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11474B1 -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74B1
KR101011474B1KR1020080122256AKR20080122256AKR101011474B1KR 101011474 B1KR101011474 B1KR 101011474B1KR 1020080122256 AKR1020080122256 AKR 1020080122256AKR 20080122256 AKR20080122256 AKR 20080122256AKR 101011474 B1KR101011474 B1KR 10101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ouch screen
drag
area
displa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894A (ko
Inventor
박종화
강영희
홍상혁
정승기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filedCritical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256ApriorityCriticalpatent/KR101011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89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100063894A/ko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7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11474B1/ko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가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다가,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드래그 정도에 따라 제 1페이지 또는 제 2페이지가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도록 함으로써, 섬네일 이미지의 검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이동단말기, 터치스크린, 섬네일 이미지, 검색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ing thumbnail image for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는 각종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기능을 가지며, 저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시되도록 한다.
저장된 이미지는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다.
특히,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시에 전시하는 경우에는, 축소된 섬네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시되며, 사용자가 섬네일 이미지를 선택하여 확대, 편집,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섬네일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기술로 한국특허공개 2006??0032793호(명칭:터치 스크린을 갖는 디지털 저장 장치의 섬네일 이미지검색 방법)가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9개의 섬네일 이미지 중 하나를 드래그하게 되면, 터치스크린에 기존 9개의 섬네일 이미지 대신에 다른 9개 의 섬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보고 있던 섬네일 이미지들이 드래그 동작에 의해 곧바로 다른 섬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되므로, 이전에 사용자가 보고 있던 섬네일 이미지들을 다시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기존 섬네일 이미지들 대신 다른 섬네일 이미지들을 빠르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된 저장장치로부터 섬네일 이미지들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메모리로 미리 로딩하여 가상의 페이지 형태로 만들어야만 하므로 많은 메모리의 사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섬네일 이미지의 검색 방식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고, 메모리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면서 빠르게 섬네일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방법은, 제 1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1페이지(page)의 전체 영역을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제 1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이 전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되는 드래그를 감지하고,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는 드래그 감지단계;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과,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2페이지의 부분 영역을 함께 전시하되,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 및 상기 제 2페이지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는 부분 영역 전시단계; 상기 부분 영역 전시단계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된 터치 드롭(touch drop)을 감지하는 터치 드롭 감지단계; 및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제 1페이지와 상기 제 2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선택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로 칭함)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 2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며,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상기 기준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 발생 감지단계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섬네일 이미지들이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로 상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로딩하는 로딩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페이지의 전체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로딩단계에서 로딩된 상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2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 감지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분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3페이지와 상기 제 2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함께 전시하되,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상기 제 2페이지와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선택페이지의 전체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페이지, 상기 제 2페이지 및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페이지의 전체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로 칭함)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부분 영역의 비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페이지와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며,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상기 기준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래그 발생 감지단계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섬네일 이미지들이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로 상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과 상기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로딩하는 로딩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는, 상기 로딩단계에서 로딩된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비 값은 0.6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는,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섬네일 이미지들 중 제 1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1페이지(page)와,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2페이지가 전시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발생되는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고, 드래그 거리를 검출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 및 상기 제 2페이지의 부분 영역을 전시하되,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 및 상기 제 2페이지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터치 드롭(touch drop)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제 1페이지와 상기 제 2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라 칭함)의 값과 기준비 값을 비교하여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상기 기준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제 2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전시하며,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 1페이지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섬네일 이미지를 로딩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로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제 3페이지와 상기 제 2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함께 전시하되, 상기 드래그 거리에 따라 상기 제 2페이지와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하며,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드래그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페이지, 상기 제 2페이지 및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기 제 1페이지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로 칭함)의 값과 기준비 값을 비교하여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상기 기준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 2페이지와 상기 제 3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며, 상기 부분 영역비의 값이 상기 기준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페이지의 전체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섬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된 저장부로부터 섬네일 이미지를 로딩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서 상기 드래그가 감지되면,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과 상기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로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비 값은 0.6 내지 0.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가 드래그 동작에 의해 이동되다가,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드래그 정도에 따라 제 1페이지 또는 제 2페이지가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도록 하고 있어서 섬네일 이미지의 검색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으며, 종래 별도의 조작을 통해서 원래 페이지를 검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감지부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섬네일 이미지들이 임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드래그 방향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과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로딩하도록 하고 있어서, 메모리부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이나 자명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는, 터치스크린(110), 터치감지부(120), 저장부(130), 메모리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스크린(110)은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터치감지 부(120)는 터치스크린(110)에 발생되는 터치 다운(touch down), 터치 드롭(touch drop), 드래그(drag) 등을 감지하며,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 다운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전자펜 등이 터치스크린(110)에 접촉되는 것을 말하며, 터치 드롭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110)에서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드래그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110)에 접촉된 상태로 소정거리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저장부(130)에는 이동단말기(100)를 작동시키는 각종 프로그램, 정보, 섬네일 이미지 등이 저장된다.
메모리부(140)는 저장부(130)로부터 정보 및 섬네일 이미지 등을 로딩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부(140)에 보관된 정보 및 섬네일 이미지 등은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다.
제어부(15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터치스크린(110)에 정보 및 섬네일 이미지 등을 전시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된 경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을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네일 이미지 검색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섬네일 이미지들 중 제 1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11, 212)을 포함하는 제 1페이지(210)가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된다. 여기서, 페이지(page)는 섬네일 이미지들(211, 212)이 배열되는 판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페이지를 분리할 수 없는 단일의 판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b)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상 방향으로 드래그하게 되면, 터치감지부(120)가 드래그의 발생을 감지하고,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10)에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과,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21, 222)을 포함하는 제 2페이지(220)의 부분 영역이 전시되도록 하는데, 드래그 거리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 및 제 2페이지(220)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제어한다. 즉, 드래그 동작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210) 및 제 2페이지(220)가 이동되면서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 및 제 2페이지(220)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상의 화살표는 드래그 방향을 표시한 것이고, 점선은 제 1페이지(210)와 제 2페이지(220)를 구분하기 위해 임의의 점선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화살표도 드래그 방향을 표시한 것이고, 점선은 페이지를 구분하기 위한 임의의 점선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감지부(120)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메모리부(140)가 저장부(130)로부터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11, 212)을 로딩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터치감지부(120)는 터치 드롭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제 1페이지(210)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로 설명함)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비 값은 0.6 내지 0.8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제어부(150)가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도 2의 (c)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제 1페이지(210) 전체가 전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이 도 2의 (a) 내지 (c)와 다른 형태로 가변되는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a) 및 (b)와 동일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를 지속적으로 드래그 하게 되면, 도 3의 (c)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어서,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비 값을 초과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도 3의 (d)와 같이,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10)에 제 2페이지(220) 전체 영역이 전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된 경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을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네일 이미지 검색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섬네일 이미지들 중 제 1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11, 212)을 포함하는 제 1페이지(210)가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된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하게 되면, 터치감지부(120)가 드래그의 발생을 감지하고,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검출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10)에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과,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31, 232)을 포함하는 제 3페이지(230)의 부분 영역이 전시되도록 하는데, 드래그 거리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 및 제 3페이지(230)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감지부(120)에서 드래그가 감지되면, 메모리부(140)가 저장부(130)로부터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31, 232)을 로딩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터치감지부(120)는 터치 드롭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제 1페이지(210)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의 비(이하, 부분 영역비로 설명함)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 도 4의 (c)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제 1페이지(210) 전체가 전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 지들이 도 4의 (a) 내지 (c)와 다른 형태로 가변되는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a) 및 (b)와 동일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의 (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를 하측으로 지속적으로 드래그 하게 되면, 도 5의 (c)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의 크기가 가변되어서,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비 값을 초과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에서 손가락을 떼게 되면, 도 5의 (d)와 같이,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10)에 제 3페이지(230)의 전체 영역이 전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방법을 설명한다.
1. 제 1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
섬네일 이미지 검색 모드로 진입하면(S410), 터치스크린(110)에 제 1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11, 212)을 포함하는 제 1페이지(210) 전체 영역을 전시한다(S420).
2. 드래그 감지단계
터치스크린(110)에 제 1페이지(210)가 전시되면(S420), 터치감지부(120)는 터치스크린(110)에 발생되는 드래그를 감지하고,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방향을 검출한다(S430).
3. 부분 영역 전시단계, 섬네일 이미지 로딩단계
터치스크린(110)에 발생되는 드래그가 감지되면(S430), 제어부(150)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에 제 2페이지(220)와 제 3페이지(230)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을 함께 전시시킨다(S440). 이때, 제어부(150)는 드래그 거리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에 전시되는 제 2페이지(220)와 제 3페이지(230)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상기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이 가변되도록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에 발생되는 드래그가 감지되면(S430), 메모리부(140)는 저장부(130)로부터 제 2페이지(220)에 포함되는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21, 222)과 제 3페이지(230)에 포함되는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31, 232) 중 어느 하나를 로딩한다(S450).
4. 터치 드롭 감지단계
터치스크린(110)에 제 2페이지(220)와 제 3페이지(230) 중 어느 하나의 부분 영역과, 제 1페이지(210)의 부분 영역이 전시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에 발생되는 터치 드롭을 감지한다(S460).
5. 판단단계
터치 드롭 감지단계(S460)에서 터치 드롭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470). 여기서 기준비 값은 0.6 내지 0.8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선택페이지 전체 영역 전시단계
판단단계(S470)에서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 이하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제 2페이지(220)와 제 3페이지(230) 중 어느 하나의 전체 영역을 터치스크린(110)에 전시시킨다(S480). 여기서, 제 2페이지(220) 또는 제 3페이지(230)는 로딩단계에서 로딩된 제 2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21, 222) 또는 제 3그룹의 섬네일 이미지들(231, 232)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판단단계(S470)에서 부분 영역비의 값이 기준비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0)는 제 1페이지(210)의 전체 영역을 터치스크린(110)에 전시시킨다(S4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상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된 경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이 도 2와 다른 형태로 가변되는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하측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된 경우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 전시되는 섬네일 이미지들이 도 4와 다른 형태로 가변되는 것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터치스크린120 : 터치감지부
130 : 저장부140 : 메모리부
150 : 제어부210 : 제 1페이지
220 : 제 2페이지230 : 제 3페이지

Claims (14)

KR1020080122256A2008-12-042008-12-04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Expired - Fee RelatedKR10101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122256AKR101011474B1 (ko)2008-12-042008-12-04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122256AKR101011474B1 (ko)2008-12-042008-12-04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63894A KR20100063894A (ko)2010-06-14
KR101011474B1true KR101011474B1 (ko)2011-01-28

Family

ID=4236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122256AExpired - Fee RelatedKR101011474B1 (ko)2008-12-042008-12-04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011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1169700B2 (en)2017-08-222021-11-09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25535B1 (ko)*2011-07-182013-11-07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746874B1 (ko)2006-03-162007-08-07삼성전자주식회사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KR20070080918A (ko)*2006-02-092007-08-14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단말의 디지털 이미지 표시방법 및 장치
US20080052945A1 (en)2006-09-062008-03-06Michael Matas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KR20080086621A (ko)*2007-03-232008-09-26엘지전자 주식회사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70080918A (ko)*2006-02-092007-08-14삼성전자주식회사휴대단말의 디지털 이미지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746874B1 (ko)2006-03-162007-08-07삼성전자주식회사이동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US20080052945A1 (en)2006-09-062008-03-06Michael Matas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KR20080086621A (ko)*2007-03-232008-09-26엘지전자 주식회사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11169700B2 (en)2017-08-222021-11-09Samsung Electronics Co., Ltd.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00063894A (ko)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740779B2 (en)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selectively performing display control operations
EP2192477B1 (en)Portab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tags in the portable terminal
CN108595100B (zh)分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8760418B2 (en)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1725887B1 (ko)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장치
US8947464B2 (en)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31843B1 (ko)아이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500050B (zh)图标移动方法及应用此的触摸型便携式终端
US8806380B2 (en)Digital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thereof
JP5925024B2 (ja)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72872B2 (en)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 content of a file on a display apparatus
US20110265040A1 (en)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100732166B1 (ko)컨텐츠 검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US9519369B2 (en)Touch screen selection
KR20150135840A (ko)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851876B2 (en)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size of screen object
CN101116045B (zh)搜寻与显示数据的装置及其方法
KR101011474B1 (ko)이동단말기의 섬네일 이미지 검색장치 및 방법
JP6758921B2 (ja)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8190995B2 (en)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electing method
US20090327968A1 (en)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input
KR20100054017A (ko)썸네일 이미지 출력방법 및 그 이미지 출력장치
KR100725521B1 (ko)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리스트 스크롤방법
KR20110020647A (ko)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2012118644A (ja)画像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401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40122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