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flow for a camera function limit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이동 통신 단말기 20:제한 신호 송출기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limit signal transmitter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장소에서 카메라의 기능을 제한하여 카메라 기능 남용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limiting camera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o limit the function of the camera at a specific place to reduce damage caused by abuse of the camera function. .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더욱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되어짐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 무선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기능에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이런 소비자의 욕구에 부흥하도록 개발된 이동 통신 단말기 중의 하나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카메라폰)이다.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presented by mobile phones is widely us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ommercially available,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Internet and multimedia functions are also diversified.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evelop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consumers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mera phone) equipped with a digital camera.
카메라폰이란, 무선전화통화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A camera phone is a mobile communication that has a func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erforms wireless telephone call and Internet communication, and a digital camera function that can capture a subject and store its image data, and then edit, transmit, and delete it as necessary. It is a terminal.
이러한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ing the process of shooting a video or image using such a camera phone as follows.
카메라폰에 구비된 메뉴에서 멀티미디어 관련 메뉴로 진입하고, 그 멀티미디어 관련 메뉴 하부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메뉴를 선택한다.From the menu provided in the camera phone to enter the multimedia-related menu, select the digital camera menu provided under the multimedia-related menu.
상기 디지털 카메라 메뉴에서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메뉴 진입 과정 없이 키패드 상에 기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는 카메라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 상기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은 카메라폰의 표시창에 표시된다.In the digital camera menu, the user selects a shooting mode for capturing a video or an image, or selects a shooting mode using a preset hotkey on the keypad without entering the menu, and the user wants to shoot a camera provided in the camera phone. Focus on. 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camera phone.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촬영되면, 그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소정의 이름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범용 직렬 버스(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 옮길 수도 있다.When the image or video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the captured image or video may be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under a predetermined name, and the stored image or video may be transferred to an external storage medium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그러나, 카메라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퍼지면서 카메라 기능의 남용으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카메라 기능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기능 수행 시 카메라 셔터 소리를 발생시켜서 카메라 사용을 주변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는 방법이 있었지만 사람들이 많은 공공장소 나 소음이 있는 곳에서는 그 카메라 셔터 소리가 구별되지 않아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However, as the spread of camera phones spreads rapidly, damage caused by abuse of camera functions frequently occurs, which is a social problem. To prevent abuse of camera functions, a camera shutter sound is generated when the camera function is performed. There was a way to make the camera aware of the people around it, but in public places where there were a lot of noise, the sound of the camera shutter was indistinguishable.
상기와 같이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사용 시 카메라 셔터 소리 등과 같이 카메라 기능 사용을 주변 사람들에게 인식시켰지만 주변 소음이 많은 곳에서는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mera function i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nventional camera, the use of the camera function such as a camera shutter sound is recognized by the surrounding peopl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le of the ambient noise is not properly perform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 남용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장소에 카메라 기능을 차단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를 설치하고, 그 장치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카메라에 대한 메뉴 기능 및 단축키에 의한 기능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기능 남용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such a problem is to install a predetermined device that can block the camera function in a particular place where the camera function abuse can occur frequently, and the menu function for the camera of the terminal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devi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limiting a camer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hat can reduce damage caused by abuse of a camera function by blocking a function by a shortcut ke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한 신호 송출기에서 특정 영역 내에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한 신호 송출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한 신호 송출기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이면 단말기에 구성된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와 단축키를 통한 카메라 모드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limiting the camera function in a specific area in the limit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outsi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ceived signal is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transmitter; and if the received signal i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striction signal transmitter, block access to the camera mode through a menu and a shortcut key related to the camera function configured i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teps.
상기 카메라 기능이 차단된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특정 영역을 벗어나 단말기를 재부팅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use the camera function of the terminal in which the camera function is blocked, it is necessary to reboot the terminal out of the specific area.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for limiting camera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영역(A) 내에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한신호 송출기(20)와,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한 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받아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 및 그에 대한 단축키를 차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상기 제한신호 송출기(20)는 특정 영역(예를 들어, 목욕탕, 수영장, 헬스장 등 탈의 시설을 갖춘 영업장)(A) 내에 위치하고, 사업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한 정보 비트를 포함한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기능의 제한에 대한 제어신호의 송출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단말기(10)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뎀(MSM)은 단말기(10)에서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가 상기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이면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에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시켜 사용자가 메뉴를 통한 접근을 차단한다. 또한, 단축키에 의한 카메라 모드로의 접근도 차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MSM) provided in the
그럼, 이러한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특정 영역(A) 내에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단말기(10)에서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가 상기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제어신호이면 단말기(10)에 구성된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와 단축키를 통한 카메라 모드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limiting camera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for limiting the camera function in the specific area (A) in the
이러한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제한신호 송출기(20)는 그 특정 영역(A)으로 카메라 기능 제한에 대한 특정 정보를 가진 제어신호를 송출하고(S10), 단말기(10)를 소지한 사용자가 그 특정 영역(A)으로 진입(①)하면, 단말기(10)에서 상기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송출한 카메라 기능 제한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se steps, the
단말기(10)에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면(S20), 단말기(10)에 구비된 이동 통신 모뎀(MSM)에서 그 수신된 신호가 카메라 기능 제한 제어신호인지 판단한다(S30).When the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가 카메라 기능 제한에 대한 제어신호이면, MSM에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관련 메뉴와 카메라 촬영 모드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단축키 기능을 차단시킨다(S40). 즉, 카메라 기능을 차단시켜 카메라 기능 관련 메뉴에 진입하거나 그에 대한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말기(10) 표시창에 소정의 문구, 예를 들어, "이 기능은 이 곳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와 같은 문구를 표시 하여 현재 위치에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eived signal is a control signal for limiting the camera function, the MSM blocks a related menu for using the camera function and a shortcut function for directly moving to the camera shooting mode (S40). That is, when the camera function is blocked and a menu for the camera function is entered or a shortcut key for the camera function is input, a predetermined phras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이렇게 카메라 기능이 제한된 단말기(10)가 카메라 기능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한신호 송출기(20)의 특정 영역(A)을 벗어나서(②), 단말기(10)를 재부팅하면 그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특정 영역(A)에서 단말기(10)를 재부팅하게 되더라도 제한신호 송출기(20)에서 카메라 기능 제한에 대한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 단위로 계속 송출되기 때문에 단말기(10)의 카메라 기능이 제한되게 되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In order to re-use the camera func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드웨어적인 구현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카메라 기능 제한을 구현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다른 기능 구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other functions of the terminal and does not incur additional costs because it implements a camera function limitation using software rather than a hardware implementation.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 남용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장소에 카메라 기능을 차단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를 설치하고, 그 장치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단말기의 카메라에 대한 메뉴 기능 및 단축키에 의한 기능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기능 남용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predetermined device capable of blocking the camera function at a specific place where camera function abuse may occur frequently, and a menu function and a shortcut key for the camera of the terminal by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device. By blocking the function b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camera function abus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6456AKR100986453B1 (en) | 2003-07-09 | 2003-07-09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6456AKR100986453B1 (en) | 2003-07-09 | 2003-07-09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6580A KR20050006580A (en) | 2005-01-17 | 
| KR100986453B1true KR100986453B1 (en) | 2010-10-0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46456AExpired - Fee RelatedKR100986453B1 (en) | 2003-07-09 | 2003-07-09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86453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473509B2 (en) | 2014-09-29 | 2016-10-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lectively permitting or denying usage of wearable device servic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027554A (en)* | 2000-07-07 | 2002-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20020022035A (en)* | 2000-09-18 | 2002-03-23 | 이토가 미찌야 | Print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printing charge collecting method | 
| KR20040100152A (en)* | 2003-05-21 | 2004-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hotography limitation method of mobile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027554A (en)* | 2000-07-07 | 2002-01-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 
| KR20020022035A (en)* | 2000-09-18 | 2002-03-23 | 이토가 미찌야 | Printing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printing charge collecting method | 
| KR20040100152A (en)* | 2003-05-21 | 2004-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hotography limitation method of mobile phon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473509B2 (en) | 2014-09-29 | 2016-10-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lectively permitting or denying usage of wearable device servic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6580A (en) | 2005-01-1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520618B1 (en) | Method for prohibiting use of function in multi func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 US8498631B2 (en) | Activation of applications based on vibr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8224128B2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 EP3229136A1 (en) | Application calling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 |
| KR100651479B1 (en) | How to Save and Rea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 |
| CN107301242A (en) | Method, device and the storage medium of page jump | |
| JP2004112126A (en) | Mobile phone | |
| JP2011191839A (en) | Terminal equipment, authentication system, and program | |
| KR100986453B1 (en)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 KR100663480B1 (en) | How do I delete a message on my mobile device? | |
| CN106980784A (en) | Screen lock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smart machine | |
| KR100436664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ictures in display phone | |
| KR101013673B1 (en)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 KR100631580B1 (en) | Method of limiting camera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 |
| CN106657664A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all processing | |
| KR20050041345A (en) | Camera action limi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100263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ivacy protection of moving picture phone | |
| CN112887590B (en) |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KR100750198B1 (en) | Im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video call function of mobile terminal | |
| KR100978790B1 (en) | How to limit specific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100606045B1 (en) | Camera mode switch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module | |
| KR101163228B1 (en) |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thereof | |
| JP2005204035A (en) | Peeping prevention system,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 CN109218525B (en) | Emergency handl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mobile equipment falling and storage medium | |
| KR20060034009A (en) | How to lock an application or data file on a mobile terminal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924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924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50924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60923 Year of fee payment: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710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710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