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위젯(Widget)은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운영체계 등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 주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사용자가 포털 서비스나 컨텐츠 제공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단말 내 대기 화면 상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MSN 메신저, 증권, 키워드 검색창, 날씨, 시계, 게임, 메모장, 명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위젯이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젯을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단말에 최초 설치한 이후,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하지 않고도 상기 위젯을 통해 단말의 대기 화면 상에서 용이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Widget is a graphical interface that suppor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application / operating system more smoothly. The user can directly use the desired service on the standby screen in the terminal without having to visit the portal service or the content providing site. To help.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widgets that provide services such as 'MSN Messenger, Stock, Keyword Search Box, Weather, Clock, Game, Notepad, Saying', etc. Users can access widgets that provide services that they mainly use. After the first installation on the terminal, the service can be easily us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widget without visiting the corresponding website.
최근에는,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 용이성과 이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위젯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Recently, in particular, interest in mobile widgets that provide easy access and convenience of use for services desired by the user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has increased.
그런데, 종래의 모바일 위젯 서비스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단말의 대기 화면에서 직접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widget service has a problem in that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y not be easily and quickly executed directly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terminal.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 모바일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을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을 통해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widget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on a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 내 위젯을 통해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ck link function that allows you to quickly and easily run a variety of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widget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widget service to the mobile terminal,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widget service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that can provide a user interface (UI) environment convenient to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1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 크가 가능하도록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대기 화면에 제2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list register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displaying; When at least on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first displayed application list, generating at least one widget for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generating a quick link to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second displaying the generated at least one widget on the standby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크가 가능하도록 생성하는 위젯 생성부를 포함한다.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of applications registered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widget generator for generating at least one widget for the at least one selected application, when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application list, and generating a quick link to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do.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generated at least one widget on the standby scree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 내 위젯을 통해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may be easily and quickly executed through a widget i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 위젯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obile widget service to a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user interface (UI) environment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widget service with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탑재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10), 위젯 생성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리드하고, 상기 리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그룹별로 분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그룹별 분류에 상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 어플리케이션을 재정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재정렬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디스플레이부(110)는 위젯 생성부(120)에 의해 위젯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위젯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생성된 위젯을 아이콘 방식 또는 리스트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widget is generated by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생성된 위젯을 아이콘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생성된 위젯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the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위젯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위젯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n the widget is executed, the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위젯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실행된 위젯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을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호출을 통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연동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idget is executed, the
위젯 생성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위젯 생성부(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크(quick link)가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application lis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00, the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위젯 생성부(12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크가 가능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select at least one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list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이때, 위젯 생성부(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퀵 링크 기능을 엑스엠엘(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에 적용하여, 상기 퀵 링크가 가능한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 내에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may include the appli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le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execution fil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ic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 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위젯 생성부(1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시스템은 별도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작한 위젯을 소정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기존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위젯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생성된 위젯을 실행하는 위젯 엔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위젯을 관리하는 위젯 관리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ystem downloads a widget produced by a separate service provider from a predetermined server or a widget engine (not shown) for executing a widget stored in a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dget generated in the terminal. It may be provid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widget manager (not shown) for managing the widg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위젯 생성부는 상기 위젯 관리자의 일부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젯 관리자 및 위젯 엔진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WIPI 플롯폼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위젯 엔진은 하나 이상의 위젯을 로딩하여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위젯을 상기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위젯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이벤트를 처리한다.The widget generator may perform a function as part of the widget manager. The widget manager and the widget engine may be programs running on the WIPI plat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idget engine loads and executes one or more widgets, performs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executed widgets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terminal, and processes unique events owned by the widgets.
위젯의 이벤트 처리란 예를 들면 해당 위젯에 표시되는 정보의 갱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위젯의 이벤트 처리란 모바일 위젯에서 표시되는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정보인 경우, 즉 시계에 대응하는 모바일 위젯이 위젯 엔진에 의하여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단말의 OEM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해당 위젯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뉴스에 대응하는 위젯이 위젯 엔진에 의하여 로딩되어 실행되는 위젯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주기로 소정 서버로부터 푸쉬(PUSH) 또는 풀(PULL) 방식에 의하여 뉴스 정보를 수신 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에 갱신 저장하고, 갱신된 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Event processing of a widget is, for example, an update of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widget. For example, event processing of a widget means that information displayed in a mobile widget is information that changes with time, that is, when a mobile widget corresponding to a clock is loaded and executed by a widget engin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n OEM of the terminal. Receive and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widget, and the news information is pushed from the predetermined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the PUSH or PULL method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in the widget loaded and executed by the widget engine. This means that the received and upd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pdated news information is displayed.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퀵 링크용 모바일 위젯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 to 7 illustrate an example of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widget for quick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메뉴 버튼(210)을 제공한다.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버튼(210)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능 불러오기 메뉴(310)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2,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된 단말 기능 불러오기 메뉴(310)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전자사전, 지하철 노선도, 계산기, 단위 변환기, 세계 시계, 카메라, 음악 재생기, 메모, 알람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410)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 terminal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된 계산기(420)를 선택 버튼(430)을 이용해 선택한 후, 도 5의 메뉴 버튼(510)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대기 화면 등록 메뉴(520)를 제공한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s the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된 대기 화면 등록 메뉴(520)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계산기(420) 어플리케이션에 퀵 링크(quick link) 가능하도록 하는 위젯을 생성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계산기(420)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됨(위젯화됨)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창(610)을 통해 제공한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s the idle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 메시지 창(610)을 삭제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기(420)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위젯(710)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한다.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deletes the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된 실행 버튼(720)을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계산기(420)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 실행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공한다.Thereafte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 내에 탑재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ounted in a mobile terminal.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810)에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리드(read)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operation S81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read an application list in whic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registered from a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단계(S82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리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1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82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first display the read application list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이때,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그룹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그룹별 분류에 상응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내 어플리케이션을 재정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재정렬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1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classify the applications in the application list by groups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pplications or the application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mobile terminal. Thereafter,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rearrange applications in the application li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or each group. Thereafter,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first display the rearranged application list on a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단계(S830)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1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Next, in step S830,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select at least one application from the first application list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S830의 YES 방향), 단계(S84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크(quick link)가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t least one application from the first displayed application list (YES direction in S83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in step S840 is applied to the selected at least one application. At least one widget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generate the at least one widget to enable a quick link to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 스플레이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생성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퀵 링크가 가능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select at least one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list displayed on the idl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user. Create at least one widget for, but can be generated to enable a quick link to the at least one application.
이때,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퀵 링크 기능을 엑스엠엘(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에 적용하여, 상기 퀵 링크가 가능한 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by apply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and the quick link function for the application to the XML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or Javascript (Java script), the widget capable of the quick link Can be generated.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파일 시스템 내에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may include the appli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le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execution fil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ic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다음으로, 단계(S85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2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위젯을 아이콘 방식 또는 리스트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2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85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second display the generated at least one widget on a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second display the generated widget on an idl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an icon or list manner.
즉,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위젯을 아이콘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생성된 위젯을 리스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the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widget service may iconify the generated widget and display the generated widget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lternatively, the generated widget may be listed and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다음으로, 단계(S86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위젯의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위젯이 실행되는 경우(S860의 YES 방향), 단계(S87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실행된 위젯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을 호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S86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the widg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widget is executed (YES in S86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call an executable file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widget in step S870.
다음으로, 단계(S880)에서, 상기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출을 통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연동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제3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880, the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display the executed application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rough the c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widget service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system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퀵 링크용 모바일 위젯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2 to 7 illustrate an example of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in a mobile terminal through a mobile widget for quick l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링크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bile widget service providing method having a quick lin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디스플레이부110: display unit
120: 위젯 생성부120: widget generator
130: 제어부130: control uni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0375AKR100864578B1 (en) | 2007-10-31 | 2007-10-3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dget service with quick link func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10375AKR100864578B1 (en) | 2007-10-31 | 2007-10-3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dget service with quick link func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64578B1true KR100864578B1 (en) | 2008-10-2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10375AActiveKR100864578B1 (en) | 2007-10-31 | 2007-10-3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dget service with quick link func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64578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15301B1 (en)* | 2008-12-22 | 2011-02-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Resident widget setting method and system |
| CN102968313A (en)* | 2012-12-21 | 2013-03-13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Generation method and terminal of desktop widget |
| CN103019738A (en)* | 2012-12-28 | 2013-04-03 |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 Numerical control system with customizable interfac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numerical control system |
| KR101604131B1 (en)* | 2009-03-31 | 2016-03-1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hod and system for running application in idle mode |
| US20210149694A1 (en)* | 2019-09-09 | 2021-05-20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 US11740776B2 (en) | 2014-08-02 | 2023-08-29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 US11775141B2 (en) | 2017-05-12 | 2023-10-03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 US11822778B2 (en) | 2020-05-11 | 2023-11-21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 US11842032B2 (en) | 2020-05-11 | 2023-12-12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
| US11908343B2 (en) | 2015-08-20 | 2024-02-20 | Apple Inc. |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
| US11921992B2 (en) | 2021-05-14 | 2024-03-0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 US11922004B2 (en) | 2014-08-15 | 2024-03-05 | Apple Inc. | Weather user interface |
| US11955100B2 (en) | 2017-05-16 | 2024-04-09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
| US11977411B2 (en) | 2018-05-07 | 2024-05-07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adding respective com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
| US12019862B2 (en) | 2015-03-08 | 2024-06-25 | Apple Inc. |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
| US12045014B2 (en) | 2022-01-24 | 2024-07-2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time |
| US12050771B2 (en) | 2016-09-23 | 2024-07-30 | Apple Inc. | Watch theater mode |
| US12175065B2 (en) | 2016-06-10 | 2024-12-24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relocating one or more complications in a watch or clock interface |
| US12182373B2 (en) | 2021-04-27 | 2024-12-31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 US12265703B2 (en) | 2019-05-06 | 2025-04-01 | Apple Inc. |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3789B1 (en) | 2007-05-22 | 2007-10-05 |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 Widget type standby screen contents data provid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63789B1 (en) | 2007-05-22 | 2007-10-05 |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 Widget type standby screen contents data provid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15301B1 (en)* | 2008-12-22 | 2011-02-15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Resident widget setting method and system |
| KR101604131B1 (en)* | 2009-03-31 | 2016-03-1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Method and system for running application in idle mode |
| CN102968313A (en)* | 2012-12-21 | 2013-03-13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Generation method and terminal of desktop widget |
| CN103019738A (en)* | 2012-12-28 | 2013-04-03 |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 Numerical control system with customizable interfac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numerical control system |
| CN103019738B (en)* | 2012-12-28 | 2015-09-02 | 广州数控设备有限公司 | The digital control system that a kind of interface can customize and implementation method |
| US12430013B2 (en) | 2014-08-02 | 2025-09-30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 US11740776B2 (en) | 2014-08-02 | 2023-08-29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 US11922004B2 (en) | 2014-08-15 | 2024-03-05 | Apple Inc. | Weather user interface |
| US12229396B2 (en) | 2014-08-15 | 2025-02-18 | Apple Inc. | Weather user interface |
| US12019862B2 (en) | 2015-03-08 | 2024-06-25 | Apple Inc. |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
| US12243444B2 (en) | 2015-08-20 | 2025-03-04 | Apple Inc. |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
| US11908343B2 (en) | 2015-08-20 | 2024-02-20 | Apple Inc. | Exercised-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
| US12175065B2 (en) | 2016-06-10 | 2024-12-24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relocating one or more complications in a watch or clock interface |
| US12050771B2 (en) | 2016-09-23 | 2024-07-30 | Apple Inc. | Watch theater mode |
| US11775141B2 (en) | 2017-05-12 | 2023-10-03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 US12293741B2 (en) | 2017-05-16 | 2025-05-06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
| US11955100B2 (en) | 2017-05-16 | 2024-04-09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
| US11977411B2 (en) | 2018-05-07 | 2024-05-07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adding respective complications on a user interface |
| US12265703B2 (en) | 2019-05-06 | 2025-04-01 | Apple Inc. |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 US12373079B2 (en)* | 2019-09-09 | 2025-07-29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 US20210149694A1 (en)* | 2019-09-09 | 2021-05-20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 US12099713B2 (en) | 2020-05-11 | 2024-09-24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 US12008230B2 (en) | 2020-05-11 | 2024-06-11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with an editable background |
| US11842032B2 (en) | 2020-05-11 | 2023-12-12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
| US11822778B2 (en) | 2020-05-11 | 2023-11-21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 US12333123B2 (en) | 2020-05-11 | 2025-06-17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
| US12422977B2 (en) | 2020-05-11 | 2025-09-2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with a character having a visual state based on device activity state and an indication of time |
| US12182373B2 (en) | 2021-04-27 | 2024-12-31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
| US11921992B2 (en) | 2021-05-14 | 2024-03-05 | Apple Inc. |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
| US12045014B2 (en) | 2022-01-24 | 2024-07-23 | Apple Inc. | User interfaces for indicating ti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6457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dget service with quick link function | |
| RU2749794C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on of repeat performance of previous task based on context of mobile apparatus | |
| US10268473B2 (en) | Update installer with process impact analysis | |
| US7774713B2 (en) | Dynamic user experience with semantic rich objects | |
| US9665359B2 (en) | Automatically resolving conflicts after installation of selected updates in a computer system | |
| US20170139890A1 (en) | Smart card presentation of tabular data from collaboration database | |
| EP269902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 |
| Shu et al. | Research on mobile location service design based on Android | |
| US9280319B2 (en) | Integrated visualization for modeled customizations | |
| KR100861656B1 (en) | Method for displaying mobile widget set on idle screen according to setting ti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KR20110021801A (en) | Pivot Search Results by Time and Location | |
| HK1258578A1 (en) | Automatic lifecycle management for pages on a mobile application | |
| EP3044673A1 (en) | Automatically recommending updates based on stored lifecycle information | |
| US20160259534A1 (en) | Visual process configuration interface for integrated programming interface actions | |
| US20160314473A1 (en) | Generating and providing a self-service demonstration to facilitate performance of a self-service task | |
| US11163938B2 (en) | Providing semantic based document editor | |
| JP550416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area on standby screen of mobile terminal | |
| KR10196895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 |
| US2013023902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iki previews | |
| CN11188069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terminal,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 US20170366916A1 (en) | Programming organizational links that propagate to mobile applications | |
| CN117724780B (en) |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 |
| KR100864581B1 (en) | Widget content storage method and system | |
| KR10086457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widget service | |
| US20150088971A1 (en) | Using a process representation to achieve client and server extensible process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10923 Year of fee payment: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40917 Year of fee payment: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20170907 Year of fee payment: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18 |