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의 구조 및 착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and a wearing state of a conventional earphon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음향방출부의 구조를 난타낸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emission unit of FIG.
도 4는 도 2의 이어피스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arpiece of FIG.
도 5는 도 2의 음향방출부와 이어피스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ound emitting unit and the earpiece of FIG.
도 6은 도 2의 이어피스의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mpressed state of the earpiece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Reference Symbols>
100... 이어폰 본체      200... 음향방출부100
300... 이어피스 S... 스피커300 ... Earpiece S ... Speaker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귓속에 삽입 착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장시간 착용시에도 귀에 통증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착용시 밀착성이 우수한 메모리폼 이어피스를 사용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rphones, in particular to insert into the ear to effectively block the noise from the outside,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does not cause pain in the ear as well as an earphone using a memory foam earpiece with excellent adhesion when worn. .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에 장착(裝着)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로서,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이다.In general, an earphone is a handset designed to be small so that it can be worn on the ear, which is an abbreviation of an earphone receiver.
여기서, 이어폰 리시버는 구조에 따라 크리스털리시버와 마그네틱리시버로 구분한다. 상기 크리스털리시버는 크리스털소자(素子)의 압전효과(壓電效果)를 이용하여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상기 마그네틱리시버는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다.Here, the earphone receiver is classified into a crystal receiver and a magnetic receiv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e crystal receiver has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diaphragm using the piezoelectric effect of the crystal element, and the magnetic receiver has a structure for operating the diaphragm by flowing a negative current through the coil.
아울러, 이어폰은 귀에 장착하는 방식에따라 삽입이어폰(insert earphone), 귀에 거는식(supraaural type)이어폰 및 귀덮개식(circumaural type)이어폰 등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이어폰을 이용하면 귀에만 소리가 전해지므로 외부소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화나 방송 등의 업무용, 또는 난청자(難聽者)를 위한 보청기 등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음향 및 통신 기술의 발달로 MP3 플레이어나 휴대전화 등과 같은 휴대기기들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음악감상용, 영화감사용, 학습용 등을 비롯하여 실내,외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어폰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earphones are classified into insert earphones, supraaural type earphones, and earmuffs (circumaural type) earphones according to a method of mounting on the ear. Using these earphones has a merit that the sound is transmitted only to the ear and thus is hardly affected by external noise. Therefore, i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hearing aid for work such as a telephone or a broadcast or a hearing impaired person.As the development of sound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spread of portable devices such as MP3 players and mobile phones, Earphones are used in various forms that can be used both indoors and outdoors, as well as for watching, using movies, and learning.
즉, 이어폰은 현대 사회 생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earphones are a necessity that take up a considerable portion of modern social life.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어폰(1) 구조 및 착용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structure and wear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earphone (1).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어폰(1)은 개구부를 갖는 이어폰 본체(10)와, 상기 이어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스피커(S)와, 상기 스피커(S)와 이어폰 본체(10)의 둘레 외경을 동시에 감싸는 이어피스(ear piece)(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earphone 1 simultaneously has an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1)은 착용자의 인체 귀 입구측에 밀착시켜 착용하는 것으로 이때, 이어피스는 착용자 귀 입구측과 일정한 내부 공간을 가지고 고정된 상태이며, 이 후 스피커(S)를 통해 방출된 음향을 사용자가 청취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earphone 1 i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human ear inlet, where the earpiece is fixed with a predetermined inner space with the wearer's ear inlet, and then emitted through the speaker S. The user listens to the soun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1)은 귀 입구와 스피커(S)가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원치 않는 소음이 귓속으로 유입되어 깨끗한 음향청취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피커(S)를 통해 방출되는 음향은 이어폰(1) 사용자 외 주위사람들에게는 불쾌감을 주는 소음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arphone 1 as described above, the ear inlet and the speaker S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so that unwanted noise from the outside is introduced into the ear, and it is difficult to hear clean sound. In addition, the sound emitted through the speaker (S) has a problem that is transmitted to the noise around the user other than the user of the earphone (1).
또한, 착용자의 귀 입구의 크기는 사람들에 따라 모두 상이하므로 장시간 착용하거나 활동적인 행동을 할 경우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으로 인하여 귀에 통증이 발생되었으며, 동시에 귀 입구와 이어폰은 견고한 착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귀 입구로부터 이어폰(1)이 자연 탈거되므로 사용자는 이어폰(1)을 손으로 수시로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으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wearer's inle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pain occurs in the ear due to pressure on the skin when worn for long periods of time or during active activities. Since the earphone 1 is naturally removed from the inlet, the user has a problem in that the wear feeling decreases due to the hassle of pressing the earphone 1 by hand from time to time.
또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31668호(휴대용이어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89548호(이어폰 보조기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81582호(이어폰 고정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210호(이어폰용 이어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5-112325호(이어폰의 귀삽 입구),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94184호(이어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13340호(소음 및 이물질 차폐를 위한 이어폰 보조기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633050호(이어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487133호(이어폰), 등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531668 (Portable Earphon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89548 (Earphone Assist Mechanism), Korea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81582 (Earphone Fixture), 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Utility Shinan Publication No. 356210 (Eargel for Earphone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112325 (Earphone Inlet),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94184 (Earphon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13340 (Earphone accessory for noise and foreign matter shielding),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633050 (Earphon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487133 (Earphone), and the like are disclo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귓속에 삽입이 용이한 형태의 메모리폼 소재의 이어피스를 사용함으로서 외부 소음은 차단하고 깨끗한 음향을 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위사람들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arpiece of the memory foam material of the form that is easy to insert in the ear can block external noise and hear clean sound and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earphones that noise is not transmitted to the people arou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착용시에도 귀에 통증이 발생되는 않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that does not generate pain in the ear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내부에 스피커를 갖는 이어폰 본체; 및 상기 이어폰 본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음향방출공간부가 형성된 메모리폼 소재의 이어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피스의 외면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body having a speaker therein; And an earpiece of a memory foam material coupled to the earphone body and having an acoustic emission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earpie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또한, 내부에 스피커를 갖는 이어폰 본체; 상기 이어폰 본체에 연통되어 있으며, 이어피스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중공의 음향방출부; 및 상기 음향방출부와 결합되는 음향방출공간부가 형성된 메모리폼 소재의 이어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arphone body having a speaker therein; A hollow sound emit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earphone body and protruding toward the earpiece; And an earpiece of a memory foam material in which an acoustic emission space is coupled to the acoustic emission unit.
그리고, 상기 이어피스의 외면 둘레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earpiece.
상기 음향방출부는 중공의 원통과 상기 원통의 단부에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e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ylinder and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상기 확장부는 상기 원통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nsion is bent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cylinder.
그리고, 상기 음향방출부의 외면은 다수의 톱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ound e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awtooth shape.
여기서, 상기 음향방출부의 외면은 선단을 중심으로 제1결합측면과 제1분리측면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결합측면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1분리측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sound emitting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coupling side and a first separation side around the tip, the first coupling side is to be inclined in the coupling direction and the first separation side is formed flat.
한편, 상기 이어피스에는 상기 음향방출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ar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ound emitting portion.
상기 이어피스는 종단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걸림편은 다수의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When the earpiece is viewed in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iec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ooth shape.
이 경우, 상기 걸림편은 선단을 중심으로 제2결합측면과 제2분리측면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2결합측면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2분리측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locking piece is divided into a second coupling side and a second separation side with respect to the tip, and the second coupling side is inclined in the coupling direction and the second separation side is formed flat.
또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이어피스의 길이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gradually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arpiece from the earphone body.
아울러, 상기 걸림편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is preferably formed in a waveform.
그리고, 상기 음향방출공간부는 이어폰 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점차 넓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und emitting space portion may be formed to gradually wid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arphone body.
또한, 상기 음향방출공간부에는 외부압력으로부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눌림방지 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oustic emission sp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press pipe for preventing deformation from the external pressure is formed.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00)은 내부에 스피커(S)가 포함된 이어폰 본체(100)와, 상기 이어폰 본체(100)에 연통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된 음향방출부(200)와, 상기 음향방출부(200)와 결합되는 이어피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먼저, 이어폰 본체(100)는 스피커(S)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수용부로서의 역활을 수행한다.First, the earphone
따라서,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스피커(S)가 설치될 수 있는 수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개방부(120)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술할 음향방출부(200)와 연통되는 연통홈(130) 및 단턱부(140)가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선이 인입되는 인입공(150)이 아 래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n
여기서, 상기 이어폰 본체(100)는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스피커(S)를 설치하게 된다. 즉, 사출금형 내에서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스피커(S)를 함께 성형하므로서, 이어폰 본체(100)에 스피커(S)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Here, the earphone
또한,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단턱부(140)를 각각 사출하여 결합가능하도록 결합수단(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arphone
아울러, 상기 이어폰 본체(100)는 플라스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되, 그 외곽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음향방출부(200)는 상기 스피커(S)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후술할 아이피스 쪽으로 전달하는 역활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음향방출부(200)는 중공의 원통과 상기 원통의 단부에 확장부(210)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한다.Here, the
이경우, 상기 음향방출부(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측단부에 연통부(220)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3 (a), the
또한, 상기 확장부(210)와 연통부(220)는 상기 원통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확장부(210)는 후술할 아이피스(300)와 결합 후 외부충격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연통부(220)는 상기 이어폰 본체(100)의 연통홈(130)에 결합되되, 중앙에는 소정의 만곡부(222)를 형성하여 상기 스피커(S)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음향방출부(2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다수의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음향방출부(200)의 외면은 선단을 중심으로 제1결합측면(201)과 제1분리측면(202)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결합측면(201)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1분리측면(202)은 편평하게 형성된다.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음향방출부(200)는 고무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음향방출부(200)는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인 플라스틱의 합성수지로 제작됨과 동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이어피스(300)는 내부에 상기 음향방출부(200)와 결합되는 속이 빈 음향방출공간부(310)가 형성되고, 귓속에 삽입가능한 형태를 갖고 삽입 후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메모리폼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메모리폼의 소재는 저탄성, 고밀도, 충격흡수의 성질을 가진 것으로, 외부 형상을 감지하여 점차적으로 부드럽고 균등하게 변화하면서 외부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것이다.Here, the material of the memory foam is a low elasticity, high density, shock absorbing properties, it detects the external shape and gradually changes smoothly and evenly to maintain the external shape as it is.
그리고, 상기 이어피스(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 둘레에는 걸림편(320)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이 경우, 상기 걸림편(3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4 (b), the engaging
즉, 다수의 톱니형상을 갖는 걸림편(320)은 선단을 중심으로 제2결합측면(321)과 제2분리측면(322)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2결합측면(321)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2분리측면(322)은 편평하게 형성된다.That is, the engaging
또한, 상기 걸림편(320)은 상기 이어폰 본체(100)로부터 이어피스(300)의 길이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걸림편(32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걸림편(320)은 파형(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이어피스(300)의 음향방출공간부(3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방출부(200)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홈(3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oustic
또한, 상기 음향방출공간부(310)는 이어폰 본체(10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음향방출공간부(310)에는 외부압력으로부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눌림방지 파이프(340)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한편, 상기 이어피스(300)는 상기 이어폰 본체(10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000)의 작용을 설명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스피커(S)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100)와, 상기 이어폰 본체(100)와 연통되는 음향방출부(200)와, 상기 음향방출부(200)에 결합되는 메모리폼 소재의 이어피스(30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First, an
그 다음, 이어폰(1000)을 착용하기 전 사용자는 이어폰 본체(100)에 결합된 이어피스(300)를 보다 용이하게 귓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손가락 또는 손아귀에 힘을 주어 상기 이어피스(300)를 압축시키고 그 상태에서 귓속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이어피스는 메모리폼 재질의 특성상 수 초정도의 압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n, before wearing the
이 후, 귓속으로 삽입된 이어피스(300)는 서서히 원래의 모양으로 회복되다가 귓속의 내벽면과 맞닿게 되면서 더 이상 회복되지 않고 내벽과 동일한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밀착고정하게 된다.Afterwards, the
그 다음, 각종 휴대용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스피커(S)를 통해 출력된 후 상기 이어폰 본체(100)에 연통된 음향방출부(200)를 통해 이어피스(300)의 음향방출공간부(310)로 전달된다.Then, the sound output from the various portable acoustic devices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 and then the sound emitting
따라서, 음향방출공간부(310)를 통해 출력된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귓속에 삽입이 용이한 형태의 메모리폼 소재의 이어피스를 사용함으로서 외부 소음은 차단하고 깨끗한 음향을 청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위사람들에 소음이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earpiece of the memory foam material of the form that is easy to insert into the ear,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xternal noise and to listen to the clean sound and to transmit the noise to the people around It works.
또한, 장시간 착용시에도 귀에 통증이 발생되는 않음과 동시에 이질감 없이 귓속 내벽면에 밀착고정되어 귀 입구로부터 이어폰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does not occur in the ear and at the same time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ar without a sense of heterogene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earphone from easily detached from the inle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1817AKR100878597B1 (en) | 2007-02-05 | 2007-02-05 | earphon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11817AKR100878597B1 (en) | 2007-02-05 | 2007-02-05 | earphon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73155A KR20080073155A (en) | 2008-08-08 | 
| KR100878597B1true KR100878597B1 (en) | 2009-01-1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11817AExpired - Fee RelatedKR100878597B1 (en) | 2007-02-05 | 2007-02-05 | earphon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78597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1187B1 (en)* | 2009-03-09 | 2011-04-26 | 아이필유(주) | Insertion Bone Conduction Earphones | 
| KR101109110B1 (en)* | 2009-11-02 | 2012-02-24 | 민동훈 | Hearing Aid Having Function of Bone Conduction Using Piezoelectric Vibration | 
| US8861771B2 (en) | 2011-06-03 | 2014-10-14 | Alan Stott | Apparatus and system for playing audio signals from an audio source | 
| KR200476332Y1 (en)* | 2013-11-29 | 2015-02-16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Turbine Valve Stem maintenance Guide Sleeve | 
| KR101539662B1 (en)* | 2014-05-12 | 2015-07-29 | 최수민 | Ring for fixing an earpin onto an earphone | 
| KR101693162B1 (en)* | 2016-01-27 | 2017-01-05 | 대한민국 | An earplug | 
| KR102087190B1 (en) | 2018-12-26 | 2020-03-10 | 안형진 | The manufacuring equipment for a fusible interlining | 
| KR102252442B1 (en)* | 2020-01-13 | 2021-05-14 | (주)마키나 | Small size sound device with multi-adjustment ear hanger | 
| KR102417567B1 (en)* | 2021-04-12 | 2022-07-06 | 부전전자 주식회사 | Ear tip structure for micro speaker having oval type opening nozzl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9958Y1 (en)* | 2002-03-22 | 2002-07-02 | 황준수 | Earphone having a soft holder | 
| KR20050094184A (en)* | 2004-03-22 | 2005-09-27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phone | 
| KR20050112325A (en)* | 2004-05-25 | 2005-11-30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insert of earphone | 
| KR20060013340A (en)* | 2005-10-04 | 2006-02-09 | 허명선 | Earphone aids for noise and debris shielding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79958Y1 (en)* | 2002-03-22 | 2002-07-02 | 황준수 | Earphone having a soft holder | 
| KR20050094184A (en)* | 2004-03-22 | 2005-09-27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phone | 
| KR20050112325A (en)* | 2004-05-25 | 2005-11-30 | 엠엠기어 주식회사 | Ear insert of earphone | 
| KR20060013340A (en)* | 2005-10-04 | 2006-02-09 | 허명선 | Earphone aids for noise and debris shielding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80073155A (en) | 2008-08-0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78597B1 (en) | earphone | |
| EP3082347B1 (en) |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 |
| KR20050037435A (en) | Portable telephon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 |
| CN107172512B (en) | Earphone earflap | |
| US20090290730A1 (en) | Bone conduction speaker | |
| US11381897B2 (en)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
| CN107113487A (en) |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guide device | |
| US8391526B2 (en) |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 |
| RU2010129056A (en) | INTERIOR HEADPHONE AND HEADSET | |
| KR200204510Y1 (en) | A earphone cover | |
| KR101503327B1 (en) | Variable earphones for ear canal adaptation | |
| KR101535916B1 (en) | Earpiece and earphone having sound filter | |
| US20060147079A1 (en) | Earphone | |
| KR20140068629A (en) | A earphone | |
| US12160701B2 (en) | Dual structure TPE eartip having wax guard | |
| US11962965B2 (en) | Wireless earbud having external ear contact point | |
| KR100850988B1 (en) | Separation prevention unit and ear set having the same | |
| KR200432381Y1 (en) | A receiver case for earphone | |
| KR200255406Y1 (en) | Attach structure that earpiece of earphone | |
| WO2007141572A3 (en) | Earpiece and method for securing a device within the ear | |
| CN111741398B (en) | A headset | |
| JP2008109599A (en) | Compound operation type receiver operating as bone conduction receiver and respiratory tract receiver | |
| KR200252582Y1 (en) | Ear phone | |
| KR101427120B1 (en) | earphone on tragus | |
| CN222981647U (en) | earphon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1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11101 Year of fee payment: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4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30102 Year of fee payment: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5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201401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PC190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20140108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PC190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