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28748B1 - 대형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대형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748B1
KR101028748B1KR1020080080365AKR20080080365AKR101028748B1KR 101028748 B1KR101028748 B1KR 101028748B1KR 1020080080365 AKR1020080080365 AKR 1020080080365AKR 20080080365 AKR20080080365 AKR 20080080365AKR 101028748 B1KR101028748 B1KR 10102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power
generator
wi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287A (ko
Inventor
이달은
Original Assignee
이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은filedCritical이달은
Publication of KR2010001928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00019287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748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28748B1/ko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날개가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소형 제너레이터가 설치됨으로써, 바람의 풍속에 따라 제너레이터의 작동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풍속발전기의 효율이 증가되고, 종래에서 대형의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대형 제너레이터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제너레이터의 고장시, 수리 및 교체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작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날개를 'V'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날개가 회전시 수직과 수평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과 상하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대형, 풍력발전기, 제너레이터, 피니언 기어, 가속기, 감속기

Description

대형 풍력발전기{Wind power generator of large size}
본 발명은 대형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날개가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소형 제너레이터가 설치됨으로써, 바람의 풍속에 따라 제너레이터의 작동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풍속발전기의 효율이 증가되고, 종래에서 대형의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대형 제너레이터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제너레이터의 고장시, 수리 및 교체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작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날개를 'V'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날개가 회전시 수직과 수평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과 상하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대형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무한정, 무비용의 청정에너지원인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발전원별 전력생산단가의 가격경쟁력 향상 및 발전시스템 설치의 소요면적 최소화 등과 같은 원가적측면과, 화석에너지 고갈에 대한 대체에너지원과 지구환경보호라는 사회환경적측면과, 더불어 공급의 안정성, 에너지 수입의 의존도 감소라는 경제적측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급의 가속화가 일고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하는 날개에 의하여 발전기의 축을 회전시켜 동력(전기)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 중에서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형(大型)화 된 풍력발전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대형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대형 날개와, 상기 날개를 지지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방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몸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의 회전력을 동력으로 발전시키도록 발전기(generator)가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기어, 벨트, 체인과 같은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발전기는 대형 풍력발전기에 맞춰 대형으로 별도 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대형의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대형 발전기는 별도로 제작하기 위해 엄청난 제작비용이 소요되고, 제작된 발전기의 운송 및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력에 따른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대형 제너레이터의 고장시, 수리 및 교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작동을 정지시켜야하므로 써 풍력발전기의 효율이 떨어지는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날개가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소형 제너레이터가 설치됨으로써, 바람의 풍속에 따라 제너레이터의 작동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풍속발전기의 효율이 증가되고, 종래에서 대형의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대형 제너레이터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제너레이터의 고장시, 수리 및 교체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작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날개를 'V'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날개가 회전시 수직과 수평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과 상하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대형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날개가 회전되어 동력(전력)을 발전시키는 대형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축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지지축 상부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날개가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고 끝단부가 몸체의 일단면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 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접촉 설치되어 회전되고, 중앙부에 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임의로 회전시켜 멈춰있는 회전판을 스타트시켜주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가 설치된 피니언 기어 이외의 다수개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발전장치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RPM)와 외부의 바람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을 신호로 전달받아 사용자의 설정된 값에 의해 다수개의 발전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풍력발전기는 날개가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소형 제너레이터가 설치됨으로써, 바람의 풍속에 따라 제너레이터의 작동개수를 조절할 수 있어 풍속발전기의 효율이 증가되고, 종래에서 대형의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대형 제너레이터에 따른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제너레이터의 고장시, 수리 및 교체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작동을 정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개를 'V'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날개가 회전시 수직과 수평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과 상하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날개가 회전되어 동력(전력)을 발전시키는 대형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축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지지축 상부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날개가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고 끝단부가 몸체의 일단면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중앙부에 관통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접촉 설치되어 회전되고, 중앙부에 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임의로 회전시켜 멈춰있는 회전판을 스타트시켜주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가 설치된 피니언 기어 이외의 다수개 피니언 기어에 축으로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발전장치 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RPM)와 외부의 바람속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 센서의 측정값을 신호로 전달받아 사용자의 설정된 값에 의해 다수개의 발전장치를 제어하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풍력발전기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건물에 설치되는 대형 풍력발전기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피니언 기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풍력발전기(100)는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언덕이나 산 중턱 또는 고지대에 설치되거나 고층건물(B)에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날개를 회전시켜 거기서 발생하는 회전동력을 발전시키도록 지지대(10)와, 몸체(20)와, 날개(30)와, 회전부과, 피니언 기어(50)와, 모터부(60)와, 발전장치(70), 제어장치(9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건물(B)의 옥상에 앙카볼트와 같은 체결볼트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중심부분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축(11)과, 상기 날개(30)의 회전에 의해 가중되는 하중이 하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부재(12)가 더 설치된다.
상기 몸체(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어 모터부(60)와 발전장치(70)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20)는 수평으로 이루어져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날개(30)가 향하도록 외부면이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는 상기 날개(3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임의의 각도(β)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의 상부에 설치되되, 몸체(20)와 지지대(10) 사이에는 수직선(C)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0)의 구부러진 각도(β)는 보통 40 ~ 50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날개(30)가 수직선(C)과 45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0)의 구부러진 각도(β)도 45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내부는 중공되어 상기 발전장치(70)와 모터부(60)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20)의 끝단부를 통해 발전장치(70)와 모터부(60)가 착탈할 수 있도록 몸체(20)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30)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영향을 받아 회전되도록 형성되거나 바람에 의해 회전시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4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날개(3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용 날개와,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향조절용 날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날개(30)는 'V'자 형태로 설치되는 블레이드(하나의 날개)와 블레이드의 설치각도(θ)는 보통 70 ~ 110도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하게는 85 ~ 95도 사이가 적당하다.
이때, 상기 날개(30)는 본 발명과 동일한 특허권자가 출원한(출원번호 : 10-2008-0070486, 명칭 : 건물형 풍력발전기) 발명과 동일한 구성, 구조, 원리이기에 별도의 기술은 더 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부(미도시)는 회전축(40)과 회전판(41)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판(40)은 날개(30)가 일단면에 고정 설치되어 날개(30)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회전판(40)의 중앙부에 회전축(41)이 설치되어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판(40)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41)은 몸체(20)의 끝단부(개폐판) 중앙부에 관통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1)의 끝단부에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날개(30)가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날개(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20)의 끝단부와 회전판(40)의 회전축(41)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40)의 외주연에는 도 4을 참고하여, 원주방향으로 하나의 삽입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2)에 피니언 기어(50)가 맞물려지도록 상기 회전판(40)의 일단면에 핀(43)이 설치되고, 상기 핀(43)은 삽입홈(4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핀(43)이 회전판(40)의 일단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피치(P)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다수개의 핀(43)은 각각 삽입홈(42)과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핀(43)의 외주연에는 삽입홈(42)에 설치된 핀(43)과 상기 피니언 기어(50)의 나사산이 맞물릴 시,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롤러(44)가 더 결합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50)는 회전판(4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핀(43)이 결합된 삽입홈(42)에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50)는 회전판(4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50)의 중앙부에는 축(51)이 피니언 기어(50)와 직각으로 설치되어 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기어(5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피니언 기와와 유사한 구조,구성이기에 별도의 기술을 더 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60)는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데, 이유는 상기 피니언 기어(50)를 임의로 회전시켜 멈춰있는 회전판(40)을 스타트시켜주기 위해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60)는 피니언 기어(50)의 축(51)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50)을 회전시키는 모터(61)와, 상기 피니언 기어(50)와 모터(61)를 연결하는 축에 설치되어 모터의 고속 회전력을 제어하는 감속기(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61)와 감속기(62)는 하단부에 받침대(80)가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받침대(80)는 몸체(2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전장치(70)는 상기 모터부(60)가 설치된 피니언 기어(하나 또는 두개) 이외의 나머지 다수개의 피니언 기어(50)에 형성된 축(51)과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장치(70)는 피니언 기어(50)의 축(51)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증속시키는 가속기(71)와, 상기 가속기(71)에서 연장된 축에 연결되어 가속기(71)를 통해 증속된 동력을 발전시키는 제너레이터(72)와, 상기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를 연결하는 축에 설치되어 상기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를 접촉/분리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는 디스크(73)와, 상기 제너레이터(7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압력에 의해 제너레이터(72)를 좌,우 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7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73)는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를 연결하는 축에 설치되어 상기 축을 나누어 끝단부에 디스크(73)가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디스크(73)가 접촉시, 접촉면에 형성된 디스크 기어(미도시)에 의해 맞물려져 가속기(71)의 회전동력을 제너레이터(7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두 개의 디스크(73)가 떨어질 시, 가속기(71)의 동력이 제너레이터(72)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 및 유압실린더(74)는 모터부(60)와 마찬가지로 하단부에 받침대(80)가 설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받침대(80)는 몸체(20)의 내부 일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너레이터(72)가 부착된 받침대(80)에는 상기 제너레이터(72)가 유압실린더(74)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도록 이송거리만큼의 지지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날개(3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 기어(50)의 축(51)에 브레이크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축(51)의 회전을 서서히 줄여주어 최종 날개(30)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74)에 의해 제너레이터(72)와 가속기(71)를 접촉/분리시키는 이유는 바람의 풍속에 맞춰 날개(30)의 회전동력이 발생하므로 발전시킬 제너레이터(72)의 수도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듯,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여 제너레이터(72)의 수를 조절하도록 제어장치(9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90)는 유압실린더(74)를 제어하여 상기 제너레이터(72)를 접촉/분리시켜 수를 조절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바람속도를 감지하여 측정하도록 센서(91)가 풍력발전기(100)의 최상측 또는 건물(B)의 옥상 등 다양한 곳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90)는 회전축(41)의 회전수(RPM)를 감지하여 회전축(41)의 회전수에 따라 제너레이터(72)의 수를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축(41)에 센 서(91)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센서(91)의 측정값은 제어장치(90)의 제어부에 신호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의해 다수개의 유압실린더(74)를 제어하는 원리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형 풍력발전기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회건물에 설치되는 대형 풍력발전기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판과 피니언 기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나타낸 단면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11 : 지지축
12 : 탄성부재20 : 몸체
21 : 개폐판30 : 날개
40 : 회전판41 : 회전축
42 : 삽입홈43 : 핀
44 : 롤러50 : 피니언 기어
51 : 축60 : 모터부
61 : 모터62 : 감속기
70 : 발전장치71 : 가속기
72 : 제너레이터73 : 디스크
74 : 유압실린더80 : 받침대
90 : 제어장치91 : 센서
100 : 대형 풍력발전기

Claims (6)

  1. 상기 모터부(60)가 설치된 피니언 기어(50) 이외의 다수개 피니언 기어(50)에 축으로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4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발전시키는 상기 피니언 기어(50)와 축(51)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증속시키는 가속기(71)와, 상기 가속기(71)와 축으로 연결되어 가속기(71)에서 증속된 동력을 발전시키는 제너레이터(72)와, 상기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를 연결하는 축에 설치되어 상기 가속기(71)와 제너레이터(72)를 접촉/분리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는 디스크(73)와, 상기 제너레이터(7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압력에 의해 제너레이터(72)를 좌,우 이송시켜 상기 디스크(73)가 접촉/분리되는 유압실린더(74)로 이루어진 발전장치(70)와;
KR1020080080365A2008-08-082008-08-18대형 풍력발전기Expired - Fee RelatedKR10102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0800777752008-08-08
KR10200800777752008-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19287A KR20100019287A (ko)2010-02-18
KR101028748B1true KR101028748B1 (ko)2011-04-14

Family

ID=4208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080365AExpired - Fee RelatedKR101028748B1 (ko)2008-08-082008-08-18대형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028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2177071A3 (ko)*2011-06-232013-04-04Kwon Jumun보조블레이드를 갖는 풍력발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448540B1 (ko)*2013-09-242014-10-13주식회사 이노벤투스풍력발전기의 기동 및 제동 제어장치
EP3225839A1 (en)2014-11-282017-10-04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Floating-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8183874A (ja)*1982-04-201983-10-27Shin Meiwa Ind Co Ltd風力エネルギ変換装置の起動装置
KR840002073A (ko)*1981-10-261984-06-11원본미기재풍력발전소
WO1987005666A1 (fr)*1986-03-201987-09-24Hydro Mécanique Research S.A.Eolien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840002073A (ko)*1981-10-261984-06-11원본미기재풍력발전소
JPS58183874A (ja)*1982-04-201983-10-27Shin Meiwa Ind Co Ltd風力エネルギ変換装置の起動装置
WO1987005666A1 (fr)*1986-03-201987-09-24Hydro Mécanique Research S.A.Eolien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12177071A3 (ko)*2011-06-232013-04-04Kwon Jumun보조블레이드를 갖는 풍력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19287A (ko)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DK2306002T3 (en)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pitch control device for use in a wind turbine
KR101179702B1 (ko)회전 효율을 향상시킨 풍력 발전 장치
KR101028748B1 (ko)대형 풍력발전기
CN103867388A (zh)电动直驱式风电变桨驱动系统
CN105928708A (zh)一种大功率风力发电机变桨轴承微动磨损测试装置
CN101603508B (zh)一种简易安装内外活动风叶垂直轴风力发电机
CN103362749A (zh)一种风力发电机
KR20140059949A (ko)케이블 회전이 자유로운 풍력 발전 장치의 요 시스템 구조
CN204827800U (zh)飞轮式风力发电机
CN103939289A (zh)自调攻角垂直轴风力发电机
CN203655528U (zh)直立可串联风力发电机
CN201963469U (zh)垂直轴风车
CN101358581B (zh)立轴巨能风力发电机组
CN203570512U (zh)一种风力发电机组扭缆导向及保护装置
KR20130032535A (ko)고효율 수직풍력발전장치
CN205879531U (zh)一种大功率风力发电机变桨轴承微动磨损测试装置
KR101587737B1 (ko)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CN203685481U (zh)行星式增速风轮立轴风力发电机
CN207620965U (zh)一种风能设施用固定安装装置
CN204344368U (zh)垂直轴离心力变桨发电风机
CN103726991A (zh)行星式增速风轮立轴风力发电机
CN203783811U (zh)电动直驱式风电变桨驱动系统
CN103982375A (zh)用于风力发电的动力风扇
KR101084472B1 (ko)풍력발전장치
CN203230532U (zh)新型发电机转子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407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701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604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60406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