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1002461B1 - Espresso Coffee Extractor - Google Patents

Espresso Coffee Extr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461B1
KR101002461B1KR1020080024310AKR20080024310AKR101002461B1KR 101002461 B1KR101002461 B1KR 101002461B1KR 1020080024310 AKR1020080024310 AKR 1020080024310AKR 20080024310 AKR20080024310 AKR 20080024310AKR 101002461 B1KR101002461 B1KR 10100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unit
cold water
espress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9197A (en
Inventor
최범수
Original Assignee
최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수filedCritical최범수
Priority to KR1020080024310ApriorityCriticalpatent/KR101002461B1/en
Publication of KR2009009919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90099197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46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1002461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은, 커피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필터부 및 추출되는 커피를 배출시키는 취출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압력을 인가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유지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압력유지부재가 구비되어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온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의 구조 변경 없이도 간단하게 냉수 또는 온냉수 모두를 이용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apable of extracting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The filter unit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comprises a filter housing in which a coffee outlet is formed, a filter unit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filter housing and containing pulverized coffee beans,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 In addition, a pressure holding member for applying and maintaining pressure in the filter housing for extracting coffee is provided. Therefore,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provided to extract the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In addition,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espresso coffee using the existing hot water, it is possible to simply implement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using both cold water or hot and cold water.

에스프레소 커피, 에스프레소 머신, 냉수, 디카페인Espresso coffee, espresso machine, cold water, decaf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Espresso coffee brewing device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업용 및 가정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presso coffee ex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spresso coffee extractor capable of extracting espresso coffee in commercial and home.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커피 음료는 크게, 인스턴트커피와 원두커피로 구분된다. 그리고, 원두커피는 상기 커피 원두로부터 추출 방법에 따라 드립식(drip) 커피와 에스프레소 등으로 나누어 진다.Coffee drinks made using coffee beans are largely divided into instant coffee and coffee beans. The coffee beans are divided into drip coffee and espresso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from the coffee beans.

특히, 에스프레소란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제공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추출된 커피를 말한다.In particular, espresso refers to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in a short time by providing high pressure hot water to the ground coffee beans and coffee extracted through such a method.

그리고,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로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포타 필터(porta filter))와 커피 원두에 온수를 제공하는 보일러 및 펌프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is composed of a filter (porta filter) for accommodating the ground coffee to extract coffee and a boiler and a pump for providing hot water to the coffee beans.

기존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용, 가정용 등 사용 목적이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Existing espresso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s know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urpose or size of use, such as coffee shops, industrial and corporate, home use.

한편, 에스프레소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커피 원두의 종류와 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 및 커피 원두를 분쇄한 입자의 크기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요소들 외에도,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때의 온수 온도와 압력 역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는 약 90℃ 온도의 온수와 8~10 기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flavor of the espresso coffee include the type of coffee beans, the degree of roasting the coffee beans, the size of the particles ground the coffee beans, and the like.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actors, the hot water temperature and pressure when extracting the espresso coffee from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is also a significant factor. For example, a conventional espresso coffee extractor extracts espresso coffee under hot water at a temperature of about 90 ° C. and a pressure of 8 to 10 atm.

그런데 종래의 온수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에스프레소 커피는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커피 원두 자체에 포함된 성분이 산화 또는 변질되거나, 커피 원두에 포함된 휘발성 성분이 휘발됨으로 인해 추출된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coffee, the espresso coffee is extracted by oxidizing or deteriorat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or volatilizing the volati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ffee. There was a problem.

상기와 같은 기존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에 포함된 성분의 산화 및 휘발성 성분의 휘발에 의해 향미가 변질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As part of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spresso coffee extraction as described above, a method for extracting coffee using cold water has been proposed. When coffee is extracted using cold water, the flavor is not altered by oxidation of volatile components and volatil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인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카페인을 줄이거나 제거한 디카페인 커피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이 포함된 통상적인 커피에 비해 향미가 저하되어 사람들의 기호를 자극하지 못하여 왔다. 더불어, 기존의 커피 원두 또는 커피 추출 과정에서 카페인을 제거하는 방법은 그 공정이 복잡하며, 공정 및 장치의 추가로 인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t is known that coffee beans contain caffeine, which is a harmful component to the human body. Decaffeinated coffee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or eliminate such caffeine. However, the conventional decaffeinated coffee has been lowered in flavor compared to conventional coffee containing caffeine, which has not stimulated the taste of people. In addition, the method of removing caffeine in the existing coffee beans or coffee extraction process is a complicated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the process and apparatus.

한편,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이와 같은 카페인 성분이 거의 용해되지 않아서 별도의 카페인 제거 과정 없이도 카페인이 제거된 디카페인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tracting coffee using cold water, such caffeine component is hardly dissolv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ecafed coffee from which caffeine is removed can be extracted without a separate caffeine removal process.

그러나,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카페인뿐만 아니라 커피의 향미를 나타내는 성분들 역시 냉수에서는 잘 용해가 되지 않으므로, 커피 고유의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온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에 비해 냉수를 이용하여 추출된 커피는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어 음용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xtracting coffee using cold water, not only caffeine but also components representing the flavor of the coffee do not dissolve well in the cold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herent flavor of the coffee is lowered.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coffee extracted using hot water, the coffee extracted using cold water has a problem that the flavor of the coffee is lowered and not suitable for drinking.

한편, 상기와 같은 커피의 향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커피 원두에 포함된 성분들이 냉수에 용해될 수 있도록 장시간에 걸쳐 소량의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커피를 추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 상업적으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이용하기에도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lavor of the coffe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extracting a small amount of coffee over a long time so that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are dissolved in cold water has also been proposed. However, the time taken to brew coffee in such a method is too long, which makes it practical for home use as well as commercially.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that can extract the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또한, 본 발명은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지 않고 온수를 이용하여 추출된 커피에 비해 향상된 향미를 갖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a coffee having an improved flavor compared to a coffee extracted using hot water without deteriorating the flavor of the coffee.

또한, 본 발명은 온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에 비해 길지 않은 비교적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apable of extracting coffee in a relatively short time that is not long compared to the time for extracting coffee using hot water.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은, 커피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필터부 및 추출되는 커피를 배출시키는 취출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압력을 인가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유지부재가 구비된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for extracting the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is provided with a filter housing formed with a coffee outlet and separated from the filter housing and ground It consists of a filter unit for receiving the coffee beans and the take-out unit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In addition, a pressure holding member for applying and maintaining pressure in the filter housing for extracting coffee is provided.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유지부재는 상기 취출유닛과 연통되는 취출홀이 형성되고, 바디부 및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커피 배출구에 삽 입 체결 가능한 형태를 갖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압력유지부재를 상기 커피 배출구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필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홀은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취출유닛을 연통시켜 추출된 커피를 상기 취출유닛으로 유입시키는 유로로써, 상기 압력유지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취출홀은 상기 필터 하우징에 인가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유지부재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유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와 너비를 갖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formed with a blowout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takeout unit,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Here, the body portion has a form capable of inserting and fastening the coffee outlet, the hea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when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ffee outlet. The extraction hole i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extracted coffee is brought into communication with the filter housing and the extraction unit and introduced into the extraction unit, and is formed through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n particular, the extraction hole serves to mainta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housing. 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sure holding member,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width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ressure holding member.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으로 냉수를 제공하는 물 공급부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the filter unit for extracting the coffee by receiving the ground coffee beans and the filter It consists of a water supply for providing cold water to the unit.

실시예에서, 상기 물 공급부는 급수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노즐로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라인 및 개폐밸브, 급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노즐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닛으로 냉수를 제공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다.In an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supply nozzle and a cold water line for providing col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supply nozzle, an on-off valve, and a water supply pump. The water supply nozzl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cold water to the filter unit, and the on-off valve selectively blocks the cold water line.

실시예에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냉수라인 이외에도 소정 온도의 온수를 상기 필터유닛으로 온수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수라인 상에는 상기 냉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유닛이 구비된다.In an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hot water line to the filter unit for hot wate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cold water line. On the hot water line is provide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ld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이 결합되는 필터 홀더 및 상기 필터유닛으로 물을 제공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for extracting coffee by receiving the ground coffee beans It includes a filter holder to which the unit is coupled and a water supply for providing water to the filter unit.

실시예에서, 상기 물 공급부는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라인과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라인 상에는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유닛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복수의 필터 홀더가 구비되되 상기 냉수라인이 연결된 필터 홀더와 상기 온수라인이 연결된 필터 홀더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수라인이 연결된 필터 홀더에 상기 필터유닛을 결합시키면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온수라인이 연결된 필터 홀더에 상기 필터유닛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통해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와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hot water line for providing hot water and a cold water line for providing cold water. And, on the hot water line is provided with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Here,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filter holder connected to the cold water line and a filter holder connected to the hot water line may be provided. The user may extract cold espresso coffee when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the filter holder to which the cold water line is connected, and extract hot espresso coffee when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the filter holder to which the hot water line is connected. Therefore, both hot espresso coffee and cold espresso coffee can be extracted through one espresso coffee extractor.

또는, 하나의 필터 홀더 내부에 상기 온수라인과 상기 냉수라인이 모두 연결되어 있어서, 하나의 필터 홀더에 상기 필터유닛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와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모두 추출할 수 있다.Alternatively, both the hot water line and the cold water line are connected to one filter holder, so that both hot espresso coffee and cold espresso coffee can be extracted by the user's choice while the filter unit is coupled to one filter holder.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냉수를 이용하여 향미가 우수하고 크레마가 풍부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t is possible to extract espresso coffee having excellent flavor and rich crema by using cold water.

또한, 카페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카페인 함 량이 낮은 디카페인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w caffeine content can be extracted without the addition of a device and process for removing caffeine.

둘째, 압력유지부재의 헤드 부분이 필터유닛의 바닥면보다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커피에 포함된 찌꺼기에 의해 커피 배출구 및 취출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head portion of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coffee outlet and the take-out hole is blocked by the residue contained in the coffee.

셋째, 온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와 비슷하게 단시간 동안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가정 또는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espresso coffee can be extracted for a short time, similar to the case of extracting the espresso coffee using hot water, it can be used at home or commercially.

또한, 기존의 온수를 이용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및 필터유닛의 구조 변경이 거의 없이 압력유지부재를 구비하는 것 만으로 냉수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통해 온수와 냉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효과적이고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의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하고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spresso coffee extractor using hot water, the espresso coffee extractor and the filter uni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holding member with littl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cold water.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act various espresso coffees effectively and simply by using hot and cold water through the existing espresso coffee extractor,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operate the espresso coffee extractor and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에서 물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은 상기 필터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in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of FIG.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unit and 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을 참조하면,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는 본체(10)와 분쇄된 커피 원두(C)를 수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includes amain body 10 and afilter unit 20 for receiving espresso coffee by receiving crushed coffee beans C.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필터유닛(20)을 분리/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홀더(12)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홀더(12)의 하부에는 상기 필터유닛(20)에서 취출되는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커피 용기(15)를 지지하는 거치대(1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3)는 상기 커피 용기(15)가 안착되는 지지대 역할 뿐만 아니라, 커피 추출 과정에서 커피가 상기 커피 용기(15) 외부로 떨어지거나 상기 커피 용기(15)에서 넘치는 커피를 배수부(미도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13)에는 상기 커피 용기(15)를 지지하고 커피를 하부에 구비된 배수부로 배출시키는 망이 설치될 수 있다.The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filter holder 12 that separates / mounts thefilter unit 20, and houses coffee drawn out of thefilter unit 20 under thefilter holder 12. Acradle 13 for supporting acoffee container 15 is provided. Here, theholder 13 serves not only to support thecoffee container 15 seated therein, but also to drain the coffee overflowing from thecoffee container 15 or the coffee overflowing from thecoffee container 15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It is formed to be discharged to (not shown). For example, theholder 13 may be provided with a net for supporting thecoffee container 15 and discharging the coffee to the drain provided at the bottom.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의 동작 및 제어를 가능하도록 다수의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구비된 조작패널(11)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패널(11)은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된다.One side of the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noperation panel 1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or a display panel so that a user can operate and control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For example, theoperation panel 11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main body 1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필터유닛(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유닛(20)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2, the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filter unit 20 while thefilter unit 20 is mounted.

상세하게는, 상기 물 공급부(30)는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필터유닛(20)으로 물을 제공하는 급수라인(40)과 급수펌프(41), 개폐밸브(45) 및 급수노즐(46)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water supply unit 30 includes awater supply line 40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filter unit 20, awater supply pump 41, an open /close valve 45, and awater supply nozzle 46. .

상기 물 공급부(30)는 상기 냉수(W)를 저장하고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 공급부(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소정 용적의 물 저장탱크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 외부에 구비된 정수기 등과 같은 별도의 급수원일 수 있다.Thewater supply unit 30 stores and supplies the cold water (W). For example, thewater supply unit 30 may be a water storage tank of a predetermined volume provided in themain body 10, or may be a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purifier provided outside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Can be.

상기 급수라인(40)은 상기 물을 가열하지 않은 상태의 냉수를 상기 필터유닛(20)으로 제공하는 냉수라인(402)과 상기 물을 가열하여 소정 온도의 온수를 상기 필터유닛(20)으로 제공하는 온수라인(401)으로 이루어진다.Thewater supply line 40 provides thecold water line 402 for providing the cold water to thefilter unit 20 without heating the water and the hot water to provide the hot wat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filter unit 20. It consists of ahot water line 401.

상기 냉수라인(402)은 상기 물 공급부(30)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필터유닛(20)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냉수라인(402)에서는 상기 물 공급부(30)에서 제공되는 물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의 냉수가 제공된다. 또는, 더 차가운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라인(402) 상에 상기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cold water line 402 transfers the water provided from thewater supply unit 30 to thefilter unit 20. That is, thecold water line 402 is provided with cold water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water provided from thewater supply unit 30. Alternatively, a cooling unit (not shown) for cooling the water on thecold water line 402 may be provided to provide cooler cold water.

한편, 상기 온수라인(401)은 통상적으로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대략 90℃ 정도의 온수를 상기 필터유닛(20)으로 제공하며, 상기 온수라인(401) 상에는 상기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43)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유닛(43)은 소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미도시)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hot water line 401 is provided to thefilter unit 20, the hot water of about 90 ℃ typically used to extract coffee, th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water on the hot water line (401) ( 43). For example, theheating unit 43 includes a receiving part (not show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and a heater (not shown)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part.

상기 급수라인(40)은 상기 물 공급부(30)에서 상기 온수라인(401)과 상기 냉수라인(41)으로 분지시키는 분지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지부(42)는 통상적인 분지관이거나, 3방 밸브 등이 사용된다.Thewater supply line 40 may be provided with a branchingportion 42 for branching from thewater supply unit 30 to thehot water line 401 and thecold water line 41. For example, thebranch part 42 is a conventional branch pipe, or a three-way valve is used.

상기 급수펌프(41)는 상기 물 공급부(30)로부터 상기 급수라인(40)으로 소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한다.Thewater supply pump 41 supplies water from thewater supply unit 30 to thewater supply line 4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상기 개폐밸브(45)는 상기 급수라인(4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라인(40)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밸브(45)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The open /close valve 45 is provided on thewater supply line 40 to selectively block thewater supply line 40. For example, the open /close valve 45 may be a solenoid valve.

또한, 상기 급수라인(40) 상에는 상기 급수라인(40)을 통해 제공되는 수량을 체크하고 조절하기 위한 유량측정기(4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water supply line 40 may be provided with aflow meter 44 for checking and adjusting the quantity provided through thewater supply line 40.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급수라인(40) 상에는 상기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정수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water purification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water supply line 40 to purify the water.

상기 급수노즐(46)은 상기 급수라인(40)의 일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홀더(12)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닛(20)으로 가압된 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10) 일측에는 상기 필터유닛(20)이 분리 및 장착되는 필터 홀더(12)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홀더(12) 내부로 상기 급수노즐(46)이 구비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61은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노즐이고, 도면부호 462는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노즐이다.Thewater supply nozzle 4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water supply line 40 and provided inside thefilter holder 12 to provide pressurized water to thefilter unit 20. One side of the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filter holder 12 in which thefilter unit 20 is separated and mounted, and thewater supply nozzle 46 is provided in thefilter holder 12. In the drawings,reference numeral 461 denotes a hot water nozzle providing hot water, andreference numeral 462 denotes a cold water nozzle providing cold water.

상기 급수노즐(46)과 상기 개폐밸브(45) 및 상기 유량측정기(44)는 상기 냉수라인(402)과 상기 온수라인(401)에 각각 구비된다.Thewater supply nozzle 46, the open /close valve 45, and theflow meter 44 are provided in thecold water line 402 and thehot water line 401, respectiv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냉수라인과 온수라인이 모두 구비되어서 냉수와 온수가 모두 공급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냉수라인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both the cold water line and hot water line is supplied with both cold water and hot water, alternatively, only cold water line may be provided.

또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필터 홀더(12) 및 복수의 필터유닛(20)이 구비되므로, 상기 냉수라인(402)과 상기 온수라인(401)은 각각 별도의 필터 홀더(12)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는 달리, 또한, 하나의 필터 홀더(12) 내로 상기 온수라인(401)과 상기 냉수라인(402)이 모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패널(11)을 통해 상기 냉수라인(402)과 상기 온수라인(401)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eferably a plurality offilter holders 12 and a plurality offilter units 20, thecold water line 402 and thehot water line 401 Each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separate filter holder 12.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ehot water line 401 and thecold water line 402 are both connected to onefilter holder 12, and the user is provided through theoperation panel 11. It will be possible to selectively drive thecold water line 402 and thehot water line 401.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홀더(12)는 상기 필터유닛(20)의 플랜지(216, 226)가 삽입 결합되는 홈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12) 내부에는 상기 급수노즐(46)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노즐(46)에서 제공되는 물을 상기 필터유닛(20)으로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복수의 홀이 형성된 스크린(121)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121)은 상기 필터유닛(20) 상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필터유닛(2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 원두가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3, thefilter holder 12 has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flanges 216 and 226 of thefilter unit 20 are inserted and coupled. In addition, thewater supply nozzle 46 is provided in thefilter holder 12,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o uniformly supply water provided from thewater supply nozzle 46 to thefilter unit 20.Screen 121 is provided. Thescreen 121 serves as a cover to seal the top of thefilter unit 20 and to prevent the ground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filter unit 20 from flowing back into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유닛(20)에 수용된 분쇄된 커피 원두(C)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가압 상태에서 상기 커피 원두(C)에 냉수(W)를 통과시킴으로써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한다.To extract espresso coffee,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ground coffee beans C accommodated in thefilter unit 20, and the espresso coffee is extracted by passing cold water W through the coffee beans C under pressure. .

여기서, 상기 필터유닛(20)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유닛(20)과 상기 필터 홀더(12) 사이에 실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재(미도시)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된 오링(O-ring)일 수 있다.Here, a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filter unit 20 and thefilter holder 12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filter unit 20.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not shown) O) may be an O-ring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상기 필터유닛(20)은 필터 하우징(21), 필터부(22), 취출유닛(23), 압력유지부재(24) 및 그립 핸들(25)로 이루어진다.Thefilter unit 20 includes afilter housing 21, afilter unit 22, ablowout unit 23, apressure holding member 24, and agrip handle 25.

상기 필터 하우징(21)은 상기 커피 원두(C)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체적의 용기로서, 예를 들어, 상기 필터 하우징(21)은 소정 체적의 대략적인 반구 형태 또는 보울(bowl) 형태를 갖는다.Thefilter housing 21 is a container of a predetermined volum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ffee beans C. For example, thefilter housing 21 has an approximate hemispherical shape or bowl shape of a predetermined volume. .

상기 필터 하우징(21)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22)가 안착되고 상기 필터 홀더(12)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216)가 형성된다.Thefilter housing 21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afirst flange 216 on which thefilter portion 22 is seated and coupled to thefilter holder 12 is formed.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할 수 있는 커피 배출구(211)가 상기 필터 하우징(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피 배출구(211)는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바닥면(215)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215)은 상기 추출된 커피가 상기 커피 배출구(211)로 수렴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피 배출구(211)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filter housing 21 is formed with acoffee outlet 211 penetrating thefilter housing 21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For example, thecoffee outlet 211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bottom surface 215 of thefilter housing 21, and thebottom surface 215 converges the extracted coffee to thecoffee outlet 211. It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coffee outlet 211.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외측에는 상기 필터 하우징(21)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필터유닛(20)을 상기 필터 홀더(12)에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그립 핸들(25)이 구비된다.The outer side of thefilter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grip handle 25 to move thefilter housing 21 and to mount and detach thefilter unit 20 to thefilter holder 12.

상기 필터부(22)는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하우징(21)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22) 내부에 상기 커피 원두(C)가 직접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22)는 커피 추출 과정에서 상기 커피 원두(C)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강성을 가지며, 상기 커피 원두(C)에 직접 접촉되므로 커피의 향미를 변질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22) 및 상기 필터 하우징(21)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Thefilter unit 22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filter housing 21, and coupled to thefilter housing 21 to accommodate the coffee beans C directly inside thefilter unit 22. Here, thefilter unit 22 has a rigidity of sufficient size to countera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ffee beans C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process, and changes the flavor of the coffee because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ffee beans C.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For example, thefilter unit 22 and thefilter housing 21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상기 필터부(22)는 상기 제1 플랜지(216)에 대응되는 제2 플랜지(226)가 형성되고, 상기 커피 원두(C)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수(W)를 통과시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메쉬부(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부(121)의 홀 크기는 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C)가 상기 메쉬부(121)를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filter unit 22 has asecond flange 226 corresponding to thefirst flange 216 is formed, and the cold water (W) through the cold water (W) in the state where the coffee beans (C) is accommodated to extract thecoffee Mesh portion 121 is formed. Here, the hole size of themesh portion 121 is preferably such that the size of the ground coffee beans (C) does not pass through themesh portion 121.

상기 필터부(22)는 상기 필터 하우징(21)에 밀착 수용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내측 형상과 대략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22)는 1 내지 2컵 정도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분량의 커피 원두(C)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진다.Thefilter part 22 has a shape that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inner shape of thefilter housing 21 to be closely accommodated in thefilter housing 21. For example, thefilter unit 22 has a volume capable of accommodating coffee beans C in an amount capable of extracting 1 to 2 cups of espresso coffee.

여기서, 상기 필터부(22)는 커피가 상기 커피 배출구(211)로 원활하게 추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22)의 하부가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바닥면(215)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Here, thefilter unit 22 is spaced apart from thebottom 215 of thefilter housing 21 by a lower portion of thefilter unit 22 so that coffee can be smoothly extracted into thecoffee outlet 211. It is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 하우징(21) 및 상기 필터부(22)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의 용도나 크 기, 용량 등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filter housing 21 and thefilter part 22 may vary substantially depending on the use, size, capacity, etc. of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And may have a size.

상기 취출유닛(23)은 상기 커피 배출구(211) 외측 하부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와 연통되어 상기 커피 배출구(2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제1 결합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취출유닛(23)은 상기 제1 결합부(212)에 체결된다. 상기 제1 결합부(212)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갖고, 상기 취출유닛(23)에는 상기 제1 결합부(212)를 수용하여 체결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 결합부(213)가 형성된다.The take-outunit 23 is coupled to the outer bottom of thecoffee outlet 211. For example, the lower outer side of thefilter housing 21 communicates with thecoffee outlet 211 and is formed with afirst coupling part 212 extending outwardly from thecoffee outlet 211 and the take-out unit 23. ) Is fastened to thefirst coupling portion 212. Thefirst coupling portion 212 has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le screw, the take-outunit 23 is formed with asecond coupling portion 213 of the female screw type to receive and fasten thefirst coupling portion 212. do.

상기 취출유닛(23)은 상기 커피 배출구(211)와 연통된 취출 가이드(232) 및 추출된 커피를 하부의 커피 용기(15)로 배출시키는 취출구(231)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취출유닛(23)은 2 잔의 커피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도록 대략적인 '∩'자 형태로 분지된 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취출 가이드(232)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서 배출되는 커피를 수렴하여 하부로 안내하고, 하부로 분지된 관의 단부에는 각각 취출구(231)가 형성된다.The take-outunit 23 is provided with a take-out guide 232 communicated with thecoffee discharge port 211 and a take-outport 231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to thelower coffee container 15. For example, the dispensingunit 23 has a tube shape branched into an approximately '∩' shape so as to simultaneously extract two cups of coffee. In addition, theejection guide 232 converges the coffee discharged from thecoffee outlet 211 and guides it to the lower portion, and eachoutlet 231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tube branched to the lower portion.

상기 압력유지부재(24)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 결합되어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 상기 필터 하우징(21)에 인가되는 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압력유지부재(24)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 삽입 결합되어 관로를 소정 크기 이하로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필터 하우징(21) 내의 압력을 유지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압력유지부재(24)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통상적으로 고온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필터유닛(20)에 상기 압력유지부재(24)를 결합시킴으로써 구조적인 변경 없이 냉수를 이 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coupled to thecoffee outlet 211 and serves to mainta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filter housing 21 during coffee extraction. That is,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coffee outlet 211 to maintain the pressure in thefilter housing 21 by reducing the conduit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 particular,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coffee outlet 211 by screwing, so that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to thefilter unit 20 for extracting high-temperature espresso coffee. By combi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spresso coffee can be extracted using cold water without structural modification.

상기 압력유지부재(24)는 바디부(243)와 헤드부(242) 및 취출홀(241)로 이루어진다.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ncludes abody portion 243, ahead portion 242, and adischarge hole 241.

상기 취출홀(241)은 추출된 커피를 상기 취출유닛(23)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유지부재(24)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피 배출구(211)의 직경보다 감소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취출홀(241)은 상기 압력유지부재(24)의 중앙 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압력유지부재(24)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유지부재(24)의 외측 일부가 개구된 그루브(groove) 형태의 취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nsinghole 241 is formed through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to discharge the extracted coffee to the dispensingunit 23, and has a siz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coffee outlet 211. For example, theblowout hole 241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a groove-shaped extraction hole in which an outer portion of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opened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취출홀(241)의 직경 및 상기 그루브의 깊이와 폭은 상기 필터 하우징(21)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Here, the diameter of theblowout hole 241 and the depth and width of the groove are determin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filter housing 21.

상기 바디부(243)는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 삽입되어 체결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정 직경의 스크류 형태를 갖는다.Thebody portion 243 is inserted into thecoffee outlet 211, the thread is formed to be fastened and has a screw sha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상기 헤드부(242)는 상기 압력유지부재(24)가 상기 커피 배출구(21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필터 하우징(21)의 바닥면(215) 표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242)가 상기 바닥면(215)보다 돌출됨으로써 추출된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커피 원두로 인해 상기 취출홀(241)이 막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head part 242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bottom surface 215 surface of thefilter housing 21 when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coupled to thecoffee outlet 211. Since thehead part 242 protrudes from thebottom surface 215, the problem that the take-outhole 241 is blocked by the coffee beans contained in the extracted coffe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분쇄된 커피 원두(C)를 상기 필터유닛(20)에 충진시키고, 상기 필터 홀더(12)에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유닛(20)에 충진되는 커피 원두(C)의 양은 에스프레소 2컵을 추출할 수 있는 분량으로서, 분쇄된 커피 원두(C) 7g 정도가 사용된다.First, the ground coffee beans (C) is filled in thefilter unit 20, it is coupled to thefilter holder 12. For example, the amount of coffee beans (C) filled in thefilter unit 20 is an amount capable of extracting 2 cups of espresso, and about 7 g of ground coffee beans (C) is used.

사용자가 조작패널(11)을 조작하여 상기 필터유닛(20)으로 물을 공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20)은 냉수를 이용하여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수라인과 연결된 필터 홀더(12)에 상기 필터유닛(20)을 장착시킨다.The user operates theoperation panel 11 to supply water to thefilter unit 20. Here, thefilter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xtracting cold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and mounts thefilter unit 20 in thefilter holder 12 connected to the cold water line.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20)은 상기 압력유지부재(24)를 제거하면 온수를 이용하여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Here, thefilter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extract hot espresso coffee using hot water when thepressure holding member 24 is removed.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상기 필터유닛(20)을 상기 온수라인(401) 또는 상기 냉수라인(402)에 연결되는 필터 홀더(12)에 선택적으로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may selectively mount thefilter unit 20 to thefilter holder 12 connected to thehot water line 401 or thecold water line 402.

상기 필터유닛(20)이 상기 필터 홀더(12)에 고정되면 상기 냉수라인(402)을 통해 상기 필터유닛(20)으로 냉수(W)가 제공되어 커피가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는 상기 취출홀(241)을 통해 하부의 취출유닛(23)으로 수렴되어, 상기 취출구(231)를 통해 커피 용기(15)로 토출된다.When thefilter unit 20 is fixed to thefilter holder 12, cold water (W) is provided to thefilter unit 20 through thecold water line 402, and coffee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offee is taken out of the extraction hole. Converging to thelower dispensing unit 23 through the 241, it is discharged to thecoffee container 15 through the dispensingport 231.

여기서, 상기 취출홀(241)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기 필터유닛(20) 내로 냉수(W)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필터유닛(2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 내부에 형성된 압력에 의해 상기 냉수(W)는 커피 원두(C)를 빠르게 통과하게 되므로 커피 추출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교적 빠른 시간에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Here, since the diameter of theblowout hole 241 is small, the pressure inside thefilter unit 20 increases as the cold water W is supplied into thefilter unit 20. 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W) is quickly passed through the coffee beans (C) by the pressure formed in thefilter unit 2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ffee extraction time and extract the espresso coffee in a relatively fast time.

또한, 상기 필터유닛(20)의 내부압에 의해 상기 냉수(W)에 상기 커피 원두(C)에 포함된 성분을 효과적으로 용해시켜 향미가 우수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면 커피 표면에 갈색의 거품층인 크레마가 형성되는데, 크레마에는 커피의 향과 오일 및 비교적 소량의 커피 원두 가루가 포함된다. 특히, 크레마는 에스프레소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서 크레마가 많이 형성될수록 또한, 상기 크레마의 색이 갈색을 띨수록 좋은 향미를 갖는 에스프레소 커피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dissolv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C) in the cold water (W)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filter unit 20 can extract an excellent espresso coffee. Extraction of espresso coffee forms a brown foamy crema on the surface of the coffee, which contains the flavor and oil of the coffee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offee beans. In particular, crema i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flavor of espresso coffee. As the crema is formed more and the color of the crema is brown, the espresso coffee has a good flavor.

여기서, 크레마의 양은 커피 추출시 상기 커피 원두(C)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상태에서 커피를 추출하므로, 다량의 크레마가 생성되어 풍부하고 우수한 향미를 갖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Here, the amount of crema is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ffee beans (C) during coffee extrac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ffee is extracted under a pressurized state, a large amount of crema is generated to produce an espresso coffee having a rich and excellent flavor. Can be extracted.

한편, 커피 원두에는 인체에 해로운 성분인 카페인이 포함되어 있는데, 냉수에서는 상기 커피 원두(C)에 포함된 카페인 성분의 용해도가 낮아서 별도의 카페인 제거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카페인의 함량을 낮춘 디카페인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을 단축시킬수록 커피에 용해되는 카페인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냉수(W)에서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카페인 함량은 매우 낮은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ffee beans contain caffeine which is a harmful component to the human body, cold water in the caffeine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ffee beans (C) is low solubility of caffeine without lowering the content of caffeine without a separate caffeine removal process It is possible to extract. In addition, the shorter the time to extract the coffee can reduce the amount of caffeine dissolved in the coffee.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can extract espresso coffee having a very low caffeine content by extracting coffee in cold water (W) for a short time.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1)를 이용하여 추출된 에스프레소 커피의 카페인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개시하였다.For referenc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ffeine content of the extracted espresso coffee using the espressocoffe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Example비교예Comparative example카페인 함량[w/w%]Caffeine Content [w / w%]0.120.120.250.25조지방[%]Crude fat [%]0.060.060.070.07

표 1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추출된 에스프레소 커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1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된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고, ‘비교예’는 기존의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Table 1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espresso coffee extracted from Korea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In Table 1, 'Example' i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cold espresso coffee extracted using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ative Example' is a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hot espresso coffee The result of the analysis.

여기서, 실시예와 비교예는 모두 동일한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였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을 장착하고 냉수를 이용하여 차가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였고, 비교예는 기존의 필터유닛을 장착하고 90℃의 온수를 이용하여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였다.Here,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both extracted espresso coffee under the same conditions using the same coffee beans. However, the embodiment is equipped with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tracted cold espresso coffee using cold water, Comparative Example is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filter unit and hot espresso coffee using 90 ℃ hot water Extracted.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50% 가량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에스프레소 커피에 함유된 조지방량을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와 비교예는 비슷한 정도의 조지방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지방량은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프레소 커피는 기존의 뜨거운 에스프레소 커피에 비해 카페인 함량이 낮은 디카페인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지 않은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example is about 50% lower in the caffeine content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However, when comparing the amount of crude fat contained in the espresso coffee, it can be seen that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contain a similar amount of crude fat. Crude fat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s the flavor of your coffe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spresso coffee can extract decafed coffee having a lower caffeine content than the hot espresso coffee, and extract espresso coffee whose flavor is not degra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의 온수 및 냉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hot and cold water supply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필터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0: 본체1: espresso coffee extractor 10: main body

11: 조작패널12: 필터 홀더11: operation panel 12: filter holder

13: 거치대15: 커피 용기13: holder 15: coffee container

20: 필터유닛21: 필터 하우징20: filter unit 21: filter housing

22: 필터부23: 취출유닛22: filter unit 23: take out unit

24: 압력유지부재25: 그립 핸들24: pressure holding member 25: grip handle

30: 물 공급부40: 급수라인30: water supply unit 40: water supply line

41: 급수펌프42: 분지부41: feed water pump 42: branch

43: 가열유닛44: 유량측정기43: heating unit 44: flow meter

45: 개폐밸브46, 461, 462: 급수노즐45:valve 46, 461, 462: water supply nozzle

121: 스크린211: 커피 배출구121: screen 211: coffee outlet

212: 제1 결합부213: 제2 결합부212: first coupling portion 213: second coupling portion

215: 바닥면216: 제1 플랜지215: bottom surface 216: first flange

221: 메쉬부226: 제2 플랜지221: mesh portion 226: second flange

231: 취출구232: 취출 가이드231: outlet 232: ejection guide

241: 취출홀242: 헤드부241: ejection hole 242: head portion

243: 바디부401: 온수라인243: body portion 401: hot water line

402: 냉수라인402: cold water line

C: 커피 원두W: 냉수C: coffee beans W: cold water

Claims (11)

Translated fromKorean
분쇄된 커피 원두에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에스프레스 커피 추출장치용 필터유닛에 있어서,In the filter unit for espress coffee extracting device for extracting coffee from the ground coffee beans,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고 메시부가 형성된 필터부;A filter portion for receiving the ground coffee beans and having a mesh portion formed thereon;상기 필터부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하부를 관통하여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기 위한 커피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A filter housing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to allow the filter portion to be mounted, and a coffee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coffee extracted through the lower portion;상기 커피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는 취출유닛; 및A taking-out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ffee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And 상기 커피 배출구에 삽입 결합되어,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 상기 필터 하우징 내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부재; A pressure hol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coffee outlet and maintaining a pressure in the filter housing when extracting coffee using cold water;를 포함하고,Including,상기 필터 하우징 상부에서 가압된 냉수가 제공되어 상기 필터부에 수용된 상기 커피 원두를 거쳐 커피가 추출되고,Cold water pressuriz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is provided to extract coffee through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filter unit,상기 압력유지부재는 상기 추출된 커피를 상기 취출유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유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취출유닛을 연통시키는 취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용 필터유닛.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a filter unit for an espresso coffee extra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pressure holding member to communicate the filter housing and the extraction unit so as to discharge the extracted coffee to the extra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압력유지부재는,The pressure holding member,상기 커피 배출구에 삽입 체결 가능하도록 나사 형태를 갖는 바디부; 및A body part having a screw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coffee outlet; And상기 바디부가 상기 커피 배출구에 결합 되었을 때 상기 필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헤드부;A hea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when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coffee outl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용 필터유닛.Filter unit for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삭제delete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상기 취출홀은 상기 압력유지부재의 외주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력유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용 필터유닛.The ejection hole is a filter unit for an 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ure holding member is formed in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ssure holding member.분쇄된 커피 원두에서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에스프레스 커피 추출장치에 있어서,In the espress coffee extractor for extracting coffee from the ground coffee beans,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필터유닛;A filter unit accommodating ground coffee beans;상기 필터유닛이 장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홀더가 구비된 본체; 및A body having at least one filter holder formed to be mountable to the filter unit; And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유닛에 선택적으로 냉수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물 공급부;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provide cold water to the filter unit;를 포함하고,Including,상기 필터유닛은,The filter unit,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고 메시부가 형성된 필터부;A filter unit accommodating the ground coffee beans and a mesh unit formed therein;상기 필터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하부를 관통하여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기 위한 커피 배출구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A filter housing in which a flange is formed to be mountable to the filter holder, the top of which is open to allow the filter unit to be mounted, and a coffee outlet for discharging the coffee extracted through the lower part;상기 커피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추출된 커피를 배출시키는 취출유닛; 및A taking-out uni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offee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And 상기 커피 배출구에 삽입 결합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추출된 커피를 상기 취출유닛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유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취출유닛을 연통시키는 취출홀이 형성되고,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 상기 필터 하우징 내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유지부재; It has a form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ffee outlet, the extraction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filter housing and the extraction unit through the pressure holding member to discharge the extracted coffee to the extraction unit is formed, using cold water A pressure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a pressure in the filter housing when brewing coffe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상기 물 공급부는 냉수 또는 상기 냉수보다 온도가 높은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The wat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cold water or hot water having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cold water,상기 필터유닛에 상기 가압된 냉수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급수노즐;A water supply nozzle provided to provide the pressurized cold water to the filter unit;상기 물 공급부와 상기 급수노즐을 연결하는 냉수라인;A cold water lin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y nozzle;상기 냉수라인 상에 구비되어 상기 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개폐밸브;An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on the cold water line to selectively block the cold water line;상기 급수노즐에 상기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라인; 및A hot water line providing the hot water to the water supply nozzle; And상기 온수라인 상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가열유닛;A heating unit provided on the hot water line to heat wa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Espresso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omprising a.삭제delete삭제delete삭제delete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상기 본체는 복수의 필터 홀더가 구비되고,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holders,상기 냉수라인과 상기 온수라인은 각각 별도의 필터 홀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d water line and the hot water line are each connected by a separate filter holder.삭제delete
KR1020080024310A2008-03-172008-03-17 Espresso Coffee ExtractorExpired - Fee RelatedKR101002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24310AKR101002461B1 (en)2008-03-172008-03-17 Espresso Coffee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80024310AKR101002461B1 (en)2008-03-172008-03-17 Espresso Coffee Ex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99197A KR20090099197A (en)2009-09-22
KR101002461B1true KR101002461B1 (en)2010-12-17

Family

ID=4135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80024310AExpired - Fee RelatedKR101002461B1 (en)2008-03-172008-03-17 Espresso Coffee Extr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100246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398674B1 (en)2012-11-142014-05-27강성호dutch type coffee extractor
KR200474428Y1 (en)*2012-02-142014-09-17최윤희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offee machine features
WO2016072589A1 (en)*2014-11-072016-05-12(주)미스터커피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KR101645516B1 (en)2016-02-252016-08-08(주)미스터커피Ground coffee chute device for coffee machines
KR20210000137U (en)*2020-12-292021-01-19이용도Filter basket for espresso coffee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217831B1 (en)*2010-06-042013-01-02최범수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CN116807233A (en)*2022-03-222023-09-29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Beverage machine, beverage preparation method,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807232A (en)*2022-03-222023-09-29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Beverage machine, beverage preparation method,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807236A (en)*2022-03-222023-09-29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Beverage preparation method, readable storage medium,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beverage machine
CN116807239A (en)*2022-03-222023-09-29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Beverage preparation method, readable storage medium, beverage preparation device and beverage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44148A (en)1998-02-271999-09-14Maruhiro Sangyo:KkCoffee maker with cold water
US20020170438A1 (en)2001-05-162002-11-21Tzeng-Shyang LiuHigh-pressure tea steep device
JP2008023343A (en)2006-07-242008-02-07Gruppo Cimbali SpaCoffee machine having dispenser with independent hea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44148A (en)1998-02-271999-09-14Maruhiro Sangyo:KkCoffee maker with cold water
US20020170438A1 (en)2001-05-162002-11-21Tzeng-Shyang LiuHigh-pressure tea steep device
JP2008023343A (en)2006-07-242008-02-07Gruppo Cimbali SpaCoffee machine having dispenser with independent heat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474428Y1 (en)*2012-02-142014-09-17최윤희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offee machine features
KR101398674B1 (en)2012-11-142014-05-27강성호dutch type coffee extractor
WO2016072589A1 (en)*2014-11-072016-05-12(주)미스터커피Espresso coffee extraction device
CN107072426A (en)*2014-11-072017-08-18咖啡先生有限公司Concentrated coffee extraction element
KR101645516B1 (en)2016-02-252016-08-08(주)미스터커피Ground coffee chute device for coffee machines
KR20210000137U (en)*2020-12-292021-01-19이용도Filter basket for espresso coffee machine
KR200495718Y1 (en)*2020-12-292022-08-01이용도Filter basket for espresso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99197A (en)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002461B1 (en) Espresso Coffee Extractor
US6202541B1 (en)Apparatus for making purified water and related drinks
US8443718B2 (en)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removable injection member
KR101330206B1 (en)Espresso coffee machine
ES2564034T3 (e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 cleanable brewing head
KR101392410B1 (en)Espresso coffee machine
US20120000933A1 (en)Beverage machine with drip tray device for recipients of different heights
US20210219766A1 (en)Infusion beverage apparatus
US9113750B2 (en)System for producing beverages
US10980369B2 (en)Infusion beverage apparatus
KR100920237B1 (en) Coffee brewing device
US20050268790A1 (en)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KR101395307B1 (en)Ectract apparatus of water drip coffee
KR101496932B1 (en)A Dutch Coffee Production Device
US10849453B2 (en)Automatic beverage maker
KR20230093289A (en) extraction cell
US8763518B2 (en)Percolation machine for producing beverages
KR101430912B1 (en)Dutch coffee machine
KR101595497B1 (en)Dutch coffee extractor
KR101116227B1 (en) Portable espresso maker
WO2019232109A1 (en)Stovetop coffee brewing device
KR101505653B1 (en)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2415809B1 (en)Small household cold brew extractor
KR20150109706A (en)Dutch coffee mass-making machine and coffee brewing tool used thereto
KR102358336B1 (en)Portable coffee extrac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T11-X000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4-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1022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1215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0113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71116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812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81214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