로 스텐트(10)가 구성된다.Subsequently, alongitudinal pull string 40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strings 40 that are zigzag and penetrate through thecircumferential 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stent 10 is composed of a pullingstring 50 that is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 the other end of 30).

즉, 상기 스텐트(10)는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축소되도록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when thestent 10 is pulled by thehook 21, theend pull line 20, thelongitudinal pull line 30 and 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pulled in sequence, theend pull line 20 Is pulled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cylindrical body 14,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thecylindrical body 14.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rgan is pulled to shrink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o facilitate removal.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1. As shown in Figure 4, in one embodiment thepull string 50 is a first end pull string (20a),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a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and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are configured to be integral.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in a semi-circular band shape by weaving one end with a zig zag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coating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형성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has a cylindrical body having one end formed with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14 and passes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coating 15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one end of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is formed with one or more to be in the shape of a band or a circular band.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한다.The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to face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After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is sequentially formed, both ends are tied to form ahook 20c.

즉,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pull string 50 is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the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first 2 end pull string (20b) is configured to extend in one line.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2. As shown in FIG. 5, in one embodiment, the pullingline 50 includes a firstend pulling line 20a, a first longitudinal pullingline 30a, and a circumferential pullingline 40;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are configured to be integral.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apull line 50 is woven in a jig zag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do.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는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도록 형성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es through one end of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t one end of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One or more bands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formed to form a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to cross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After forming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facing each other in order to form ahook 20c is formed by tying both ends.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로 구성된다.3. As shown in FIG. 6, as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line 50 may include a firstend pulling line 20a, a first longitudinal pullingline 30a, and a circumferential pullingline 40. And a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a secondend pull string 20b.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The firstend pull string 20a is woven in a zig zag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to form a semi-circular band shape.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형성된다.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end of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es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diagonal lengthwise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body 14 is formed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interwoven with one end of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spaces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t is circular in shape and formed in one or more.

상기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은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된다.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passes through thespace 12 and thecoating 15 so that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crosses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t is woven into it.

상기 제2 끝단 당김줄(20b)는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된다.The secondend pull string 20b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so as to face each other, thereby forming ahook 20c.

즉,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 Is a single line.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4. As shown in FIG. 7, as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zigzag-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12 and thecoating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Hooks 21 are formed by tying both ends of a circular pull-shaped end pullstring 20 formed.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한다.Th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the neighboring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forming one or mor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to pass through one end to thehook 21 of the pull string (20) to connect.

더불어,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circumferential pull line 40 formed by being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is formed in at least one length. It is tied to the other end of the direction pullstring 30 to form a connection.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 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5. As shown in FIG. 8, as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zigzag-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12 and thecoating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Hooks 21 are formed by tying both ends of a circular pull-shaped end pullstring 20 formed.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After forming 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by being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then tie both ends Circumferentialpull string hook 41 is formed by tying thehook 21 of theend pull string 20 to form a connection.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다.6. As shown in FIG. 9, in another embodiment, the pullingstring 50 is zigzag as one end passes through thespace 12 and thecoating 15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Weave together to form a semi-circular band-shapedfirst end pull 20a.

그리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다.One end of the firstend pull string 20a passes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A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adjacent space portion 1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더불어,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spaces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and has a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ce. At least onedirectional pull line 40 is formed.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 성시켜 구성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woven in a zigzag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on the circumference, and thus, a second length. After forming the direction pull string (30b), and formed a second end pull string (20b) facing away from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o form a hook (20c) by tying both ends.

공통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In general, the mutual spacing of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in one or more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esion or the total length of thestent 10.

또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esion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stent 10.

그리고,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한다.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are woven in a jig-zag while passing through thespace portion 12 and the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Configure.

더불어,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may be configured by zigzag weaving to thespace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아울러,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pull wire 50 is composed of any one of medical fibers, synthetic resins, non-ferrous metals, metal wires.

한편, 상기 당김줄(50)은 원통형태의 스텐트, 양단이 외측으로 확장된 스텐트, 양단이 내측으로 좁아지는 스텐트에 적용가능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pull string 50 will be applicable to the stent of the cylindrical shape, the stent both ends are extended to the outside, the both ends narrowed inwar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스텐트(10)는 인체의 장기에 병변이 발생되어 장기의 직경이 병변의 확대로 인하여 협소해지는 병변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시술된다.First, thestent 10 is operated to expand a lesion area in which a lesion is generated in an organ of the human body and the diameter of the organ is narrowed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lesion.

간단히,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장기내의 병변부위를 확인한 후 인체의 내로 스텐트(10)를 스텐트 시술장치(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삽입하여 협착되어진 병변부위를 확장시키는 것이다.Briefly, the procedure is to check the lesions in the organs and then expand the constricted lesions by inserting thestent 10 into the body using a stent treatment device (not shown).

이렇게, 시술된 스텐트(10)는 인체의 장기내에서 병변부위가 완치될 때까지 시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기간은 대략 6개월 정도로 유지하게 되며 이때, 시술 기간은 병변부위의 특성이나 경과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In this way, the treatedstent 10 is maintained in the state until the lesion is cured in the organ of the human body is maintained for about 6 months, the duration of the procedure is characterized by the nature or progress of the lesion site Differently.

그러나, 오랜 기간에 걸쳐 스텐트(10)를 장기 내의 병변부위(300)에 시술 해 놓을 경우 병변부위(300)의 조직이 공간부(12)로 밀려들어와 침착되는 현상이 발생 될 때 당김줄(50)을 이용하여 스텐트(10)를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stent 10 is applied to thelesion site 300 in the organ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en the tissue of thelesion site 300 is pushed into thespace 12 and is deposited, a pullingline 50 may occur. Using thestent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lesion site 300 or human tissue.

그리고, 상기 병변부위(300)가 완치되어 제거 시술을 하거나 스텐트(10)의 재 시술을 위해 교체 시술을 스텐트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시행한다.Then, thelesion site 300 is cured and removed or a replacement procedure is performed using a stent removal device for re-sent thestent 10.

여기서, 상기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하여 6가지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50)을 살펴보는데 1번, 2번, 3번 실시 예는 각각 설명한다.Here, look at the pullingline 50 according to the six embodiments to remove thestent 10, the first, second,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respectively.

첫째, 도 4, 도 1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4, 10, and 16, when the pullingline 50 of the first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he pulling force is thehook 20c-> first and secondend pulling lines 20a. (20b)->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circumferential pull string in the order of the transfer (40) while thestent 10 is reduced in diameter at the same time as the overall length is elongated do.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is pulled toward the pull by the pulling force is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ameter center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 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are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strings 20a and 20b. .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to reduce the diameter.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Thus, even when thestent 10 is deposited on the human tissue, thestent 10 is pulled by the first and secondend pull line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lines 30a and 30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is reduced to the circumferential center by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easily separated / removed from the deposited human tissue is removed and the occurrence of pain or secondary wounds are prevented.

둘째, 도 5, 도 1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Second, as shown in Figures 5, 11, 17, thepull string 5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pull force is thehook 20c->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circumferential pull string in the order of the transfer (40) while thestent 10 is reduced in diameter at the same time as the overall length is elongated do.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is pulled toward the pull by the pulling force is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ameter center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교차되게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are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ross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strings 20a and 20b. You lose.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to reduce the diameter.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Thus, even when thestent 10 is deposited on the human tissue, thestent 10 is pulled by the first and secondend pull line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lines 30a and 30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is reduced to the circumferential center by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easily separated / removed from the deposited human tissue is removed and the occurrence of pain or secondary wounds are prevented.

셋째, 도 6, 도 12,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Third, as shown in FIGS. 6, 12, and 18, when the pullingline 50 of the third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he pulling force is thehook 20c-> first and secondend pulling lines 20a. (20b)->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circumferential pull string in the order of the transfer (40) while thestent 10 is reduced in diameter at the same time as the overall length is elongated do.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is pulled toward the pull by the pulling force is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ameter center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positio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have the length of thestent 10 due to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strings 20a and 20b. It is pulled simultaneously toward the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center.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to reduce the diameter.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Thus, even when thestent 10 is deposited on the human tissue, thestent 10 is pulled by the first and secondend pull lines 20a and 20b and 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lines 30a and 30b.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ameter is reduced to the circumferential center by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easily separated / removed from the deposited human tissue is removed and the occurrence of pain or secondary wounds are prevented.

넷째, 도 7, 도 13,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1) -> 각각의 길이방향 당김줄(30)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Fourth, as shown in Figure 7, Figure 13, Figure 19, thepull string 5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pull force is the hook 21-> each longitudinal pull string 30- > In the order of the respectiv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thestent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as a whole and the length is elongated.

이때,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end pull string 20 is pulled toward the pulling by the pulling force is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끝단 당김줄(20)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Then, the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pulled simultaneously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center of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 end pull string (20).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to reduce the diameter by pressing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end pull line 20 and the longitudinal pull line (30). do.

다섯째, 도 8, 도 14,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1)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 원주당김줄걸고리(41)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Fifth, as shown in Figure 8, Figure 14, 20, the pullingline 50 of the fifth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pull force is the hook 21-> eachcircumferential pull line 40 circumference Pulling string hook (41)-> Each of the circumferential pulling string in the order of 40 is transferred to the stent (10) as a whole, the diameter is reduced at the same time the length is elongated.

이때,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end pull string 20 is pulled toward the pulling by the pulling force is reduced in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iameter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원주당김줄걸고리(41) 및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 중심 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Then, the circumferentialpull line hook 41 and 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pulled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ce of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end pull line 20.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과 원주당김줄걸고리(41)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to press thecylindrical body 14 of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end pull line 20 and the circumferentialpull line hook 41 so that the diameter is reduced do.

여섯째, 도 9, 도 15,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Sixth, as shown in Figure 9, Figure 15, 21, the pullingline 50 of the sixth embodiment is pull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pull force ishook 20c-> first and second end pull line (20a) (20b)->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circumferential pull string in the order of the transfer (40) while thestent 10 is reduced in diameter at the same time as the overall length is elongated do.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 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is pulled toward the pull by the pulling force while reducing the diameter in the diameter center direction of thecylindrical body 14 to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그리고,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positio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have the length of thestent 10 due to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strings 20a and 20b. It is pulled simultaneously toward the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center.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thestent 10 by the pulling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d pull string (20a) (20b) and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Press the cylindrical body (14) to reduce the diameter.

즉,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원주상에서 마주보게 교차되어 당김력에 의해 길이방향의 당김력과 원주방향의 당김력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the secondlongitudinal pull string 30b cross each other on the circumference such that the pull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lling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by the pulling force.

이로써, 인체의 장기 중 병변부위(300)가 발병된 장기내에 스텐트(10)를 시술할 경우 공간부(12)를 통해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이 침착되더라도 스테트(100)의 제거 시술시 상처의 유발을 방지하고 환자에게 고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us, when thestent 10 is performed in the organ in which thelesion part 300 of the human organ is developed, even if thelesion part 300 or the human tissue is deposited through thespace 12, the removal of the stent 100 is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he incidence of wounds and preventing pain in the patient.

더불어, 상기 당김줄(50)을 당겼을 때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원주방향의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에서 쉽게 이탈되어 제거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pull line 50 is pulled, thestent 10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ameter is reduced to the cent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it is easily detached from thelesion site 300 or the human tissue, thereby making it easy to remove. .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이나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을 병변부위(300)가 넓을 경우 좁게 하여 이탈력을 집중시켜 분리가 더욱 용이하도 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ullingline 40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ingline 30 is narrow when thelesion portion 300 is wide to concentrate the separation force more easi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도 1은 종래의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시술도 및 공간부로 인체조직이 침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tent is deposited on the lesion site of the human tissue as a surgical diagram and a space;

도 2는 종래의 스텐트를 제거 시술시 공간부에 침착된 인체조직이 걸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시술도 및 확대 단면도,Figure 2 is a surgical diagram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an tissue deposited on the space is caught when the conventional stent removal procedur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김줄이 적용되는 스텐트의 사시도 및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nt to which the pulling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ed state,

도 4는 도 3에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pull st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Figure 3,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5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pull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6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pull st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7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pull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8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pull st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9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a pull str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0은 도 4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 4 applied to a cylindrical stent;

도 11은 도 5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5 applied to the cylindrical stent,

도 12는 도 6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 6 applied to a cylindrical stent;

도 13은 도 7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7 applied to the cylindrical stent,

도 14는 도 8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8 applied to the cylindrical stent,

도 15는 도 9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9 applied to the cylindrical stent,

도 16은 도 4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4 is applied to the stent is extended both ends,

도 17은 도 5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ing string of FIG. 5 applied to the stent having both ends extended; FIG.

도 18은 도 6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 6 applied to the stent having both ends extended;

도 19는 도 7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 7 applied to the both ends of the stent expanded;

도 20은 도 8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 8 applied to a stent having both ends extended;

도 21은 도 9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 string of Figure 9 is applied to the stent is extended both ends,

도 22는 도 4의 당김줄이 내측에 피막이 부착된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lling line of FIG. 4 applied to a cylindrical stent having an inner coating film;

도 23은 도 4의 당김줄이 적용된 원통형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시술된 시술도 및 공간부로 인체조직이 침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FIG. 2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human tissue is deposited into a surgical diagram and a space portion in which a cylindrical stent to which the pull string of FIG. 4 is applied is applied to a lesion site; FIG.

도 24는 스텐트를 제거 시술을 위해 당김줄을 당길 때 공간부에 침착된 인체조직이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시술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an tissue deposited on the space is separated when the pull string is pulled to remove the st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스텐트 11 : 와이어10: stent 11: wire

12 : 공간부 13 : 절곡단12: space portion 13: bending section

14 : 원통형 몸체 15 : 피막14cylindrical body 15 film

20 : 끝단 당김줄21 : 걸고리20: end pull string 21: hook

20a : 제1 끝단 당김줄 20b : 제2 끝단 당김줄20a: firstend pull line 20b: second end pull line

20c : 걸고리30 : 길이방향 당김줄20c: hook 30: longitudinal pull

30a : 제1 길이방향 당김줄 30b :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a: firstlongitudinal pull line 30b: second longitudinal pull line

40 : 원주방향 당김줄 50 : 당김줄40: circumferential pull line 50: pull line

300 : 병변부위300: lesion area

Claims (26)

Translated fromKorean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로 이루어진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One or more strands of shape memory alloy wires 11 are woven together or intersected with a zig-zag to form a space portion 12, and at both ends, a cylindrical body 14 having a plurality of bent ends 13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In the pulling line for removing the stent 10 made of),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하며,To form a hook 21 by tying both ends of the end pull string 20 is formed by weaving to form a circular band in a zig-zag to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A longitudinal pull string 30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end pull string (20)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gether,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을 형성하여;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In the circumferentially spaced space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a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of zigzag wea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by Forming a pulling line 50 which is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 the other end thereof; When pulling the hook 21, the end pull string 20,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and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pulled in sequence, the end pull string 20 of the cylindrical body 14 Pull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pull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for easy removal.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weave one end of the stent 10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semi-circular band-shaped first end pull string (20a) and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he space portion adjacent to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A first longitudinal pull line 30a passing through 12,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to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and,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o face the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ull string (20b) formed in order to form a hook (20c) by tying both ends.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weave one end of the stent 10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semi-circular band-shaped first end pull string (20a) and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 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The space where 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passes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ming a first longitudinal pull line 30a passing through portion 12,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to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and,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s a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to cross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o face each other. Stent removal tu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hook 20c by binding both ends after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of the form in sequence.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weave one end of the stent 10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semi-circular band-shaped first end pull string (20a) and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The space where 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passes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diagonal length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Forming a first longitudinal pull line 30a passing through portion 12,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or more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re woven in a plurality of spaces 12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one or more circumferential pull strings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Formed into,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zigzag in the space 12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o form a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formed to form a hook (20c) by tying both ends.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tied to both ends of the circular band-shaped end pull string 20 is formed by zigzag woven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Form the hook 21,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하며,At least one longitudinal pull lin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30) after forming one end is tied to the hook 21 of the end pull string (20) and connected,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by being woven to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respectively.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tie.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tied to both ends of the circular band-shaped end pull string 20 is formed by zigzag woven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Form the hook 21,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A circumferential pull line hook formed by tying both ends after forming 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 line 40 formed by being woven in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 Stent removal tul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y connecting the hook 21 of the end pull string 20 to configure the connection.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weave one end of the stent 10 in the space portion 12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semi-circular band-shaped first end pull string (20a) and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formed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he space portion adjacent to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A first longitudinal pull line 30a passing through 12,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or more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re woven in a plurality of spaces 12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one or more circumferential pull strings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Formed into,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 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zigzag in the space portion 12 so as to intersect on the circumference with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to form a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Stent removal tulle structure for stent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hook (20c) after the two ends to form a second end pull string (20b) facing away from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제 1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4)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mutual spacing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in one or mo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esion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4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The stent pulling lin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pull line (30)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sion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0).제 2항 내지 제 4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8.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30b)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esion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0). Stent removal tul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configured by zigzag weaving in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10 cylindrical body (14).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제 2항 내지 제 4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The spa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30b) ar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10) cylindrical body (14).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weave by zigzag on the part (12).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The stent pulling lin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pulling line (50) comprises any one of a medical fiber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nonferrous metal material, and a metal wire.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의 내부로 의료용 피막(15)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One or more strands of shape memory alloy wires 11 are woven together or intersected with a zig-zag to form a space portion 12, and at both ends, a cylindrical body 14 having a plurality of bent ends 13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In the pull string for removing the stent 10 is made of the medical film 15 is bonded to the inside of the),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하며,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hook 21 by tying both ends of the end pull string 20 formed by weaving to form a circular band in a zig-zag,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이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Passing through the longitudinal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es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adjacent to the outside to pas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integrally extended or tied to the end pull string 20,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을 형성하여;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축소되도록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 strings 40 that are zigzag and penetrate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pull line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integrally extended or tied; When pulling the hook 21, the end pull string 20,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and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pulled in sequence, the end pull string 20 of the cylindrical body 14 Pulled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pu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so that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reduc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organ to be easily removed.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and one end is pulled through the space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the first end of the semi-circular band pull Form a line 20a,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passed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film 15,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circumferential pull string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 Form one or more,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o face the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and the second.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ull string (20b) formed in order to form a hook (20c) by tying both ends.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and one end is pulled through the space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the first end of the semi-circular band pull Form a line 20a,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is passed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film 15,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a circumferential pull string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 Form one or more,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s a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b to cross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to face each other. Stent removal tu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orm a hook 20c by binding both ends after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of the form in sequence.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and one end is pulled through the space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the first end of the semi-circular band pull Form a line 20a,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of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passes through the space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diagonal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film 15 to be exposed,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or more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are woven in a plurality of spaces 12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form one or more circumferential pull strings 40 having a circular band shape. Formed into,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 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line 40 is woven in a jig zag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so as to cross the first longitudinal pull line 30a. A stent formed by forming a hook 30c after forming a 30b and forming a second end pulled string 20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pulled string 20a to form a hook 20c. Pull-out structure for removal.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a band-shaped end pull string formed by being zigzag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coating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Bind both ends of the (20) to form a hook (21),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하며,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forming one or mor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connected to the hook 21 of the end pull string (20) by tying,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 line 40 formed by being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respectively, the longitudinal pull Stent removal pull str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y connecting to the other end of the string (30) configuration.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 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a band-shaped end pull string formed by being zigzag-shap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Bind both ends of the (20) to form a hook (21),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After forming at least one circular band-shaped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formed by being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then tie both ends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is formed by tying the hook 21 of the circumferential pull line hook 41 to the end pull string 20 formed.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ulling line 50 is zigzag and one end is pulled through the space 12 and the film 15 of the cylindrical body 14 of the stent 10, the first end of the semi-circular band pull Form a line 20a,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One end forming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passes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and passes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the outside. A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passing through the adjacent space portion 12 to be exposed to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One end of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is woven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paces 12 and the film 15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4 to draw a circular b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m one or more rows 40,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pull string 40 is woven in a jig-zag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2 and the film 15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on the circumference, and pull the second longitudinal pull. Forming a string (30b), after forming the second end pull string (20b) facing the first end pull string (20a) and then tie the both ends to form a hook 20c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4)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2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20, wherein the mutual spacing of the circumferential pull wires 40 formed in at least one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lesion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4.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19. The stent removal str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4 or 18, wherein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sion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0).제 15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21. The method of claim 15, 17 or 20, w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 (30a, 30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sion area area or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10). Stent removal pull line structure.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1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8,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pull string 30 is configured by zigzag weaving into the space portion 12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10 cylindrical body (14).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제 15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21. The space 12 according to claim 15 or 17 or 20,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pull strings 30a and 30b are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10 cylindrical body 14. A stent pulling line structure for stent removal comprising a zigzag weave.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21. The stent removal str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20, wherein the pull string (50) comprises any one of a medical fiber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nonferrous metal material, and a metal wire.
KR20090037988A2009-04-302009-04-30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Expired - Fee RelatedKR101063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090037988AKR101063429B1 (en)2009-04-302009-04-30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JP2010092285AJP5395727B2 (en)2009-04-302010-04-13 Lead wire for stent removal
US12/770,491US8398699B2 (en)2009-04-302010-04-29Drawstring for removal of stent
CN2010101608711ACN101874753B (en)2009-04-302010-04-30Drawstring for removal of s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090037988AKR101063429B1 (en)2009-04-302009-04-30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119067A KR20100119067A (en)2010-11-09
KR101063429B1true KR101063429B1 (en)2011-09-08

Family

ID=4301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20090037988AExpired - Fee RelatedKR101063429B1 (en)2009-04-302009-04-30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Country Status (4)

CountryLink
US (1)US8398699B2 (en)
JP (1)JP5395727B2 (en)
KR (1)KR101063429B1 (en)
CN (1)CN10187475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8858610B2 (en)2009-01-192014-10-14W. L. Gore & Associates, Inc.Forced deployment sequence
KR101238720B1 (en)*2010-11-222013-03-04주식회사 엠아이텍Stent for removal
US9744033B2 (en)2011-04-012017-08-29W.L. Gore & Associates, Inc.Elastomeric leafle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US10117765B2 (en)2011-06-142018-11-06W.L. Gore Associates, IncApposition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implants
US9554806B2 (en)2011-09-162017-01-31W. L. Gore & Associates, Inc.Occlusive devices
US9782282B2 (en)2011-11-142017-10-10W. L. Gore & Associates, Inc.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9877858B2 (en)2011-11-142018-01-30W. L. Gore & Associates, Inc.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9375308B2 (en)2012-03-132016-06-28W. L. Gore & Associates, Inc.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11911258B2 (en)2013-06-262024-02-27W. L. Gore & Associates, Inc.Space filling devices
JP6356262B2 (en)2014-04-082018-07-11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Stent
JP6423541B2 (en)2015-01-162018-11-14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movement restraint
CA2986047C (en)2015-05-142020-11-10W. L. Gore & Associates, Inc.Devices and methods for occlusion of an atrial appendage
US10426592B2 (en)2016-04-112019-10-01Boston Scientific Scimed, Inc.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reduced migration capabilities
CN106176001A (en)*2016-06-292016-12-07赵欣怡A kind of anti-displacement esophageal stents appear
CA3055567C (en)2017-03-082021-11-23W. L. Gore & Associates, Inc.Steering wire attach for angulation
US11173023B2 (en)2017-10-162021-11-16W. L. Gore & Associates, Inc.Medical devices and anchors therefor
WO2019195860A2 (en)2018-04-042019-10-10Vdyne, LlcDevices and methods for anchoring transcatheter heart valve
CN119424058A (en)2018-06-042025-02-14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Removable bracket
AU2018439076B2 (en)2018-08-312022-07-07W. L. Gore & Associates, Inc.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teering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321995B1 (en)2018-09-202019-06-18Vdyne, Llc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071627B2 (en)2018-10-182021-07-27Vdyne, Inc.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frame for valve in valve prosthesis
US11344413B2 (en)2018-09-202022-05-31Vdyne, Inc.Transcatheter 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2310850B2 (en)2018-09-202025-05-27Vdyne, Inc.Transcatheter 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2186187B2 (en)2018-09-202025-01-07Vdyne, Inc.Transcatheter 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1278437B2 (en)2018-12-082022-03-22Vdyne, Inc.Compression capable annular frames for sid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CN113164271B (en)2018-09-242025-01-21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Repositionable and removable bracket
US11109969B2 (en)*2018-10-222021-09-07Vdyne, Inc.Guidewir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US11253359B2 (en)2018-12-202022-02-22Vdyne, Inc.Proximal tab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WO2020146842A1 (en)2019-01-102020-07-16Vdyne, LlcAnchor hook for side-delivery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US11273032B2 (en)2019-01-262022-03-15Vdyne, Inc.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US11185409B2 (en)2019-01-262021-11-30Vdyne, Inc.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WO2020181154A2 (en)2019-03-052020-09-10Vdyne, Inc.Tricuspid regurgitation control devices for orthogonal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US11076956B2 (en)2019-03-142021-08-03Vdyne, Inc.Proximal, distal, and anterior anchoring tabs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11173027B2 (en)2019-03-142021-11-16Vdyne, Inc.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anchoring the same
CA3138875A1 (en)2019-05-042020-11-12Vdyne, Inc.Cinch device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a side-delivered prosthetic heart valve in a native annulus
KR102229857B1 (en)*2019-05-142021-03-18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Stent transf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EP4480458A3 (en)2019-08-202025-04-09Vdyne, Inc.Delivery devices for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CN120531525A (en)2019-08-262025-08-26维迪内股份有限公司 Laterally deliverable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 and method for its delivery and anchoring
US11234813B2 (en)2020-01-172022-02-01Vdyne, Inc.Ventricular stability elements for side-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KR20250079475A (en)*2023-11-272025-06-04주식회사 비씨엠A s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237311Y1 (en)1998-08-262001-10-25송호영 Lumen extension stent
EP1518518A2 (en)2003-09-252005-03-30Karel VolenecStent designed to stop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405378A (en)*1992-05-201995-04-11Strecker; Ernst P.Device with a prosthesis implantable in the body of a patient
US6015429A (en)*1994-09-082000-01-18Gore Enterprise Holdings, Inc.Procedures for introducing stents and stent-grafts
US5980554A (en)*1997-05-051999-11-09Micro Therapeutics, Inc.Wire frame partial flow obstruction for aneurysm treatment
FR2762989B1 (en)*1997-05-121999-09-03Braun Celsa Sa SYSTEM FOR REPAIRING AN ANATOMIC DUCT BY A PROGRESSIVE OPENING IMPLANT
US6340367B1 (en)*1997-08-012002-01-22Boston Scientific Scimed, Inc.Radiopaque mark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0118944B4 (en)*2001-04-182013-01-31Merit Medical Systems, Inc. Removable, essentially cylindrical implants
JP4043210B2 (en)*2001-10-092008-02-06オリンパス株式会社 Stent
CN2706140Y (en)*2003-12-262005-06-29吴雄Nickel titanium memory alloy net knitted holder and knitted holder recovery device
US9301862B2 (en)*2005-01-282016-04-05Boston Scientific Scimed, Inc.Stent retrieval member and devices and methods for retrieving or repositioning a s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237311Y1 (en)1998-08-262001-10-25송호영 Lumen extension stent
EP1518518A2 (en)2003-09-252005-03-30Karel VolenecStent designed to stop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JP5395727B2 (en)2014-01-22
JP2010259784A (en)2010-11-18
CN101874753A (en)2010-11-03
US8398699B2 (en)2013-03-19
KR20100119067A (en)2010-11-09
CN101874753B (en)2013-03-13
US20100280591A1 (en)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063429B1 (en) Drawstring structure for stent removal
ES2899577T3 (en) Reversal Thrombectomy Apparatus
CN111991047B (en)Braided hemostatic shaft for improving torsional response
JP5424063B2 (en) Restraint structure and method for temporarily reducing stent graft diameter
US10034786B2 (en)Medical implant
CN107205745A (en)The system and method removed for intravascular obturator
KR101109708B1 (en) Prostate urethral dilatation stent
JP5248545B2 (en) Lead wire for stent removal
US20230381000A1 (en)Stents and related methods
JP5091985B2 (en) Medical implant
US7101380B2 (en)Surgical device for retrieval of foreign objects from a body
CN1165264C (en) Endoluminal prosthesis for branch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518518A2 (en)Stent designed to stop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US20080140181A1 (en)Stent Removal and Repositioning Aid and Associated Method
JP2015506805A (en) Endoprosthesis with legs aligned to facilitate cannulation
KR101657648B1 (en)Manufacturing methods for anti-migration stent and the anti-migration stent thereof
JP2011092435A (en)Medical tube and catheter using the same
US10335185B2 (en)Snare instrument with a distal snare structure
EP3595547B1 (en)Wrapping cape system for retrieval of blocking items in tubular environments
US7942921B2 (en)Removable stent
JP2024091647A (en) Luminal device with wire braid configuration - Patents.com
CA2861852C (en)Endoprosthesis with varying compressibility and methods of use
KR101065365B1 (en) Biliary Stent
KR20090038209A (en) Stent
KR101238720B1 (en)Stent for removal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901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825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825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709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70902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