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 손잡이부에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칫솔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를 하는 동안에는 입안의 병균이나 박테리아균을 살균하도록 하는 약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동작시키고, 양치가 끝난 후에는 칫솔을 건조시키고, 살균하는 강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동작시키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nd more particularly, an infrared sensor provided at the handle portion of the toothbrush to sense whether the user uses the toothbrush, and the germ in the mouth while the user brushing the toothbrush using the toothbrus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which operates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n a weak mode for sterilizing bacterial bacteria, and operates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n a strong mode in which the toothbrush is dried and sterilized after brushing.
본 발명은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구강 내에는 약 28종의 20,000여 마리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있으며, 이들 세균은 사용한 칫솔모를 통하여 구강내로 옮겨져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There are about 20,000 bacteria or bacteria of 28 kinds in the oral cavity, and these bacteria are known to cause various diseases by being transferred into the oral cavity through the used bristles.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해성 미생물은 사용 후의 칫솔에 잔류된 수분 및 영양물질에 의해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칫솔을 사용하게 되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are multiplied by moisture and nutrients remaining in the toothbrush after use, and toothbrushes contaminated by these microorganisms are used.
면 치주염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게 되고, 특히 건강한 사람보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폐렴, 기관지염, 간염, 감기 등에 노출되기 쉬워 칫솔의 사용 후에는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청결한 관리가 필요하다.Various oral diseases such as cotton periodontitis are high, especially those who have a weaker immunity than healthy people are exposed to pneumonia, bronchitis, hepatitis, cold, etc., and clean management is required to prevent bacteria from growing after using the toothbrush.
따라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칫솔을 살균하여야 하며, 적극적인 방법이란 칫솔을 자연건조 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refore, the toothbrush must be sterilized by an aggressive method, and the aggressive method may be to sterilize using a device such as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nstead of naturally drying the toothbrush.
이에 다양한 칫솔살균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칫솔 살균 장치를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칫솔 살균장치를 구비한 곳에서만 칫솔을 살균할 수 있어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Various toothbrush sterilizer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is has a cumbersome problem of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toothbrush sterilization device, and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toothbrush can be sterilized only at the place where the toothbrush sterilizer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 기능이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칫솔의 일측에 구비하여 별도의 칫솔 살균기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칫솔을 소독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V light emitting diode (UV LED)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on one side of the toothbrush to facilitate the user without a separate toothbrush steriliz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capable of disinfecting a toothbrush.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의 손잡이측에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칫솔 사용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를 하는 경우, 입안에 서식하는 병균들이나 박테리아를 박멸하고 구강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키고, 미리 설정된 제1시간(예컨데; 바른 양치시간, 3분)이 경과하면, 칫솔모를 빠르게 건조시키고 칫솔모에 존재하는 병균을 살균하도록 하는 강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켜 칫솔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an infrared sensor on the handle side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user's use of the toothbrush, when the user brushing teeth using a toothbrush, eradicates the germs or bacteria in the mouth and Operate the UV LED in a weak mode to keep it clean, and after a predetermined first time (e.g., 3 minutes of correct brushing time), dry the bristles quickly and sterilize the germs on the bristl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ized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which can operate a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in a strong mode to manage the toothbrush clean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심어진 다수의 칫솔모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타이머와; 상기 머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칫솔모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접촉하면 접촉온신호를 생성하고, 손잡이부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접촉오프신호를 생성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접촉온신호를 전송받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약모드로 동작시키며, 미리 설정된 제1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접촉오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강모드로 동작시키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mer in the toothbrush consisting of a handle, a hea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and a plurality of bristles planted in the head, Wow;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provided inside the head to sterilize and sterilize the bristles;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part and sensing a contact of the handle part to generate a contact on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le part, and to generate a contact off signal when the handle part is not detected; And operating a timer when the touch-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sensor, operating the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in a weak mode, and receiving the contact-off signal from the infrared sensor after a preset first time elapses. It includes; Central processing unit for operating in a strong mode.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강모드로 동작되는 시점부터 상기 타이머를 가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여 살균이 완료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timer from the time whe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s operated in the strong mode, and to turn off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whe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as to complete the sterilization process.
또한, 상기 칫솔은,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약모드에서 강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The toothbrush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sound an alarm whe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s switched from the weak mode to the strong mode.
그리고 상기 칫솔은, 상기 머리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적외선이 투과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toothbrush,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handle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infrared rays are transmit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외선이 투과되는 반투명한 재질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심어진 다수의 칫솔모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전원부와; 경보음을 울리는 출력부와; 타이머와; 상기 머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칫솔모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부의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접촉하면 접촉온신호를 생성하고, 손잡이부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접촉오프신호를 생 성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접촉온신호를 전송받으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약모드로 동작시키며, 미리 설정된 제1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접촉오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강모드로 동작시키며,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강모드로 동작되는 시점부터 상기 타이머를 재가동하여, 미리 설정된 제2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소등하여 살균이 완료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가 약모드에서 강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infrared rays are transmitted, a hea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and the head In the toothbrush made of a plurality of bristles planted in, The power supply; An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 timer;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provided inside the head to sterilize and sterilize the bristles;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part and sensing a contact of the handle part to generate a contact on signal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le part, and to generate a contact off signal when the handle part is not detected; And when the touch-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frared sensor, operating a timer, operating the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in a weak mode, and whe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touch-of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frared sensor, emits the ultraviolet light. The diode is operated in the strong mode, and the timer is restarted from the time whe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s operated in the strong mode, and when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ff to process sterilization to be completed.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switched from the weak mode to the strong mode, the output unit comprises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output the alarm soun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이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칫솔의 일측에 구비하여 별도의 칫솔 살균기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칫솔을 소독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on one side of th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that can be easily sterilized by a user without a separate toothbrush sterilizer. A sterile toothbrush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칫솔의 손잡이측에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칫솔 사용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를 하는 경우, 입안에 서식하는 병균들이나 박테리아를 박멸하고 구강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키고, 미리 설정된 제1시간(예컨데; 양치시간)이 경과하면, 칫솔모를 빠르게 건조시키고 칫솔모에 존재하는 병균을 살균하도록 하는 강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켜 칫솔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 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infrared sensor on the handle side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user's use of the toothbrush, when the user brushing teeth using the toothbrush, it can eliminate the germs and bacteria in the mouth and clean the mouth. The UV light emitting diode (UV LED) is operated in a weak mode, and whe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eg, brushing time) has elapsed, the ultraviolet light is emitted in a strong mode to quickly dry the bristles and sterilize germs existing in the bristl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that can operate a diode (UV LED) to keep the toothbrush clea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terilized toothbrush us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is show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적외선이 투과되는 반투명한 재질의 손잡이부(125)와, 상기 손잡이부(12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투명한 재질의 머리부(145)와, 상기 머리부(145)에 심어진 다수의 칫솔모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여기서, 머리부(145)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은 칫솔모를 살균 소독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가 머리부(145)의 내측에 구비되는데 이때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그리고 손잡이부(125)가 반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은 적외선을 투과하되, 손잡이부(125)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원부(110), 적외선 센서(120), 중앙처리부(130), 타이머(150), 출력부(160)등이 잘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함이다.And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원부(110), 적외선 센서(120), 중앙처리부(130),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40), 타이머(150), 출력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원부(110)는 상기 손잡이부(145)의 내측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전원전압을 각 구성요소에 공급시켜준다. 이때, 전원부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타이머(150)는 중앙처리부(130)의 제어에 따라 시간을 카운팅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시간정보를 중앙처리부(130)에 전송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120)는 상기 머리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칫솔모를 살균 소독한다.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120 is provided inside the head to sterilize and brush the bristles.
적외선센서(120)는 상기 손잡이부(125)에 내측에 구비되고, 손잡이부(125)의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125)에 접촉하면 접촉온신호를 생성하고, 손잡이부(125)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접촉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중앙처리부(130)에 전송한다.The
중앙 처리부(130)는 적외선 센서(120)로부터 접촉온신호를 전송받으면, 타이머(150)를 동작시키고, 사용자가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를 한다고 판단하여, 입안에 서식하는 병균들이나 박테리아를 박멸하고 구강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약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킨다.When the
이후, 지속적으로 타이머(150)로부터 경과된 시간정보를 전송받는데, 이때, 미리 설정된 제1시간(예컨데; 바른 양치시간, 3분)이 경과하고, 적외선 센서(130)로부터 접촉오프신호를 전송받으면, 칫솔모를 빠르게 건조시키고 칫솔모에 존재하 는 병균을 살균하도록 하는 강모드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를 동작시킨다.Thereafter, the elapsed tim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또한, 중앙 처리부(130)는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40)가 강모드로 동작되는 시점부터 상기 타이머(150)를 재가동하여, 미리 설정된 제2시간(예컨대; 칫솔이 건조되고, 살균이 완료되는 시간, 20분)이 경과하면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40)를 소등하여 살균이 완료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일이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점등 또는 소등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turn on or off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s individu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또한, 중앙 처리부(130)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40)가 약모드에서 강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160)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In addition, when the ultraviolet
여기서, 약모드에서 강모드로 전환되는 것은 제1시간(예컨대; 바른 양치시간, 3분)을 기준으로 전환이 되는데,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바른 양치시간이 경과하는지 경과하지 않았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어, 바른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ere, the transition from the weak mode to the strong mode is switched based on the first time (eg, correct brushing time, 3 minutes), whereby the user can easily know whether the correct brushing time has elapsed or has not elap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brush your teeth.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UV LED)를 칫솔의 일측에 구비하여 별도의 칫솔 살균기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칫솔을 소독할 수 있고, 바른 양치시간에 맞춰 양치를 할 수 있으며, 칫솔을 소독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light emitting diode (UV LED) on one side of the toothbrush, the user can easily disinfect the toothbrush without a separate toothbrush sterilizer, can be brushed according to the correct brushing time, toothbrush Disinfecting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terile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 칫솔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d toothbrush u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칫솔110 : 전원부100: toothbrush 110: power unit
120 : 적외선 센서125 : 손잡이부120: infrared sensor 125: handle portion
130 : 중앙처리부140 :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0: central processing unit 140: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145 : 머리부150 : 타이머145: head 150: timer
160 : 출력부160: output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12925AKR100904477B1 (en) | 2009-02-17 | 2009-02-17 |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12925AKR100904477B1 (en) | 2009-02-17 | 2009-02-17 |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904477B1true KR100904477B1 (en) | 2009-06-23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12925AActiveKR100904477B1 (en) | 2009-02-17 | 2009-02-17 |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0447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90259B1 (en)* | 2011-08-22 | 2013-07-26 |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toothbrush | 
| KR20200098341A (en) | 2019-02-12 | 2020-08-20 | 김형우 | Oral care device | 
| KR20220021192A (en) | 2020-08-13 | 2022-02-22 | 김형우 | An oral care apparatus using near-infrared light | 
| EP4000558A1 (en)* | 2020-11-19 | 2022-05-25 | Koninklijke Philips N.V. | Oral car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440655B1 (en)* | 2022-02-24 | 2022-09-06 | 주식회사 디앤디헬스케어 | Electric toothbrush with multiple modes | 
| WO2025102328A1 (en)* | 2023-11-17 | 2025-05-22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7091Y1 (en)* | 2002-02-21 | 2002-06-03 | 럭스피아 주식회사 | A sterilize toothbrush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7091Y1 (en)* | 2002-02-21 | 2002-06-03 | 럭스피아 주식회사 | A sterilize toothbrush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90259B1 (en)* | 2011-08-22 | 2013-07-26 |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toothbrush | 
| KR20200098341A (en) | 2019-02-12 | 2020-08-20 | 김형우 | Oral care device | 
| KR20220021192A (en) | 2020-08-13 | 2022-02-22 | 김형우 | An oral care apparatus using near-infrared light | 
| EP4000558A1 (en)* | 2020-11-19 | 2022-05-25 | Koninklijke Philips N.V. | Oral car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440655B1 (en)* | 2022-02-24 | 2022-09-06 | 주식회사 디앤디헬스케어 | Electric toothbrush with multiple modes | 
| WO2025102328A1 (en)* | 2023-11-17 | 2025-05-22 | Colgate-Palmolive Company |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04477B1 (en) | Sterilizing Toothbrush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 KR101362704B1 (en) | Oral cavity sterilization appratus | |
| KR101847473B1 (en) | Led vibrating toothbrush | |
| US20210345767A1 (en) | Disinfecting toothbrush box | |
| JP2020116430A (en) | Disinfection device such as door knob using ultraviolet rays | |
| CN111387852A (en) | A sterilizing toothbrush case | |
| KR20120106387A (en) | Toothbrush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 |
| US20080060829A1 (en) | Toothbrush sanitization system | |
| US20110309268A1 (en) | Ultraviolet light brush | |
| KR100423950B1 (en) |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that have USB port | |
| KR100916746B1 (en) | Portable compound sterilizer using high brightness V-LED lamp and silver nano and photocatalyst | |
| KR20130021158A (en) | Toothbrush cap with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 |
| KR20150112079A (en) | Cup disinfection Device | |
| KR101166064B1 (en) | Light Emitting Apparatus, Brush and Functional Toothbrush Using the Same | |
| KR101951643B1 (en) | A soother pacifier sterilizer | |
| KR200482066Y1 (en) | oral sterilization device for pet based LED light diffusion | |
| KR102497774B1 (en) | Open Toothbrush Sterilizer | |
| KR20140013158A (en) | Oral steriliz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of | |
| KR20100079228A (en) | Apply led diode to den ture brush by white teeth and sterilized | |
| KR200311757Y1 (en) | Toothbrush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 |
| CN213097632U (en) | Sterilizing toothbrush box | |
| KR200480400Y1 (en) | brushing one's teeth count toothbrush | |
| KR101178052B1 (en) | ASterilizing tooth brush used by laser | |
| CN111436767A (en) | A disinfection shoe cabinet | |
| KR200383346Y1 (en) | Sterilizing spoon and chopsticks case using LED type of ultraviolet rays and lamp of ozo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09021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20090217 Patent event code:PA03022R01D Comment text: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0904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0905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090617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090617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20517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402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30402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521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40521 Start annual number:6 End annual number: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80531 Year of fee payment: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80531 Start annual number:10 End annual number: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90717 Year of fee payment: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190717 Start annual number:11 End annual number: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00617 Start annual number:12 End annual number: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10630 Start annual number:13 End annual number: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614 Start annual number:16 End annual number: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616 Start annual number:17 End annual number: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