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30894B1 - 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894B1
KR101030894B1KR1020097007206AKR20097007206AKR101030894B1KR 101030894 B1KR101030894 B1KR 101030894B1KR 1020097007206 AKR1020097007206 AKR 1020097007206AKR 20097007206 AKR20097007206 AKR 20097007206AKR 101030894 B1KR101030894 B1KR 10103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row
delete delet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100A (ko
Inventor
노보루 아사우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litigationCritical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589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30894(B1)"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filedCritical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710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90057100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89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30894B1/ko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인쇄재 수용체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구비하되,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1 단자는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고,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와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고,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촉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와,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 중 하나의 열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PRINTING MATERIAL CONTAINER, BOARD MOUNTED ON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PRINTING SYSTEM}
본 발명은 인쇄재를 수용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들 상에 배열된 복수의 단자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잉크젯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예컨대, 잉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예컨대, 메모리의 구동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회로(예컨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잉크 잔량 센서) 등의 다른 장치가,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에 탑재된다. 이러한 경우,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가 단자를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잉크 카트리지에 구비된 정보 기억 매체와 인쇄 장치를 접속하는 단자에 액적이 부착됨으로써 정보 기억 매체가 단락되어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예컨대, 메모리와 고전압 회로 등의 복수의 디바이스가 탑재되고, 하나의 디바이스의 단자와 다른 디바이스의 단자가 배치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에서는, 하나의 디바이스의 단자와 다른 디바이스의 단자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단락은 잉크 카트리지 또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인쇄 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인쇄재, 예컨대, 토너가 수용된 수용체에 대해서도 공통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구비하되,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 자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며,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촉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열 중 하나의 열의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에 따르면,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제 2 단자의 제 2 접촉부는 단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부에 이웃하는 다른 접촉부의 수가 적고, 그 결과로, 상기 제 2 접촉부는 다른 접촉부를 포함하는 단자와 단락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군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대적으로 배열되어 있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그들 사이에 상기 제 1 단자가 배치되지 않지 않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제 1 단자가 위치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대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일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일부분 사이의 단락은,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단락보다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일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일부분 간의 단락이 또한 발생하여, 이상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군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에 따르면,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이웃한다. 그 결과, 상기 제 3 단자의 일부분과 상기 제 2 단자의 일부분 사이는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에 비해 비교적 단락되기 쉽다. 따라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3 단자의 일부분과 제 2 단자의 일부분도 단락되어, 이상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의 단락에 기인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장치측 단자군을 갖는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한다. 장치측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장치측 단자와, 복수의 제 2 장치측 단자와, 복수의 제 3 장치측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측 단자군 내의 단자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장치측 단자는 상기 제 1 열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3 장치측 단자는 상기 제 2 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2 장치측 단자 각각은 상기 제 3 장치측 단자에 이웃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제 1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제 2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 는 단자와 각각 접촉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의 단락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복수의 제 3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각각 접촉한다.
제 4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형태로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갖는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다. 상기 단자 각각은 외주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상기 제 2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상기 제 2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다른 일부분과 접한다. 상기 제 3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 1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따른 인쇄재 수용체에 따르면, 제 3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는 제 1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그 결과, 제 3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는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보다 단락되기 쉽다. 따라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 사이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일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일부분 사이도 단락되어, 이상이 검출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제 2 단자와 제 1 단자 사이의 단락에 기인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복수의 제 1 단자,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군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제 2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제 3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 중에서 하나의 열의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군은 상기 단자측 단자에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한 방향에서 그들 사이에 상기 제 1 단자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대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군은 상기 장치측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 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의 적어도 일부분과 적어도 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는, 복수의 제 1 장치측 단자와, 복수의 제 2 장치측 단자와, 복수의 제 3 장치측 단자를 포함한 장치측 단자군을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측 단자군 내의 단자들은 배열되어 제 1 열과 제 2 열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 2 장치측 단자는 상기 제 1 열의 각 단부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 3 장치측 단자는 제 2 열의 각 단부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2 장치측 단자의 가각은 상기 제 3 장치측 단자 중 어느 한 단자에 인접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군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에 각각 접촉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2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에 각각 접촉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3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에 각각 접촉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한 단자군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 각각은 외주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상기 제 2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접하고, 상기 제 1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상기 제 2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과 접한다. 상기 제 3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 1 단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는 제 2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에 따른 기판은 제 1 디바이스와 단자군을 포함하되, 상기 단자군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상기 인쇄재 수용체 상에 장착된 각각의 제 2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이고,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단자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인쇄재 수용체에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열 중 하나의 열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를 구비한 인쇄 장치에 접속가능한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에 따른 기판은 복수의 제 1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군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는 제 1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는 제 2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단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단자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제 3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접촉부는 1 또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촉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열 중 하나의 열의 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내지 제 11 형태에 관한 기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형태에 관한 인쇄재 수용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내지 제 11 형태에 관한 기판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형태에 관한 인쇄재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또는 다른 목적, 특징, 형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주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측면에 따른 이점은, 단자간의 단락에 기인하는 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갖는 인쇄재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에 근거해 설명한다.
A. 실시예
인쇄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인쇄 장치(1000)는 부주사 공급 기구와, 주주사 공급 기구와, 헤드 구동 기구를 갖고 있다. 부주사 공급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종이 공급 모터를 동력으로 하는 종이 공급 롤러(10)를 이용하여 인쇄 용지(P)를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한다. 주주사 공급 기구는 캐리지 모터(2)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 벨트에 접속된 캐리지(3)를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헤드 구동 기구는 캐리지(3)에 장착된 인쇄 헤드(5)를 구동하여 잉크의 토출 및 도트 형성을 실행한다. 또한, 인쇄 장치(1000)는 상술한 여러 기구를 제어하는 주제어 회로(40)를 구비하고 있다. 주제어 회로(40)는 플렉서블 케이블(37)을 거쳐 캐리지(3)와 접속되어 있다.
캐리지(3)는 홀더(4)와, 상술한 인쇄 헤드(5)와, 후술하는 캐리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4)는 후술하는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게 설계하고, 인쇄 헤드(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홀더(4)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하고, 예컨대,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종류의 잉크 카트리지가 하나씩 장착된다. 홀더(4)에는,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마다 4개의 개폐 가능한 커버(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인쇄 헤드(5)의 상면에는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헤드(5)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침(6)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관한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잉크 카 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잉크 카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홀더(4)에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잉크를 수용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덮개(102)와, 기판(200)과, 센서(10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1)의 저면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홀더(4)에 장착되었을 때, 상술한 잉크 공급 침(6)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FR)의 상단에는 돌출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의 전면(FR)의 중앙의 아래쪽에는, 상하 리브(107, 106)에 의해 둘러싼 오목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5)에는 상술한 기판(200)이 끼워져 있다. 센서(104)는 기판(200)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센서(1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의 검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a는 기판(200)의 표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표면은 기판(200)이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었을 때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면이다. 도 3b는 기판(200)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기판(200)의 상단부에는, 보스 홈(201)이 형성되고, 기판(200)의 하단부에는, 보스 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이 하우징(101)의 오목부(105)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스 홈(201) 및 보스 구멍(202)에는, 오목부(105)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108, 109)가 감합한다. 보스(108, 109)의 선단부는 찌부러뜨려, 코킹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200)은 오목부(105)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는 모양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1)는 회동 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 계되어 있다. 커버(11)를 위쪽으로 회전 이동시켜 열린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00)를 홀더(4)에 장착하면, 잉크 카트리지(100)의 돌출부(103)는 커버(11)의 돌기(14)에 받아들여진다. 이 상태로부터 커버(11)를 닫으면, 돌기(14)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잉크 카트리지(100)는 하방(도 4에서의 Z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커버(11)가 완전히 닫히면, 커버(11)의 갈고리부(18)와 홀더(4)의 갈고리부(16)가 결합된다. 커버(11)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탄성 부재(20)에 의해 홀더(4)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또한, 커버(11)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잉크 공급구(110)에, 잉크 공급 침(6)이 삽입되어,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는, 잉크 공급 침(6)을 거쳐 인쇄 장치(1000)에 공급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는 도 4 및 도 5에서의 Z축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삽입됨으로써, 홀더(4)에 장착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의 Z축의 정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이라고도 한다.
도 3으로 되돌아가, 기판(200)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도 3a에서의 화살표 R은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은 이면에 메모리(203)를 구비하고, 전면에 9개의 단자(210 내지 290)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203)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자(210 내지 29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인 열을 2열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열 중 삽입 방향 R쪽, 즉, 도 3a에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열을 아래쪽 열이라 하고, 삽입 방향 R의 반대쪽, 즉, 도 3a에서의 위쪽에 위치하는 열을 위쪽 열이라 한다. 위쪽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자는, 도 3a 중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접지 단자(220), 전원 단자(230),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로 구성된다. 아래쪽 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자는 도 3a 중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리셋 단자(260), 클럭 단자(270), 데이터 단자(280),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로 구성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210 내지 290)는 그 중앙부에 후술하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 중 대응하는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CP)를 포함하고 있다.
위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40)와,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50 내지 290)는 서로의 단자 중심이 삽입 방향 R에 나란하지 않도록 번갈아 배치되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위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40)의 각 접촉부(CP)와,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50 내지 290)의 각 접촉부(CP)도, 마찬가지로, 번갈아 배치되어,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는 2개의 다른 단자(리셋 단자(26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서로 이웃하고 있지만, 그 중 단락 검출을 위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2개의 다른 단자(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데이터 단자(280))와 이웃하고 있지 만, 그 중 단락 검출에 이용되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가장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CP)간의 관계에 대하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는 2개의 다른 단자(리셋 단자(26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각 접촉부(CP)와 이웃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2개의 다른 단자(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데이터 단자(280))의 각 접촉부(CP)와 이웃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아래쪽 열의 양 단부, 즉 아래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래쪽 열은 위쪽 열보다 단자수가 많고, 아래쪽 열의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의 길이는 위쪽 열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포함하는 모든 단자(210 내지 290) 중,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보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CP)간의 관계에 대하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단자의 접촉부(CP)에 의해 형성되는 아래쪽 열의 양 단부, 즉, 아래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접촉부(CP)는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포함하는 모든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 중에서,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보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3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위쪽 열의 양 단부, 즉, 위쪽 열의 가장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접촉부(CP)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접촉부(CP)도, 마찬가지로, 각 단자의 접촉부(CP)에 의해 형성되는 위쪽 열의 양 단부, 즉,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203)에 접속되는 단자(220, 230, 260, 270, 280)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양측에서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200)은 삽입 방향 R의 약 12.8㎜의 폭,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약 10.1㎜의 폭, 약 0.71㎜의 두께를 갖는다. 각 단자(210 내지 290)는 삽입 방향 R의 약 1.8㎜의 폭,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약 1.05㎜의 폭을 갖는다. 여기에 주어진 치수값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예컨대, ±0.5㎜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또한, 주어진 열(아래쪽 열 또는 위쪽 열)에서 서로 인접하는 각 단자의 간격, 예컨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의 간격 K는, 1㎜이다. 단자의 간격에 대해서, 예컨대, ±0.5㎜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위쪽 열과 아래쪽 열과의 간격 J는 약 0.2㎜이다. 열(列)간 간격값에 관해서도, 예컨대, ±0.3㎜ 정도의 편차가 있어도 좋다.
기판(200)의 단자(210 내지 29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가 홀더(4)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4)에 배치된 접점 기구(400) 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접점 기구(400)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접점 기구(4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접점 기구(400)에는, 기판(200)의 각 단자(210 내지 290)에 대응하도록, 거의 일정한 피치로 깊이가 다른 두 종류의 복수의 슬릿(401, 402)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401, 402)에는, 도전성과 탄성을 구비한 접점 형성 부재(403, 404)가 감입되어 있다.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양 단부 중, 홀더(4)의 안쪽에 노출되는 단부는 기판(200)의 단자(210 내지 290) 중 대응하는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도 6a에는, 접점 형성 부재(403, 404)에 있어서의,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은 인쇄 장치(1000)와 단자(210 내지 29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장치측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하, 단자(210 내지 290)와 접촉하는 부분(410 내지 490)은,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라고 부른다. 홀더(4)에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는, 각각, 상술한 각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도 3a)에 접촉된다.
한편,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양 단부 중 홀더(4)의 바깥쪽에 노출되는 단부는 캐리지 회로(500)에 마련된 단자(510 내지 590) 중 대응하는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잉크 카트리지(100)와 인쇄 장치(1000)의 전기적 구성을 잉크 카트리지(100)와 관련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를 중심으로 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우선, 잉크 카트리지(10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 접지 단자(220), 전원 단자(230), 리셋 단자(260), 클록 단자(270), 데이터 단자(280)는 메모리(2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203)는, 예컨대, 직렬로 액세스되는 메모리 셀(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행하는 EEPROM이다. 접지 단자(220)는 인쇄 장치(1000) 쪽의 단자(520)를 거쳐 접지되어 있다. 리셋 단자(26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캐리지 회로(500)로부터 메모리(203)에 리셋 신호 RST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클록 단자(27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캐리지 회로(500)로부터 메모리(203)에 클럭 신호 CLK를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데이터 단자(280)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캐리지 회로(500)와 메모리(203)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 SDA를 수수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접지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접지 단자(220)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각각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10, 5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후술하는 카트리지 검출 및 단락 검출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104)에는 압전 소자가 이용된다. 압전 소자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여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전 소자를 진동시켜, 그 잔류 진동의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의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진동 주파수는 압전 소자와 함께 진동하는 주위의 구조체(예컨대, 하우징(101) 및 잉크)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낸다. 고유 주파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잔존하는 잉크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판(200)의 단자 중에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센서(104)로서의 압전 소자의 한쪽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는 다른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이들 단자는 센서 구동 전압이나 센서(10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캐리지 회로(500)와 센서(104) 간에 주고 받기 위해 이용된다.
캐리지 회로(500)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와, 센서 구동 회로(503)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상술한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30, 560, 570, 580)와 접속되고, 잉크 카트리지(100)의 메모리(203)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실행하는 회로이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 및 메모리(203)는 비교적 낮은 전압(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약 3.3V)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저전압 회로이다.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주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90, 550)와 접속되고, 이들 단자(590, 5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압을 제어하여 센서(104)를 구동하고, 센서(104)로 하여금 잉크 잔량을 검출시키는 회로이다. 구동 전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고, 비교적 높은 전압(예컨대, 약 36V)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센서 구동 회로(503) 및 센서(104)는 단자(590, 550)를 거쳐 비교적 높은 전압을 이용하는 고전압 회로이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예컨대, 로직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메모리 제어 회로(501)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낮은 전압(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약 3.3V)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저전압 회로이다.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검출 회로(5021)와 제 2 검출 회로(5022)를 구비한다. 제 1 검출 회로(5021)는 상술한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10)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검출 회로(5021)는 단자(510)와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3)의 접촉 유무를 검출하는 카트리지 검출 기능과, 단자(510)와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는 단자(550, 590)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검출 회로(5021)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저항(R2, R3)의 일단에 기준 전압 V-ref1을 인가하고, 타단을 접지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포인트 P1과 포인트 P2의 전위를 각각 V-ref1, V-ref2로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V_ref1을 단락 검출 전압이라 하고, V-ref2를 카트리지 검출 전압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락 검출 전압 V-ref1을 6.5V, 카트리지 검출 전압 V-ref2를 2.5V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의 값은 회로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은 제 1 연산 증폭기(OP1)의 부입력핀에 입력되고, 카트리지 검출 전압 V-ref2(2.5V)는 제 2 연산 증폭기(OP2)의 부입력핀에 입력된다. 단자(510)의 전위는, 제 1 연산 증폭기(OP1)와 제 2 연산 증폭기(OP2)의 정입력핀에 입력된다. 이들 2개의 연산 증폭기는 부입력핀에 입력된 전위보다 정입력핀에 입력된 전위가 높은 경우에,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부입력핀에 입력된 전위보다 정입력핀에 입력된 전위가 낮은 경우에,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10)는 트랜지스터(TR1)를 거쳐, 3.3V의 전원인 VDD 3.3과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510)가 해방시, 예컨대, 단자(510)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는, 단자(510)의 전위는 약 3V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면, 단자(510)가 상술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촉한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단락)되는 경우, 단자(510)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촉하면(이하, 접촉 시라고 함), 단자(510)는 접지되어 있는 단자(520)와 도통하고, 단자(510)의 전위는 0V로 떨어진다.
따라서, 단자(510)의 해방 시에는, 제 2 연산 증폭기(OP2)로부터의 하이 신호가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로서 출력된다. 단자(510)의 접촉 시에는, 제 2 연산 증폭기(OP2)로부터의 로우 신호가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로서 출력된다.
한편, 단자(510)가 인접하는 단자(550)와 단락되어 있으면, 단자(510)에는, 센서 구동용 전압(최대 45V)이 인가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락에 의해, 단자(510)에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연산 증폭기(OP1)로부터 하이 신호가 AND 회로(AA)에 출력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ND 회로(AA)의 다른쪽의 입력핀에는, 주제어 회로(40)로부터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검출 회로(5021)는,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으로서 입력되어 있는 기간만, 제 1 연산 증폭기(OP1)로부터의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신호 AB1로서 출력한다. 즉, 제 1 검출 회로(5021)의 단락 검출 기능은 주제어 회로(40)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에 의해 제어된다. AND 회로(AA)로부터의 단락 검출 신호 AB1은 주제어 회로(40)에 출력됨과 아울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핀에, 저항(R1)을 거쳐 출력된다. 그 결과, 단락 검출 시(단락 검출 신호 AB1이 하이일 때)에는, 단자(510)를 거쳐, 전원 VDD 3.3에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트랜지스터(TR1)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제 2 검출 회로(5022)는 단자(540)와 기판(200)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3)와의 접촉의 유무를 검출하는 접촉 검출 기능과, 단자(540)와 고전압이 출력될 수 있는 단자(550, 590)와의 단락을 검출하는 단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다. 제 2 검출 회로(5022)는 제 1 검출 회로(502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자세한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 2 검출 회로(5022)로부터 출력되는 카트리지 검출 신호를 CS2, 단락 검출 신호를 AB2라고 한다.
이상으로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대응하는 캐리지 회로(500)의 구성을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술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위치마다 4개 구비되어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하나뿐이지만, 전환 스위치에 의해, 4개의 장착 위치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00)의 각 센서(104)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시는 생략). 메모리 제어 회로(501)는 하나의 회로로 4개의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처리를 담당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중앙 연산 장치(CPU),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구비하는 주지의 컴퓨터이다. 주제어 회로(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전체를 제어하지만, 도 8에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 요소만을 선택적으로 도시하고, 이하, 도시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카트리지 판정부(M50)와 잉크 잔량 판정부(M60)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수신한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 CS2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를 제어하고, 후술하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제어 회로(40)의 카트리지 판정부(M50)가 실행하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판(200)에 있어서의 3종류의 단자 배선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에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기판(200)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상술한 기판(200)에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지 단자(220)의 배선 패턴에 의해, 3개의 종류가 있다. 이들 3개의 종류를 각각 Type A, Type B, Type C라고 한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A의 기판(200)은 접지 단자(220)가 도통선(207)에 의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지 단자(220)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B의 기판(200)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양쪽이 접지 단자(220)와 도통선(20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ype C의 기판(200)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지 단자(220)가 도통선(20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에는, 예컨대, 잉크의 종류나 잉크의 양에 의해 미리 결정할 수 있었던 종류의 기판(20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잉크량에 따라, 잉크량이 많은 L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A의 기판(200)이 배치되고, 잉크량이 표준인 M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B의 기판(200)이 배치되며, 잉크량이 적은 S 사이즈의 카트리지에는, Type C의 기판(200)이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주제어 회로(40)의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 및 CS2를, 홀더(4)의 4개의 장착 위치마다, 항상 수신하고 있고,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장착 위치마다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하는 장착 위치(이하, 선택 장착 위치라고 함)에 대하여 카트리지 판정 처리를 시작하면, 먼저,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부터의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로우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2). 계속해서,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서의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로우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4 또는 S106). 그 결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모두 로우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예, 또한 단계 S104: 예)에는,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상술한 Type B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한다(단계 S108).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로우 신호이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하이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예, 또한 단계 S104: 아니오)에는, 상술한 Type A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하고(단계 S110),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이 하이 신호이며,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로우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또한 단계 S106: 예)에는, 상술한 Type C의 기판(200)을 구비하는 카트리지라고 판단한다(단계 S112).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1과 카트리지 검출 신호 CS2가 모두 하이 신호인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또한 단계 S104: 아니오)에는,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선택 장착 위치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단계 S114). 이와 같이 하여, 카트리지 판정부(M50)는 4개의 장착 위치의 각각에 대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의 종류 및 장착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잉크 잔량 검출 처리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실행하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잉크 잔량 검출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 실행 중에서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 및 센서 전압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홀더(4) 중 어느 장착 위치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00)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는 경우, 우선, 모든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대한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설정한다(단계 S202). 그 결과, 모든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서 단락 검출 기능이 실행되고, 상술한 단자(510) 및 단자(540)에 단락 검출 전압 V-ref1(6.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하이 신호를 단락 검출 신호 AB1, AB2로서 출력 가능한 상태로 된다. 환언하면,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한 상태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의 단자(550) 또는 단자(590)로의 단락을 감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에 지시하여, 단자(550) 또는 단자(590)로부터의 구동 전압을 센서(104)에 출력시켜 잉크 잔량을 검출시킨다(단계 S204).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센서 구동 회로(503)가 잉크 잔량 판정부(M60)의 지시 신호를 받으면, 단자(550) 및 단자(590)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구동 전압을 출력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의 센서(104)로서의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충전하고, 역압전 효과에 의해 압전 소자를 휘어지게 한다. 그 후, 센서 구동 회로(503)는 인가한 전압을 저하시키고, 압전 소자에 충전한 전하를 방전시켜, 압전 소자를 진동시킨다. 구동 전압은, 도 12에서, 기간 T1에서의 전압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전압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압은 기준 전압으로부터 최대 전압 Vs까지의 사이에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그리도록 변동한다. 최대 전압 Vs는 비교적 높은 전압(예컨대, 약 36V)으로 설정되어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압전 소자의 진동의 결과, 압전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도 12에서, 기간 T2에서의 전압으로서 도시되어 있음)을, 단자(550) 또는 단자(590)를 거쳐 검출하고, 그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한다. 즉, 이 진동 주파수는 압전 소자와 함께 진동하는 주위의 구조체(하우징(101) 또는 잉크)의 고유 진동수를 나타내고, 잉크 카트리지(100)에 잔존하는 잉크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구동 회로(503)는 검출 결과를 주제어 회로(40)의 잉크 잔량 판정부(M60)로 출력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센서 구동 회로(503)로부터 그 검출 결과를 수신하면, 단계 S202에서 하이 신호로 이미 설정한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로우 신호로 되돌려(단계 S2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본 처리에서는, 잉크 잔량을 검출하고 있는 동안은,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하이 신호로 설정하여 단락 검출 가능 한 상태로 하고 있는 상태이다. 환언하면, 단락의 발생을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감시하면서, 잉크 잔량을 검출하고 있다.
단락 검출 시의 처리
잉크 잔량의 검출(단계 S204)을 실행하는 중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단락 검출 신호 AB1 또는 AB2로서, 하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예컨대, 단락이 검출되고 있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는, 단락 검출 시의 인터럽트 처리 루틴의 흐름도가 또한 나타나 있다. 단자(510) 또는 단자(540)는,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고 있으면, 센서 구동 전압이 그 단락되어 있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에 인가된다. 그렇게 하면,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하이 신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센서 구동 전압이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하이 신호가 단락 검출 신호 AB1, AB2로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출력된다.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이 단락 검출 신호 AB1, AB2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면, 잉크 잔량의 검출을 중단하고, 단락 검출 시의 인터럽트 처리를 실행한다.
인터럽트 처리가 시작되면,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즉시, 센서 구동 회로(503)에 지시하여,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을 차단한다(단계 S208).
다음에, 잉크 잔량 판정부(M60)는 잉크 잔량 검출을 최후까지 실행하지 않고,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을 로우 신호로 되돌려(단계 S2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주제어 회로(40)는, 예컨대, 사용자에게 단락의 발생을 통지하는 등의 대응 처리를 취할 수 있다.
도 12a는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가,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지 않아, 잉크 잔량 검출 처리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경우의 센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c는 단자(510) 또는 단자(540)가, 단자(550, 590)의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단자와 단락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센서 전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잔량 검출 처리의 실행 중에는, 단락 검출 허가 신호 EN이 하이 신호로 되어 있다.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 시(단락 없음)에는, 센서(104)에는 고전압 Vs이 인가된 후에, 인가된 전압이 저하되고, 그 후에 압전 효과에 의한 진동 전압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Vs는 36V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정상(단락) 시에는, 센서 전압은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저하한다. 이것은, 센서 전압이 단락 검출 전압 V_ref1(6.5V)을 초과한 순간에, 하이 신호가 단락 검출 신호 AB1 또는 AB2로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로부터 잉크 잔량 판정부(M60)로 출력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잉크 잔량 판정부(M60)가 센서 구동 전압을 즉시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도 13은 단락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50, 590)에 의해 다른 단자가 단락하는 시나리오로서 생각 되는 것은, 예컨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의 기판(200)에 도전성 잉크 액적(S1) 또는 응축에 의해 발생한 수적(水滴)(S2)이 부착되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기판(200)의 다른 단자와 브리지되어 단락하는 경우이다. 예컨대, 캐리지(3)의 저면이나 잉크 공급 침(6)에 부착되어 있던 잉크 액적(S1)이 잉크 카트리지(100)의 탈착 동작에 의해 비산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예컨대,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5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잉크 액적(S1)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브리지되어 있는 단자(도 13: 단자(210, 220, 260))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의 다른 단자(510, 520, 560)와 단락된다. 또는, 센서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단자(59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수적(S2)에 의해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브리지되어 있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13)를 거쳐, 캐리지 회로(500)의 다른 단자(540)와 단락한다. 이러한 단락은 잉크 액적이나 수적의 부착에 기인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형태가 생각된다. 예컨대, 단락은 전도성 물체, 예컨대, 카트리지(3)의 종이 클립을 트랩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단락은 예컨대, 단자에 전도 물질, 예컨대, 사용자의 유지가 부착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단자군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자의 수 가 적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단락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이웃하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단락하면, 상술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단락이 검출된다. 예컨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쪽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S1)에 의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을 즉시 검출할 수 있고,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이 차단되어,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메모리 제어 회로(501)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이웃함과 아울러,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단락 검출에 더해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상술한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유무 및 잉크 카트리지(100)의 종류의 판정에도 이용된다. 그 결과, 기판(200)의 단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기판(200)의 제작 공정의 삭감이나, 기판(200)의 부품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단락되면,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단락이 검출된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쪽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S1)에 의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즉시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단자이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다른 단자(220, 230, 260 내지 270)를 사이에 두도록, 단자군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 쪽으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질(잉크 액적(S1), 수적(S2) 등)이 단자군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220, 230, 260 내지 270)까지 침입하기 전에, 그 침입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침입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삽입 방향 R쪽의 열(아래쪽 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고전압을 포함하는 센서 구동 전 압이 인가되는 단자(250, 290)는 삽입 방향의 반대쪽이 되기 때문에,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예컨대, 클립)이 이들 단자(250, 290)의 위치까지 침입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이물질의 침입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기판(200)의 단자군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장착 동작의 도중에서, 잉크 카트리지(100)의 단자와, 인쇄 장치(1000)의 단자(상술한 접점 형성 부재(403, 404))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B. 변형예
도 14a 내지 도 16b을 참조하여,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는 기판(20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1 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2 도이다. 도 16a 및 도 16b은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3 도이다.
제 1 변형예
도 14a에 나타내는 기판(200b)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하단부에,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연장부는 아래쪽 열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리셋 단자(2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도 14a에 나타내는 잉크 액적(S3)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도 14a의 예에서는, 리셋 단자(260))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b)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상술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과의 단락에 대해서도 보다 확실히 검출된다.
제 2 변형예:
도 14b에 나타내는 기판(200c)은 상술한 기판(200b)의 구성에 더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상단 쪽에,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도 14b에 나타내는 잉크 액적(S4)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연장부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c)의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도 상술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고,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배치된 쪽의 단부부터의 잉크 액적의 침입도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도 14c에 나타내는 기판(200d)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다르다. 도 10a에 나타내는 Type A의 기판(200)의 경우,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에 의해, 접촉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다(접지 단자(220)와 단락되어 있지 않기 때문). 따라서, Type A의 기판(200)의 경우,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단락 검출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더라도,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대하여,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가장 가까이에 이웃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또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쪽에의 잉크 액적의 침입도, 어느 정도는 검출된다. 도 14c에서, 기호 CP는,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와 접촉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40)에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의 접촉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없는 경우더라도, 잉크 액적(S5)에 의해,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 와, 캐리지 회로(500)의 단자(540)에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의 단락이 발생하면, 잉크 액적(S5)의 침입이 검출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Type C의 기판(200)의 경우,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생략될 수 있다.
제 4 변형예
도 14d에 나타내는 기판(200e) 상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서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까지 이르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더라도, 도 14d에서 접촉 위치를 기호 C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200e)의 경우에는, 상술한 기판(200c)과 같이, 예컨대, 잉크 액적(S6)이 부착된 경우더라도,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연장부 사이의 단락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 사이에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된다.
기판(200e)의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상술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290)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제 5 변형예
도 15a에 나타내는 기판(200f)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에 상당하는 단자로서, 이들 2개의 단자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체 단자(215)를 갖고 있다. 이러한 기판(200f)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단락되어 있는 Type A 및 Type B의 기판(200)(도 10)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기판(200f)에서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서는 필요했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기판(200)의 제조 공정수 및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6 변형예
도 15b에 나타내는 기판(200g)에서, 위쪽 열의 단자(210 내지 240)는, 각각, 상술한 기판(200b)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단자(210 내지 240) 각각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대응하는 단자의 하단부에,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기판(200g)의 아래 쪽 열의 단자(250 내지 290)는, 각각, 상술한 기판(200c)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단자(250 내지 290) 각각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대응하는 단자의 상단부에, 위쪽 열의 상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그 결과, 기판(200g)의 단자(210 내지 290)는 위쪽 열과 아래쪽 열의 2열로 나눠 배치되어 있기보다는, 대략 주걱 형상의 단자가 번갈아 배치된 일렬의 단자군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고전압의 센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1열의 단자군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안쪽에, 각각,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모양이 된다.
기판(200g)에서는, 양 단부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 등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를 단락시킨 시점에서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다른 단자와 잉크 액적 등에 의해 단락되는 경우,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의 단락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확실히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또는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다른 단자의 단락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메모리 제어 회로(501)나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502))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7 변형예
도 15c에 나타내는 기판(200h)에서, 단자(210 내지 290)는 상술한 기판(200e)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같이,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2열에 상당하는 거리에 걸쳐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단자더라도, 도 15c에서 접촉 위치를 기호 C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대응하는 접점 형성 부재(403)와 접촉할 수 있다.
기판(200h)에서, 단자(210 내지 290)는, 상술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로, 삽입 방향 R과 대략 수직 방향으로 하나의 단자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로, 고전압의 센서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하나의 단자열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및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안쪽에, 각각,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기판(200h)은 상술한 기판(200g)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 8 변형예
도 16a에 나타내는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에 비해, 도면에서의 왼쪽에 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좌단부로부터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장부는 아래쪽 열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이러한 연장부는 단자군의 중앙으로부터 삽입 방향 R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이격된 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자 전체를 보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보다 바깥쪽(왼쪽)에 위치하고 있지만, 단자의 접촉부(CP)의 관점으로부터 보면,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는 전체 단자(210 내지 290)의 접촉부(CP) 중에서, 가장 바깥쪽(좌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접촉부(CP)와 이웃하는 접촉부(CP)를 포함하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의 단락이 검출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단부로부터의 잉크 액적의 침입을 즉시 검출하고,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회로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연장부를 갖고 있는 것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 중,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부분(제 1 부분이라 함)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도 16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 중, 리셋 단자(260)와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제 2 부분의 길이보다, 제 1 부분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예컨 대, 리셋 단자(260))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기판(200p)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보다 더 긴 연장부를 갖고 있다.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p)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좌/상으로부터 우/하까지 연장하고 있다. 그 결과,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외주 가장자리와 이웃하는 제 1 부분이 더 길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하고 있는 경우에,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16d에 나타내는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기판(200i) 및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보다 더 긴 연장부를 갖고 있다. 도 1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q)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좌/상으로부터 아래를 통해 우/상에까지 연장하고 있다. 즉,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기판(200q)의 제 1 부분의 길이는 기판(200i 및 200p)의 제 1 부분의 길이보 다 길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 센서 구동 전압이 차단되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00i, 200p, 200q)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일부분이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일부분과 이웃하게 배치된 방향을 증가시키고 있다. 기판(200i) 주위에서,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왼쪽 가장자리에, 잉크 카트리지(100)의 측면 가장자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웃하고,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위쪽 가장자리에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웃하고 있다. 한편, 기판(200p)에서는, 상기 2 방향에 부가하여,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연장부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우측 가장자리에 이웃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판(200q)에서는, 모든 방향에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이웃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일부분과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의 일부분이 이웃하는 방향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이외의 단자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에 연장부를 마련함으로써,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이웃하는 방향을 증가시켜, 보다 높은 확률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 200p, 200q)에서는, 왼쪽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만이 상술한 연장부를 갖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함께, 또는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대신에, 우측의 제 2 단락 검출 단자(240)가 상술한 연장부를 갖는 구조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도,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i, 200p, 200q)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9 변형예
도 16b에 나타내는 기판(200j)은, 제 5 변형예에서 상술한 기판(200f)과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접지 단자(220)가 하나의 부재로 일체 형성된 일체 단자(215)를 갖고 있다. 기판(200j)의 일체 단자(215)는 상술한 기판(200f)의 일체 단자(215)와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200j)의 일체 단자(215)는, 제 8 변형예에서 상술한 기판(200i)의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와 마찬가지로, 왼쪽에 긴 형상과, 좌단부로부터 아래쪽 열의 하단부 부근에 이르는 연장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판의 제조 공정수 및 부품수를 저감하면서, 제 8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200i)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모든 단자가 기판(200)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모든 단자가 기판(200) 상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예컨대, 단자의 일부를 잉크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1) 상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하, 그 구체예를 도 17a 내지 도 18d을 참조하여,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에서 설명한다. 도 17a 내지도 17d은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기판을 중심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에서의 A-A 단면 내지 D-D 단면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0 변형예
도 17a에 나타내는 기판(200k)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이 구비하는 9개의 단자(210 내지 290) 중 7개의 단자(210 내지 240, 260 내지 28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200k)은 실시예에 따른 기판(200)이 구비하는 9개의 단자(210 내지 290) 중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 대한 기판(200k)은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를 구비하고 있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절결부(NT1) 또는 절결부(NT2)가 마련된다. 절결부의 형상은, 도 17a에서, 실선 NT1로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좋고, 파선 NT2로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좋다. 실시예 에 대한 기판(200)에 있어서의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단자(150) 및 단자(190)는 기판(200k)의 뒤편에 위치하는 하우징(101)에 배치되어 있다. 당연하지만, 이들 단자(150) 및 단자(190)는 홀더(4)에 잉크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50, 490)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a에는, 도 17a에서의 A-A 단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50) 및 인접하는 단자(260, 210)(도 18a에는, 리셋 단자(260)가 표시되어 있음) 사이에는, 기판(200k)의 절결부(NT1)와 단자(150) 사이의 갭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DE)가 배치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단자(190) 및 인접하는 단자(280, 240)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오목부가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실시예에 대한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에 더해서,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단부로부터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면, 단자(150) 및 단자(190)의 주위에 배치된 오목부에 트랩되기 때문에, 침입한 잉크 액적이나 이물질에 의해, 단자(150) 및 단자(1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을 더욱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1 변형예
도 17b에 나타내는 기판(200m)은 제 10 변형예에 대한 절결부(NT1) 또는 절결부(NT2) 대신에, 실시예에 따른 기판(200)에 있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공(HL)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d에는, 도 17b에 나타낸 B-B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11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0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단자(150, 190) 및 인접하는 단자 사이에 오목부(DE)가 배치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는 제 10 변형예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12 변형예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판에서는, 모든 단자가 메모리(203) 또는 센서(104)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기판은 어느 장치에도 접속되지 않은 더미 단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러한 유형의 기판의 구체예를, 도 19a 내지 도 19d를 참조하여, 제 12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변형예에 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4 도이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마찬가지로, 4개의 단자로 형성되는 위쪽 열과, 5개의 단자로부터 형성되는 아래쪽 열을 구비하고 있다. 위쪽 열 및 아래쪽 열을 형성하는 단자(210 내지 290)의 배치나 기능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도 3)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은 위쪽 열과 아래쪽 열 사이와, 아래쪽 열의 아래쪽(삽입 방향 쪽) 더미 단자(DT)를 구비하고 있다. 더미 단자(DT)는, 예컨대, 다른 단자(210 내지 290)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9a에서의 더미 단자(DT)를 포함하는 E-E 단면이 도 19c에 나타내어져 있다. 더미 단자(DT)의 두께는 다른 단자(210 내지 290)와 거의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더미 단자(DT)는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또는 탈착 시에, 접점 형성 부재(403)에 부착된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모으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00)의 장착 또는 탈착시에, 접점 형성 부재(403)가 접촉해야 할 단자(예컨대, 도 19c에서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접점 형성 부재(403)와 단자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9a에 나타내는 기판(200r)에서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사이에, 더미 단자(DT)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이웃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더미 단자(DT)는 메모리(203)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인쇄 장치(1000) 쪽의 단자(510 내지 590)와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더미 단자(DT)가 단락되어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200r)에서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기판(200r)에서, 엄밀히 말해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가 이웃하지 않더라도, 단자(단자(220, 230, 260 내지 280))가 배치되어 있지 않고,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 사이의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제 1 센서 구동 단자(250)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는, 실질적으로는, 이웃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가 잉크 액적(S1)이나 수적(S2)에 의해 다른 단자와 단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제 1 단락 검출 단자(210)도 단락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센서 구동 전압의 출력이 차단되어, 이러한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203) 및 인쇄 장치(1000)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3 변형예
실시예 및 변형예에 대한 기판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하지만,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장착되어도 좋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대하여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장착할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는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 상에 구비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대하여 장착되기 위한 형태를 갖고 있다.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대형 프린터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대형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는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와 비교하여 대형이다.
잉크 카트리지(100b)는 잉크를 수용하는 하우징(1001)과, 기판(200)을 장착하는 기판 장착부(1050)와, 하우징으로부터의 잉크를 프린터에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구(1020)와, 잉크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1001) 내에 공기를 보내주기 위한 공기 공급구(1030)와, 프린터 내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부(1040)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외부 치수는 가이드부(1040) 등이 형성되어 있는 변(폭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변(깊이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보다 긴 외형 크기를 갖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깊이 치수와 기판(200)의 폭 치수와의 관계를, 양자의 비로 나타낸 경우, 예컨대, 그 비는 15:1 이상이다.
기판(200)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스 홈(201) 및 보스 구멍(202)에서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잉크 카트리지(100b)의 기판 장착부(105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b)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는, 잉크 카트리지(100b)의 가이드부(1040)가 프린터측의 가이드핀(2040)을 안내하고, 기판 장착부(1050), 잉크 공급구(1020) 및 공기 공급구(1030)는, 프린터 쪽의 접촉 핀(2050), 잉크 공급구(2020) 및 공기 공급구(2030)와 적절히 접촉, 접합시킨다. 잉크 카트리지(100b)의 삽입 방향은 도 21에서 화살표 R로 표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의 삽입 방향은,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변형예에 대한 오프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의 잉크 카트리지(100b)에서도,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와 다른 단자의 단락에 기인하는 메모리 및 인쇄 장치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14 변형예
도 2에 나타내는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형상은 일례이다.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 캐리지" 타입의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다른 형상을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제 14 변형예로서 설명한다. 도 22는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1 도이다. 도 23은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2 도이다. 도 24는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제 3 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는 하우징(101b)과 기판(200)과 센서(104b)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1b)의 저면에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로,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잉크 공급 침이 삽입되는 잉크 공급구(110b)가 마련된다. 기판(20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1b)의 전면(Y축의 부 방향 쪽의 면)의 아래쪽(Z축의 정 방향 쪽)에 탑재되어 있다. 기판(200)의 구성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과 동일하다. 센서(104b)는, 하우징(101b)의 측벽에 매설되고, 잉크 잔량의 검출에 이용된다. 하우징(101)의 전면의 위쪽에는,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홀더(4b)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120b)가 마련된다. 후크(120b)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00b)는 홀더(4b)에 고정된다. 잉크 카트리지(100b)를 홀더(4b)에 장착할 때의 삽입 방향은 도 22에서 화살표 R로 나타내는 방향(Z축의 정 방향)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 지(100)와 마찬가지이다.
하우징(101b)은 기판(200)에 근접한 하우징(101b)의 측면(X축 방향 쪽)에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내지 PO4)가 마련된다.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내지 PO4)는 잉크 카트리지(100b)가 홀더(4b)에 장착되었을 때에, 홀더(4b)의 측벽의 대응하는 부분에 근접 또는 접촉한다. 이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100b)가 홀더(4b)에서의 옳은 장착 위치로부터 X축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O1, PO2)는 기판(200)의 위쪽에 위치하고, 잉크 카트리지(100b)의 위쪽이 잉크 공급구(110b)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는 기판(200)에 있어서의 단자군(210 내지 290)(도 3)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단자군(210 내지 290)을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와 정확히 접촉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의 전기적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의 전기적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4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b)에 따르면, 실시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00)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에 더해서,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잉크 카트리지(100b)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01 내지 P04)를 구비하기 때문에, 홀더에 장착되었을 때의 장착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는 기판(200)에서의 단자군(210 내지 290)의 양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410 내지 490)에 대한 단자군(210 내지 290)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해진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200)에서,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단자군(210 내지 290)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고, 즉,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위치 어긋남 방지부(PO3, PO4)에 가장 근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센서 구동용 단자(250) 및 제 2 센서 구동용 단자(290)는 다른 단자와 잘못하여 접촉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200) 대신에, 도 14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기판(200b 내지 200s) 중 하나가 도 22 내지 24에 나타내는 잉크 카트리지(100b)에 탑재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도 17(c), 도 17(d) 및 도 18(c),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에 있어서의 오목부, 즉, 단자(150, 190)와 기판 사이에, 다공체(PO)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150, 190)와 다른 단자와의 단락의 원인으로 되기 쉬운, 잉크 액적이나 수적의 수분을, 다공체(PO)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0 변형예 및 제 11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는, 복수의 장치로서, 센서(104)(압 전 소자)와, 메모리(203)가 탑재되어 있지만, 복수의 장치는 센서(104) 및 메모리(203)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센서(104)는 잉크 카트리지(100) 내의 잉크에 전압을 인가하여, 그 저항치를 측정함으로써, 잉크의 특성이나 양을 검출하는 타입의 센서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장치 중, 센서(104)는 하우징(101)에, 메모리(203)는 기판(200)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복수의 장치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메모리(203)는 기판(200)과는 별개로 되어, 하우징(101)에 배치되어도 좋다. 복수의 장치는 단일 기판 상에 배치되어도 좋고, 단일 모듈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기판 또는 모듈은 하우징(101)에 배치되어도 좋고, 기판(200)에 배치되어도 좋다. 적어도 복수의 장치 중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의 단자를 상술한 단자(250, 290)의 위치에 배치하여,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의 단자를, 상술한 단자(220, 230, 260 내지 280)의 위치에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장치에 접속된 단자와,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장치에 접속된 단자 사이의 단락에 기인하는, 잉크 카트리지(100) 또는 인쇄 장치(1000)의 손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모리(203)용의 5개의 단자(220, 230, 260 내지 280)와, 센서(104)용의 2개의 단자(250, 290)가 사용되지만, 이들의 단자수는 디바이스의 사양에 의해 달라도 좋다. 예컨대,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디바이스에 접속된 단자는 1개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그 1개의 단자는 상술한 단자(250, 290)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00)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지만, 잉크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인쇄재, 예컨대, 토너가 수용된 수용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인쇄 장치에서의 주제어 회로(40)나 캐리지 회로(500)의 구성과 관련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는 소프트웨어로 치환되어도 좋고, 역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치환하여도 좋다.
실시예, 변형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다른 인쇄재 수용체와 기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 및 특허 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잉크 카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잉크 카트리지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a 및 도 6b는 접점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잉크 카트리지와 인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카트리지 검출/단락 검출 회로를 중심으로 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카트리지 판정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기판에 있어서의 3종류의 단자 배선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잉크 잔량 검출 처리의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잉크 잔량 검출 처리 실행 중에 있어서의 단락 검출 허가 신호 및 센서 전압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단락의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변형예에 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1 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변형예에 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2 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변형예에 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3 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변형예에 관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기판을 중심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d는 도 17에 있어서의 A-A선 단면 내지 D-D선 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19a 내지 도 19d는 변형예에 관한 기판을 예시하는 제 4 도,
도 20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장착할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 1 도,
도 23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 2 도,
도 24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 3 도이다.

Claims (85)

KR1020097007206A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Expired - Fee RelatedKR101030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JPJP-P-2005-3720282005-12-26
JP20053720282005-12-26
JPJP-P-2006-2207512006-08-11
JP2006220751AJP4144637B2 (ja)2005-12-262006-08-11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PCT/JP2006/325448WO2007077747A1 (en)2005-12-262006-12-14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board mounted on printing material contai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7018870ADivisionKR101039182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57100A KR20090057100A (ko)2009-06-03
KR101030894B1true KR101030894B1 (ko)2011-04-22

Family

ID=377589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7018870AActiveKR101039182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KR1020097007207AExpired - Fee RelatedKR101023273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KR1020087018372AActiveKR100899492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KR1020097007206AExpired - Fee RelatedKR101030894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7018870AActiveKR101039182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KR1020097007207AExpired - Fee RelatedKR101023273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KR1020087018372AActiveKR100899492B1 (ko)2005-12-262006-12-14인쇄재 수용체 및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Country Status (32)

CountryLink
US (18)US7562958B2 (ko)
EP (11)EP4063132B1 (ko)
JP (1)JP4144637B2 (ko)
KR (4)KR101039182B1 (ko)
CN (5)CN101712239B (ko)
AR (5)AR058636A1 (ko)
AT (1)ATE499214T1 (ko)
AU (2)AU2009213080A1 (ko)
BR (3)BRPI0622252A2 (ko)
CA (6)CA2676243A1 (ko)
CL (4)CL2009001777A1 (ko)
DE (11)DE102006062972C5 (ko)
DK (6)DK1800872T4 (ko)
EG (1)EG25747A (ko)
ES (9)ES2326246B1 (ko)
FR (2)FR2900866B1 (ko)
GB (6)GB2465293C (ko)
HR (3)HRP20090052B1 (ko)
IL (1)IL180236A (ko)
IT (1)ITTO20060921A1 (ko)
MA (1)MA30254B1 (ko)
MX (1)MXPA06015251A (ko)
MY (5)MY149476A (ko)
NO (2)NO344189B1 (ko)
NZ (5)NZ564406A (ko)
PL (7)PL2277707T3 (ko)
PT (5)PT2082882E (ko)
RU (4)RU2472625C2 (ko)
SG (4)SG153843A1 (ko)
TW (5)TWI395671B (ko)
WO (1)WO2007077747A1 (ko)
ZA (1)ZA200806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6025578A1 (ja)*2004-09-012006-03-09Seiko Epson Corporation印刷材収容体
KR100765762B1 (ko)*2005-10-152007-10-15삼성전자주식회사하이브리드 화상형성장치
JP4144637B2 (ja)2005-12-262008-09-03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UA91582C2 (ru)2005-12-262010-08-10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контейнер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и плата,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в контейнере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JP4488237B2 (ja)*2006-02-222010-06-23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コネクタ
TWI341494B (en)*2007-02-072011-05-01Mstar Semiconductor IncLabel paper with rfid function and rfid tag writing apparatus
CN101885272B (zh)*2007-03-282012-01-04兄弟工业株式会社墨盒
DE102007021545B4 (de)*2007-05-082011-07-28Polysius AG, 59269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ichten von Aufgabegut und Mahlanlage
JP5151372B2 (ja)*2007-10-012013-02-27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制御方法
US7758138B2 (en)*2007-10-012010-07-20Seiko Epson CorporationLiquid je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onfigured to reduce effects of electrical fluctuations
JP5151841B2 (ja)*2007-10-012013-02-27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制御方法
GB0720139D0 (en)*2007-10-122007-11-28Videojet Technologies IncInk jet printing
USD712465S1 (en)2007-10-122014-09-02Videojet Technologies Inc.Ink cartridge
USD602521S1 (en)*2008-03-052009-10-20Canon Kabushiki KaishaInk cartridge for printer
USD602076S1 (en)*2008-03-052009-10-13Canon Kabushiki KaishaInk cartridge for printer
JP5206506B2 (ja)*2008-03-132013-06-1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装着装置、基板、液体情報を変更する方法
JP5083250B2 (ja)*2008-03-132012-11-2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容器、基板、液体情報を変更する方法
TWI385077B (zh)*2008-06-022013-02-11Microjet Technology Co Ltd供墨容器之退出機構及其所適用之列印機構
WO2009151436A1 (en)*2008-06-082009-12-17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Fluid cartridge having feature to clear bracket riser surfaces
JPWO2010004742A1 (ja)*2008-07-112011-12-2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容器、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102089152A (zh)*2008-07-112011-06-08精工爱普生株式会社液体容器、液体喷射装置以及液体喷射系统
JP2010083111A (ja)*2008-10-022010-04-15Riso Kagaku Corp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及び着脱制御方法
CN101885270B (zh)*2009-05-132012-09-05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一种喷墨打印机上的适配器及与之配套使用的墨盒
CN201511595U (zh)*2009-05-132010-06-23肖彪一种喷墨打印机上的适配器及与之配套使用的墨盒
US8540347B2 (en)*2009-05-152013-09-24Seiko Epson CorporationRecording material delivery system for recording material-consuming apparatus; circuit board; structural body; and ink cartridge
AU2014202105B2 (en)*2009-05-152016-02-25Seiko Epson CorporationRecording material supply system, circuit board, structure, and ink cartridge for recording material consumption device
JP2011011482A (ja)*2009-07-032011-01-20Brother Industries Ltd液体供給装置
JP5521605B2 (ja)*2010-02-122014-06-1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端子間接続構造、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収容容器の組立方法
JP5521604B2 (ja)*2010-02-122014-06-1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端子間接続構造、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収容容器の組立方法
DE112010005580A5 (de)2010-05-202013-03-21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Druckmaterialbehälter und Kontaktvorrichtung
SG10201504616TA (en)2010-06-112015-07-30Ricoh Co LtdInformation storage device, removable device,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720148B2 (ja)2010-09-032015-05-20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材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JP5874160B2 (ja)2010-09-032016-03-0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収容容器を着脱可能なホルダー
US8764172B2 (en)2010-09-032014-07-01Seiko Epson CorporationPrinting apparatus, printing material cartridge, adaptor for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circuit board
JP5776385B2 (ja)*2010-09-032015-09-0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JP5630157B2 (ja)2010-09-032014-11-26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JP5750849B2 (ja)*2010-09-032015-07-2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アダプターセット
JP5541029B2 (ja)*2010-09-162014-07-0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印刷材カートリッジ、回路基板およびアダプター
JP5541030B2 (ja)*2010-09-162014-07-0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印刷材カートリッジ、回路基板およびアダプター
US8602540B2 (en)2010-09-302013-12-10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449055B2 (en)2010-09-302013-05-28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JP5703666B2 (ja)*2010-09-302015-04-22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8496309B2 (en)2010-09-302013-07-30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residual amount of ink in ink cartridge
JP5817445B2 (ja)2010-11-192015-11-1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
GB201021458D0 (en)*2010-12-172011-02-02Tf3 LtdHair styling device
US8596771B2 (en)*2011-03-302013-12-03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Printing-liquid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382044B2 (ja)2011-03-312014-01-08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記録装置
JP5760701B2 (ja)*2011-05-302015-08-1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US9108423B2 (en)*2011-05-312015-08-18Funai Electric Co., Ltd.Consumable supply item with fluid sensing for micro-fluid applications
JP5810643B2 (ja)*2011-06-062015-11-11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JP5853436B2 (ja)*2011-06-232016-02-0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DE102011052211B8 (de)2011-07-272025-07-31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Flüssigkeitsbehälter und Bildaufzeichnungsvorrichtung
US8801161B2 (en)2011-07-272014-08-12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Liquid cartridge, image recording device, and substrate
EP2551115B1 (en)2011-07-272014-09-10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Liquid cartridge and image recording device
CN102896902B (zh)*2011-07-282015-04-01兄弟工业株式会社液体盒和图像记录装置
JP5866867B2 (ja)*2011-08-242016-02-24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66865B2 (ja)*2011-08-242016-02-24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61313B2 (ja)2011-08-242016-02-16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US8678553B2 (en)*2011-09-092014-03-25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Recording apparatus and printing fluid cartridge set
JP5884408B2 (ja)*2011-10-282016-03-15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用回路基板
CN103085486B (zh)*2011-11-022015-11-25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电路基板、成像盒、成像装置及电路基板的供电方法
JP5915094B2 (ja)*2011-11-042016-05-11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US8708745B2 (en)2011-11-072014-04-29Apple Inc.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US8857956B2 (en)2011-12-062014-10-14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Cartridges and recording apparatuses
TWI491242B (zh)*2011-12-082015-07-01Cal Comp Electronics & Comm Co掃描裝置
JP2013129138A (ja)*2011-12-222013-07-04Brother Industries Ltd回路基板及び液体供給ユニット
JP5929169B2 (ja)2011-12-222016-06-0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JP5929168B2 (ja)*2011-12-222016-06-0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US8708469B2 (en)2012-01-122014-04-29Seiko Epson Corporation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8297739B1 (en)2012-03-022012-10-30Seiko Epson Corporation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GB2499105B (en)*2012-01-122014-09-17Seiko Epson Corp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CN103204005B (zh)2012-01-122016-12-28精工爱普生株式会社盒以及印刷材料供应系统
CN103204006B (zh)2012-01-122017-04-26精工爱普生株式会社印刷装置、以及印刷材料供应系统
RU2016139114A (ru)2012-01-122018-12-13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Картридж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ечат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JP5862319B2 (ja)*2012-01-232016-02-16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装置及び印刷装置
JP5998494B2 (ja)*2012-02-012016-09-2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印刷材収容体及び印刷装置
JP5998495B2 (ja)*2012-02-012016-09-2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印刷材収容体及び印刷装置
JP6010956B2 (ja)*2012-03-232016-10-1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印刷材収容体及び印刷装置
DE102012103021A1 (de)2012-04-052013-10-10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Druckmaterialbehälter oder Adapter zur Aufnahme und/oder Kontaktierung eines Druckmaterialbehälters in einem Aufzeichnungsgerät
JP6019697B2 (ja)2012-04-192016-11-02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刷流体収容装置及び印刷流体供給装置
US20150224781A1 (en)2012-09-142015-08-13Funai Electric Co., Ltd.Cartridge ejector for page-wide, micro-fluid ejection heads
DE102013113039A1 (de)2012-11-262014-05-28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Druckmaterialbehälter oder Adapter zur Aufnahme und/oder Kontaktierung eines Druckmaterialbehälters in einem Aufzeichnungsgerät
JP6142519B2 (ja)*2012-12-142017-06-07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刷流体供給装置及び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CN103101317B (zh)*2012-12-172015-09-30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一种用于打印机上的墨盒芯片及包含该芯片的墨盒
CN106313902B (zh)*2013-05-222017-11-21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墨盒芯片短路检测方法、芯片和墨盒
JP5960345B2 (ja)*2013-09-182016-08-02キヤノン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CN103600587B (zh)*2013-11-252015-12-16珠海诚威电子有限公司一种打印机墨盒及其芯片
CN103753962B (zh)*2013-12-262016-06-22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一种成像盒、成像盒芯片及其短路规避方法
CN103802483B (zh)*2013-12-262016-08-31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一种墨盒、墨盒芯片及芯片短路检测方法
JP6286214B2 (ja)*2014-01-272018-02-28前田 剛志インク収納容器
JP2015205437A (ja)2014-04-182015-11-19船井電機株式会社プリンタ
DE202014004040U1 (de)2014-05-132014-05-223T Supplies AgVerbrauchsmaterialkassette mit Kontaktanordnung
CN104441982A (zh)*2014-11-102015-03-25中山铭祺电子科技有限公司一种用于再生打印耗材的通用芯片及通信验证方法
CN104442010B (zh)*2014-12-012016-06-22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修复芯片、墨盒、打印机及修复芯片连接稳定性检测方法
JP6424704B2 (ja)2015-03-272018-11-2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液体カートリッジ
JP6435957B2 (ja)2015-03-272018-12-12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液体カートリッジ
JP6413881B2 (ja)2015-03-272018-10-3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液体カートリッジ
JP6447299B2 (ja)2015-03-272019-01-09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液体カートリッジ
JP6447300B2 (ja)*2015-03-272019-01-09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液体カートリッジ
JP2016203403A (ja)*2015-04-162016-12-0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印刷材収容体および印刷装置
CN104842662B (zh)*2015-05-222017-01-04杭州旗捷科技有限公司打印设备、打印材料容器及其芯片、前两者的电连接结构
DE102015009612A1 (de)2015-07-242017-01-26Kmp Printtechnik AgDruckmaterialpatrone sowie Drucker mit einer solchen Druckmaterialpatrone
DE102015010677A1 (de)*2015-08-122017-02-16Kmp Printtechnik AgDruckmaterialpatrone sowie Drucker mit einer solchen Druckmaterialpatrone
EP3187338A1 (de)2015-10-192017-07-05Peco Print GmbHDruckmaterialbehälter und platine
ES2856760T3 (es)2015-11-102021-09-28Artech Gmbh Design Production In PlasticContenedor de material de impresión con detección de cortocircuito
JP6711922B2 (ja)*2015-12-142020-06-17珠海納思達企業管理有限公司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チップ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JP6651856B2 (ja)*2016-01-082020-02-1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消費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10252536B2 (en)*2016-02-262019-04-09Seiko Epson CorporationRecording apparatus
JP6836113B2 (ja)*2016-02-262021-02-24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記録装置
CN105564039B (zh)*2016-03-072017-11-03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墨盒芯片和墨盒
WO2017171814A1 (en)*2016-03-312017-10-05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Print cartridge installation region
CN108770350B (zh)*2016-05-122021-04-16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用于增材制造中构建材料识别的数据单元
JP2018015984A (ja)*2016-07-282018-02-01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記録装置
CN107718888B (zh)*2016-08-122019-10-18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墨盒及喷墨打印机
JP6930104B2 (ja)2016-12-282021-09-0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CN206471573U (zh)*2017-01-172017-09-05富誉电子科技(淮安)有限公司电连接器
JP2018174281A (ja)*2017-03-312018-11-08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回路基板、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記憶装置
WO2018222194A1 (en)*2017-06-012018-12-06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Printhead carriages with mechanical protectors
EP3444118A1 (de)*2017-08-142019-02-20Artech GmbH design + production in plasticPlatine für eine druckerpatrone; druckerpatrone und drucksystem
CN115246270B (zh)*2017-10-122024-03-12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芯片及墨盒
JP7401432B2 (ja)2017-12-012023-12-19エンコーデッド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操作されたdna結合タンパク質
WO2020013844A1 (en)*2018-07-132020-01-16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Fluid supplies
JP2020023109A (ja)*2018-08-072020-02-13キヤノン株式会社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AU2019351761B2 (en)2018-10-032022-03-10Memjet Technology LimitedPrint module having pivotable printhead carrier
EP3687797A1 (en)2018-12-032020-08-05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CN113168446A (zh)2018-12-032021-07-23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逻辑电路系统封装
US11366913B2 (en)2018-12-032022-06-2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ES2848998T3 (es)2018-12-032021-08-13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Circuitos lógicos
AU2018452257B2 (en)2018-12-032022-12-0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PL3688636T3 (pl)2018-12-032023-09-1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Zespół układów logicznych
KR20210087502A (ko)2018-12-032021-07-12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로직 회로
WO2021080607A1 (en)2019-10-252021-04-29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package
US11338586B2 (en)2018-12-032022-05-24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CN113165391A (zh)2018-12-032021-07-23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逻辑电路
US10894423B2 (en)2018-12-032021-01-19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CN110202942B (zh)*2019-07-052020-08-28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成像盒及应用于成像盒上的芯片
EP4031997A1 (en)2020-04-302022-07-27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Logic circuitry package for print apparatus
CN113968081A (zh)2020-07-232022-01-25杭州旗捷科技有限公司电路板及其制备方法、电路器件及其制备方法、打印材料容器组件
US11607887B2 (en)*2020-07-302023-03-21Keyence CorporationInkjet recording device and cartridge
CN112067976B (zh)*2020-09-182024-12-17无锡翼盟电子科技有限公司一种用于打印设备耗材芯片防止高压击穿电路
EP4237861A1 (en)*2020-10-302023-09-06CepheidDiagnostic assay system with replaceable processing modules and remote monitoring
CN215970705U (zh)*2021-07-192022-03-08浙江鼎旗微电子科技有限公司耗材芯片以及具有其的耗材盒
JP2023077587A (ja)*2021-11-252023-06-06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貯蔵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7176609B2 (ja)*2021-12-282022-11-2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基板
US11535038B1 (en)2021-12-282022-12-27Seiko Epson CorporationBoard, liquid accommodation container, and printing system
US11922241B1 (en)*2023-03-132024-03-05Ricoh Company, Ltd.Printer calibration mechanism
US12293242B2 (en)2023-09-282025-05-06Ricoh Company, Ltd.Printer calibration mechanism
CN118376901B (zh)*2024-04-032024-12-10江苏思创智能技术有限公司一种电子信息工程用电路板测试平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0412459A2 (en)*1989-08-051991-02-13Canon Kabushiki Kaisha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or the apparatus
EP1219437A2 (en)*2000-12-262002-07-03Seiko Epson CorporationTerminals for circuit board
US20030137568A1 (en)1999-07-142003-07-24Seiko Epson CorporationInk cartridge, ink-jet type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nk cartridge change control method in the apparatus
US20040155913A1 (en)2002-08-122004-08-12Yasuhiko KosugiContainer for printing material and detector used for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DE2148519A1 (de)1971-09-291973-04-05Ottensener Eisenwerk Gmbh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waermen und boerdeln von ronden
US4739352A (en)*1983-09-091988-04-19Itek Graphix Corp.Electronic control of imaging system
US4683481A (en)*1985-12-061987-07-28Hewlett-Packard CompanyThermal ink jet common-slotted ink feed printhead
JP2594912B2 (ja)1986-02-121997-03-26キヤノン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記録装置
JPH01289948A (ja)*1988-05-171989-11-21Minolta Camera Co Ltdフィルム容器
JPH029645A (ja)1988-06-281990-01-12Nec Home Electron Ltdサーマルラインプリンタ
DE69024237T2 (de)1989-01-281996-05-15Canon KkTintenstrahlvorrichtung und Tintenstrahlkopf
JP2933347B2 (ja)1989-03-201999-08-09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インクジェット印刷ヘッド
US5049898A (en)*1989-03-201991-09-17Hewlett-Packard CompanyPrinthead having memory element
JP2925209B2 (ja)1990-01-161999-07-28富士通株式会社サーマルプリンタの制御方式
JPH05246032A (ja)*1992-03-051993-09-24Canon Inc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該記録ヘッドを搭載した記録装置
US5278584A (en)*1992-04-021994-01-11Hewlett-Packard CompanyInk delivery system for an inkjet printhead
US5648806A (en)1992-04-021997-07-15Hewlett-Packard CompanyStable substrate structure for a wide swath nozzle array in a high resolution inkjet printer
US5644660A (en)*1992-04-091997-07-01Picturetel Corpor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forced updates in a moving picture codec
JP2839995B2 (ja)1992-10-141998-12-24キヤノン株式会社記録装置
US5381099A (en)1993-03-021995-01-10Unisys CorporationStreak detection for ink-jet printer with obnically connected segment pairs
JPH06320818A (ja)1993-05-131994-11-22Mitsubishi Electric Corpプリンタ装置
JPH0752411A (ja)1993-08-171995-02-28Ricoh Co Ltd記録装置
JPH0760954A (ja)*1993-08-301995-03-07Canon Inc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7309018A (ja)1994-05-191995-11-28Brother Ind Ltd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37336B2 (ja)1994-07-292003-08-18キヤノン株式会社印字装置
US5610635A (en)1994-08-091997-03-11Encad, Inc.Printer ink cartridge with memory storage capacity
US5646660A (en)1994-08-091997-07-08Encad, Inc.Printer ink cartridge with drive logic integrated circuit
AU3241795A (en)*1994-08-091996-03-07Encad, Inc.Printer ink cartridge
US5699091A (en)1994-12-221997-12-16Hewlett-Packard Company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US6065824A (en)1994-12-222000-05-23Hewlett-Packard Company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replaceable ink container
US5646600A (en)1995-01-121997-07-08General Electric CompanyInstrument for detecting potential future failures of valves in critical control systems
JPH08221158A (ja)1995-02-201996-08-30Tokimec Inc電源回路
US6130695A (en)*1995-04-272000-10-10Hewlett-Packard CompanyInk delivery system adapter
US6017118A (en)1995-04-272000-01-25Hewlett-Packard CompanyHigh performance ink container with efficient construction
US5940095A (en)*1995-09-271999-08-17Lexmark International, Inc.Ink jet print head identification circuit with serial out, dynamic shift registers
US5710582A (en)*1995-12-071998-01-20Xerox CorporationHybrid ink jet printer
DE69635869T2 (de)1995-12-252006-10-26Seiko Epson Corp.Tintenstrahlaufzeichnungsapparat für tintenpatrone
US6730300B2 (en)*1996-03-202004-05-04Immunomedics, Inc.Humanization of an anti-carcinoembryonic antigen anti-idiotype antibody and use as a tumor vaccine and for targeting applications
US5751311A (en)1996-03-291998-05-12Xerox CorporationHybrid ink jet printer with alignment of scanning printheads to pagewidth printbar
US6164743A (en)1996-04-172000-12-26Hewlett-Packard CompanyInk container with an inductive ink level sense
US5736997A (en)1996-04-291998-04-07Lexmark International, Inc.Thermal ink jet printhead driver overcurrent protection scheme
US5930553A (en)1997-04-251999-07-27Hewlett-Packard CompanyImage forming and office automation device consumable with memory
US6074042A (en)1997-06-042000-06-13Hewlett-Packard Company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WO1998004414A1 (en)1996-07-301998-02-05Philips Electronics N.V.Printing device
FR2751916B1 (fr)*1996-08-022000-11-17Seiko Epson CorpCartouche d'encres et appareil d'impression
JP3646431B2 (ja)1996-09-132005-05-11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印字装置
US5788388A (en)*1997-01-211998-08-04Hewlett-Packard CompanyInk jet cartridge with ink level detection
US6168262B1 (en)1997-01-302001-01-02Hewlett-Packard CompanyElectrical interconnect for replaceable ink containers
US6151039A (en)*1997-06-042000-11-21Hewlett-Packard CompanyInk level estimation using drop count and ink level sense
ES2257507T3 (es)1997-06-042006-08-01Hewlett-Packard CompanyAdaptador para sistema de alimentacion de tinta.
US6585359B1 (en)1997-06-042003-07-0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Ink container providing pressurized ink with ink level sensor
US6183056B1 (en)1997-10-282001-02-06Hewlett-Packard CompanyThermal inkjet printhead and printer energ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290333B1 (en)1997-10-282001-09-18Hewlett-Packard CompanyMultiple power interconnect arrangement for inkjet printhead
US6536871B1 (en)1997-11-052003-03-25Hewlett-Packard CompanyReliable flex circuit interconnect on inkjet print cartridge
JPH11312554A (ja)1998-04-281999-11-09Canon Inc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接続構造、ユニット制御装置ならびにユニット装置
US6039428A (en)1998-05-132000-03-21Hewlett-Packard CompanyMethod for improving ink jet printer reliability in the presence of ink shorts
EP2179848A1 (en)*1998-05-182010-04-28Seiko Epson Corporation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therefor
JP3945015B2 (ja)1998-05-192007-07-18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の接点構造
US6161915A (en)*1998-06-192000-12-19Lexmark International, IncIdentification of thermal inkjet printer cartridges
US6155664A (en)*1998-06-192000-12-05Lexmark International, Inc.Off-carrier inkjet print supply with memory
JP2000006413A (ja)1998-06-232000-01-11Canon Inc記録装置
US6431678B2 (en)*1998-09-012002-08-13Hewlett-Packard CompanyInk leakage detecting apparatus
US6280017B1 (en)*1998-10-272001-08-28Canon Kabushiki KaishaRecording apparatus
JP2000198190A (ja)1998-10-272000-07-18Canon Inc記録装置、及びカ―トリッジ搭載部材への電気基板の取付方法
MY138350A (en)1998-11-022009-05-29Seiko Epson CorpInk cartridge and printer using the same
JP4314702B2 (ja)1998-11-262009-08-1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書込方法およびプリンタ
EP1013426B1 (en)*1998-12-142007-12-19Eastman Kodak CompanyShort detection for ink jet printhead
US6318828B1 (en)1999-02-192001-11-20Hewlett-Packard Company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ing operations of an inkjet printhead
US6705694B1 (en)1999-02-192004-03-16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High performance printing system and protocol
US6435668B1 (en)1999-02-192002-08-20Hewlett-Packard CompanyWarm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n inkjet printhead
US6799820B1 (en)1999-05-202004-10-05Seiko Epson CorporationLiquid container having a liquid detecting device
JP3804401B2 (ja)1999-05-202006-08-0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液体消費検出方法および記録装置制御方法
WO2001026115A1 (fr)1999-10-042001-04-12Seiko Epson CorporationCircuit integre a semi-conducteur, cartouche d'encre comprenant ce circuit integre a semi-conducteur,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a jet d'encre monte avec cette cartouche d'encre
US6155678A (en)*1999-10-062000-12-05Lexmark International, Inc.Replaceable ink cartridge for ink jet pen
US6260942B1 (en)*1999-10-222001-07-17Lexmark International, Inc.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protective tape on a printer cartridge
EP1273555B1 (en)*1999-12-172004-06-09Ishihara Sangyo Kaisha, Ltd.Titanium dioxide pig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100439106C (zh)2000-01-212008-12-03精工爱普生株式会社打印装置用墨盒及喷墨式打印装置
US6658880B1 (en)2000-02-042003-12-09S.F.T. Services SaMethod and device for depolluting combustion gases
US6431670B1 (en)2000-02-142002-08-13Hewlett-Packard CompanyInk level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39616B1 (ko)2000-05-182004-07-12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설치 구조체, 모듈체, 및 액체 용기
MY127696A (en)2000-05-182006-12-29Seiko Epson Corp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sumption of ink
JP4081963B2 (ja)2000-06-302008-04-30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記憶装置および記憶装置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EP1300245B1 (en)*2000-07-072010-04-14Seiko Epson CorporationLiquid container, ink-jet recording apparatus,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liquid consump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US6454405B1 (en)2000-07-122002-09-24Fusion Uv Systems, Inc.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UV curable ink, coating or adhesive applied with an ink-jet applicator
JP2002079655A (ja)*2000-09-062002-03-19Canon Inc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154222A (ja)2000-11-172002-05-28Seiko Epson Corp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及び同装置の制御装置
US6648434B2 (en)2001-03-082003-11-18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Digitally compensated pressure ink level sense system and method
JP4123739B2 (ja)2001-06-192008-07-23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記録材容器の識別システムおよび識別方法
US6578940B2 (en)2001-07-252003-06-17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System for ink short protection
US7101021B2 (en)*2001-07-302006-09-05Seiko Epson CorporationConnection apparatus for circuit board,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IC chip and ink cartridge having IC chip
JP3975854B2 (ja)2001-07-302007-09-1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543452B1 (ko)*2003-04-182006-01-23삼성전자주식회사부분 프로그램에 따른 프로그램 디스터브를 방지할 수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JP3596871B2 (ja)2001-09-282004-12-02キヤノン株式会社液体収納容器
US6802602B2 (en)*2001-11-262004-10-12Seiko Epson CorporationInk cartridge and ink jet record apparatus using ink cartridge
US6554382B1 (en)2002-03-192003-04-29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Ink container electrical resistance ink level sens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k level information
JP3666491B2 (ja)*2002-03-292005-06-2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JP2003291367A (ja)2002-04-022003-10-14Sony Corp液体残量表示装置
JP2004050573A (ja)2002-07-182004-02-19Seiko Epson Corp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389531B1 (en)2002-08-122007-07-18Seiko Epson CorporationContainer for printing material, technique of detecting information on printing material in container, and technique of allowing fo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container and printing device
JP4539054B2 (ja)*2002-08-122010-09-0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材の収容容器およびその検出装置
JP2004090638A (ja)2002-08-122004-03-25Seiko Epson Corp印刷材の収容容器、収容容器において印刷材に関する検出を行なう装置および収容容器と印刷装置との間で情報をやりとりする方法
JP3624950B2 (ja)2002-11-262005-03-0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
GB2402368B (en)2002-11-262005-06-08Seiko Epson Corp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EP1593941A4 (en)*2003-02-072007-05-16Seiko Epson Corp CONTAINERS FOR CONSUMPTION PROPERTIES WITH THE ABILITY TO MEASURE THE REMAINDER OF CONSUMPTION OBJECTS
JP3945410B2 (ja)2003-02-072007-07-18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消耗品の残存量を計測可能な消耗品容器
US6719397B1 (en)2003-02-072004-04-13International United Technology Co., Ltd.Ink jet printhead identification circuit and method
US7571973B2 (en)2003-03-222009-08-1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Monitoring fluid short conditions for fluid-ejection devices
JP2004310312A (ja)2003-04-042004-11-04Ricoh Co Ltd電子装置
DE10324366A1 (de)2003-05-272004-12-16Feldbinder & Beckmann Fahrzeugbau Gmbh & Co Kg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ormteiles, sowie Formteil, insbesondere ein Behälterboden
CN100413687C (zh)*2003-06-262008-08-27精工爱普生株式会社可测量消耗品剩余量的消耗品容器
US7452062B2 (en)*2003-07-182008-11-18Seiko Epson CorporationLiquid container with structure for controlling leaked liquid
JP4596757B2 (ja)2003-08-052010-12-15キヤノン株式会社記録ヘッド試験装置
US7101029B2 (en)2003-10-312006-09-05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Interconnect circuit
US7137690B2 (en)2003-10-312006-11-21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Interconnect circuit
US7032994B2 (en)2003-10-312006-04-25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Interconnect circuit
US7278722B2 (en)*2003-11-252007-10-09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Ink cartridge
JP2005161764A (ja)2003-12-042005-06-23Canon Inc回路基板及び該回路基板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MXPA04012681A (es)2003-12-262005-07-01Canon KkRecipiente para liquido y sistema de suministro de liquido.
US7163274B2 (en)2003-12-292007-01-16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Inkjet dispensing apparatus
US7237864B2 (en)*2004-02-062007-07-03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Fluid ejection device identification
JP4470525B2 (ja)2004-03-022010-06-02ソニー株式会社容器識別装置及び容器識別機能を有する液体吐出装置
JP4497989B2 (ja)2004-04-092010-07-07キヤノン株式会社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
CN100496980C (zh)2004-06-022009-06-10佳能株式会社头基板、记录头、头盒及记录装置
JP2005343037A (ja)2004-06-032005-12-15Canon Inc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SE528373C2 (sv)2004-08-252006-10-31Smarttrust AbFörfarande och system för apparathantering
WO2006025575A1 (ja)2004-09-012006-03-09Seiko Epson Corporation印刷装置
JP3948470B2 (ja)*2004-09-012007-07-25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回路基板の端子
WO2006025578A1 (ja)*2004-09-012006-03-09Seiko Epson Corporation印刷材収容体
JP4506384B2 (ja)2004-09-282010-07-21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パターン形成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6181717A (ja)2004-12-242006-07-13Canon Inc液体収納容器、該容器を用いる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記録装置、前記容器用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基板、並びに液体収納カートリッジ
JP2006220751A (ja)2005-02-082006-08-24Sharp Corpプロジェクタ
JP4710582B2 (ja)2005-12-122011-06-2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インクカートリッジ
TW200700243A (en)2005-03-312007-01-01Seiko Epson CorpLiquid container and circuit board for liquid container
JP2006326935A (ja)2005-05-242006-12-07Star Micronics Co Ltdプリンタの保護装置
UA91582C2 (ru)2005-12-262010-08-10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контейнер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и плата,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в контейнере с материалом для печати
JP4144637B2 (ja)*2005-12-262008-09-03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材収容体、基板、印刷装置および印刷材収容体を準備する方法
US8540347B2 (en)*2009-05-152013-09-24Seiko Epson CorporationRecording material delivery system for recording material-consuming apparatus; circuit board; structural body; and ink cartridge
JP5750849B2 (ja)*2010-09-032015-07-22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アダプターセット
JP5776385B2 (ja)*2010-09-032015-09-09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印刷装置
JP6402507B2 (ja)*2014-06-252018-10-10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流体噴射装置
DE102019118351A1 (de)2019-07-082021-01-14Kiekert AktiengesellschaftAufstel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0412459A2 (en)*1989-08-051991-02-13Canon Kabushiki Kaisha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for the apparatus
US20030137568A1 (en)1999-07-142003-07-24Seiko Epson CorporationInk cartridge, ink-jet type prin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nk cartridge change control method in the apparatus
EP1219437A2 (en)*2000-12-262002-07-03Seiko Epson CorporationTerminals for circuit board
US20040155913A1 (en)2002-08-122004-08-12Yasuhiko KosugiContainer for printing material and detector used fo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GB2456854B (en)2010-04-14
BRPI0620599A2 (pt)2010-07-06
DE102006062972C5 (de)2020-01-09
RU2401205C2 (ru)2010-10-10
GB2433473C2 (en)2015-05-13
NZ586422A (en)2010-09-30
GB2465293C (en)2015-07-01
GB2454331A (en)2009-05-06
ES2435965T3 (es)2013-12-26
IL180236A (en)2011-08-31
NO20082573L (no)2008-09-26
DE102006062972B3 (de)2015-09-03
US20160271960A1 (en)2016-09-22
ES2326278T3 (es)2009-10-06
DK2295251T4 (da)2020-11-09
MY144386A (en)2011-09-15
CN102615987B (zh)2016-02-03
GB0625839D0 (en)2007-02-07
EP2277707B1 (en)2014-06-25
US20190329562A1 (en)2019-10-31
AU2009233643B2 (en)2012-11-22
CA2706902A1 (en)2007-06-26
BRPI0622252A2 (pt)2011-08-09
US9180675B2 (en)2015-11-10
US8794749B2 (en)2014-08-05
CA2882656A1 (en)2007-06-26
HRP20150053B1 (hr)2016-07-01
RU97088U1 (ru)2010-08-27
CN102615988A (zh)2012-08-01
KR101023273B1 (ko)2011-03-18
GB2447150A (en)2008-09-03
MXPA06015251A (es)2008-10-17
MY139023A (en)2009-08-28
CN102602155B (zh)2016-04-06
KR20080083346A (ko)2008-09-17
DE202006021195U1 (de)2013-08-08
EP1800872B2 (en)2014-11-12
US20140327722A1 (en)2014-11-06
DE102006063064B3 (de)2023-03-23
DK1800872T4 (en)2015-01-19
CA2571008C (en)2010-09-14
US20220176705A1 (en)2022-06-09
US20130258009A1 (en)2013-10-03
EP2277707A1 (en)2011-01-26
ES2967949T3 (es)2024-05-06
KR20090057100A (ko)2009-06-03
DK2295251T3 (da)2013-10-28
GB2465293A (en)2010-05-19
US9381750B2 (en)2016-07-05
DK2080622T3 (da)2011-04-04
EP2295251A1 (en)2011-03-16
AR069840A2 (es)2010-02-24
KR20080081078A (ko)2008-09-05
GB0819699D0 (en)2008-12-03
JP4144637B2 (ja)2008-09-03
TW201515855A (zh)2015-05-01
EP1800872B1 (en)2009-07-15
CL2009001777A1 (es)2010-02-19
JP2007196664A (ja)2007-08-09
HRP20090052B1 (hr)2015-01-02
EP2277707B2 (en)2022-06-15
CL2009001776A1 (es)2010-02-19
CN101712239A (zh)2010-05-26
ES2435965T5 (es)2021-05-13
US20090051746A1 (en)2009-02-26
AU2009213080A1 (en)2009-10-08
GB0922617D0 (en)2010-02-10
EP2789466B1 (en)2016-09-07
FR2900866B1 (fr)2015-09-04
EP2295251B1 (en)2013-08-21
AR069352A2 (es)2010-01-13
EP2295251B2 (en)2020-08-05
US11945231B2 (en)2024-04-02
ES2505332T5 (es)2022-10-05
CA2812003C (en)2015-05-19
US20150035917A1 (en)2015-02-05
EP2082882A1 (en)2009-07-29
GB0804841D0 (en)2008-04-16
ES2387759T3 (es)2012-10-01
GB0822539D0 (en)2009-01-14
GB2433473A (en)2007-06-27
NO344189B1 (no)2019-09-30
US9505226B2 (en)2016-11-29
FR2941168A1 (fr)2010-07-23
ES2326246B1 (es)2010-07-13
SG177987A1 (en)2012-02-28
US11667126B2 (en)2023-06-06
ZA200806197B (en)2014-03-26
PT2295251E (pt)2013-10-17
CN101712239B (zh)2014-10-15
GB0819698D0 (en)2008-12-03
HK1130737A1 (zh)2010-01-08
EP1800872A1 (en)2007-06-27
DK2177363T3 (da)2012-07-16
DE202006021031U1 (de)2012-05-21
DE202006020805U1 (de)2010-04-15
PL2177363T6 (pl)2015-06-30
US8382250B2 (en)2013-02-26
DE202006020730U1 (de)2009-11-19
US20230330996A1 (en)2023-10-19
ES2390062T3 (es)2012-11-06
NZ564406A (en)2009-05-31
TW201105515A (en)2011-02-16
DE602006007793D1 (de)2009-08-27
HRP20090052A2 (hr)2009-08-31
HK1124286A1 (zh)2009-07-10
US8366233B2 (en)2013-02-05
EG25747A (en)2012-06-24
PT1800872E (pt)2009-07-28
MY179838A (en)2020-11-17
ITTO20060921A1 (it)2007-06-27
AR058636A1 (es)2008-02-13
CN102615987A (zh)2012-08-01
EP4063132B1 (en)2023-09-20
GB2455209B8 (en)2010-04-07
EP2082882B1 (en)2012-06-20
HK1108864A1 (zh)2008-05-23
EP4063132A1 (en)2022-09-28
EP2789466B8 (en)2016-12-07
KR101039182B1 (ko)2011-06-03
US20170036450A1 (en)2017-02-09
PL1800872T3 (pl)2009-12-31
EP3744529A1 (en)2020-12-02
DE102006060705A1 (de)2007-06-28
US7484825B2 (en)2009-02-03
EP2080622B1 (en)2011-02-23
RU2008130897A (ru)2010-02-10
PL2789466T3 (pl)2017-02-28
ES2387759T7 (es)2014-11-27
TW201014712A (en)2010-04-16
TWI334829B (en)2010-12-21
US20120098901A1 (en)2012-04-26
DE102006060705B4 (de)2014-05-15
GB2433473C (en)2015-04-22
ES2914056T3 (es)2022-06-07
DE602006020360D1 (de)2011-04-07
SG133544A1 (en)2007-07-30
PT2082882E (pt)2012-07-27
GB2455209B (en)2009-10-14
SG153843A1 (en)2009-07-29
PT2177363E (pt)2012-07-06
HRP20150053A2 (hr)2015-04-24
CN101712238B (zh)2012-10-03
HK1133414A1 (en)2010-05-20
EP2789466A1 (en)2014-10-15
PL2277707T3 (pl)2014-10-31
CN102615988B (zh)2015-03-25
GB2465293B (en)2010-08-11
US8801163B2 (en)2014-08-12
ES2642134T3 (es)2017-11-15
US10625510B2 (en)2020-04-21
EP2177363B1 (en)2012-05-30
FR2900866A1 (fr)2007-11-16
NO20084283L (no)2008-09-26
CA2812003A1 (en)2007-06-26
DK2277707T3 (da)2014-08-11
NZ552094A (en)2008-04-30
US20130027483A1 (en)2013-01-31
RU2008134924A (ru)2010-03-10
DK1800872T3 (da)2009-08-31
DE602006007793C5 (de)2018-01-18
MY145688A (en)2012-03-15
PT2277707E (pt)2014-07-16
TW200829446A (en)2008-07-16
DE202006021227U1 (de)2013-11-06
US20160107448A1 (en)2016-04-21
TWI314902B (en)2009-09-21
NZ576068A (en)2010-04-30
CL2011001779A1 (es)2012-02-03
EP4272968A2 (en)2023-11-08
CA2882656C (en)2017-06-13
PL2082882T3 (pl)2012-12-31
TWI395671B (zh)2013-05-11
TW200736065A (en)2007-10-01
IL180236A0 (en)2007-05-15
RU2472625C2 (ru)2013-01-20
ES2326278T5 (es)2015-03-02
GB2447150B (en)2009-05-06
DK2082882T3 (da)2012-08-27
US8882513B1 (en)2014-11-11
HRP20080244A2 (en)2008-09-30
ES2326246A1 (es)2009-10-05
KR20090057101A (ko)2009-06-03
US20200324552A1 (en)2020-10-15
AR069353A2 (es)2010-01-13
AR077255A2 (es)2011-08-17
CA2571008A1 (en)2007-06-26
MY149476A (en)2013-08-30
TWI457245B (zh)2014-10-21
CA2676093C (en)2013-06-18
US20070149044A1 (en)2007-06-28
WO2007077747A1 (en)2007-07-12
US20080158318A1 (en)2008-07-03
HK1134918A1 (zh)2010-05-20
CL2011001780A1 (es)2012-02-24
KR100899492B1 (ko)2009-05-26
RU2012138471A (ru)2014-03-20
CN101712238A (zh)2010-05-26
US11279138B2 (en)2022-03-22
PL1800872T5 (pl)2016-03-31
US20140176651A1 (en)2014-06-26
EP2080622A1 (en)2009-07-22
CA2676093A1 (en)2007-06-26
GB2433473B (en)2008-08-13
EP2177363A1 (en)2010-04-21
EP2177363B3 (en)2014-08-13
CN102602155A (zh)2012-07-25
US8454116B2 (en)2013-06-04
DE202006020739U1 (de)2010-01-07
PL2295251T3 (pl)2013-12-31
AU2009233643A1 (en)2009-11-26
PL2080622T3 (pl)2011-07-29
US20210008891A1 (en)2021-01-14
BRPI0620599B1 (pt)2019-01-02
PL2177363T3 (pl)2012-10-31
ES2326278T4 (es)2010-12-02
MA30254B1 (fr)2009-03-02
GB2455209A (en)2009-06-03
ATE499214T1 (de)2011-03-15
US20090058944A1 (en)2009-03-05
NZ576069A (en)2010-08-27
HK1142854A1 (en)2010-12-17
CA2676243A1 (en)2007-06-26
SG153844A1 (en)2009-07-29
US10836173B2 (en)2020-11-17
CA2706902C (en)2012-12-11
GB2454331B (en)2009-10-07
BRPI0622253A2 (pt)2011-08-09
EP4272968A3 (en)2024-01-24
US7562958B2 (en)2009-07-21
ES2505332T3 (es)2014-10-09
EP3115213A1 (en)2017-01-11
HRP20080244B1 (hr)2017-04-07
RU2605892C2 (ru)2016-12-27
US10259230B2 (en)2019-04-16
TWI560075B (en)2016-12-01
EP3744529B1 (en)2022-04-13
GB2456854A (en)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030894B1 (ko)인쇄재 수용체, 인쇄재 수용체에 장착되는 기판 및 인쇄 시스템
JP6849132B2 (ja)印刷材収容体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107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6-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8-div-PA0104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1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2-oth-PR1002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319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4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5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318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6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322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7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80403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8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90328

Year of fee payment:9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9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10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PR1001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11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PC1903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202204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PC1903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220416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