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100891660B1 - Refresh device - Google Patents

Refresh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660B1
KR100891660B1KR1020050019105AKR20050019105AKR100891660B1KR 100891660 B1KR100891660 B1KR 100891660B1KR 1020050019105 AKR1020050019105 AKR 1020050019105AKR 20050019105 AKR20050019105 AKR 20050019105AKR 100891660 B1KR100891660 B1KR 10089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unit
base
water storag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8801A (en
Inventor
안병환
김혁덕
최성봉
이득희
정성해
조흥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105ApriorityCriticalpatent/KR100891660B1/en
Priority to US11/628,193prioritypatent/US20080256989A1/en
Priority to PCT/KR2006/000696prioritypatent/WO200609105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880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060098801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660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0891660B1/en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Expired - Fee Relat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의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의류 등의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접힘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스팀을 제공받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50019105

리프레쉬 장치, 스팀 생성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new type of clothes refresh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wrinkles of clothes and the like and obtain a sterilizing effec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A water storage unit mounted in the ba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required for steam generation is stored; A steam generator for heat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body par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ov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forms a predetermined space for a refresh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provided with a steam supply unit for receiving steam from the outside: provides a refresh device comprising a refres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gure R1020050019105

Refreshing unit, steam generation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리프레쉬 장치{Refresher}Refresher {Refresher}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storage of the refre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use of the refre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의 Ⅱ-Ⅱ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3.

도 5 는 도 1의 배면도5 is a rear view of FIG.

도 6 은 도 3의 배면도6 is a rear view of FIG. 3.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가 세탁 장치와 연동되게 사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re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laundry apparatus;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스팀 생성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structure of a steam generator of a ref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베이스부110. 장착구100.Base 110. Mounting Hole

130. 개폐 도어140. 조작 패널130. Opening and closing door 140. Operation panel

170. 물저장부171. 열전도판170.Water storage 171. Heat conduction plate

172. 돌출부211,225. 안착부172.Protrusions 211,225. Seating part

212,222. 전열코일213,223. 컨트롤러212,222. Electric coil 213,223. controller

224. 전원연결단자300. 커버부224.Power connector 300. Cover part

310. 홀더바320. 배출구310. HolderBar 320. Outlet

400. 바디부500. 서포터부400.Body 500. Supporter

600. 스팀 공급부610. 관로 연결구600.Steam supply 610. Pipe connection

620. 개폐 도어630. 판독부620. Opening and closing door 630. Reader

221. 열전도판10. 세탁 장치221.Heat Transfer Plate 10. Laundry Machine

20. 스팀 생성부30. 스팀 유로관20.Steam generator 30. Steam flow pipe

본 발명은 의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등의 주름을 제거함과 더불어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의류용 리프레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ot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w type of clothes refresh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wrinkles, such as clothes and to obtain a sterilization effect.

일반적으로 의류용 장치라 함은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로써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등 많은 기기 등이 포함된다.In general, the apparatus for clothes is a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clothes, and includes many machines such a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nd a dryer for drying wet clothes.

상기한 각종 의류용 장치 중 건조기는 세탁물이 일괄적으로 투입된 상태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엉켜진 부위에 대한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한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dryer of the various apparel device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drying process is not performed smoothly because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laundry is put in a batch.

뿐만 아니라, 종래의 건조기는 그 내부에서 장시간 보존될 경우 주름이 심화되어 반드시 다림질이 필요시되었던 불편함을 가지며, 의류 등의 보관이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yer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wrinkles were required to be ironed deeply when deeply stored in the inside for a long time, and storage of clothes and the like was impossible.

이에 최근에는 건조 용량을 확대하고, 장시간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건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특허출원공개 US2004/0194339 A1 및 US2004/0154194 A1과 같이 드럼식 건조기에 별도의 건조 캐비넷을 더 구비된 혼합식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new drying device that can extend the drying capacity and allow for long-term storage, and additional drying cabinets have been added to drum dryers such as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s US2004 / 0194339 A1 and US2004 / 0154194 A1. A combined dryer provided is provided.

상기와 같은 혼합식 건조기는 회전되는 드럼을 가지는 일반적인 드럼식 건조기의 상측에 각종 세탁물의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열풍을 공급받는 건조 캐비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건조 기기이다.Mixing dryer as described above is a dry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drying cabinet receiving hot air while having a storage space for various laundry on the upper side of the general drum type dryer having a rotating drum.

이 때, 상기 건조 캐비넷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거나 장시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drying cabinet is used to dry or store for a long time the clothes received in the hot air from the drum dryer.

하지만, 전술한 건조 캐비넷은 반드시 상기 드럼식 건조기와 일체로 구성되어야만 그 동작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drying cabinet has a problem that its operation is possible only if it is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drum dryer.

이는, 상기 건조 캐비넷이 드럼식 건조기와 결합되어 있어야만 고온의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drying cabinet can be supplied with hot air only when it is combined with a drum type dryer.

이로 인해, 상기 건조 캐비넷은 상기 드럼식 건조기와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항상 혼합식 건조기의 전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 캐비넷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For this reason, the drying cabinet cannot be used independently of the drum type dryer, and control of the drying cabinet is inevitably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ower of the mixed dryer is always applied.

또한, 전술한 혼합식 건조기의 건조 캐비넷은 의류에 대한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을 위한 리프레쉬 운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시간의 의류 보관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drying cabinet of the above-described mixed dryer has a problem that it is unsuitable for storing clothes for a short time because there is no refresh operation for removing wrinkles and sterilization of cloth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 운전이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과 더불어 자유로운 설치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리프레쉬 장치가 구비된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tore a short time for the clothing and at the same time during the storage of the wrinkle removal and sterilization of the garment can be refreshing opera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machine equipped with a refresh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and that can be freely installed and carried.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장치가 세탁기나 의류 건조기 등의 세탁 장치와도 호완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용으로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적용된 새로운 구조의 리프레쉬 장치가 구비된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device for the refresh operation described above can be compatible with the washing device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clothes dryer, but also has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o which the structure is appli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on. It is intended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내에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접힘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스팀을 제공받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가 제공된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A water storage unit mounted in the ba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required for steam generation is stored; A steam generator for heat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body par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ov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forms a predetermined space for a refresh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eam supply unit: provided with steam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with a refreshing device comprising a.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리프레쉬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8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refres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detail.

우선,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00)와, 물저장부(170)와, 스팀 생성부와, 커버부(300)와, 바디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ref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base part 100, awater storage part 170, a steam generating part, and acover part 300. And, it comprises abody 400.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스팀 생성을 위한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Here, thebase portion 100 is formed to have a space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steam generation while forming the body of the ref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베이스부(100)에는 상기 물저장부(170)를 외부로부터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구(110)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base portion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hole 110 is further formed to mount thewater storage unit 170 from the outside.

이 때, 상기 장착구(110)의 형성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장착구(110)의 형성 위치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정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ounting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100). Of cours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ountinghole 110 may be formed in the front of thebase portion 100.

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구(110)에는 그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개폐 도어(1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hole 1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door 130 for the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물저장부(170)는 상기 베이스부(100) 내에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water storage unit 170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is mounted in thebase unit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required for steam generation is stored.

이 때, 상기 물저장부(170)는 그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물의 투입 및 스팀의 발산이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and the steam diverges in the state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또한,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중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하단측 내벽면에는 열전도판(171)이 구비된다.In addition, aheat conduction plate 171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mounted to thebase unit 100.

상기한 열전도판(171)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판(171)의 역할은 후술하는 스팀 생성부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열을 상기 물저장부(170) 내의 전 부위로 빠르게 전도하도록 한다.The thermalconductive plate 171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role of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is to quickly conduct the high temperature heat provided from the steam generator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entire portion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물론, 상기 열전도판(171)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전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제조단가의 상승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측의 내벽면 즉, 저면에만 장착하더라도 충분한 열전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Of course,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entire inner wall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but considering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that i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mounted on thebase portion 100, that is, the bottom surface Even if it is installed only, sufficient heat con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특히, 상기 열전도판(171)은 첨부된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 자체를 이루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is most preferably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as shown in Figure 2 and 4 attached.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스팀 생성부는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상기 물을 증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크게 안착부(211)와, 전열코일(212)과 컨트롤러(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eam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is configured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to serve to evaporate the water, and largely theseating unit 211, theheat transfer coil 212 and thecontroller 213 is configured.

이 때, 상기 안착부(211)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170)가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부위이다.At this time, theseating portion 211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base portion 100 is a portion for determin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또한, 상기 전열코일(212)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이 장착되는 부위 즉, 상기 안착부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열 전도판(171)으로 고온의 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heat transfer coil 212 is provided along the inside of the seat portion, that i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ottom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of thebase portion 100,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It serves to provide high temperature heat.

이 때, 상기 전열코일(212)과 상기 열전도판(171)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어느 한 부위가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원활한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heat transfer coil 212 and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although not shown is preferably at least on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enable a smooth heat transfer.

또한, 상기 컨트롤러(213)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전열코일(212)의 발열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controller 213 is provided on the inner space of thebase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heat generation control of theheat transfer coil 212.

이 때, 베이스부(10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러(213)의 제어를 위한 조작 패널(1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noperation panel 140 for controlling thecontroller 21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base unit 100.

전술한 스팀 생성부는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최저 수위 이하로 낮아질 경우 과도 발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가진다.The steam generator described above has a risk of fire due to overheating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lowered below the minimum level.

이에 따라, 상기 스팀 생성부 혹은, 베이스부(100) 내측에는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이 항상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혹은, 수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a water level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or thebase part 100 so that the water does not always fall below a certain level. Do.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부(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을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내부 역시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cover part 300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serves to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base part 100, and the inside of thecover part 3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이 때, 상기 커버부(300) 내의 공간 상에는 옷걸이를 걸기위한 홀더바(3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홀더바(310)는 그 양단이 상기 커버부(3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단변측 면에 각각 연결된다.In this case, aholder bar 310 for hanging a hang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space in thecover part 300, and theholder bar 310 has two short side surfaces of which the opposite ends of thecover part 300 face each other. Are each connected to.

물론, 상기 홀더바(310)는 그 양단이 상기 커버부(3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장변측 면에 각각 연결할 수도 있다.Of course, both ends of theholder bar 310 may be connected to two long side surfaces of thecover part 300 that face each other.

또한, 상기 커버부(300)에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혹은, 스팀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320)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cover 300 is preferably formed with adischarge port 320 so that a portion of the air or steam existing therein can be discharged.

이 때, 상기 배출구(320)는 단순한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그 개도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outlet 320 may be formed as a simple hole, but is more preferably configured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opening amount.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바디부(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커버부(300) 사이에 연결되고, 접힘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Thebody portion 400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is connected between thebase portion 100 and thecover portion 300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folded.

특히, 상기한 바디부(400)는 그 펼쳐짐이 이루어질 경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의류가 수납되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 면상에는 상기 수납 공간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body portion 400 is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the clothing for the refresh operation is stored when the expansion is made, the surface is formed to allow the selective opening of the storage space.

이 때, 상기 바디부(400)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는 지퍼(Zipper)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of thebody portion 400 is preferably made of a zipper (Zipper) structure.

상기 수납 공간의 개폐를 위한 구조는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존재하는 스팀이 외부로 배출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s to block the steam existing in the storage spac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수납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the structure for opening the storage space may be made in various forms.

그리고, 리프레쉬 장치를 구성하는 스팀 공급부(60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커버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스팀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steam supply unit 600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base unit 100 and thecover unit 300 to receive steam from the outside.

이 때, 상기 스팀 공급부(600)는 스팀이 유동되는 관로의 착탈이 가능한 관로 연결구(610)와, 상기 관로 연결구(61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steam supply unit 600 is configured to include apipe connection connector 610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pipeline in which steam flows, and an opening and closingdoor 620 to open and close thepipe connector 610.

상기 관로 연결구(610)는 통상적인 호스 등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pipe connector 610 is preferably formed of a structure used for connecting a conventional hose or the like.

또한, 상기 개폐도어(620)는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그 독립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관로 연결구(610)가 폐쇄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의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door 620 serves to prevent the leakage of steam by enabling thepipeline connector 610 to be in a closed state when using the refresh device independently.

전술한 스팀 공급부(600)는 베이스부(100)의 둘레면 상에 구비됨을 그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커버부(300)의 둘레면 혹은,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steam supply unit 60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base portion 100 in the embodiment, but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cover portion 300.

특히, 상기 스팀 공급부(600)에는 상기 스팀이 유동되는 관로의 착탈 여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는 판독부(6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steam supply unit 60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reading unit 630 for performing the reading whether the steam pipe is attached or detached.

만일, 상기 판독부(630)에 의해 판독된 결과가 상기 관로의 연결이 이루어졌음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20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If the result read by thereader 630 is confirmed that the connection of the conduit is m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controlled so as not to be controlled.

이 때, 상기 판독부(630)는 리미트 스위치 혹은, 근접 센서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reading unit 63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limit switch or a proximity sensor.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스팀 공급부(6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리프레쉬 장치에 구비된 스팀 생성부(200)가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Of course, if necessary, even if steam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steam supply unit 60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steam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refresh apparatus.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에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바디부(400)가 펼쳐졌을 경우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포터부(500)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efre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body portion 400 is expanded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이 때, 상기 서포터부(500)는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100)와 상기 커버부(300)의 후면에 각각 연결되면서 링크(link) 형태로 접었다 펴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서포터부(500)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그 길이를 늘였다 줄이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supporter 5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fold and unfold in the form of a link (link) while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back of thebase portion 100 and thecover portion 300,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supporter 5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length in a telescopic form.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동작 과정 중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및 여타의 세탁 장치와 연동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refresh apparatus is used independently and a case in which i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laundry apparatuse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e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below. same.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일련의 과정과 같이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First, when the refresh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dependently, the operation is performed as in the following series of procedures.

즉, 최초 상태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커버부(300)가 베이스부(100)의 상면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That is, the initia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cover part 300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base part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이의 경우, 바디부(400)는 상기 커버부(300)와 상기 베이스부(100) 내에 접혀진 상태로 숨겨지고, 서포터부(5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접혀진 상태이다.In this case, thebody portion 400 is hidden in the folded state in thecover portion 300 and thebase portion 100, thesupporter 500 is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의류의 리프레쉬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상기 커버부(30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개방시킨다.In addition, if it is desired to refresh the garment in the above state, thecover part 300 is opened from thebase part 100.

이의 경우, 상기 바디부(400)는 상기 커버부(3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사 이로부터 외부로 노출됨과 더불어 점차 펼쳐지게 된다.In this case, thebody portion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cover portion 300 and thebase portion 100 is gradually unfolded.

이 때,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At this time, Figures 3 and 4 attached to thebody portion 400 is shown in a fully unfolded state.

또한,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첨부된 도 6과 같이 서포터부(500)에 의해 상기 바디부(400)는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thebody part 400 is fully unfolded, thebody part 400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by thesupporter 500 as shown in FIG. 6.

그리고, 상기 바디부(4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개방한다.Then, when thebody 400 is fully unfolded, the inner space is opened by operating the zipper.

이와 함께, 사용자는 리프레쉬하고자 하는 의류를 옷걸이에 건 후 상기 옷걸이를 커버부(300) 내의 홀더바(310)에 걸고 다시 지퍼를 조작하여 그 내부 공간을 폐쇄한다.In addition, the user hangs the clothes to be refreshed on a hanger, hangs the hanger on theholder bar 310 in thecover part 300, and then closes the inner space by manipulating the zipper.

따라서, 상기 의류는 바디부(400) 내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us, the garment 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body 400.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어 리프레쉬 운전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스팀 생성부를 이루는 컨트롤러(213)를 조작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are completed and the refresh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thecontroller 213 constituting the steam generator may be operated.

이 때, 상기 리프레쉬 운전의 수행전에는 물저장부(170)에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before performing the refresh operation, water for steam generation should be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이는, 베이스부(100)의 장착구(110)에 구비된 개폐 도어(130)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저장부(170)를 취출한 후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물을 저장시키고, 계속해서 상기 물저장부(170)를 상기 장착구(110)를 통해 베이스부(100) 내에 구비된 안착부(211)에 장착하면 된다.This, after taking out thewater storage unit 170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door 130 provided in the mountinghole 110 of thebase portion 100 is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and continues Thus, thewater storage unit 170 may be mounted to theseating unit 211 provided in thebase unit 100 through the mountinghole 110.

그리고, 전술한 컨트롤러(213)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전열코일(212)의 발열 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전열코일(212)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고온의 열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열전도판(171)으로 전달된다.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controller 213 is performed, the heat generation of theheat transfer coil 212 is performed, and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heat transfer coil 212 is heat conduction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Delivered toplate 171.

따라서,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은 가열되면서 증발되고, 이러한 증발로 인해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evaporated while being heated, and the production of steam is caused by this evaporation.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바디부(400) 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바디부(400)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And, the steam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to thebody portion 400 while ri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base portion 100, and is subsequently provided to the clothing located in thebody portion 400.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garment is sterilized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and wrinkles are removed, resulting in a refresh.

특히, 상기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인 바디부(400) 내의 공간은 협소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해당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단시간 보관하더라도 원활한 의류의 리프레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space in thebody portion 400, which is the space in which the clothing is stored, is narrow, refreshing of the corresponding clothing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and thus, the clothing can be smoothly refreshed even if stored for a short time.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리프레쉬 운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디부(400) 내에 스팀이 가득차있게 되면 상기 스팀으로 인해 의류가 젖게 될 수도 있다.Even though the refresh operation is completed dur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if the steam in thebody part 400 becomes full, the clothes may be wet due to the steam.

이에 따라, 상기 리프레쉬 운전이 완료될 경우 커버부(300)에 형성된 배출구(320)가 개방되도록 조작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refresh operation is completed, it is preferable to manipulate theoutlet 320 formed in thecover part 300 to be opened.

물론, 바디부(400)의 지퍼를 개방함으로써 그 내부의 스팀을 완전 배출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by opening the zipper of thebody 400,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discharge the steam therein.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가 첨부된 도 7과 같이 세 탁 장치(예컨대, 세탁기나 의류 건조기 등)(10) 등에 연동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후술하는 일련의 과정과 같이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e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washing device (eg, washing machine, clothes dryer, etc.) 10, as shown in FIG. This is done.

이 때, 상기 세탁 장치(10)에는 상기 리프레쉬 장치와는 별도로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팀 생성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스팀 생성부(20)에는 스팀 유로관(30)이 연결된다. 상기 스팀 유로관(20)은 상기 세탁 장치의 외부로 선택적인 인출 가능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washing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asteam generating unit 20 configured to generate steam separately from the refreshing apparatus, and the steamflow path tube 30 is connected to thesteam generating unit 20. Thesteam flow path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세탁 장치(10)에 구비된 스팀 생성부(20)를 이용하여 리프레쉬 장치 내에 수납된 각종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운전을 수행하고자 한다면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관로 연결구(610)를 폐쇄하고 있는 개폐도어(620)를 조작하여 상기 관로 연결구(610)를 개방시킨다.In this state, if the user wants to perform the operation for the refresh of the various clothes stored in the refreshing apparatus using thesteam generating unit 20 provided in thewashing apparatus 10, thepipe connector 610 of the refreshing apparatus Thepipeline connector 610 is opened by manipulating theclosed door 620.

그리고, 상기 개방된 관로 연결구(610)에 상기 스팀 유로관(30)을 결합시킨다.Then, the steamflow path pipe 30 is coupled to theopen pipe connector 610.

이의 경우, 상기 관로 연결구(610)에 구비된 판독부(630)는 상기 스팀 유로관(30)의 결합을 인지하게 되고, 이의 정보를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컨트롤러(213)로 제공하여 상기 리프레쉬 장치에 구비된 스팀 생성부의 동작 즉, 전열코일(212)의 발열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한다.In this case, thereading unit 630 provided in thepipe connector 610 recognizes the coupling of the steamflow path pipe 3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controller 213 of the refresh device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refresh device. The operation of the provided steam generator, that is, the heat generation of thecoil 212 is controlled so as not to be made.

이 때, 상기 리프레쉬 장치를 이루는 커버부(300)의 개방과 바디부(400) 내에 각종 의류를 수납시키는 일련의 조작은 전술한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독립적인 운전시의 경우와 동일하게 진행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cover 300 constituting the refreshing device and a series of operations for storing various clothes in thebody 400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refreshing device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세탁 장치(10)의 스팀 생성부(20)를 동작시키게 되 면 상기 스팀 생성부(20)로부터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스팀 유로관(30)을 통해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베이스부(100) 내부 공간으로 전달된다.When thesteam generator 20 of thelaundry machine 10 is operated in the above state, steam is generated from thesteam generator 20, and the steam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hesteam flow passage 30. It is delivered to the inner space of thebase portion 100 of the refreshing device through).

계속해서, 상기 전달된 스팀은 상기 리프레쉬 장치의 바디부(400) 내부를 향해 상승하면서 상기 바디부(400)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Subsequently, the delivered steam is provided to the garment located in thebody portion 400 while rising toward the inside of thebody portion 400 of the refreshing device.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garment is sterilized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and wrinkles are removed, and as a result, the garment is refresh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장치(10) 등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리프레쉬 장치에는 스팀 생성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리프레쉬 장치는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세탁 장치(10)에 적용될 수도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리프레쉬 장치에 스팀 생성부가 함께 구비되어야만 가장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generating unit may not be provided in the refresh apparatus of the type applied to thewashing apparatus 10 or the like. However, the refreshing device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at the same time, the steam generat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refreshing device in order to be used in common so that the refreshing device may be applied to thewashing device 10.

뿐만 아니라, 세탁 장치(10)의 스팀 생성부(20)에 연결된 스팀 유로관(30)의 타단이 연결되는 위치는 리프레쉬 장치의 베이스부(100)가 아닌 커버부(300)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other end of thesteam flow pipe 30 connected to thesteam generator 20 of thelaundry apparatus 10 is connected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cover 300, not thebase 100 of the refresh apparatus. It may b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 중 스팀 생성부는 전열코일(212)의 발열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물저장부(170) 내에 구비된 열전도판(171)으로 전달될 때 서로간 즉, 상기 열전도판(171)(혹은, 물저장부의 저면)과 상기 전열코일(212)이 장착된 면 간이 정확히 밀착되지 않을 경우 원활한 열전도가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된다.Meanwhile, the steam generator of the ref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ransferred to theheat conduction plate 171 provided in the high temperaturewater storage unit 170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heat transfer coil 212. When the heat conduction plate 171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part) and the surface on which theheat transfer coil 212 is mounted are not closely adhered to each other, a problem of smooth heat conduction becomes difficult.

따라서, 상기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 생성부를 이루는 열전도판과 전열코일이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함을 제시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 problem,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heat conduction plate constituting the steam generator and the heat transfer coil are directly contacted.

첨부된 도 8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팀 생성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structure of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의 스팀 생성부는 크게 열전도판(221)과, 전열코일(222)과, 전원연결단자(224)와, 컨트롤러(2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As can be seen through this, the steam generator of the ref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heat conduction plate 221, aheat transfer coil 222, apower connection terminal 224, and acontroller 223. It suggests that it is constructed.

여기서, 상기 열전도판(221)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내벽면 중 상기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측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비된다.Here, theheat conduction plate 221 is provid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mounted to thebase portion 100.

또한,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열전도판(221)의 저부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heat transfer coil 22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heat conduction plate 221.

이 때,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과 상기 열전도판(221) 사이의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열전도판(221)의 저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heat transfer coil 222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and the heatconductive plate 221, in particular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conductive plate 221. It is preferable to.

이의 경우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은 내열성 재질로 형성되되,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이 과열됨에 따른 주위의 회로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formed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This is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surrounding circuit component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overheated.

이와 함께, 상기 물저장부(170)의 저면 중앙측 부위는 상부를 향해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7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72)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전열코일(222)의 단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formed with aprotrusion 172 protru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terminal of theheat transfer coil 22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protrusion 172 is formed; It is formed to be exposed.

또한,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 부(170)의 돌출부(172) 내측에 수용되면서 상기 전열코일(222)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power connection terminal 224 is protru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heat transfer coil 222 while accommodated inside theprotrusion 172 of thewater storage unit 170 of the inside of thebase portion 100.

이 때,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는 상기 전열코일(222)로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power connection terminal 224 serves to provide power to theheat transfer coil 222.

또한, 상기 컨트롤러(223)는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상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224)로 선택적인 전원 공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controller 223 is provided on the inner space of thebase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lective power supply to thepower connection terminal 224.

물론, 상기한 스팀 생성부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은 안착부(22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착부(225)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170)가 안착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Of course, the steam generating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seating portion 225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ating portion 225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base portion 100;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seating position.

따라서, 내부에 물이 저장된 물저장부(170)를 안착부(225)에 장착하게 되면, 전열코일(222)과 상기 전원연결단자(224)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열코일(222)은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의 생태에서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컨트롤러(223)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상기 전열코일(222)은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열된다.Therefore, when thewater storage unit 170 stored therein is mounted on theseating unit 225, theheat transfer coil 222 and thepower connection terminal 224 is made while theheat transfer coil 222 is a power source Theheat supply coil 222 is heated by the supplied power when the supply is possible, and the operation of thecontroller 223 for the refresh operation is made in its ecology.

이 때, 상기 전열코일(222)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고온의 열은 그 상면에 밀착된 열전도판(221)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물저장부(170) 내에 저장된 물은 가열되면서 증발되고, 이러한 증발로 인해 스팀의 생성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heat transfer coil 222 is transferred to theheat conduction plate 221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ed in thewater storage unit 170 is evaporated while heating, such evaporation This results in the generation of steam.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스팀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바디부(400) 내로 제공되고, 계속해서 상기 바디부(400) 내에 위치된 의류로 제공된다.And, the steam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to thebody portion 400 while ris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base portion 100, and is subsequently provided to the clothing located in thebody portion 400.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상기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주름 등이 제거되면서 결과적으로 의류의 리프레쉬가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garment is sterilized by the high temperature steam and wrinkles are removed, and as a result, the garment is refreshed.

물론, 상기 리프레쉬 장치가 세탁 장치 등에 연동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와의 연동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의류의 리프레쉬 운전이 진행된다.Of course, when the refresh apparatus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washing apparatus or the like, the refresh operation of the garment is perform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interlocking process with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레쉬 장치는 의류에 대한 단시간의 보관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보관시 해당 의류의 주름 제거와 살균 등의 리프레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refre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oring the clothes for a short time and refreshing the wrinkles and sterilization of the clothes during the storag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Have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리프레쉬 장치는 기존의 드럼식 건조기 혹은, 별도의 건조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의류의 리프레쉬만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ile the refreshing device is controlled independently of the existing drum dryer or a separate drying device, and has the effect that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because only the refresh of the clothing is performed professionally. .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소정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부;A base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상기 베이스부 내에 장착되며, 스팀 생성에 필요한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 공간을 가지는 물저장부;A water storage unit mounted in the base unit and hav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required for steam generation is stored;상기 물저장부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켜 증발시키는 스팀 생성부;A steam generator for heating and evaporat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A cover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접힘 혹은, 펼쳐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부; 그리고,A body par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over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forms a predetermined space for a refresh operation; And,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스팀을 제공받는 스팀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And a steam supply unit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 base unit and the cover unit to receive steam from the outside.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스팀 생성부는The steam generator상기 물저장부의 내벽면 중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측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비되는 열전도판과,A heat conduction plate provided alo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mounted to the base unit;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부의 저면이 장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열전도판으로 고온의 열을 제공하는 전열코일과,A heat transfer coil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o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mounted to provide high temperature heat to the heat conductive plate;상기 전열코일의 발열 제어를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heat generation control of the heat transfer coil.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상기 스팀 생성부는The steam generator상기 물저장부의 내벽면 중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는 측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비되는 열전도판과,A heat conduction plate provided along an inner wall surface of a sid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mounted to the base unit;상기 열전도판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는 전열코일과,A heat transfer coil provided along the inside of the heat conduction plate;상기 베이스부의 내부 중 상기 물저장부의 저면이 장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코일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연결단자 그리고,A power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o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is mounted and providing power to the heat transfer coil;상기 전원연결단자로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상기 스팀 공급부는The steam supply unit상기 베이스부의 둘레면 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Ref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상기 스팀 공급부는The steam supply unit상기 커버부의 둘레면 혹은, 상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Ref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상기 스팀 공급부는The steam supply unit스팀이 유동되는 관로의 착탈이 가능한 관로 연결구와, 상기 관로 연결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Refre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ipeline connector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ipeline in which steam flows,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ipeline connecto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상기 스팀 공급부에는The steam supply unit상기 스팀이 유동되는 관로의 착탈 여부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는 판독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쉬 장치.And a readout unit configured to read out whether the steam flows in or out of the pipe.
KR1020050019105A2005-02-082005-03-08 Refresh deviceExpired - Fee RelatedKR100891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19105AKR100891660B1 (en)2005-03-082005-03-08 Refresh device
US11/628,193US20080256989A1 (en)2005-02-082006-02-28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PCT/KR2006/000696WO2006091057A1 (en)2005-02-282006-02-28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50019105AKR100891660B1 (en)2005-03-082005-03-08 Refresh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60098801A KR20060098801A (en)2006-09-19
KR100891660B1true KR100891660B1 (en)2009-04-02

Family

ID=3763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50019105AExpired - Fee RelatedKR100891660B1 (en)2005-02-082005-03-08 Refresh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08916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6139499U (en)1980-03-221981-10-21
KR19990083368A (en)*1998-04-271999-11-25다니엘에프.호프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10113436A (en)*2000-08-162001-12-28김점화Steam ironing apparatus
KR20060095406A (en)*2005-02-282006-08-31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6139499U (en)1980-03-221981-10-21
KR19990083368A (en)*1998-04-271999-11-25다니엘에프.호프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10113436A (en)*2000-08-162001-12-28김점화Steam ironing apparatus
KR20060095406A (en)*2005-02-282006-08-31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60098801A (en)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265602B1 (en)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80256989A1 (en)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EP1936021A2 (en)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machine
KR20150009718A (en)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65297A (en)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595239B1 (en) Combined Drying Equipment with Folding Shelf
US20240301617A1 (en)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41308B1 (en) Laundry device
KR20080024864A (en) Laundry treatment furniture
KR100710221B1 (en) Refresh device
KR100845843B1 (en) Refresh device
KR100891660B1 (en) Refresh device
KR100813049B1 (en) Refresh device
KR100891659B1 (en) Refresh device
KR100845844B1 (en) Refresh device
KR100808173B1 (en) Refresh device
KR100841307B1 (en) Laundry device
KR100880633B1 (en) Refresh device
KR100873129B1 (en) Laundry device
KR20060095406A (en) Laundry device
KR20100007342A (en)Cloth treating apparatus
KR20220096562A (en)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808177B1 (en) Refresh device
US20230118347A1 (en)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100813050B1 (en) Refreshing device and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GRNT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30226

Year of fee payment: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40224

Year of fee payment:6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50224

Year of fee payment:7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20160224

Year of fee payment:8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8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201703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70328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