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997265B1 - 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265B1
KR100997265B1KR1020100031160AKR20100031160AKR100997265B1KR 100997265 B1KR100997265 B1KR 100997265B1KR 1020100031160 AKR1020100031160 AKR 1020100031160AKR 20100031160 AKR20100031160 AKR 20100031160AKR 100997265 B1KR100997265 B1KR 100997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remote control
control terminal
us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현준
Original Assignee
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준filedCritical지현준
Priority to KR1020100031160ApriorityCriticalpatent/KR100997265B1/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65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997265B1/en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4)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5)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6)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기기에 제어모듈을 부착하고 제어모듈과 연동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 공사의 필요 없이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의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을 구축한 후에도, 제어모듈을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전자기기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 넓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method, a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1) receiving an ID and a password from an electronic device of a user, and (2) the ID and a password. 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if it matches the member information; and (3)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4) transmitting a power-up command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power state; and (5)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and (6)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step in which the home network product receive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led result and transmits it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method,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attaches a control module to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and remotely connects the control module to a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By controlling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easily build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network connection construction.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ethod, the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stablishing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can additionally connect a new electronic device by attaching the control module to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it is very scalable and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Home network method,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연결 공사 없이 제어모듈을 각 전자기기에 부착함으로써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method, a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constructing a home network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attaching a control module to each electronic device without network connection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method, a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of.

최근에는 아파트 내부에 구비된 가전제품들을 모두 연결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각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홈 원격제어 서비스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홈 원격제어 서비스는 리모컨과 같은 기기를 통하여 가정 내의 가전제품을 조작하는 방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는 가정 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many home remote control services have been provided to connect all the home appliances provided in the apartment and allow the user to easily control each home appliance. However, the home remote control service is a method of operating home appliances in the home through a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in most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ntrol the home appliances in the home when the user goes out.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화나 인터넷,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가정 내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는 초기 대규모 네트워크 연결 공사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구축된 네트워크에 추가로 새로운 기기를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home network service that connects to a network so as to control home appliances in a remote place through a telephone, the Internet, or a smartphone has been mainly developed. However, this home network service is expensive due to the initial large-scale network connection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onnect a new device to the established network.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가전제품에 제어모듈을 부착하고 제어모듈과 연동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 공사의 필요 없이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의 구축이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the control module is attached to the existing home appliances and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home appliances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modu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network method, a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apable of easily constructing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network connection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을 구축한 후에도, 제어모듈을 가전제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가전제품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 넓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building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connect a new home appliance by attaching a control module to a home appliance, so that the remote control terminal can be applied in a wide range of excellent expandability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ome network method, a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provided by a service providing server,

(1)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1) 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2) 상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하는 단계;(2) 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if the ID and password match the member information;

(3)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3)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4)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4) transmitting a power-up command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power state;

(5)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5)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6)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6) receiv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 of the control of the home network product,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a user's electronic device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상기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원격제어 단말기;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 control signal for a home network product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or transmitting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거치하고 통신모듈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거치대;A terminal holder for connecting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by inserting a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삽입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모듈에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A communication module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de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o a control module; And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module coupled to the home network product to control the home network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o transmit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이며, 하나의 통신모듈에 하나의 제어모듈이 대응될 수 있도록 각 통신모듈마다 고유번호 또는 특정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may be plural, and a unique number or a specific frequency may be assigned to each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one control module may correspond to one communication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Preferably, the terminal holder,

상기 통신모듈이 삽입되어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 삽입구;A communication modul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sert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거치대수신부; 및A cradle receiver for receiving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상기 거치대수신부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거치대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adle receiver may include a cradl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은,Preferably, the control module,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모듈수신부;A control module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어모듈이 결합된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송신부; 및A control module transmitter which transmits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o which the control module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상기 제어모듈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module receiv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는,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and an operation including a result of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a remote control termi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전원인가부; 및A power supply unit for transmitting a power-up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power state; And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 상기 작동상태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식별정보,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And a transmitter which transmits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수신부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며,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power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하며,The receiving unit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상기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unit configured to transmit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기기에 제어모듈을 부착하고 제어모듈과 연동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에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 공사의 필요 없이 용이하게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의 구축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method,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attaches a control module to an existing electronic device and remotely connects the control module to a user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By controlling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easily build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without the need for network connection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망을 구축한 후에도, 제어모듈을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전자기기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매우 뛰어나 넓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network method, the system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stablishing a home network service network, can additionally connect a new electronic device by attaching the control module to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e, it is very scalable and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
1 is a flow chart of a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of an element means that the elem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은,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단계(S300),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S400),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하는 단계(S500),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600),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S700),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 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800),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900),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S1000), 및 원격제어 단말기에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is a flow chart of a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S100), the user's electronic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device (S200),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S300), 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S400) If the ID and password match the member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home network control screen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S500), and the user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In step S600, receiving and using power status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product from a remote control terminal. Step (S700) of transmitting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child,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 power state, transmitting a power supply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S800),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Transmitting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S900), receiv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 result of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user (S1000), and remot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S1100) for transmitt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terminal.

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한다. 사용자의 전자기기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PDA일 수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홈 네트워크 제품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로서,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와 작동상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100,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user's electronic device may be a computer, a notebook,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or a PDA, and includes any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is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s electronic device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home network product.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may provide the power stat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user.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성명, 연락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를 회원제로 운영함으로써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고, 다른 부가서비스를 회원에게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부가서비스는 원격 홈 네트워크의 보증수리, 네트워크 확장 작업,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광고 정보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200,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registr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he user may access the Internet through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ID and passwor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name, contact information, address, and the like. By operating the home network as a member system, efficient customer management is possible and other addi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to members to generate additional revenue. Additional services may include warranty repair of the remote home network, network extension work, and provision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for home network products.

단계 S300에서는,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한다. 회원정보는 회원등급별로 권한을 차등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step S300,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as member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can be stored by granting the authority for each membership level, it can be encrypted and stored for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단계 S400에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이때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위해 필요하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400, an ID and password are received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t this time, the ID and password are required for the user's login and can be received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단계 S500에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한다.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통하여 가정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제품을 특정한 후 원하는 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500, when the ID and password match the member information, the home network control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The user may control the home network product provided in the home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screen and control the product as desired.

단계 S600에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한다.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 제품을 특정하였을 경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제품종류, 제품마다 할당된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식별정보를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함으로써 원격제어 단말기로 하여금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과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In step S600, the user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user specifies a home network product to be controlled,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may automaticall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 type for the home network product and a unique number assigned to each product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so that the remote control terminal can be linked to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단계 S700에서는,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한다. 전원상태정보는 단계 S600에서 선택된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 On/Off에 대한 정보이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대기모드인 경우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단계 S7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원격제어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 제품 간의 연결 상태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In step S700, the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e power stat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power on / off of the home network product selected in step S600, and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ase where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in step S7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he home network product is not smooth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단계 S800에서는,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 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한다. 전원 인가 명령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을 On 시킨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품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In step S800,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the no power state, a power-on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urn on the power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hrough the power-on command and allow the home network product to operate under the user's control.

단계 S900에서는,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는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될 수 있는 모든 작동에 관한 신호를 포함하며, 각 홈 네트워크 제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 온도 제어신호, 보일러 출력의 강약 조절에 관한 제어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S90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control signal includes signals relating to all operations in which the home network product can be controlled, and may be different for each home network product. For example, the heating boiler may include a room temperature control signal,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boiler output.

단계 S1000에서는,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한다.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도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오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0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후 홈 네트워크 제품의 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오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In step S1000, the home network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ult of the control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Even when the control signal is input, if the home network product does not work properly, an error message may be sent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in step S1000,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may store an error message for later use in repairing a home network product.

단계 S1100에서는, 원격제어 단말기에 광고 정보를 송신한다. 광고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정보를 수신한 원격제어 단말기가 표시 화면에 광고를 도시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In step S1100,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home network product by the user. The remote control terminal receiv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y generate advertisement revenue by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on the display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원격제어 단말기(200), 단말기 거치대(300), 통신모듈(400), 제어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home network system 10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heterminal holder 300, thecommunication module 4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control module 500.

원격제어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대한 식별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대한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송신한다. 송수신 과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700)를 통해 원격제어 단말기(200)와 사용자의 전자기기(100)가 연결될 수 있다. 원격제어 단말기(200)는 단말기 거치대(300)에 결합되어, 수신한 식별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대응되는 통신모듈(400)을 검색할 수 있다.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control signal for thehome network product 600 from theelectronic device 100 of the user, or receives the power state information or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thehome network product 600 from the user. To theelectronic device 100. 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service providing server 700.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may be coupled to theterminal holder 300 so that the user may search for thecommunication module 4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home network product 600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원격제어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700)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에 광고를 도시할 수 있고, 통신모듈 삽입구(310)에 삽입된 통신모듈(400)의 고유번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에 적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제공 서버(700)로부터 수신받아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from theservice providing server 700 to show the advertisement on the display screen, and automatically the unique number of thecommunication module 400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module insertion opening 310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suitable for this may be received and installed from theservice providing server 700.

단말기 거치대(300)는, 원격제어 단말기(200)를 거치하고 통신모듈(400)을 삽입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제품(600)과 원격제어 단말기(200)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단말기 거치대(300)는 통신모듈 삽입구(310), 거치대수신부(330), 거치대송신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terminal holder 300 all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home network product 600 and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by inserting thecommunication module 400 through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heterminal holder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module insertion hole 310, aholder receiving unit 330, aholder transmitting unit 350.

통신모듈 삽입구(310)는, 통신모듈(400)이 삽입되어 통신모듈(400)과 원격제어 단말기(200)가 연결되도록 한다. 통신모듈 삽입구(31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여분의 통신모듈 삽입구(310)에 추가로 통신모듈(400)을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은 홈 네트워크의 확장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communicationmodule insertion hole 310 allows thecommunication module 400 to be inserted to connect thecommunication module 400 and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he communicationmodule insertion hole 310 may be plural, and the newhome network product 600 may be connected by inserting thecommunication module 400 in addition to the extra communicationmodule insertion hole 310. Therefore, thehome network system 10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pansion of the home network is very easy.

거치대수신부(330)는, 통신모듈(4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제어 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전원상태정보와 작동상태정보는 원격제어 단말기(20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전송하며, 수신한 제어신호는 거치대송신부(350)와 통신모듈(400)을 거쳐 제어모듈(500)에 전송될 수 있다.
Thecradle receiver 330 receives power status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from thecommunication module 40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Received power status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he received control signal via thecradle transmitter 350 and thecommunication module 400, the control module ( 500).

거치대송신부(350)는, 거치대수신부(330)가 원격제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통신모듈(400)에 송신한다.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거치대송신부(350)는 제어신호를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결합된 제어모듈(500)과 대응되는 통신모듈(4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송신부(350)는, 거치대수신부(330)가 통신모듈(400)로부터 수신한 전원상태정보와 작동상태정보를 원격제어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Thecradle transmitting unit 3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o thecommunication module 400 by thecradle receiving unit 330. When using a plurality of home network products, thecradle transmitter 3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communication module 400 corresponding to thecontrol module 500 coupled to the specifichome network product 600. In addition, thecradle transmitter 350 may transmit power status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cradle receiver 330 from thecommunication module 400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통신모듈(400)은, 단말기 거치대(300)에 삽입되며 원격제어 단말기(200)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모듈(50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모듈(400)은 제어모듈(5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정보와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400)은 USB 방식으로 단말기 거치대(300)에 삽입되어 거치대수신부(330)와 거치대송신부(350)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 제품(600)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어모듈(500)과 통신모듈(40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하나의 통신모듈(400)에 하나의 제어모듈(500)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통신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통신모듈(400)마다 고유번호 또는 특정 주파수를 할당할 수 있다.
Thecommunication module 400 is inserted into theterminal holder 3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o thecontrol module 500. In addition, thecommunication module 400 may receive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from thecontrol module 500 and transmit it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The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inserted into theterminal holder 300 in a USB mann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holder receiving unit 330 and theholder transmitting unit 350. In order to use the plurality ofhome network products 600, thecontrol module 500 and thecommunication module 400 may be plural, and onecontrol module 500 may correspond to onecommunication module 400. In addition, a unique number or a specific frequency may be assigned to eachcommunication module 400 so that communication interference does not occur.

제어모듈(500)은,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결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품(600)을 제어하고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통신모듈(400)에 송신한다. 제어모듈(500)은 제어모듈수신부(510), 제어모듈송신부(530), 제어장치(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control module 500 is coupled to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o control thehome network product 6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o thecommunication module 400. Send. Thecontrol module 500 may include acontrol module receiver 510, acontrol module transmitter 530, and acontrol device 550.

제어모듈수신부(510)는, 통신모듈(4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를 통하여 원격으로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입력된 제어신호와, 사용자가 원격제어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직접 입력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Thecontrol module receiver 5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communication module 400.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control signal input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remotely through theelectronic device 100 of the user, and a control signal directly input by the user operating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제어모듈송신부(530)는, 제어모듈(500)이 결합된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통신모듈(400)에 송신한다. 제어모듈송신부(530)로부터 송신된 전원상태정보와 작동상태정보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와 작동상태를 즉시 파악하여 문제가 있을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Thecontrol module transmitter 530 transmits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o which thecontrol module 500 is coupled to thecommunication module 400. Power state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control module transmitter 530 is finally transmitted to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the user immediately grasps the power state and operation state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he problem is If so, be prepared to respond quickly.

제어장치(550)는, 제어모듈수신부(51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품(600)을 제어한다. 제어장치(550)는 홈 네트워크 제품(6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최적화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Thecontrol device 550 controls thehome network product 6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control module receiver 510. Thecontrol device 550 may be manufactured in an optimized structure for eachhome network product 600 to control thehome network product 6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700)는, 수신부(710), 전원인가부(730), 송신부(750), 저장부(770), 광고부(7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home networkservice providing server 700 using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receiver 710, apower applying unit 730, atransmitter 750, and a storage unit. 770, theadvertisement unit 790 may be configured.

수신부(71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대한 식별정보,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원격제어 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제품(600)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71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원격제어 단말기(200)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전자기기(100)가 휴대폰인 경우 전화선을 통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전화요금의 과도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터넷으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eivingunit 710 receives an ID and password from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home network product 60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home network product 600, and remote control. Thehome network product 600 receiv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led result from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addition, thereceiver 710 may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electronic device 100 of the user, and receive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from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Can be received. When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is a mobile phon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a telephone line, but it is preferable to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generation of telephone charges.

전원인가부(730)는, 홈 네트워크 제품(600)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한다. 전원 인가 명령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제품(600)의 전원을 On 시킨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원인가부(730)는 전원 인가 명령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별도의 비밀번호를 요청할 수 있다.
Thepower applying unit 730 transmits a power supply command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when thehome network product 600 is in a no power state. After turning on the power of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hrough a power-on command to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In addition, thepower supply unit 730 may request a separate password from the user for the power-on command.

송신부(75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 작동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식별정보,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다만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은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750)는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와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할 수 있고, 수신부(710)가 원격제어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전원상태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Thetransmitter 750 transmits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electronic device 100 of the user, and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signal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However, the home network control screen is transmitted only when the user ID and password match the memb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transmitter 750 may transmit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theelectronic device 100 and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the user may receive power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by thereceiver 710. Can be transmitted to theelectronic device 100.

저장부(770)는,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한다. 회원정보는 회원등급별로 권한을 차등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한 회원정보는 송신부(750)가 사용자의 전자기기(100)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사용된다.
Thestorage unit 770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can be stored by granting the authority for each membership level, it can be encrypted and stored for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The stored member information is used for user authentication while thetransmitter 750 transmits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to the user'selectronic device 100.

광고부(790)는, 원격제어 단말기(200)에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한다. 원격제어 단말기(200)의 표시 화면에 광고를 도시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광고 수익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600)에 연관된 정보를 광고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Theadvertisement unit 790 transmit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home network product 600 to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Advertising revenue may be generated by displaying advertisements on a display screen of theremote control terminal 200, and a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home network product 600 in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dvertising revenu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0: 사용자의 전자기기200: 원격제어 단말기
300: 단말기 거치대310: 통신모듈 삽입구
330: 거치대수신부350: 거치대송신부
400: 통신모듈500: 제어모듈
510: 제어모듈수신부530: 제어모듈송신부
550: 제어장치600: 홈 네트워크 제품
700: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710: 수신부730: 전원인가부
750: 송신부770: 저장부
790: 광고부
10: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100: user electronic device 200: remote control terminal
300: terminal holder 310: communication module insertion port
330: cradle receiver 350: cradle transmitter
400: communication module 500: control module
510: control module receiver 530: control module transmitter
550: Controller 600: Home Network Product
700: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710: receiver 730: power on
750: transmitting unit 770: storing unit
790: advertising unit

Claims (12)

Translated fromKorean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회원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을 송신하는 단계;
(3)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4)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5)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6)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In the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 receiving an ID and password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2) 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if the ID and password match the member information;
(3)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4) transmitting a power-up command to a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power state;
(5)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6) receiving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 result of the control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advertis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3')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3 ') receiving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power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0a)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는 단계;
(0b)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0c) 상기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0a) sending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the user's electronics and remote control terminal;
(0b)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0c) The home network method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삭제delete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 또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원격제어 단말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를 거치하고 통신모듈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거치대;
상기 단말기 거치대에 삽입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가 수신한 제어신호를 제어모듈에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이며, 하나의 통신모듈에 하나의 제어모듈이 대응될 수 있도록 각 통신모듈마다 고유번호 또는 특정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In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a control signal for a home network product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or transmitting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user's electronic device;
A terminal holder for connecting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by inserting a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inserted into the terminal holder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o a control module; And
A control module coupled to the home network product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module is a plurality, home network system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mmunication module assigns a unique number or a specific frequency so that one control module can correspond to one communication module .
삭제delete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통신모듈이 삽입되어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가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모듈 삽입구;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거치대수신부; 및
상기 거치대수신부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거치대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erminal holder,
A communication modul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is inser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re connected;
A cradle receiver for receiving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And
The cradle receiver comprises a cradl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모듈수신부;
상기 제어모듈이 결합된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 또는 작동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송신부; 및
상기 제어모듈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control module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module transmitter which transmits power state information 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to which the control module is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module receiver.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 사용자가 특정한 홈 네트워크 제품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제어된 결과를 포함하는 작동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이 무전원상태인 경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전원 인가 명령을 송신하는 전원인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화면, 상기 작동상태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식별정보,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에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정보를 송신하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In the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 ID and password from a user's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home network produc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product, and controls the home network produc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terminal.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 result;
A power supply unit for transmitting a power-up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when the home network product is in a no-power stat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home network control scree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ignal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verti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advertising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home network product to the remote control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의 전원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ower stat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product from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transmitting unit, the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power state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홈 네트워크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개인정보를 회원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a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and the remote control terminal.
The receiving unit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for membership through the home network control appl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e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a remote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s member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100031160A2010-04-062010-04-06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Expired - Fee RelatedKR100997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31160AKR100997265B1 (en)2010-04-062010-04-06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00031160AKR100997265B1 (en)2010-04-062010-04-06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0997265B1true KR100997265B1 (en)2010-11-30

Family

ID=4341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00031160AExpired - Fee RelatedKR100997265B1 (en)2010-04-062010-04-06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9972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8934888B2 (en)2012-10-192015-01-13Optim Corporation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KR20160065602A (en)*2014-12-012016-06-09삼성전자주식회사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8934888B2 (en)2012-10-192015-01-13Optim Corporation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KR101505912B1 (en)*2012-10-192015-03-25가부시키가이샤 옵팀User terminal, remote support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reon user terminal program
US9185548B2 (en)2012-10-192015-11-10Optim Corporation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US9282453B2 (en)2012-10-192016-03-08Optim Corporation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US9426646B2 (en)2012-10-192016-08-23Optim CorporationUser terminal, operator server, remote support method and user terminal program
KR20160065602A (en)*2014-12-012016-06-09삼성전자주식회사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EP3228046A4 (en)*2014-12-012018-01-24Samsung Electronics Co., Ltd.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425520B2 (en)2014-12-012019-09-24Samsung Electronics Co., Ltd.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159669B2 (en)2014-12-012021-10-26Samsung Electronics Co., Ltd.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34077B1 (en)*2014-12-012021-12-03삼성전자주식회사Attach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EP1821492B1 (en)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7295099B2 (en)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70048700A1 (en)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US10712988B2 (en)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led device included in network
US7917653B2 (en)SyncML data sync system and data exchanging method for data exchange between clients
US20140173069A1 (en)Device control method for registering device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and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666469A (en)Bluetooth remote access device
US20040158620A1 (en)Home netwo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CN101534202A (en)Software update system for information equipment
KR20060053273A (en) Firmware update system and method of client
JP2008035108A (en) Home network server and home network control method
JPH11103309A (en) Controlled equipment, control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initial setting,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dium
CN101506744A (en)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y, validation and delivery of power through a universal power center
KR101341228B1 (en)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setup of wireless device for home network
KR100997265B1 (en)Method and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remote control device and a server for the same
JP4754432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1057810B1 (en) How to add remote control function and remote control function to add remote control function to mobile phone
US8555058B2 (en)Method of distributing group IDs in PLC network, method of receiving group IDs in PLC network,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PLC apparatus
KR20020040959A (en)Home automation method based on jini
KR100600747B1 (en) Home Network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796893B1 (en) Home network site and remote access method of home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EP2043070B1 (en)Method for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mobile terminal and consumer electronics device
JPH11103308A (en) Controlled equipment,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dium capable of initial setting
KR100974296B1 (en) Home network authentication and control method using TPM
KR20070036909A (en) Internet home network system management method using computer with power line control function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A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6-exm-PA0302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1122

Year of fee payment: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41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41124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